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853A - 음경 보형물용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갖는 펌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경 보형물용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갖는 펌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853A
KR20220121853A KR1020227025753A KR20227025753A KR20220121853A KR 20220121853 A KR20220121853 A KR 20220121853A KR 1020227025753 A KR1020227025753 A KR 1020227025753A KR 20227025753 A KR20227025753 A KR 20227025753A KR 20220121853 A KR20220121853 A KR 2022012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flatable
valve body
slot
sea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라이언 무즈위드
마크 에드워드 디로레토
니콜라스 와슈타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6Penis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17Angular shapes
    • A61F2230/0023Angular shapes tri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9Sea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양태에 따르면,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200)은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202), 팽창 가능한 부재(210),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206)를 포함하고,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208), 밸브 본체(270),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240),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114),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115)를 포함하며,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본체는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272)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롯(27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경 보형물용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갖는 펌프 조립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8일자로 출원된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 PENILE PROSTHESIS"라는 명칭의 미국 정규 특허 출원 제17/247,340호의 연속 출원이며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2020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 PENILE PROSTHESIS"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967,31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20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967,31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는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전반적으로 신체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펌프를 포함하는 음경 보형물과 같은 신체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남성 발기 부전에 대한 한 가지 치료법은 음경을 기계적으로 발기시키는 음경 보형물을 이식하는 것이다. 기존의 일부 음경 보형물은 펌프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실린더 또는 부재를 포함한다. 펌프 메커니즘은 유체 저장조로부터 유체를 끌어온 다음 유체를 팽창 가능한 부재로 전달한다. 펌프 메커니즘은 펌프 벌브 및 하나 이상의 밸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의 일부 기존 설계에 따르면, 밸브 구성요소는 많은 양의 압력에 노출되어 펌프가 오작동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은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며,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본체는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롯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 표면은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제2 슬롯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슬롯을 포함하며, 밀봉 표면은 제2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세장형 부분 및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맞물림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은 삼각형 형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롯은 선형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밀봉 표면을 향해 밸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밸브와 맞물리고 밸브를 밀봉 표면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의 표면은 돌출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는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동을 획정하고, 밸브 공동은 밸브 본체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편향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은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 및 압력 경감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동을 획정하며, 압력 경감 밸브는 공동 내에 배치되고 공동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편향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는 스프링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은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밸브와 맞물려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슬롯을 포함하며,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슬롯을 포함하고, 밀봉 표면은 제1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며, 밀봉 표면은 제2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밀봉 표면을 향해 밸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 양태에 따른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일 양태에 따른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음경 보형물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음경 보형물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부분을 예시한다.
도 12는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를 예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를 예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를 예시한다.
도 18은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를 예시한다.
도 19는 일 양태에 따른 음경 보형물의 일부를 예시한다.
상세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은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청구범위에 대한 기초로서 그리고 사실상 임의의 적절하게 상세한 구조에서 실시예를 다양하게 채용하도록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 문구는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수 표현 용어는 하나 또는 하나 초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다른"은 적어도 제2 또는 그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은 구비하는(즉, 개방형)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결합된" 또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은 반드시 직접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는 아니지만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실시예는 신체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환자 또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이후에 본 개시내용에 개시된 의료 디바이스 또는 방법으로부터 득을 보는 사람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신체에 의료 디바이스가 이식된 사람 또는 본 개시내용에 의해 의료 디바이스를 작동하기 위해 개시된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1은, 일 양태에 따른, 유체 저장조(102), 팽창 가능한 부재(104), 및 유체 저장조(102)와 팽창 가능한 부재(104)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106)를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100)을 예시한다. 팽창 가능한 부재(104)는 사용자의 음경 해면체(corpus cavernosae)에 이식될 수 있고, 유체 저장조(102)는 사용자의 복부 또는 골반강에 이식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유체 저장조(102)는 사용자의 복강의 하부 부분 또는 사용자의 골반강의 상부 부분에 이식될 수 있음), 펌프 조립체(106)는 사용자의 음낭에 이식될 수 있다.
펌프 조립체(106)는 펌프 벌브(108), 밸브 본체(110), 밸브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시 밸브(124), (제1 도관 커넥터(103)를 통해) 유체 저장조(102)에 유체 결합된 제1 유체 포트(114), 및 (제2 도관 커넥터(105)를 통해) 팽창 가능한 부재(104)에 유체 결합된 제2 유체 포트(115)를 포함한다. 제1 유체 포트(114) 및 제2 유체 포트(115)는 밸브 본체(110)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전달 포트는 밸브 본체(110)와 별개인 튜브 어댑터(예를 들어, 삼중 튜브 어댑터) 상에 배치(또는 이에 의해 획정)되고, 튜브 어댑터는 밸브 본체(110)에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제1 유체 포트(114)는 공동을 획정하는 세장형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2 유체 포트(115)는 2개의 별개의 세장형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하나의 관형 부재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의 제1 실린더 부재에 유체 결합되고 다른 관형 부재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의 제2 실린더 부재에 유체 결합됨).
푸시 밸브(124)는, 밸브 본체(110)의 유체 통로를 통한 유체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밸브 본체(110)의 보어 내에서 축(121)을 따라 팽창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푸시 밸브(124)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 및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를 팽창 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144)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는 사용자에 의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의 단일 순간 푸시에 기초하여 선형 방향으로 수축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펌프 조립체(106)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팽창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의 일부를 둘러싸는 버튼 구성요소(112)를 포함한다. 버튼 구성요소(112)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 위로 연장되는 가요성 버튼 형상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는 방향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는 하나 이상의 링 부재(예를 들어, 환형 링 또는 리테이너 링)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편향 부재(144)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푸시 밸브(124)의 설계는, 수축 모드로부터 팽창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압착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를 팽창 위치로 성공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펌프 벌브(108)가 절첩된 상태에서 고착될 가능성을 감소(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팽창 위치에 있을 때,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100)은 팽창 모드(또는 팽창 주기)에 있다.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100)은 수축 모드(또는 수축 주기)에 있다. 일부 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의 단일, 순간 푸시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100)을 수축 위치로 전달한다(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를 미리 결정된 특정 시간 동안 누르고 유지하는 것과 달리). 일부 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수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유체 경로가 제2 유체 포트(115)와 제1 유체 포트(114) 사이에서 개방되게 하고, 그에 따라 유체가 펌프 벌브(108)를 우회하는 방식으로 펌프 조립체(106)를 통해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부터 유체 저장조(10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팽창 모드에서, 펌프 벌브(108)는 유체 저장조(102)로부터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 유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펌프 벌브(108)를 누르고(또는 압착하고) 이어서 펌프 벌브(108)를 해제한 다음, 원하는 강성이 팽창 가능한 부재(104)에서 달성될 때까지 이들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펌프 벌브(108)의 해제는 유체 저장조(102)로부터 펌프 벌브(108)로 유체를 당기는 흡입력을 생성하고, 펌프 벌브(108)의 눌림은 유체를 펌프 벌브(108)로부터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 배출한다. 일부 예에서, 팽창 모드에서, 밸브 본체(110)는 푸시 밸브(124)를 통해 최적화된 유체 통로를 제공하여, 더 빠른 팽창 시간을 위해 푸시 밸브(124)에 걸친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유체 저항을 감소시켜 팽창시키는 펌프 벌브 압착력을 덜 필요로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06)는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06)는,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에 대한 압력이 너무 커지면 팽창 모드 동안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에 대한 압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은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펌프 조립체(106) 내의 적절한 위치로부터 제거되거나 달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은 밸브 본체(110)에 의해 획정된 슬롯 또는 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은 밸브 부재(140)에 의해 획정된 홈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은 2차 밸브 또는 2차 밸브 또는 2차 밸브 부재를 갖는 밸브 부재(140)를 포함한다.
펌프 벌브(108)는 공동을 획정하는 가요성 부재일 수 있다. 펌프 벌브(108)는 밸브 본체(110)에 결합되고 밸브 본체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펌프 벌브(108)는 제1 유체 포트(114) 및 제2 유체 포트(115)가 밸브 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쪽 방향으로 밸브 본체(110)로부터 연장된다(예를 들어, 밸브 본체(110)의 대향 단부에 위치됨). 펌프 벌브(108)는 압착 펌프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펌프 벌브(108)는 사용자가 펌프 벌브(108)를 파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리브 또는 딤플을 포함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벌브(108)는 팽창 모드에서 펌프 벌브(108)의 공동 내부 및 외부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흡입 및 압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유체를 공동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펌프 벌브(108)를 누르거나 압착할 수 있으며, 가요성 부재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 결과적인 흡입은 유체를 펌프 벌브(108)의 공동 내로 푸시한다. 일부 예에서, 펌프 벌브(108)는 선택된 시간 프레임에서 펌프 벌브(108)를 재충전하도록 설계된 벌브 스프링율을 가질 수 있다.
밸브 본체(110)는 밸브 본체(110)를 통한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를 획정한다. 밸브 본체(110)는 팽창 모드 및 수축 모드에서 밸브 본체(110)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밸브 본체(110)는 유체 통로를 획정하고 밸브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재료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밸브 본체(110)는 실리콘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밸브 본체(110)는 중간 듀로미터 값을 갖는 실리콘 재료로 몰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펌프 조립체(106)는 밸브 본체(110) 위에 배치된 외부 보호 케이싱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외부 보호 케이싱은 밸브 본체(110)와 상이한 재료(예를 들어, 폴리머 재료)를 갖는다. 일부 예에서, 외부 보호 케이싱은 (푸시 밸브(124)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밸브 본체(110)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촉각 피처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촉각 피처는 돌출된 부분, 융기부, 홈, 범프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110)는 리필 밸브(120) 및 팽창 밸브(12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밸브 본체(110)는 자동 팽창 방지 밸브를 포함한다. 리필 밸브(120)는 펌프 벌브(108)가 재충전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리필 밸브(120)는 수축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일방향 밸브이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제1 유체 포트(114)와 펌프 벌브(108) 사이에서 밸브 본체(110) 내의 유체 통로에 배치된다. 일부 예에서, 제1 유체 포트(114)와 펌프 벌브(108)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필 밸브(120)를 갖는 유체 통로는 펌프 벌브(108)(예를 들어, 분리된 유체 경로)를 재충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는 벌브 재충전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압착 사이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킴).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보어(푸시 밸브(124)가 내부에서 이동함) 및 펌프 벌브(108)에 유체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제1 유체 포트(114)와 정렬된다. 예를 들어, 리필 밸브(120)는 입구 및 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유체는 제1 유체 포트(114)로부터 입구로 진입하고 출구를 빠져나가 펌프 벌브(108)를 향한다. 제1 유체 포트(114)는 리필 밸브(120)의 유체 경로(예를 들어, 입구와 출구 사이)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119)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길이방향 축(119)은 축(121)에 직교한다. 제1 유체 포트(114)와 리필 밸브(120)의 정렬은 유체 경로 비틀림을 최소화하고 및/또는 리필 밸브(120)에 걸친 압력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홈이 있는 플로팅 체크 볼(리필 밸브(120)에 걸친 유체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최대화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리필 밸브(120)를 밀봉 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편향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리필 밸브(120)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팽창 밸브(122)는 펌프 벌브(108)와 푸시 밸브(124) 사이의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 밸브(122)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의 팽창 동안(예를 들어, 유체가 펌프 벌브(108)로부터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 전달될 때) 사용될 수 있다. 팽창 밸브(122)는 수축 모드 동안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팽창 밸브(122)는 일방향 밸브이다. 일부 예에서, 팽창 밸브(122)는 체크 볼 및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편향 부재는 체크 볼을 밀봉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편향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팽창 위치에서(그리고 사용자가 펌프 벌브(108)를 작동할 때), 유체는 제1 유체 포트(114)로부터(유체 저장조(102)로부터) 리필 밸브(120)를 통해 펌프 벌브(108)로, 그리고 펌프 벌브(108)로부터 팽창 밸브(122) 및 푸시 밸브(124)를 통해 제2 유체 포트(115)로(그리고 나서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 유동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가 수축 위치로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밸브 본체(110)의 보어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의 위치는 밸브 본체(110)의 유체 통로를 개방하여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부터 유체를 펌프 벌브(108)를 우회하는 유체 저장조(10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140)는, 수축 위치로 이동될 때, 펌프 벌브(108)가 우회되도록 보어를 통한 유체 통로를 변경하여 제2 유체 포트(115)로부터 제1 유체 포트(114)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팽창 가능한 부재(104) 내부의 압력으로 인해, 유체의 일부가 펌프 조립체(106)를 통해 팽창 가능한 부재(104)로부터 유체 저장조(102)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고, 그 다음 사용자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를 압착하여 팽창 가능한 부재(104)에 남아 있는 유체의 일부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도관 커넥터(103) 및 제2 도관 커넥터(105) 각각은 펌프 조립체(106)로 그리고 펌프 조립체로부터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루멘을 획정할 수 있다. 제1 도관 커넥터(103)는 유체가 제1 도관 커넥터(103)를 통해 펌프 조립체(106)와 유체 저장조(102)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도록 펌프 조립체(106) 및 유체 저장조(10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관 커넥터(103)는 펌프 조립체(106)와 유체 저장조(102)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루멘을 획정할 수 있다. 제1 도관 커넥터(103)는 펌프 조립체(106)와 유체 저장조(102)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단일 또는 다중 튜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관 커넥터(105)는 유체가 제2 도관 커넥터(105)를 통해 펌프 조립체(106)와 팽창 가능한 부재(104)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도록 펌프 조립체(106) 및 팽창 가능한 부재(10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관 커넥터(105)는 펌프 조립체(106)와 팽창 가능한 부재(104)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루멘을 획정할 수 있다. 제2 도관 커넥터(105)는 펌프 조립체(106)와 팽창 가능한 부재(104)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단일 또는 다중 튜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도관 커넥터(103) 및 제2 도관 커넥터(105)는 실리콘 고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펌프 조립체(106)는 유체 저장조(10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부재(104)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의 공동 내로 유체의 주입 시에 팽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가능한 부재(104) 내로 유체의 주입 시에, 팽창 가능한 부재(104)는 그 길이 및/또는 폭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팽창 가능한 부재(104)는 한 쌍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 또는 적어도 2개의 실린더, 예를 들어, 제1 실린더 부재 및 제2 실린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부재(104)의 체적 용량은 팽창 가능한 실린더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실린더의 유체 체적은 더 작은 실린더에서의 약 10 밀리리터로부터 더 큰 크기에서의 약 50 밀리리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실린더 부재는 제2 실린더 부재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실린더 부재는 제2 실린더 부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체 저장조(102)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를 팽창시키는 데 사용되는 유체를 보유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챔버를 갖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저장조(102)의 체적 용량은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저장조(102)의 체적 용량은 3 내지 150 입방 센티미터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저장조(102)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유체 저장조(102)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와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저장조(102)는 팽창 가능한 부재(104)보다 더 큰 체적의 유체를 수용한다.
도 2는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206)를 갖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200)을 예시한다. 펌프 조립체(206)는 이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펌프 조립체(푸시 밸브를 포함함)의 임의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경 보형물(200)은 한 쌍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는 음경에 이식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 중 하나는 음경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는 음경의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는 제1 단부 부분(224), 공동 또는 팽창 챔버(222), 및 후방 팁(232)을 갖는 제2 단부 부분(228)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206)는 환자의 음낭에 이식될 수 있다. 한 쌍의 도관 커넥터(205)는 펌프 조립체(206)가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와 유체 연통하도록 펌프 조립체(206)를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조립체(206)는 도관 커넥터(203)를 통해 유체 저장조(202)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유체 저장조(202)는 사용자의 복부에 이식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의 팽창 챔버 또는 부분(222)은 음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의 제1 단부 부분(224)은 음경의 크라운 부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부 부분(228)은 환자의 치골 영역(PR)에 이식될 수 있고 후방 팁(232)은 치골(PB)에 근접한다.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를 이식하기 위해, 외과의는 먼저 환자를 준비시킨다. 외과의는 음낭 영역, 예를 들어 음경의 베이스가 음낭의 상단과 만나는 곳에서 절개를 행하는 경우가 많다. 음낭 절개부로부터, 외과의는 환자의 해면체를 팽창시켜 환자가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를 수용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해면체는 음경 본체의 등 부분을 형성하는 발기 조직의 2개의 평행한 기둥 중 하나, 예를 들어 음경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2개의 가느다란 기둥 중 하나이다. 외과의는 또한 치골 영역의 2개의 영역을 팽창시켜 환자가 제2 단부 부분(228)을 수용하도록 준비한다. 외과의는 이식할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의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절개부 및 치골 영역의 팽창된 영역으로부터 해면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환자가 준비된 후, 음경 보형물(200)이 환자에게 이식된다. 각각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의 제1 단부 부분(824)의 팁은 봉합사에 부착될 수 있다. 봉합사의 다른 단부는 바늘 부재(예를 들어, 케이스 바늘(Keith needle))에 부착될 수 있다. 바늘 부재가 절개부 및 확장된 해면체에 삽입된다. 그 후, 바늘 부재가 음경의 크라운을 통해 강제된다. 외과의는 봉합사를 잡아당겨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를 해면체 내로 끌어당긴다. 이는 쌍의 각각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에 대해 수행된다. 팽창 챔버(222)가 제자리에 있으면, 외과의는 팁으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외과의는 제2 단부 부분(228)을 삽입한다. 외과의는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의 후방 단부를 절개부로 삽입하고 각각의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가 제자리에 있을 때까지 제2 단부 부분(228)을 치골(PB)을 향해 강제한다.
펌프 조립체(206)의 펌프 벌브(208)는 유체 저장조(202)로부터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로의 유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거나 눌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모드에서, 사용자가 펌프 벌브(208)를 작동하는 동안, 펌프 벌브(208)는 유체 저장조(802)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고, 그 다음 유체를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축 모드로 전환할 때, 유체의 적어도 일부는 자동으로 유체 저장조(202)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로부터 유체 저장조(202)까지의 차압으로 인해). 그 다음, 사용자는 펌프 벌브(208)를 통해 유체 저장조(202)로의 유체의 추가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팽창 가능한 실린더(210)를 압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펌프 조립체(206)를 예시한다.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는 밸브 본체(270) 내에 배치되고 밸브 본체(270)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조립체(206)는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밸브 조립체(206)는,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에 대한 압력이 너무 커지면 팽창 모드 동안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에 대한 압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경감 메커니즘은 밸브 부재 또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가 펌프 조립체(206) 내의 적절한 위치로부터 제거되거나 달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70)는 밀봉 표면(272)을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밀봉 표면(272)은 유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와 접촉하거나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가 팽창 위치에 있을 때(그리고 펌프 조립체(206)가 팽창 모드에 있을 때) 밀봉 표면(272)과 접촉하거나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70)는 슬롯, 홈 또는 통로(274)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70)는 3개의 슬롯, 홈 또는 통로(27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70)는 상이한 수의 슬롯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270)는 단일 슬롯 또는 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는 하나보다 많은 슬롯 또는 홈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는 삼각형 형상의 슬롯 또는 홈을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 또는 홈은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표면(272)은 슬롯(274)과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 사이에 위치되거나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가 과도한 양의 압력에 노출되면, 화살표(F) 방향으로 강제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이 발생함에 따라,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는 밀봉 표면을 지나 이동할 것이고 압력은 슬롯(274)을 통해 경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에 인접한 유체는 슬롯(274)을 통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를 통과함으로써 압력을 경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감소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가 밸브 본체(270) 내의 부정확한 위치로 강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달리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는 밸브 본체(270)의 밀봉 표면(27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242)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는 편향 부재(250)를 수용하거나 맞물리도록 구성된 홈(244)을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250)는 스프링 부재이고 밸브 본체(270)의 밀봉 표면(272)을 향해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240)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은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306)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7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370)에 의해 획정된 슬롯 또는 홈(372)은 선형이거나 선형으로 연장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406)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440)는 밸브 본체(470)의 밀봉 표면(472)과 맞물리거나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442)을 포함한다.
표면(442)은 돌출부(445)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445)는 링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445)는 링을 형성하지 않고 표면(442)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표면(472)은 돌출부(445)와 맞물리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 만입부 또는 수용 부분(475)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445)와 수용 부분(475)의 맞물림은 밸브 구성요소의 밀봉을 용이하게 하고 유체가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440)에 대한 많은 양의 압력의 경우에 슬롯 또는 홈(474)에 도달하게 한다.
도 12는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506)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540)는 루멘(541)을 획정한다. 밸브 또는 2차 밸브(560)는 루멘 내에 배치된다. 2차 밸브(560)는 펌프 조립체(506)의 영역(A)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540)에 대한 압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606)의 일부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640)는 밸브 본체(670)의 밀봉 표면(67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642)을 포함한다. 접촉 표면(642)은 절결부 또는 리세스(643)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절결부 또는 리세스(643)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640)가 과도한 압력에 노출될 때 유체가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640)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642)은 3개의 절결부 또는 리세스(643)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은 1개, 2개 또는 3개 초과와 같은 상이한 수의 절결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706)의 일부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740)는 밸브 본체(770)의 밀봉 표면(77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742)을 포함한다. 접촉 표면(742)은 절결부 또는 리세스(743)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절결부 또는 리세스(743)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740)가 과도한 압력에 노출될 때 유체가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740)를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742)은 3개의 절결부 또는 리세스(743)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은 1개, 2개 또는 3개 초과와 같은 상이한 수의 절결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표면(742)은 또한 돌출부 또는 돌출 부분(747)을 포함하거나 획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 부분(747)은 밸브 본체(770)의 밀봉 표면(772)과 맞물려 절결부 또는 리세스(743)의 압력 경감 기능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8은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806)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870)는 2차 밸브(880)를 포함한다. 2차 밸브(880)는,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840)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밸브(880)가 압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되도록 배치된다.
도 19는 일 양태에 따른 펌프 조립체(906)를 예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940)는 루멘(941)을 획정한다. 밸브 또는 2차 밸브(960)는 루멘 내에 배치된다. 2차 밸브(960)는 펌프 조립체(906)의 영역(B)에 과도한 압력이 있을 때 이동 가능한 밸브 요소(940)에 대한 압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2차 밸브(960)는 볼 또는 구체(961) 및 편향 부재(963)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2차 밸브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설명된 구현의 특정한 특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되었지만, 이제 많은 수정, 대체, 변경 및 균등물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5)

  1.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이며,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 표면은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 제1항에 있어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슬롯을 포함하며, 밀봉 표면은 제2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세장형 부분 및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맞물림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롯은 삼각형 형상인,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롯은 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밀봉 표면을 향해 밸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밸브와 맞물리고 밸브를 밀봉 표면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의 표면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는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동을 획정하며, 밸브 공동은 밸브 본체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5.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는 편향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6.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이며,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7. 제16항에 있어서, 밀봉 표면은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슬롯은 제1 슬롯이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슬롯을 포함하며, 밀봉 표면은 제2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0. 제16항에 있어서, 밸브는 세장형 부분 및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맞물림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1. 제16항에 있어서, 슬롯은 삼각형 형상인,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2. 제16항에 있어서, 슬롯은 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3. 제16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밀봉 표면을 향해 밸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4. 제16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밸브와 맞물리고 밸브를 밀봉 표면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5. 제16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6. 제16항에 있어서, 밸브는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의 표면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7. 제16항에 있어서, 밸브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돌출 부분은 밸브 본체의 밀봉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8. 제16항에 있어서, 밸브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는 제2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29. 제16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동을 획정하며, 밸브 공동은 밸브 본체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0. 제16항에 있어서, 밸브는 편향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1.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이며,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 및
    압력 경감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동을 획정하며, 압력 경감 밸브는 공동 내에 배치되고 공동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2. 제31항에 있어서, 밸브는 편향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3. 제31항에 있어서, 밸브는 스프링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획정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4.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이며,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유체 저장조;
    팽창 가능한 부재; 및
    유체 저장조와 팽창 가능한 부재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펌프 조립체로서, 펌프 조립체는 펌프 벌브, 밸브 본체, 밸브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유체 저장조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유체 포트, 및 팽창 가능한 부재에 유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포트를 포함하고, 밸브는 팽창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밸브와 맞물려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슬롯을 포함하며, 밸브 본체는 밀봉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슬롯을 포함하고, 밀봉 표면은 제1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며, 밀봉 표면은 제2 슬롯과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35. 제34항에 있어서, 펌프 조립체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편향 부재는 밀봉 표면을 향해 밸브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팽창 가능한 음경 보형물.
KR1020227025753A 2020-01-29 2020-12-09 음경 보형물용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갖는 펌프 조립체 KR20220121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7317P 2020-01-29 2020-01-29
US62/967,317 2020-01-29
US17/247,340 2020-12-08
US17/247,340 US20210228359A1 (en) 2020-01-29 2020-12-08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 penile prosthesis
PCT/US2020/070889 WO2021154452A1 (en) 2020-01-29 2020-12-09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 penile prosthe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853A true KR20220121853A (ko) 2022-09-01

Family

ID=7696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753A KR20220121853A (ko) 2020-01-29 2020-12-09 음경 보형물용 압력 경감 메커니즘을 갖는 펌프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28359A1 (ko)
EP (1) EP4096582A1 (ko)
KR (1) KR20220121853A (ko)
CN (1) CN114945345A (ko)
AU (2) AU2020426682B2 (ko)
CA (1) CA3156747A1 (ko)
WO (1) WO20211544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379A (en) * 1980-05-15 1982-12-21 Finney Roy P Penile erectile system
US4898158A (en) * 1987-05-15 1990-02-06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enile implant with improved pressure relief valve
WO2006066199A1 (en) * 2004-12-17 2006-06-22 Ams Research Corporation Implantable penile prosthesis pump
BRPI0620043A2 (pt) * 2005-12-19 2011-10-25 Coloplast As bomba para uma prótese peniana inflável
US11285006B2 (en) * 2018-04-09 2022-03-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valves for increasing flow efficiency
US11547566B2 (en) * 2019-08-06 2023-01-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guides in valve of pu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4202355A1 (en) 2024-05-02
CA3156747A1 (en) 2021-08-05
CN114945345A (zh) 2022-08-26
US20210228359A1 (en) 2021-07-29
WO2021154452A1 (en) 2021-08-05
EP4096582A1 (en) 2022-12-07
AU2020426682A1 (en) 2022-04-21
AU2020426682B2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88756B2 (en) Pump assembly having a push valve for a penile prosthesis and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CN109561965B (zh) 具有可逆流动泵的可胀大阴茎假体
US20240091012A1 (en) Pump assembly for a penile prosthesis
AU2020426682B2 (en)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ief mechanism for a penile prosthesis
US20230116352A1 (en) Bi-directional valve pump
CN111954505B (zh) 具有用于提高流动效率的阀的可膨胀阴茎假体
AU2019380408B9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and pump assembly for a penile prosthesis having an outer protective casing
US20220117739A1 (en) Pump assembly for a penile prosthesis
CN111954505A (zh) 具有用于提高流动效率的阀的可膨胀阴茎假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