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68B1 - 용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용기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5668B1 KR101915668B1 KR1020150159602A KR20150159602A KR101915668B1 KR 101915668 B1 KR101915668 B1 KR 101915668B1 KR 1020150159602 A KR1020150159602 A KR 1020150159602A KR 20150159602 A KR20150159602 A KR 20150159602A KR 101915668 B1 KR101915668 B1 KR 101915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olding line
- folded
- handle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1—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25—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not having a tub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는 병 포장박스 대비 별도의 뚜껑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 병, 맥주 병 등 주류의 병이나 참기름 병, 소스 병은 포장박스에 하나 또는 두개가 수납된 상태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진열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인 병, 참기름 병 등의 포장박스는 일면이 개구되며 병이 수납되는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박스와,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진열시 병이 보이도록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 박스만 진열을 하였고, 소비자가 와인, 맥주, 참기름 등을 구매하면 따로 보관하고 있던 뚜껑을 찾아 박스의 개구부를 닫은 후 별도의 포장 끈으로 포장박스를 묶어서 소비자에게 판매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병 포장박스는 뚜껑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장박스만 진열됨으로써, 뚜껑을 보관하는 장소가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이 별도로 보관됨으로 인하여 뚜껑을 분실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소비자가 와인, 맥주, 참기름 등의 구매시 별도로 보관된 뚜껑을 찾아 박스의 포장을 완료하고 별도의 포장 끈으로 마무리를 해야 하므로 인해 판매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는 병 포장박스 대비 별도의 뚜껑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품 용기의 진열 편의성 뿐만 아니라 제품 용기의 이동성 및 취급성을 높일 수 있어서 소비자의 제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 캐리어 내에 수납된 제품 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되어서, 운반 또는 이동시 제품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손잡이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제2손잡이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되 제1몸체부와 제1접힘선으로 연결되고 제2몸체부와 제2접힘선으로 연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커버부의 일측에 제3접힘선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3접힘선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받침부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날개부; 및 커버부의 타측에 제4접힘선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4접힘선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받침부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는 용기 캐리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이 형성된 제1커버부; 제1커버부와 마주하되,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과 대향되는 제2손잡이통공이 형성되고, 접힘선을 기준으로 제1커버부 외측으로 접혔을 때 제1손잡이통공과 제2손잡이통공을 통과하여 접철되는 결속부가 형성된 제2커버부; 제1커버부의 하단과 제2커버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수납된 용기의 하부 측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는 병 포장박스 대비 별도의 뚜껑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용기의 진열 편의성 뿐만 아니라 제품 용기의 이동성 및 취급성을 높일 수 있어서 소비자의 제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캐리어 내에 수납된 제품 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되어서, 운반 또는 이동시 제품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전개도로 용기 캐리어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전개도로 용기 캐리어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전개도로 용기 캐리어를 접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 캐리어에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100)는, 제1손잡이부(101)가 형성된 제1몸체부(103)와, 제2손잡이부(105)가 형성된 제2몸체부(107)와, 제1몸체부(103)와 제2몸체부(107) 사이에 형성되되 제1몸체부(103)와 제1접힘선(109)으로 연결되고 제2몸체부(107)와 제2접힘선(111)으로 연결되는 받침부(113)를 포함하는 커버부(115); 커버부(115)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3접힘선(117)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받침부(113)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지지부(119)를 포함하는 제1날개부(121); 및 커버부(115)의 타측에 제4접힘선(123)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4접힘선(123)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받침부(113)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2지지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부(115)는 제1몸체부(103), 제2몸체부(107) 및 받침부(113)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103)는 일예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제1몸체부(103)는 제1손잡이부(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손잡이부(101)는 일예로, 제1관통홀(127); 및 제1관통홀(127)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5접힘선(129)을 기준으로 접었을 때 제1관통홀(127)과 서로 마주하며 연통되는 제1연통공(13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손잡이부(101)는 제5접힘선(129)을 기준으로 제1몸체부(103)의 일측부를 접었을 때 제1관통홀(127)과 제1연통공(131)이 마주하며 연통되도록 형성되어서, 작업자 또는 소비자가 손가락을 걸어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물론, 제1손잡이부(101)는 제5접힘선(129)을 기준으로 제1몸체부(103)의 일측부를 접었을 때, 결합공(173)과 연통되는 연통홀(177)을 포함한다.
한편, 제1몸체부(103)는 제1손잡이부(101)의 단부에 절첩선(139)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절첩선(139)을 따라 접혔을 때 용기(90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홀(141)이 형성된 고정지지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지지부(143)는, 제5접힘선(129)을 기준으로 제1손잡이부(101)의 접힘 이후 절첩선(139)을 기준으로 다시 접혀져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901)의 상단부가 지지홀(141)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용기(901)의 상단부를 고정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2몸체부(107)는 일예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제2몸체부(107)는 제2손잡이부(1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손잡이부(105)는 일예로, 제1몸체부(103)와 제2몸체부(107)가 마주하도록 접혔을 때 제1관통홀(127) 및 제1연통공(131)과 서로 마주하며 연통되는 제2관통홀(133); 및 제2관통홀(13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6접힘선(135)을 기준으로 접었을 때 제1관통홀(127), 제1연통공(131) 및 제2관통홀(133)을 통과하며 접혀서 제1몸체부(107)와 제2몸체부(107)를 묶는 결속부(137);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손잡이부(105)는 제1몸체부(103)와 제2몸체부(107)가 마주하도록 접혔을 때(제1몸체부(103)가 받침부(113)에 대해 제1접힘선(109)을 기준으로 접히고, 제1몸체부(107)가 받침부(113)에 대해 제2접힘선(111)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 결속부(137)가 제1관통홀(127), 제1연통공(131) 및 제2관통홀(133)을 통과하며 접힘으로써, 제1몸체부(103)의 단부와 제2몸체부(107)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제1관통홀(127)은 상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79)가 형성되고, 제1연통공(131)은 하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81)가 형성되며, 제2관통홀(133)의 하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관통홀(127), 제1연통공(131), 제2관통홀(133)에 각각 돌출지지부(179, 181, 183)가 형성됨으로써, 결속부(137)가 제1관통홀(127), 제1연통공(131) 및 제2관통홀(133)을 통과하며 접혔을 때, 결속부(137)의 양측이 돌출지지부(179, 181, 183)에 지지되어서, 결속부(137)가 제1관통홀(127), 제1연통공(131) 및 제2관통홀(13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제1날개부(121)는 커버부(115)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날개부(121)는, 제3접힘선(117)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도 4 참조), 받침부(113)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지지부(119)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날개부(121)의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날개부(121)는, 제1몸체부(103)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몸체부(145); 제2몸체부(107)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연장부(147); 받침부(113)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연장되고, 상측이 제1날개몸체부(145)와 제1사선방향의 제7접힘선(149)으로 연결되며, 하측이 제1날개연장부(147)와 제2사선방향의 제8접힘선(151)으로 연결되고, 제1접힘선(109)과 나란하게 제9접힘선(153)이 연결형성되며, 제2접힘선(111)과 나란하게 제10접힘선(155)이 연결형성되는 제1지지부(1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1사선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우하향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사선방향은 우상향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날개몸체부(145)는 제1몸체부(103)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연장되는데, 제1날개몸체부(145)는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 제1몸체부(103)에 부착된다.
제1날개연장부(147)는 제2몸체부(107)의 일측에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연장되는데, 제1날개연장부(147)는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 제2몸체부(107)에 부착된다.
한편, 제1날개몸체부(145)와 제1날개연장부(147)가 각각 제3접힘선(117)을 기준으로 접혔을 때, 제1지지부(119)는 제7접힘선(149), 제8접힘선(151), 제9접힘선(153) 및 제10접힘선(155)을 따라 접혀져서, 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어서, 제2날개부(157)는 커버부(115)의 타측에 제4접힘선(123)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2날개부(157)는, 제4접힘선(123)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도 4 참조), 받침부(113)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2지지부(125)를 포함한다.
한편, 제2날개부(157)의 구조는 상술한 제1날개부(121)의 구조와 대칭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159는 제2날개몸체부, 161은 제2날개연장부, 163은 제11접힘선, 165는 제12접힘선, 167은 제13접힘선, 169는 제14접힘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로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57)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를 접었을 때, 받침부(113)의 양측에 제1지지부(119)와 제2지지부(125)가 용기(901)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여서, 용기(901)가 용기 캐리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몸체부(107)는 제2손잡이부(105)의 단부(즉, 도 1을 기준으로 결속부(137)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된 절첩선(171)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6접힘선(135)을 기준으로 제1손잡이부(101) 외측으로 접혔을 때 제1몸체부(103)에 형성된 결합공(17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속돌기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2몸체부(107)에 결속돌기부(175)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를 접었을 때, 결속돌기부(175)가 결합공(173)에 삽입되어서, 제1몸체부(103)와 제2몸체부(107)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1000)는,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1001)이 형성된 제1커버부(1003); 제1커버부(1003)와 마주하되,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1001)과 대향되는 제2손잡이통공(1005)이 형성되고, 접힘선(1007)을 기준으로 제1커버부(1003) 외측으로 접혔을 때 제1손잡이통공(1001)과 제2손잡이통공(1005)을 통과하여 접철되는 결속부(1009)가 형성된 제2커버부(1011); 제1커버부(1003)의 하단과 제2커버부(10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수납된 용기(1101)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013);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1003)는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1001)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데, 제1커버부(1003)는 일예로 사각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2커버부(1011)는 제1커버부(1003)와 마주하되, 상부에 제1손잡이통공(1001)과 대향되는 제2손잡이통공(1005)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2커버부(1011)는 결속부(1009)를 포함하는데, 결속부(1009)는 제2커버부(1011)의 상부가 접힘선(1007)을 기준으로 제1커버부(1003)의 외측으로 접혔을 때 제1손잡이통공(1001)과 제2손잡이통공(1005)을 통과하여 접철됨으로써, 제1커버부(1003)와 제2커버부(1011)를 묶어주게 된다.
여기서, 제1손잡이통공(1001)은 상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025)가 형성되고, 제2손잡이통공(1005)은 상부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10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손잡이통공(1001)에 돌출지지부(1025)가 형성되고, 제2손잡이통공(1005)에 돌출지지부(1027)가 형성됨으로써, 제1손잡이통공(1001)과 제2손잡이통공(1005)을 통과하여 접철된 결속부(1009)의 양측이 돌출지지부(1025, 1027)에 지지되어서, 결속부(1009)가 제1손잡이통공(1001)과 제2손잡이통공(100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커버부(1011)는, 결속부(1009)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된 절첩선(1015)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접힘선(1007)을 기준으로 제1커버부(1003) 외측으로 접혔을 때 제1커버부(1003)에 형성된 결합공(101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속돌기부(10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2커버부(1011)에 결속돌기부(1019)가 형성됨으로써, 제1커버부(1003)와 제2커버부(1011)가 더욱 견고히 결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지지부(1021)는 제1커버부(1003)의 내측면 또는 제2커버부(101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는데, 고정지지부(1021)는 용기(1101)의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홀(1023)을 포함한다.
이처럼 제1커버부(1003)의 내측면 또는 제2커버부(1011)의 내측면에 지지홀(1023)이 형성된 고정지지부(1021)가 구비됨으로써, 용기(1101)의 상단부가 지지홀(1023)을 관통하여 끼워져 용기(1101)가 안정적으로 고정지지되게 된다.
이어서, 바닥부는 제1커버부(1003)의 하단과 제2커버부(1011)의 하단을 연결하는데, 바닥부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어서, 지지부(1013)는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데, 지지부(1013)는 용기 캐리어(1000) 내에 수납된 용기(1101)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부(1013)는 양측이 각각 제1커버부(1003)와 제2커버부(1011)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는 병 포장박스 대비 별도의 뚜껑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용기의 진열 편의성 뿐만 아니라 제품 용기의 이동성 및 취급성을 높일 수 있어서 소비자의 제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캐리어 내에 수납된 제품 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지지되어서, 운반 또는 이동시 제품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
101 : 제1손잡이부 103 : 제1몸체부
105 : 제2손잡이부 107 : 제2몸체부
109 : 제1접힘선 111 : 제2접힘선
113 : 받침부 115 : 커버부
117 : 제3접힘선 119 : 제1지지부
121 : 제1날개부 123 : 제4접힘선
125 : 제2지지부 127 : 제1관통홀
129 : 제5접힘선 131 : 제1연통공
133 : 제2관통홀 135 : 제6접힘선
137 : 결속부 139 : 절첩선
141 : 지지홀 143 : 고정지지부
145 : 제1날개몸체부 147 : 제1날개연장부
149 : 제7접힘선 151 : 제8접힘선
153 : 제9접힘선 155 : 제10접힘선
157 : 제2날개부 159 : 제2날개몸체부
161 : 제2날개연장부 163 : 제11접힘선
165 : 제12접힘선 167 : 제13접힘선
169 : 제14접힘선 171 : 접철선
173 : 결합공 175 : 결속돌기부
177 : 연통홀 901 : 용기
10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
1001 : 제1손잡이통공 1003 : 제1커버부
1005 : 제2손잡이통공 1007 : 접힘선
1009 : 결속부 1011 : 제2커버부
1013 : 지지부 1015 : 절첩선
1017 : 결합공 1019 : 결속돌기부
1021 : 고정지지부 1023 : 지지홀
1101 : 용기
101 : 제1손잡이부 103 : 제1몸체부
105 : 제2손잡이부 107 : 제2몸체부
109 : 제1접힘선 111 : 제2접힘선
113 : 받침부 115 : 커버부
117 : 제3접힘선 119 : 제1지지부
121 : 제1날개부 123 : 제4접힘선
125 : 제2지지부 127 : 제1관통홀
129 : 제5접힘선 131 : 제1연통공
133 : 제2관통홀 135 : 제6접힘선
137 : 결속부 139 : 절첩선
141 : 지지홀 143 : 고정지지부
145 : 제1날개몸체부 147 : 제1날개연장부
149 : 제7접힘선 151 : 제8접힘선
153 : 제9접힘선 155 : 제10접힘선
157 : 제2날개부 159 : 제2날개몸체부
161 : 제2날개연장부 163 : 제11접힘선
165 : 제12접힘선 167 : 제13접힘선
169 : 제14접힘선 171 : 접철선
173 : 결합공 175 : 결속돌기부
177 : 연통홀 901 : 용기
10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캐리어
1001 : 제1손잡이통공 1003 : 제1커버부
1005 : 제2손잡이통공 1007 : 접힘선
1009 : 결속부 1011 : 제2커버부
1013 : 지지부 1015 : 절첩선
1017 : 결합공 1019 : 결속돌기부
1021 : 고정지지부 1023 : 지지홀
1101 : 용기
Claims (7)
- 제1손잡이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제2손잡이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몸체부와 제1접힘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몸체부와 제2접힘선으로 연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제3접힘선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3접힘선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날개부; 및
상기 커버부의 타측에 제4접힘선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제4접힘선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접혔을 때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접혀 세워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날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의 단부에 절첩선을 기준으로 돌출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절첩선을 따라 접혔을 때 용기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홀이 형성된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용기 캐리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5접힘선을 기준으로 접었을 때 상기 제1관통홀과 서로 마주하며 연통되는 제1연통공을 포함하는 용기 캐리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마주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연통공과 서로 마주하며 연통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6접힘선을 기준으로 접었을 때 상기 제1관통홀, 제1연통공 및 제2관통홀을 통과하며 접혀서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묶는 결속부;
를 포함하는 용기 캐리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602A KR101915668B1 (ko) | 2015-11-13 | 2015-11-13 | 용기 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602A KR101915668B1 (ko) | 2015-11-13 | 2015-11-13 | 용기 캐리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6222A KR20170056222A (ko) | 2017-05-23 |
KR101915668B1 true KR101915668B1 (ko) | 2018-11-06 |
Family
ID=5905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9602A KR101915668B1 (ko) | 2015-11-13 | 2015-11-13 | 용기 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56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9975B1 (ko) * | 2018-06-27 | 2020-02-11 | 박종성 | 용기제품 수납용 포장용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1076B2 (ja) * | 1992-12-25 | 2001-04-03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ガス又は液パージ機構を有するバルブ |
WO2003083387A1 (en) * | 2002-03-25 | 2003-10-09 | G.C. Hanford Manufacturing Co. |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mperature protected container |
-
2015
- 2015-11-13 KR KR1020150159602A patent/KR101915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1076B2 (ja) * | 1992-12-25 | 2001-04-03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ガス又は液パージ機構を有するバルブ |
WO2003083387A1 (en) * | 2002-03-25 | 2003-10-09 | G.C. Hanford Manufacturing Co. |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mperature protected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6222A (ko) | 2017-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3588B1 (ko) | 포장용 종이상자 | |
JP2015224046A (ja) | ガラス瓶の梱包装置 | |
WO2008026161A2 (en) | Multi-function box | |
KR101915668B1 (ko) | 용기 캐리어 | |
KR20100109830A (ko) |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 |
KR101601808B1 (ko) | 접이식 포장 박스 | |
KR101521454B1 (ko) | 적층 및 진열이 용이한 포장박스 | |
JP2006321538A (ja) | 組立式梱包体 | |
KR101735937B1 (ko) | 포장용 박스 | |
KR101735939B1 (ko) | 포장용 상자 | |
KR20220122068A (ko) | 보조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접이식 음료용 용기 캐리어 | |
KR101439743B1 (ko) | 아이스 버킷으로 이용 가능한 주류 용기 포장용 케이스 | |
KR100687922B1 (ko) | 포장상자 | |
KR200473371Y1 (ko) | 상품 포장 박스 | |
KR200485662Y1 (ko) | 포장용 종이 박스 | |
KR200454517Y1 (ko) | 케이크 포장상자 | |
KR200407978Y1 (ko)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
KR100922711B1 (ko) |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 |
CN205418342U (zh) | 书本式可折叠硬质包装盒 | |
KR102280660B1 (ko) |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 |
KR200447274Y1 (ko) | 술병 포장케이스 | |
KR20130109279A (ko) | 평면형태로 접철가능한 포장용 상자 | |
KR200454876Y1 (ko) | 술병 포장용 케이스 | |
KR101718430B1 (ko) | 포장 박스 | |
KR101525221B1 (ko) | 포장용 상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