KR20220122068A -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068A
KR20220122068A KR1020210026231A KR20210026231A KR20220122068A KR 20220122068 A KR20220122068 A KR 20220122068A KR 1020210026231 A KR1020210026231 A KR 1020210026231A KR 20210026231 A KR20210026231 A KR 20210026231A KR 20220122068 A KR20220122068 A KR 20220122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insertion hole
carri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고문당인쇄(주)
(주)아임팩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당인쇄(주), (주)아임팩킹 filed Critical 고문당인쇄(주)
Priority to KR102021002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068A/ko
Publication of KR2022012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는,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 용기가 삽입되는 제1용기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바디로부터 접혀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이 상기 제1용기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Folding Beverage Carrier Having Sub Supporting Body}
본 발명은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 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되는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여, 보조 지지바디를 통해 음료용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문명의 발전으로 인해 커피, 차 등과 같은 음용 기호식품의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현대인들의 음용 기호식품의 소비 역시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카페 등의 수도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더불어 편의점 등과 같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에도 품질이 높은 음용 기호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소비자가 음용 기호식품을 다량 구매하게 되는 경우,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음료가 수용된 용기 복수 개를 소정의 간이 캐리어에 담아 포장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음료용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간이 캐리어는 플라스틱 재질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캐리어 자체의 무게가 무겁고 사용 후 폐기하는 간이 캐리어의 특성 상 환경 오염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골판지 등과 같은 지류의 재질을 간편하게 접어 음료용 용기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형태의 캐리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재질의 특성 상 강도가 떨어지므로 많은 수의 음료용 용기를 옮기는 것은 어려웠으며, 또한 음료용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52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간편하게 접어 제작이 가능하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음료용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는,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 용기가 삽입되는 제1용기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바디로부터 접혀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이 상기 제1용기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캐리어 바디는, 상기 제1용기삽입홀이 형성되며, 천장을 형성하는 상부 음료지지부,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보조 지지바디와 연결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바디는, 일측이 상기 바닥부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기립되도록 접히는 기립부 및 일측이 상기 기립부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립부로부터 접혀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부와 연결된 측벽부 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용기삽입홀이 형성된 하부 음료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바디는,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로부터 접힌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연결된 측벽부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 지지바디는,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 상기 바닥부와 연결된 측벽부에는 상기 지지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측벽부와 다른 하나의 측벽부는,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로부터 접혀 상기 기립부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 중 상기 기립부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측벽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기립부가 이루는 접힘선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고정돌기부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바디는,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용기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용기삽입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되는 음료용 용기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바디에 제1용기삽입홀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측에는 제1용기삽입홀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이 형성된 보조 지지바디가 구비되어 음료용 용기를 이중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고 안전하게 음료용 용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류 등과 같은 접힘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며, 분할되지 않고 일체화된 형태의 전개도를 통해 간편하게 접어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음료용 용기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고정돌기부를 고정홀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지지돌기부가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가압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는 캐리어 바디(100) 및 보조 지지바디(200)를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100)는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 용기가 삽입되는 제1용기삽입홀(111)이 형성되며, 전개도를 접어 형태를 완성시킬 경우 내측에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지지바디(200)는 이와 같은 캐리어 바디(100)에 어느 일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캐리어 바디(100)로부터 접혀 수용공간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분할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전개도를 접어 형태를 완성시킬 경우, 보조 지지바디(200)에는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211)이 제1용기삽입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바디(100)는 제1용기삽입홀(111)이 형성되며, 천장을 형성하는 상부 음료지지부(110)와, 상부 음료지지부(1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120)와, 일측이 한 쌍의 측벽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이 보조 지지바디(200)와 연결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13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캐리어 바디(100)는 측벽부(120)와는 다른 각도에서 상부 음료지지부(110)의 접힘선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접이부(1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함께 캐리어 바디(100)는 상부 음료지지부(100)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제1용기삽입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1용기삽입홀(1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음료용 용기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압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지지부(112)는 제1용기삽입홀(11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음료용 용기가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될 경우 음료용 용기의 자중으로 인해 하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며, 재질 자체가 가지는 복원력에 의해 음료용 용기의 외측면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 지지바디(200)는, 일측이 바닥부(130)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바닥부(130)로부터 기립되도록 접히는 기립부(220)와, 일측이 기립부(220)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기립부(220)로부터 접혀 타측이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 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제2용기삽입홀(211)이 형성된 하부 음료지지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보조 지지바디(200)는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으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 음료지지부(210)로부터 접힌 상태에서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에 접착되는 접착부(23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은 도 1의 전개도에서 시작하여, 먼저 도 2와 같이 바닥부(130)가 연결되는 측벽부(120)를 상부 음료지지부(110)로부터 수직하게 접고, 또한 바닥부(130)를 측벽부(120)로부터 수직하게 접어 바닥부(130)가 상부 음료지지부(110)와 대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바닥부(130)로부터 보조 지지바디(200)의 기립부(220)가 상향되도록 접고, 하부 음료지지부(210)를 기립부(220)로부터 수직하게 접어 하부 음료지지부(210)가 바닥부(130) 및 상부 음료지지부(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시킨다.
더불어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 끝단에서 접착부(230)를 하측으로 접어 내리고, 접착부(230)를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의 내면 측에 접촉시킨다. 이때 접착부(230)는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의 내면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120) 중 바닥부(130)와 연결되는 측벽부(120)가 아닌 다른 하나의 측벽부(120)를, 상부 음료지지부(12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접어 기립부(220)의 외측을 덮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립부(220)의 외면과 측벽부(120)의 내면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형태가 완성되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음료용 용기(10)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바디(100)에 제1용기삽입홀(111)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측에는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1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211)이 형성된 보조 지지바디(200)가 구비되어 음료용 용기(10)를 이중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고 안전하게 음료용 용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들는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일치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고정돌기부(121)를 고정홀(221)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캐리어 바디(100)는 한 쌍의 측벽부(120) 중 기립부(220)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측벽부(120)의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12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닥부(130)와 기립부(220)가 이루는 접힘선의 일부 영역에는, 이와 같은 고정돌기부(121)가 삽입되는 고정홀(221)이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120) 중 바닥부(130)와 연결되는 측벽부(120)가 아닌 다른 하나의 측벽부(120)를 상부 음료지지부(12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접어 기립부(220)의 외측을 덮는 과정에서, 고정돌기부(121)를 고정홀(221)의 내측으로 접어 삽입함에 따라 별도의 접착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측벽부(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지지돌기부(212)가 돌기삽입홀(122)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보조 지지바디(200)는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부(212)를 더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들에 존재하던 접착부(230, 도 1 내지 도 7 참조)가 생략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측벽부(120) 중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이와 같은 지지돌기부(212)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홀(122)이 이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30)로부터 보조 지지바디(200)의 기립부(220)가 상향되도록 접고, 하부 음료지지부(210)를 기립부(220)로부터 수직하게 접어 하부 음료지지부(210)가 바닥부(130) 및 상부 음료지지부(11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시킨 뒤, 지지돌기부(212)를 돌기삽입홀(122) 내에 삽입하여 끼움으로써 하부 음료지지부(210)가 지지력을 가지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지지돌기부(212)는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영역(212b)과 연결영역(212b)으로부터 절곡된 형상의 절곡영역(212a)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후크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돌기삽입홀(122)에 안정적으로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가압지지부(112)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가압지지부(112)의 내측, 즉 제1용기삽입홀(111)의 중심 방향을 바라보는 부분이 복수 개의 요철(11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음료용 용기가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지지부(112)의 요철(113)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위 면적 당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음료용 용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음료용 용기
100: 캐리어 바디
110: 상부 음료지지부
111: 제1용기삽입홀
112: 가압지지부
120: 측벽부
121: 고정돌기부
122: 돌기삽입홀
130: 바닥부
140: 보조접이부
200: 보조 지지바디
210: 하부 음료지지부
211: 제2용기삽입홀
212: 지지돌기부
220: 기립부
221: 고정홀
230: 접착부

Claims (8)

  1.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 용기(10)가 삽입되는 제1용기삽입홀(111)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리어 바디(100); 및
    상기 캐리어 바디(100)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바디(100)로부터 접혀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된 음료용 용기(1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용기삽입홀(211)이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지지바디(200);
    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는,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이 형성되며, 천장을 형성하는 상부 음료지지부(110);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1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120);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보조 지지바디(200)와 연결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130);
    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바디(200)는,
    일측이 상기 바닥부(130)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30)로부터 기립되도록 접히는 기립부(220); 및
    일측이 상기 기립부(220)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립부(220)로부터 접혀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 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용기삽입홀(211)이 형성된 하부 음료지지부(210);
    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바디(200)는,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으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210)로부터 접힌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에 접착되는 접착부(23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바디(200)는,
    상기 하부 음료지지부(2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돌기부(2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0) 중 상기 바닥부(130)와 연결된 측벽부(120)에는 상기 지지돌기부(212)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홀(122)이 형성된,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0) 중 상기 바닥부(130)와 연결되는 측벽부(120)와 다른 하나의 측벽부(120)는,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110)로부터 접혀 상기 기립부(220)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0) 중 상기 기립부(220)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측벽부(220)의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부(1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30)와 상기 기립부(220)가 이루는 접힘선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21)가 삽입되는 고정홀(221)이 형성된,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는,
    상기 상부 음료지지부(110)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용기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음료용 용기(10)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압지지부(112)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KR1020210026231A 2021-02-26 2021-02-26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KR20220122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31A KR20220122068A (ko) 2021-02-26 2021-02-26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31A KR20220122068A (ko) 2021-02-26 2021-02-26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68A true KR20220122068A (ko) 2022-09-02

Family

ID=8328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31A KR20220122068A (ko) 2021-02-26 2021-02-26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7263A1 (en) * 2022-10-19 2024-04-24 Vilesova, Larissa A foldable container holder for a paper 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73A (ko) 2016-09-28 2018-04-06 이효정 휴대용 접이식 컵 캐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73A (ko) 2016-09-28 2018-04-06 이효정 휴대용 접이식 컵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7263A1 (en) * 2022-10-19 2024-04-24 Vilesova, Larissa A foldable container holder for a paper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5003U (ja) ラップアラウンドキャリヤ及びブランク
US2794585A (en) Paperboard tray
US6230882B1 (en) Carrier for drink cups
CN205345617U (zh) 带有饮品支架的食品容器
US8365917B2 (en) Carrier tray, blank therefor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242717A1 (en) Cup Holder
US9567130B1 (en) Carton and blank for carton
MXPA02007979A (es) Recipiente plegable.
KR102187130B1 (ko) 컵홀더 및 핸드-홀을 갖는 트레이
KR20220122068A (ko)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KR20140136723A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0481085Y1 (ko) 내부 지지대를 구비한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US20110266335A1 (en) Gift wrap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463881A (en) Fold-flat paper-based container
KR200453823Y1 (ko) 포장용기
EP3181479B1 (en) Carton and blank for a carton
KR101915668B1 (ko) 용기 캐리어
US11912483B1 (en) Multi-functional catering container
TWI542519B (zh) A cup with a handle
CN204192251U (zh) 食物饮料托盘、及食物饮料托盘与饮料容器的组合
KR20140001976U (ko) 식품 포장용기
KR200454876Y1 (ko) 술병 포장용 케이스
AU2021101631A4 (en) Food Container
CN211919575U (zh) 一种组合包装装置
GB2369769A (en) Fold-flat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