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662A - Game program - Google Patents

Game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662A
KR20220121662A KR1020210081614A KR20210081614A KR20220121662A KR 20220121662 A KR20220121662 A KR 20220121662A KR 1020210081614 A KR1020210081614 A KR 1020210081614A KR 20210081614 A KR20210081614 A KR 20210081614A KR 20220121662 A KR20220121662 A KR 2022012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ame
digital
screen
gam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뎃뻬이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뎃뻬이 하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뎃뻬이 하라다 filed Critical 뎃뻬이 하라다
Publication of KR2022012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2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payment purposes, e.g. monthly subscrip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8Mini-games executed independently while main games are being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5Incentive, loyalty and/or promotion schemes, e.g. comps, gaming associated with a purchase, gaming funded by advertis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 A63F2250/142Coin operated with pay-out or rewarding with a priz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Execution of a digital game suppresses a degradation of user's satisfaction. A game program providing the digital game that a user plays executes, on a computer: a virtual product provision process of providing a virtual product, which appears in the digital game, to the user in the digital game when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 right provision process of proving a materialization right, which allows the user to obtain a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virtual product in reality, to the user when a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materializa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according to an amount of the obtained materialization right.

Description

게임 프로그램 {GAME PROGRAM}game program {GAME PROGRAM}

본 발명은 게임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program.

근년, 여러 운영 회사로부터,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표시 화면 상에서 실행되는 게임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통신 기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게임은, 예를 들어 컴퓨터 게임이나 디지털 게임이라고 불린다.In recent years, games executed on a digital display screen have been provided from various operating compani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game provided through the digita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way is called, for example, a computer game or a digital game.

유저는,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에 있어서의 가상 공간(가상 세계)에 있어서, 미니 게임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캐릭터,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또는 포인트 등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후 미니 게임이란, 디지털 게임 내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나타낸다.In a virtual space (virtual world) in a digital game, for example, a user may acquire a specific character, an item usable in a game, or a point, etc. by executing a mini-game. Hereinafter, the mini-game refers to a game executed in a digital game.

유저는, 디지털 게임에 있어서, 미니 게임을 행함으로써 일정의 만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캐릭터, 아이템 및 포인트 등, 디지털 게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것을 수집함으로써 일정의 만족을 얻는 경우도 있다.A user can obtain a certain level of satisfaction by playing a mini-game in a digital game. In addition, the user may obtain certain satisfaction by collecting various things in the digital game, such as characters, items, and points.

이하, 디지털 게임의 만족도에 관한 발명은,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invention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a digital game is disclosed by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21-02007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21-020074

그러나, 유저는,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을 개시하고 나서 상당 기간이 경과하거나, 수집 가능한 물품을 상한 가까이까지 수집해 버리거나 한 경우, 단순히 미니 게임을 행하거나 물품을 수집하는 것만으로는 만족을 얻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for example, when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starting the digital game or the collectable items have been collected close to the upper limit, the user cannot obtain satisfaction simply by playing the mini-game or collecting items. there may be cases

그래서, 일 개시는, 디지털 게임의 실행에 있어서, 유저의 만족도 저하를 억제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Therefore, one disclosure provides a game program that suppresses a decrease in user satisfaction in the execution of a digital game.

유저가 실행하는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프로그램이며, 제1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 등장하는 가상 물품을,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가상 물품 제공 처리와, 제2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제공한 상기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물품을, 상기 유저가 현실에서 취득할 수 있는 실체화 권리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권리 제공 처리와, 상기 취득한 실체화 권리의 양에 따라, 상기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물품을 취득하는 실체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A game program for providing a digital game to be executed by a user, the process comprising: providing virtual goods appearing in the digital game to the user in the digital game when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the right provision process of providing the user with the realization right that the user can acquire in real life the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virtual product, and the amount of the acquired materialization right, The computer is made to execute a materializa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real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rticle.

디지털 게임의 실행에 있어서, 유저의 만족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game, a decrease in user satisfaction can be suppressed.

도 1은,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리얼라이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게임 서버(2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지털 게임의 유저 디바이스(100) 상의 화면 천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게임 내 통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캐릭터를 취득한 화면(D1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리얼라이즈의 대상으로 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화면(D1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리얼라이즈권을 취득하는 화면(D13) 및 화면(D14)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리얼라이즈 처리에 관한 화면(D15) 및 화면(D16)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igital game system 10 .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aliza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me server 200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transition on the user device 100 of a digital game.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game currency.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creen D11 in which the character is acquir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12 that displays a character to be realized.
Fig. 8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a screen D13 and a screen D14 for acquiring a realization right.
9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a screen D15 and a screen D16 related to the realization proces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digital game system 10>

도 1은,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은, 유저 디바이스(100-1, 100-2)(이후, 유저 디바이스(100)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게임 서버(200), EC(Electronic Commerce) 서버(300), 과금 서버(400) 및 네트워크(500)를 갖는다. 유저 디바이스(100), 게임 서버(200), EC 서버(300) 및 과금 서버(400)는, 서로 네트워크(500)(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하여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igital game system 10 . The digital game system 10 includes user devices 100-1 and 1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device 100 in some cases), a game server 200, an EC (Electronic Commerce) server 300, It has a billing server 400 and a network 500 . The user device 100 , the game server 200 , the EC server 300 , and the billing server 4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via the network 500 (eg, the Internet).

유저 디바이스(100)는, 게임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게임을 실행하고, 디지털 게임을 화면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태블릿 단말기이다. 유저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조작하여,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액세스하거나, 혹은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함으로써, 디지털 게임을 실행한다.The user device 100 is a device that executes a digital game provided by the game server 200 and displays the digital game on a screen, for example, a computer or a tablet terminal. The user operates the user device 100 and executes the digital game by, for example, access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hat provides the digital game or executing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digital game.

게임 서버(200)는,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서버 머신이다. 게임 서버(2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디지털 게임(또는 디지털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사이트(예를 들어, Google Play, App store 등)를 운영하는 기업(예를 들어, Google, Apple 등)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게임 서버(200)는, 예를 들어 게임 제작 회사나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권리를 소유하는 기업 등에 의해 설치되어도 된다.The game server 20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s a digital game, for example, a computer or a server machine. The game server 200 is, for example, a company (eg, Google, installed by Apple, etc.). In addition, the game server 20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by a game production company, a company which owns the right to provide a digital game, etc. FIG.

EC 서버(300)는, 제공하는 디지털 게임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서버 머신이다. EC 서버(300)는, 예를 들어 유저가 디지털 게임을 실행한 기록(세이브 데이터)을 기억(관리)하거나, 디지털 게임의 메인터넌스(버전 업, 문제의 수정 등)를 행하거나 한다. 또한, EC 서버(300)는, 디지털 게임의 실행 그 자체를 행해도 된다. EC 서버(300)는,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의 운영 회사에 의해 설치된다.The EC server 30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processing related to the provided digital game, and is, for example, a computer or a server machine. The EC server 300 stores (manages) a record (save data) of a user playing a digital game, and performs maintenance (version upgrade, problem correction, etc.) of the digital gam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EC server 300 may perform execution itself of a digital game. The EC server 300 is installed, for example, by an operating company of a digital game.

과금 서버(400)는, 유저에 대하여 과금을 행하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서버 머신이다. 과금 서버(400)는, 예를 들어 유저가 디지털 게임을 구입할 때, 혹은 유저가 디지털 게임 내에서 과금 처리를 행할 때, 유저의 과금을 관리한다. 과금 서버(400)는, 예를 들어 유저의 과금이 신용 카드에 의한 것인 경우, 당해 신용 카드 회사와 통신을 행하여, 당해 신용 카드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 등을 확인한다. 또한, 과금 서버(400)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과금이, 게임 서버(200) 내에서의 상한, 혹은 EC 서버(300) 내에서의 상한에 도달하지 않았는지 등을 확인한다. 즉, 과금 서버(400)는, 유저의 디지털 게임에 관한 과금을 감시하고, 과금의 허가, 불허가를 결정한다.The charging server 40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harges a user, and is, for example, a computer or a server machine. The billing server 400 manages the user's bill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purchases a digital game or when the user performs billing processing within the digital game. The billing server 400, for example, when the user's billing is by a credit card, communicates with the credit card company and confirms whether the credit card is usable or not. In addition, the charging server 400 confirms,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charging by the user has reached the upper limit in the game server 200 or the upper limit in the EC server 300 . That is, the billing server 400 monitors the user's billing related to the digital gam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ermit the billing.

또한, 게임 서버(200), EC 서버(300) 및 과금 서버(400)는, 각각 다른 장치여도 되고, 동일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게임 서버(200), EC 서버(300) 및 과금 서버(400)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면, 무선 네트워크나 로컬 네트워크와 접속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game server 200, the EC server 300, and the charging server 400 may be respectively different apparatuses, and the same apparatus may be sufficient as them. The game server 200 , the EC server 300 , and the billing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or a local network as long as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에 있어서, 유저는, 디지털 게임 상의 가상 공간(가상 세계)에서,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의 카드 등 가상 물품을 취득한다. 또한, 유저는, 취득한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현실 세계에서의 물품(실체)을 취득하는 권리를 디지털 게임 상에서 취득한다. 유저는, 이 권리를 사용하여, 현실 세계에 있어서 실체를 입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디지털 게임의 실행이 환기되며, 디지털 게임 실행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향상된다.In the digital game system 10, a user acquires, for example, a virtual article such as a card of a specific character in a virtual space (virtual world) on the digital game. In addition, the user acquires the right to acquire an article (substance) in the real world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virtual article on the digital game. A user can use this right to obtain an entity in the real world. Thereby, the user is reminded of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game,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xecution of the digital game is improved.

또한,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체란, 가상 물품에 관련된 물품이며, 예를 들어 카드, 메달, 스티커, 아크릴 제품, 금속 제품(캔 배지, 핀 배지, 메달 등), 관련된 인물(성우, 주제가를 부른 가수 등)의 라이브 등의 초대 티켓, 키홀더, 클리어파일, 포스터, 의류 관련품(타올, 손수건, 셔츠 등), 백 등의 물품을 포함한다. 가상 물품에 관련된 물품이란, 예를 들어 어떤 캐릭터가 인쇄된, 어떤 캐릭터에 형태를 본뜬(모형, 봉제 인형, 인형 등), 혹은 어떤 캐릭터의 이름이나 속성이 인쇄된 물품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ntity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tem is an item related to the virtual item, for example, cards, medals, stickers, acrylic products, metal products (can badges, pin badges, medals, etc.), related persons (voice actors, theme songs, etc.) It includes items such as invitation tickets for live performances of singers, etc., keychains, clear files, posters, clothing-related items (towels, handkerchiefs, shirts, etc.) and bags. The article related to the virtual article includes, for example, an article on which a certain character is printed, a form imitating a certain character (model, stuffed toy, doll, etc.), or an article on which the name or attribute of a certain character is printed.

또한,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체란, 가상 물품에 직접 관련되지 않는 물품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어떤 캐릭터가 가상 물품인 경우, 디지털 게임의 관련 물품, 다른 디지털 게임의 관련 물품 등, 어떤 캐릭터에 직접 관련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bstan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rticle may be an articl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virtual article, for example, when a character is a virtual article, a related article of a digital game, a related article of another digital game, etc. Including unrelated ones.

또한, 가상 물품과 실체는 각각 1대1로 대응해도 되고, 1대다나 다대1로 대응해도 된다. 어떻든, 유저는 디지털 게임 내에서 취득한 어떤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어떤 실체를 현실 세계에서 입수할 수는 있지만, 디지털 게임 내에서 취득하지 않은 다른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다른 실체를 현실 세계에서 입수할 수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유저는, 어떤 실체를 입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내에서, 실체에 대응하는 가상 물품을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irtual article and the real object may correspond one-to-one, respectively, and may correspond one-to-many or many-to-one. In any case, the user can obtain in the real world an entity corresponding to a virtual item acquired in the digital game, but cannot obtain in the real world another entity corresponding to another virtual item not acquired in the digital game. none. In other words, in order for the user to acquire a certain substance, it is necessary to acquire the virtual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substance in a digital game.

이후, 유저가 디지털 게임 상에서 취득한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체(실물품)를, 유저가 현실 세계에 있어서 입수하는 것을 리얼라이즈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what the user acquires in the real world the substance (real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rticle acquired on the digital game by a user may be called realization.

<디지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얼라이즈에 대하여><About realization in a digital game system>

이하, 리얼라이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리얼라이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Hereinafter, realiza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alization.

유저 U1은 현실 세계의 유저이다. 유저 U1은,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의 가상 공간(G1)에 로그인함으로써, 가상 공간 상의 유저 U2를 디지털 게임 내에 등장시킨다. 가상 공간(G1)은 디지털 게임 내의 가상 세계이다. 유저 U1이 디지털 게임을 실행함으로써 구축되는 공간이다. 운영 회사(C1)는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거나, 혹은 디지털 게임을 제작한 기업이다.User U1 is a user in the real world. The user U1 makes the user U2 on the virtual space appear in the digital game by logging into the virtual space G1 of the digital game, for example. The virtual space G1 is a virtual world in the digital game. It is a space built by user U1 playing a digital game. The operating company (C1) is a company that provides or produces digital games.

유저 U2는, 제1 조건을 클리어함으로써 캐릭터 A를 취득한다(S10). 캐릭터 A는, 예를 들어 캐릭터 A가 그려진 카드 등을 포함하는, 가상 물품의 일례이다.The user U2 acquires the character A by clearing the first condition (S10). The character A is an example of a virtual article including, for example, a card on which the character A is drawn.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 내에서 행하는 미니 게임에서의 승리나 소정 이상의 득점, 가챠의 실행이 포함된다. 가챠란, 디지털 게임에 있어서 실행되는 추첨이며, 추첨 결과로서 여러 가상 물품을 유저에게 제공한다.The first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victory in a mini-game performed within a digital gam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core, and execution of a gacha. Gacha is a lottery executed in a digital game, and various virtual goods are provided to users as a result of the lottery.

또한, 유저 U2는, 제2 조건을 클리어함으로써 리얼라이즈 권리를 취득한다(S11). 리얼라이즈 권리는 리얼라이즈를 실행하기 위한 권리이다. 리얼라이즈 권리는 개수나 양으로 표현되며, 유저는, 예를 들어 소정 개수나 소정량의 리얼라이즈 권리를 가지면, 취득한 가상 물품의 리얼라이즈를 행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U2 acquires the realization right by clearing the second condition (S11). The realization right is the right to execute the realization. The realization right is expressed by the number or quantity, and if the user has a predetermined number or a predetermined amount of realization rights, for example, the acquired virtual article can be realized.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소정량의 과금을 행하는 것이나, 운영 회사(C1)로부터의 제공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저 U2는, 과금하는 것에 부수되어, 과금량에 따른 양(개수)의 리얼라이즈 권리를 취득할 수 있다.The second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charging of a predetermined amount, provision from the operating company C1,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 U2 can acquire an amount (number) of realization rights accompanying the billing amount.

유저 U2는, 가상 공간(G1)에 있어서,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한다(S12). 리얼라이즈 수속(S12)은, 유저 U2가 실물을 입수하고 싶은 가상 물품을 선택하는 처리이다. 유저 U2는, 예를 들어 소유하는 리얼라이즈 권리를 소정량 소비하여, 입수하고 싶은 캐릭터 A를 선택한다.The user U2 performs a realization procedure in the virtual space G1 (S12). The realization procedure S12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U2 selects a virtual article from which to obtain the real thing. The user U2 selects a character A that he wants to acquire by, for example, spen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realization right he owns.

유저 U2가 리얼라이즈 수속(S12)을 행하면, 운영 회사(C1)에 리얼라이즈 통지가 송신된다(S13). 리얼라이즈 통지는, 유저가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이며, 예를 들어 유저가 선택한 가상 물품을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리얼라이즈 통지에는 캐릭터 A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리얼라이즈 통지에는 유저 U1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유저 U1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 U1의 식별자, 주소 등의 개인 정보, 디지털 게임 내에서의 위치 부여(지위, 랭크 등) 등을 포함한다.When the user U2 performs the realization procedure (S12), a realization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company C1 (S13). The realization notification is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realization procedure, and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virtual article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realization notific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character A. In addition, the realization notification also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U1.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U1 includes,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and an address of the user U1, position assignment (status, rank, etc.) in the digital game.

운영 회사(C1)는, 리얼라이즈 통지를 수신하면(S13), 리얼라이즈 통지에 포함되는 가상 물품(이 경우에는 캐릭터 A)에 대응하는 실체(예를 들어, 캐릭터 A의 카드)를 준비하고(S14), 준비한 실태를 유저 U1에 우송한다(S15). 또한, 우송(S15)은 유저 U1에 실체가 도착하면 되며, 특별히 우송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 U1은 우송(S15)에 의해 실체를 입수한다.Upon receiving the realization notification (S13), the operating company C1 prepares an entity (eg, character A's card)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rticle (in this case, character A) included in the realization notification (S13) S14), and the prepared actual condition is mailed to the user U1 (S15). In addition, the mail (S15) only needs to have an entity arriving at the user U1,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mail. User U1 obtains the substance by mail (S15).

이에 의해, 유저의 새로운 실체를 입수하고 싶다고 하는 욕구를 환기시켜, 유저의 디지털 게임 실행으로의 욕구로 이어진다.This arouses the user's desire to acquire a new substance, and leads to the user's desire to play the digital game.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 게임 시스템(10)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1과 마찬가지이다.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game system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 example, the same as that of FIG. 1 .

<게임 서버(200)의 하드웨어 구성예><Example of hardware configuration of game server 200>

도 3은, 게임 서버(2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게임 서버(200)는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서버 머신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game server 200 . The game server 20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digital game, for example, a computer or a server machine.

게임 서버(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0), 스토리지(220), 메모리(230) 및 통신 회로(250)를 갖는다.The game server 20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10 , a storage 220 , a memory 23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250 .

스토리지(22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보조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22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을 기억한다.The storage 220 i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at stores a program or data. The storage 220 stores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

메모리(230)는, 스토리지(2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영역이다. 또한, 메모리(230),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The memory 230 is an area for loading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220 . In addition, the memory 230 and the program are also used as an area for storing data.

통신 회로(250)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회로이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나 무선 통신 회로이다. 게임 서버(200)는, 통신 회로(250)를 통하여 과금 서버(400), 유저 디바이스(100), EC 서버(300) 등과 통신을 행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50 is a circuit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devices, for example, a network interface card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The game server 200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server 400 , the user device 100 , the EC server 300 , and the like via the communication circuit 250 .

CPU(210)는, 스토리지(2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230)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세서이다.The CPU 210 is a processor that loads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220 into the memory 230, executes the loaded program, and realizes each process.

CPU(21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을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게임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디지털 게임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에서 유저가 실행하는 게임이다. 유저는, 디지털 게임에 있어서, 캐릭터를 획득하거나, 미니 게임을 행하거나, 과금하거나, 리얼라이즈를 행하거나 한다.The CPU 210 provides a digital game to the user by executing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 A digital game is, for example, a game played by a user on a device. In a digital game, a user acquires a character, performs a mini-game, charges, and performs realization.

CPU(21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이 갖는 미니 게임 모듈(2211)을 실행함으로써, 미니 게임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미니 게임은, 디지털 게임 내에서 유저가 실행하는 게임이며, 예를 들어 승패가 붙는 대전형 게임,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시뮬레이션형 혹은 롤 플레잉형 게임, 및 퍼즐형 게임 등을 포함한다.The CPU 210 provides a mini game to the user by executing the mini game module 2211 included in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 A mini-game is a game executed by a user in a digital game, and includes, for example, a match-based game in which wins and losses are attached, a simulation-type or role-playing game in which a given task is solved, and a puzzle-type game, and the like.

CPU(21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이 갖는 과금 모듈(2212)을 실행함으로써, 과금 처리를 행한다. 과금 처리는, 유저가 과금을 행하여, 디지털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등을 구입하는 처리이다. 과금 처리는, 예를 들어 유저가 신용 카드 정보 등을 입력하고, 카드 결제를 사용하여 행해진다.The CPU 210 executes the charging module 2212 included in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to perform charging processing. The bill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performs billing and purchases an item or the like that can be used in the digital game. The billing process is performed, for example, by a user inputting credit card information or the like, and using card payment.

CPU(21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이 갖는 캐릭터 관리 모듈(2213)을 실행함으로써, 캐릭터 관리 처리를 행한다. 캐릭터 관리 처리는, 디지털 게임 상에서 캐릭터를 취득하는 처리나, 캐릭터의 관리(예를 들어, 일람의 표시, 캐릭터의 속성을 표시하는 등)를 행하는 처리이다.The CPU 210 performs character management processing by executing the character management module 2213 included in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 The character management process is a process for acquiring a character on a digital game or a process for managing a character (eg, displaying a list, displaying attributes of a character, etc.).

CPU(210)는,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221)이 갖는 리얼라이즈 모듈(2214)을 실행함으로써, 리얼라이즈 처리를 행한다. 리얼라이즈 처리는, 유저가 리얼라이즈를 행하는 처리이다. 리얼라이즈 처리는, 예를 들어 유저가 리얼라이즈하는 대상으로 되는 캐릭터를 선택하는 처리, 실물품의 송부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처리, 유저가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하였음을 운영 회사에 통지하는 처리를 포함한다.The CPU 210 executes the realization module 2214 included in the digital game program 221 to perform realization processing. The realiz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user performs realization. The realization process includes, for example, a process for the user to select a character to be realized, a process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of the real product, and a process for notifying the operating company that the user has performed a realization procedure includes

<디지털 게임의 화면 천이><Screen Transition of Digital Games>

디지털 게임의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디지털 게임의 화면 천이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디지털 게임의 유저 디바이스(100) 상의 화면 천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A digital game scree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utline of the screen transition of a digital game is demonstrat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transition on the user device 100 of a digital game.

로그인 화면(D1)은, 유저가 디지털 게임을 기동하였을 때 표시되며, 디지털 게임에 로그인하는 수속을 행하는 화면이다. 로그인 화면은, 예를 들어 로그인명(ID), 패스워드 등의 필요 내용의 입력 영역이 있다. 유저는, 로그인 화면(D1)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게임 서버(200)(또는 다른 인증용 서버)에서 로그인이 적정한지 여부를 인증한다. 로그인이 성공하면, 메인 화면(D2)으로 천이한다(S100).The login screen D1 is displayed when the user starts the digital game, and is a screen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logging in to the digital game. The login screen includes, for example, an input area for necessary contents such as a login name (ID) and a password. When the user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login screen D1 and presses the login button, the game server 200 (or other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es whether login is appropriate. If the login is successful, it transitions to the main screen D2 (S100).

메인 화면(D2)은, 디지털 게임의 여러 화면으로 천이할 수 있는 화면이다. 메인 화면(D2)은,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 가챠 화면(D3), 캐릭터 일람 화면(D4), 미니 게임 화면(D5), 과금 화면(D6)으로 천이한다(S101 내지 S104). 또한, 메인 화면(D2)은 가챠 화면(D3), 캐릭터 일람 화면(D4), 미니 게임 화면(D5), 과금 화면(D6)으로부터 천이한다(S101 내지 S104).The main screen D2 is a screen that can be transitioned to various screens of the digital game. The main screen D2 transitions to, for example, the gacha screen D3,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the mini-game screen D5, and the billing screen D6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101 to S104). Further, the main screen D2 transitions from the gacha screen D3,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the mini-game screen D5, and the billing screen D6 (S101 to S104).

유저는, 메인 화면(D2)에서 가챠 화면(D3)으로 천이하는 조작을 행하면, 가챠 화면(D3)으로 천이한다(S101). 가챠 화면(D3)은, 가챠를 실행하는 화면이다. 유저는, 가챠를 실행함으로써, 추첨 결과로서 여러 캐릭터(가상 물품)를 취득할 수 있다. 가챠가 종료, 혹은 유저가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하면, 다시 메인 화면(D2)으로 천이한다(S101).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for transitioning from the main screen D2 to the gacha screen D3, the user transitions to the gacha screen D3 (S101). The gacha screen D3 is a screen for executing the gacha. The user can acquire various characters (virtual goods) as a result of the lottery by executing the gacha. When the gacha ends or the user execute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main screen, the transition to the main screen D2 again (S101).

유저는, 메인 화면(D2)에서 미니 게임 화면(D5)으로 천이하는 조작을 행하면, 미니 게임 화면(D5)으로 천이한다(S103). 미니 게임 화면(D5)은, 미니 게임을 실행하는 화면이다. 미니 게임은, 컴퓨터 또는 다른 유저와 1대1로 대전하는, 예를 들어 장기나 오셀로 등의 대전 형식의 게임이다. 또한, 미니 게임은, 컴퓨터나 다른 유저와 1대다로 대전하는, 예를 들어 마작 등의 대전 형식의 게임이어도 된다. 또한, 미니 게임은, 유저가 제공되는 조건을 클리어하는 것에 도전하는, 예를 들어 하이 앤 로우, 퍼즐 게임 등의 유저 단독으로 실행하는 게임이어도 된다. 유저는, 미니 게임을 실시하고, 승리 조건을 충족함으로써, 예를 들어 캐릭터를 취득할 수 있다.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대전 게임에 있어서 승리하는(연속 수회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득점을 경쟁하는 게임에 있어서, 득점이 어떤 점수를 초과하는 것이다. 미니 게임이 종료, 혹은 유저가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하면, 다시 메인 화면(D2)으로 천이한다(S103).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for transitioning from the main screen D2 to the mini-game screen D5, the user transitions to the mini-game screen D5 (S103). The mini-game screen D5 is a screen for executing a mini-game. The mini-game is a match-type game in which a player competes against a computer or other users one-on-one, for example, such as shogi or ocelo. Further, the mini-game may be a match-type game, such as mahjong, in which a player competes against a computer or other users one-on-one. Further, the mini-game may be a game played by the user alone, such as a high-and-low or a puzzle game, in which the user challenges the user to clear the provided conditions. A user can acquire a character, for example by implementing a mini-game and meeting a victory condition. The win condition is, for example, winning (processing several times in a row) in a competitive game. In addition, the victory condition is, for example, in a game competing for points, that the number of points exceeds a certain number of points. When the mini-game ends or the user execute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main screen, the screen transitions back to the main screen D2 (S103).

유저는, 메인 화면(D2)에서 캐릭터 일람 화면(D4)으로 천이한다(S102). 캐릭터 일람 화면(D4)은, 유저가 취득한 캐릭터의 일람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캐릭터는, 예를 들어 캐릭터 카드로서 표시되어도 된다. 유저는, 캐릭터 일람 화면(D4)에서, 예를 들어 미니 게임에서 사용할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유저가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하면, 다시 메인 화면(D2)으로 천이한다(S102). 또한, 유저가 리얼라이즈를 행하는 조작을 행하면, 리얼라이즈 화면(D7)으로 천이한다(S105).The user makes a transition from the main screen D2 to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S102).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is a screen for displaying a list of characters acquired by the user. The character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a character card. The user can select a character to be used in, for example, a mini-game on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When the user execute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main screen, it again transitions to the main screen D2 (S102).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for realizing, a transition is made to the realization screen D7 (S105).

리얼라이즈 화면(D7)은, 유저가 리얼라이즈 수속을 실행하는 화면이다. 유저는, 예를 들어 리얼라이즈하고 싶은 캐릭터를 선택하고, 리얼라이즈권(리얼라이즈 권리)을 소비하여,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한다. 또한, 캐릭터의 선택은, 예를 들어 캐릭터 일람 화면(D4)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유저가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하면, 예를 들어 대응하는 운영 회사에 대하여 리얼라이즈 통지가 송신된다. 리얼라이즈 수속이 완료, 혹은 유저가 캐릭터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하면, 다시 캐릭터 일람 화면(D4)으로 천이한다(S105).The realization screen D7 is a screen on which the user executes a realization procedure. The user, for example, selects a character to be realized, consumes a realization right (realization right), and performs a realization procedure. In addition, selection of a character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on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When the user performs a realization procedure, for example, a realization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operating company. When the realization procedure is completed or the user execute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character list screen, the transition again to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S105).

유저는, 메인 화면(D2)에서, 과금 화면(D6)으로 천이하는 조작을 행하면, 과금 화면(D6)으로 천이한다(S104). 과금 화면(D6)은, 유저가 과금을 행하여(금전을 지불하여), 디지털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이나 게임 통화를 취득하는 화면이다. 과금은, 예를 들어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과금 처리가 종료, 혹은 유저가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하면, 다시 메인 화면(D2)으로 천이한다(S104).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for transitioning from the main screen D2 to the billing screen D6, it transitions to the billing screen D6 (S104). The billing screen D6 is a screen in which the user performs billing (by paying money) to obtain an item or game currency that can be used in the digital game. Billing is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credit card. When the billing process is finished or the user execute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main screen, the process transitions back to the main screen D2 (S104).

<게임 내 통화에 대하여><About in-game currency>

디지털 게임에서는,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화(체력을 포함함)인 게임 내 통화가 복수 존재한다. 도 5는, 게임 내 통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각각의 취득 방법 및 사용 용도의 예를 설명한다.In a digital game, there are a plurality of in-game currencies that can be used in the game (including stamina).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game currency. In FIG. 5, each acquisition method and an example of a use use are demonstrated.

게임 내 통화에는, 예를 들어 코인이 있다. 코인은,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의 취득에 사용된다. 아이템은, 예를 들어 미니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하기 위한 것이나, 스태미나를 회복(증가)하기 위한 것이 있다. 코인은, 과금에 의해(과금한 양에 따라) 취득(구입)할 수 있다. 또한, 코인은 운영 회사로부터 임의의 타이밍에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In-game currency is, for example, coins. Coins are used to acquire items used in the game. The items are, for example, for advantageously progressing the mini-game, or for recovering (increasing) stamina. Coins can be acquired (purchased) by billing (according to the amount charged).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coin is given at an arbitrary timing by the operating company.

게임 내 통화에는, 예를 들어 포인트가 있다. 포인트는 미니 게임의 실시나 가챠의 실시에 사용된다. 포인트는 미니 게임에서 승리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는 미니 게임에서 소정 조건(미니 게임의 실행 횟수, 승리수, 득점 등)을 충족함으로써 취득되어도 된다.In-game currency, for example, has points. Points are used to play mini-games and gachas. Points can be acquired by winning mini-games. In addition, points may be acquired by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number of mini-games executed, number of wins, points scored, etc.) in the mini-game.

게임 내 통화에는, 예를 들어 스태미나가 있다. 스태미나는 미니 게임의 실시에 사용된다. 스태미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여되거나, 스태미나가 회복되는 아이템의 사용에 의해 취득되거나 한다.In-game currency, for example, has stamina. Stamina is used to conduct mini-games. Stamina is granted over time, or acquired by using an item whose stamina is recovered.

게임 내 통화에는, 예를 들어 리얼라이즈권이 있다. 리얼라이즈권은 리얼라이즈 권리이며, 리얼라이즈의 실시에 사용된다. 리얼라이즈권은 과금한 양에 따라(혹은 코인의 구입량에 따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리얼라이즈권은 운영 회사로부터 임의의 타이밍에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리얼라이즈권은, 리얼라이즈를 행하면, 취득되는 실체에 따라 소비된다.In-game currency includes, for example, realization rights. The realization right is a realization right and i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alization. Realize rights can be acquired according to the amount charged (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ins purchased). In addition, the realization right may be granted at an arbitrary timing by the operating company. In addition, when realization is performed, the realization right is consumed according to the substance to be acquired.

<리얼라이즈에 대하여><About Realize>

이하, 구체적인 화면의 예를 사용하여, 리얼라이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aliz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of a specific screen.

도 6은, 캐릭터를 취득한 화면(D1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면(D11)은, 예를 들어 가챠 화면(D3) 또는 가챠 화면(D3)에 부수(관련)되는 서브 화면이다. 화면(D11)은, 가챠를 실행함으로써 획득한 캐릭터의 일람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화면(D11)은, 유저가 「캐릭터 A」(표시 부분(P11))를 취득한 것을 나타낸다. 유저는, 또한 가챠를 1회 실시하는 경우에는 버튼(P12)을, 가챠를 10회 연속 실행하는 경우에는 버튼(P13)을 누른다. 또한, 유저는, 가챠를 종료하는 경우, 버튼(P14)을 누른다. 버튼(P14)이 눌러지면, 메인 화면(D2)이나 가챠 화면(D3)의 초기(선두) 화면으로 천이한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creen D11 in which the character is acquired. The screen D11 is, for example, the gacha screen D3 or a sub screen attached to (related to) the gacha screen D3. The screen D11 is a screen that displays a list of characters obtained by performing the gacha. The screen D11 shows that the user has acquired "character A" (display portion P11). The user further presses the button P12 when the gacha is executed once, and the button P13 when the gacha is executed 10 times consecutively. Further,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14 when ending the gacha. When the button P14 is pressed, it transitions to the initial (head) screen of the main screen D2 or the gacha screen D3.

도 7은, 리얼라이즈의 대상으로 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화면(D1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면(D12)은, 예를 들어 캐릭터 일람 화면(D4) 또는 캐릭터 일람 화면(D4)에 부수되는 서브 화면이다. 화면(D12)은, 유저가 취득 완료한 캐릭터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하는 화면이다. 화면(D12)은, 유저가 적어도 9종류의 캐릭터를 취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화면(D12)은, 스크롤 바(P22)를 움직임으로써, 추가로 캐릭터가 표시된다. 유저는, 화면(D12)에 표시되어 있는 캐릭터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대응하는 실물품(예를 들어, 캐릭터가 인쇄된 캐릭터 카드)을 리얼라이즈(현실 세계에 있어서 취득)할 수 있다. 유저는,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는 버튼(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종료 버튼이나 OK 버튼)을 누름으로써, 메인 화면(D2)이나 캐릭터 일람 화면(D4)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한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12 that displays a character to be realized. The screen D12 is, for example, a character list screen D4 or a sub screen accompanying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The screen D12 is a screen that displays the characters acquired by the user in a list format. The screen D12 indicates that the user has acquired at least nine types of characters. On the screen D12, by moving the scroll bar P22, additional characters are displayed. The user can realize (acquire in the real world) a corresponding real product (for example, a character card on which the character is printed) for all or a part of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D12.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for transitioning to another screen (not shown, for example, an end button or an OK button), the user transitions to the initial screen of the main screen D2 or the character list screen D4.

도 8은, 리얼라이즈권을 취득하는 화면(D13) 및 화면(D14)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의 화면(D13)은, 예를 들어 코인을 구입하기 위한 과금 화면(D6) 또는 과금 화면(D6)에 부수되는 서브 화면이다. 화면(D13)은, 구입하고 싶은 코인의 양과, 구입에 드는 비용이 표시된다(표시 부분(P31)). 또한, 표시 부분(P31)에는, 유저가 코인을 구입함으로써 리얼라이즈권이 부여되는 것을 나타내며, 「+리얼라이즈권 1매」로서 표시된다. 리얼라이즈권은, 코인의 구입량이 증가하면, 취득할 수 있는 매수(양)가 증가한다. 유저는, 구입하는 코인의 매수에 대응하는 표시 부분을 선택하면, 화면(D14)으로 천이한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a screen D13 and a screen D14 for acquiring a realization right. A screen D13 of FIG. 8A is, for example, a billing screen D6 for purchasing coins or a sub screen accompanying the billing screen D6. On the screen D13, the amount of coins to be purchased and the cost for the purchase are displayed (display portion P31). In addition, the display portion P31 indicates that a realization ticket is provided when the user purchases a coin, and is displayed as "+1 realization ticket". The number of realization tickets that can be acquired increases as the amount of coins purchased increases. When the user selects a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ins to be purchased, the screen transitions to the screen D14.

도 8의 (B)의 화면(D14)은, 예를 들어 코인의 구입을 확인하는 과금 화면(D6) 또는 과금 화면(D6)에 부수되는 서브 화면이다. 화면(D14)은, 유저가 선택한 코인의 구입 내용이 표시된다(표시 부분(P41)). 표시 부분(P41)은, 유저가 선택한 코인의 구입량에 추가하여, 리얼라이즈권이 경품으로서 1매 부여되는 것을 나타내는 「리얼라이즈권(경품)」이 표시된다. 유저는, 구입을 행하는 경우, 버튼(P42)을 눌러 코인을 구입하고, 리얼라이즈권을 취득한다. 또한, 유저는, 구입을 캔슬하는 경우, 버튼(P43)을 눌러 과금 처리를 종료 또는 코인 구입의 재선택을 행한다.A screen D14 of FIG. 8B is, for example, a billing screen D6 for confirming purchase of a coin or a sub screen accompanying the billing screen D6. On the screen D14, the purchase details of the coin selec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display portion P41). In the display portion P41, in addition to the purchase amount of the coin selected by the user, a "realization ticket (premium)" indicating that one realization ticket is to be provided as a prize is displayed. When making a purchas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42 to purchase a coin and obtain a realization ticket. Further, when canceling the purchas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43 to end the billing process or to reselect the coin purchase.

도 9는, 리얼라이즈 처리에 관한 화면(D15) 및 화면(D16)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의 화면(D15)은, 예를 들어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하는 리얼라이즈 화면(D7) 또는 리얼라이즈 화면(D7)에 부수되는 서브 화면이다. 화면(D15)은, 리얼라이즈권의 잔여수(표시 부분(P52)) 및 리얼라이즈 가능한 캐릭터의 일람(표시 부분(P51))이 표시된다. 유저는, 리얼라이즈권의 잔여수의 범위 내에서, 리얼라이즈 가능한 캐릭터를 선택한다. 유저는, 예를 들어 「캐릭터 A」를 선택하고, 버튼(P53)을 누름으로써, 「캐릭터 A의 카드」의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한다. 버튼(P53)을 누르면, 화면(D16)으로 천이한다.9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a screen D15 and a screen D16 related to the realization process. A screen D15 in FIG. 9A is, for example, a realization screen D7 or a sub screen accompanying the realization screen D7 for performing a realization procedure. On the screen D15, the remaining number of realization tickets (display portion P52) and a list of realizable characters (display portion P51) are displayed. The user selects a character that can be realized within the range of the remaining number of realization tickets. The user, for example, selects "character A" and presses the button P53 to perform a realization procedure for "character A's card". When button P53 is pressed, it transitions to screen D16.

도 9의 (B)는, 예를 들어 실물품의 송부처의 주소를 입력하는 리얼라이즈 화면(D7) 또는 리얼라이즈 화면(D7)에 부수되는 서브 화면이다. 유저는, 예를 들어 자택 주소를 입력하고, 버튼(D61)을 누르면, 리얼라이즈 수속이 완료되고, 캐릭터 A에 대응하는 실물품(예를 들어, 캐릭터 A의 캐릭터 카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얼라이즈 통지가 운영 회사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운영 회사로부터 유저의 등록된 주소로 캐릭터 A의 캐릭터 카드가 송부(우송)되고, 리얼라이즈가 완료된다.Fig. 9B is a sub screen accompanying the realize screen D7 or the realize screen D7 for inputting, for example, the address of the destination of the real product. When the user inputs, for example, a home address and presses the button D61, the realization procedure is comple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A (eg, the character card of the character A) is included. A realization notice is sent to the operating company. Thereby, the character card of character A is sent (mailed) from the operating company to the registered address of the user, and realization is completed.

이와 같이, 유저는 가챠를 실행하고(제1 조건), 여러 캐릭터(가상 물품)를 디지털 게임 공간에 있어서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는, 취득한 캐릭터로부터 리얼라이즈할 캐릭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유저는, 리얼라이즈 처리를 행하여, 운영 회사로부터 선택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캐릭터 카드(실물품)를, 리얼라이즈권(리얼라이즈 권리)을 소비하여 현실 세계에 있어서 취득한다. 또한, 유저는, 코인을 구입하는(제2 조건) 것에 부수되어, 디지털 게임 공간에 있어서 리얼라이즈권을 취득한다.In this way, the user executes the gacha (the first condition) and acquires various characters (virtual goods) in the digital game space. Then, the user selects a character to be realized from the acquired characters. Then, the user performs a realization process and acquires a character card (real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operating company in the real world by consuming a realization ticket (realization right). In addition, the user acquires a realization right in the digital game space in addition to purchasing a coin (second condition).

<변형예><Modified example>

상술한 리얼라이즈권의 취득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리얼라이즈권은, 예를 들어 미니 게임의 실행 결과에 수반하여 취득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미니 게임의 실행 횟수나 승리 횟수 등에 따라 리얼라이즈권을 유저에 부여해도 된다. 또한, 리얼라이즈권은,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아이템 등, 코인 이외의 것의 구입에 부수되어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리얼라이즈권은, 예를 들어 상술한 포인트, 코인, 스태미나 등과 교환함으로써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유저는, 과금에 의해 리얼라이즈권을 취득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리얼라이즈권은, 운영 회사가 부정기적으로 유저에게 배포해도 된다.The above-described realization ticket acquisition method is merely an example. The realization right may be acquired along with the execution result of a mini gam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realization right may be give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ini-game is executed, the number of win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alization ticket may be granted in addition to the purchase of items other than coins, such as items used in the game. In addition, the realization right may be granted by exchanging the points, coins, stamina, etc. mentioned abov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user may acquire a realization right by charging. In addition, the realization right may be distributed to users on an irregular basis by the operating company.

또한, 가상 물품 및 실물품은 캐릭터에 관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물품이 디지털 게임의 캐릭터가 장비하는 장비품이어도 된다. 이 경우, 실물품은, 예를 들어 실제의 장비 가능한 장비품이어도 되고, 장비품을 축소한 장식물이어도 된다.Further, the virtual article and the real article are not limited to characters. For example, the virtual article may be an equipment equipped by a character of a digital game. In this case, the real product may be, for example, an actual equipment that can be equipped, or a decoration obtained by reducing the equipment.

상술한 화면 및 화면 천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캐릭터 일람 화면으로부터, 선택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실물품의 리얼라이즈 수속을 행하는 리얼라이즈 화면으로 천이해도 된다. 또한, 주소의 입력은, 예를 들어 사전에 주소 등을 등록한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The above-described screen and screen transition are merely examples. For example, you may transition from the character list screen to the realization screen which performs the realization procedure of the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In addition, the input of an address may be abbreviate|omitted, for example, when an address etc. are registered in advance.

또한, 유저는, 우송 대신에 실물품을 매장 등에서 교환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저는 우송된 교환권과 실물품을 매장에서 교환한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는, 실물품과의 교환이 인증된 화면을 스마트폰 상에 표시하고, 당해 화면을 점원에게 제시하여 실물품을 수취해도 된다.In addition, the user may exchange the real product in a store etc. instead of mail.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user exchanges the mailed voucher and the real product at the store. 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display the screen on which exchange with the real product is authenticated on a smartphone, and present the said screen to a clerk, and may receive the real product.

또한, 미니 게임은 디지털 게임 그 자체와 치환하여 생각해도 된다. 예를 들어, 미니 게임에 있어서의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디지털 게임이 롤 플레잉 게임인 경우, 유저가 가상 세계 내를 모험하여 특정 아이템을 취득(찾아냄, 적에게서 쟁취함 등)하거나, 유저가 경험치를 쌓아올림으로써 소정의 레벨(제1 레벨)에 도달하거나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ini-game may be considered as a substitute for the digital game itself. For example, the victory condition in the mini-game is,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game is a role-playing game, the user ventures in the virtual world to acquire a specific item (find out, win from the enemy, etc.), or the user This includes reaching a predetermined level (first level) by accumulating experience points.

또한, 미니 게임(디지털 게임 그 자체를 포함함)의 승리 조건으로서, 이하를 예로서 들 수 있다.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캐릭터(주인공)를 최대 레벨까지 육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보스 캐릭터를 쓰러뜨리는 것을 포함한다.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대전 게임에 있어서, 상대(컴퓨터, 다른 유저)를 쓰러뜨리는 것, 및 그 횟수가 소정수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스포츠 게임에 있어서, 우승하는 것을 포함한다.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퍼즐 게임이나 소리 게임(음성에 대응하여 유저가 소정 조작을 행하는 게임)에서, 어떤 소정 이상의 콤보 수(연속해서 성공하는 수)나 소정 이상의 득점을 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승리 조건은, 예를 들어 슈팅 게임(대전 상대는 다른 유저나 컴퓨터)에서, 대전 상대에 승리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a victory condition of a mini-game (including the digital game itself), the following can be mentioned as an example. The victory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cultivating a character (the main character) to a maximum level in a role-playing game. In addition, the victory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defeating the boss character in a role-playing game. The victory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defeating an opponent (a computer or another user) in a match-up game, and that the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Winning conditions include winning a sports game, for example. The victory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achieving a certain number of combos (number of successive successes)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oints in a puzzle game or a sound game (a game in which a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response to a voice). In addition, the victory condition includes, for example, winning the opponent in a shooting game (the opponent is another user or computer).

10: 디지털 게임 시스템
100: 유저 디바이스
200: 게임 서버
210: CPU
220: 스토리지
221: 디지털 게임 프로그램
2211: 미니 게임 모듈
2212: 과금 모듈
2213: 캐릭터 관리 모듈
2214: 리얼라이즈 모듈
230: 메모리
250: 통신 회로
300: EC 서버
400: 과금 서버
500: 네트워크
10: Digital game system
100: user device
200: game server
210: CPU
220: storage
221: digital game program
2211: mini game module
2212: billing module
2213: character management module
2214: Realize module
230: memory
250: communication circuit
300: EC server
400: billing server
500: network

Claims (12)

유저가 실행하는 디지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프로그램이며,
제1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 등장하는 가상 물품을,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가상 물품 제공 처리와,
제2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제공한 상기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물품을, 상기 유저가 현실에서 취득할 수 있는 실체화 권리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권리 제공 처리와,
상기 취득한 실체화 권리의 양에 따라, 상기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물품을 취득하는 실체화 처리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게임 프로그램.
It is a game program that provides digital games that users run,
a virtual article providing process of providing a virtual article appearing in the digital game to the user in the digital game when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right providing processing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materialization right that allows the user to acquire a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virtual product in reality when a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Substantialization processing for acquiring a re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produ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acquired materialization right
A game program that runs on a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서, 상기 유저가 제3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ition includes that the user satisfies a third condition in the digital g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유저가 상기 가상 물품을 취득할 수 있는 추첨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ird condition includes conducting a lottery in which the user can obtain the virtual art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서 행해지는 미니 게임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소정 횟수 승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ird condition includes that the user win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mini-game performed within the digital g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서 행해지는 미니 게임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소정의 득점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ird condition includes that the user obtains a predetermined score in a mini-game performed within the digital g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의 상기 유저의 레벨이 제1 레벨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ird condition includes that the level of the user in the digital game reaches a first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을 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dition includes purchasing an item used in the digital g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 제공 처리는, 상기 아이템의 구입량이 많을수록 많은 실체화 권리가 상기 유저에게 제공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in the right providing process, more materialization rights are provided to the user as the purchase amount of the item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물품은,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물품은, 상기 캐릭터가 인쇄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virtual article includes a character appearing in the digital game,
The real product includes a card on which the character is printed, a game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화 처리는, 상기 디지털 게임 내에서 취득한 가상 물품으로부터 실물품의 제공 대상으로 되는 가상 물품을, 상기 유저가 갖는 상기 권리의 양의 범위 내에서 상기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는 선택 처리를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sele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terialization process causes the user to select a virtual article to be provided of the real article from the virtual goods acquired in the digital game within the range of the amount of the rights possessed by the user. A game program, including proces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화 처리는, 상기 선택 처리에 있어서 선택된 가상 물품에 따라, 상기 유저가 갖는 상기 실체화 권리의 양을 감소시키는 실체화 권리 관리 처리를 포함하는, 게임 프로그램.The game progra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materialization processing includes materialization rights management processing for reducing the amount of the materialization right that the user has, according to the virtual item selected in the selection proces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체화 처리는, 상기 선택 처리에 있어서 선택된 가상 물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유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를, 상기 가상 물품에 대응하는 실물품을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제공원에 송신하는, 게임 프로그램.
The provid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materialization process provides a real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article to the user, a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virtual article selected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information on the user sent to, the game program.
KR1020210081614A 2021-02-25 2021-06-23 Game program KR2022012166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8354A JP2022129619A (en) 2021-02-25 2021-02-25 game program
JPJP-P-2021-028354 2021-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62A true KR20220121662A (en) 2022-09-01

Family

ID=8297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14A KR20220121662A (en) 2021-02-25 2021-06-23 Game progra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29619A (en)
KR (1) KR20220121662A (en)
CN (1) CN11494986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0074A (en) 2020-09-24 2021-02-18 株式会社コロプラ Game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0074A (en) 2020-09-24 2021-02-18 株式会社コロプラ Game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29619A (en) 2022-09-06
CN114949866A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492B1 (en) Server system, game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6671903B2 (en) Program, game device and server system
JP6017815B2 (en) Amusement system
JP6420076B2 (en) System and program
JP6937455B2 (en) Server system and program
WO2020250608A1 (en) Game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6877941B2 (en) Game system and programs
JP6705101B1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876114B1 (en) Online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game interlocking card
JP2009000568A (en) Game machine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JP6814585B2 (en) Game system and programs
JP2024009289A (en) Game server, gam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0154571A (en) Game service distribution device, game service distribution method and game service distribution program
JP6850565B2 (en) Server system and program
JP6951836B2 (en) Server system and program
KR1012805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obability of winning item in online game
JP2021003303A (en) Game device and game program
JP7048672B2 (en) Server system, gam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KR20220121662A (en) Game program
JP7194529B2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COMPETITION GAME EXECUTION CONTROL METHOD
JP2017035504A (en) Amusement system
KR101385089B1 (en) Game method for providing a prize through a predetermined game
JP2019022726A (en) Amusement system
JP7303339B1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7303338B1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