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617A -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 Google Patents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617A
KR20220121617A KR1020210025925A KR20210025925A KR20220121617A KR 20220121617 A KR20220121617 A KR 20220121617A KR 1020210025925 A KR1020210025925 A KR 1020210025925A KR 20210025925 A KR20210025925 A KR 20210025925A KR 20220121617 A KR20220121617 A KR 2022012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djustment piece
ratchet
spr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철
백옥례
Original Assignee
김규철
백옥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백옥례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102021002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617A/ko
Priority to PCT/KR2022/000776 priority patent/WO2022181983A1/ko
Publication of KR2022012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20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22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or tooth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연통되는 조절편홈이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하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이동래칫이 형성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스프링홀이 형성되는 이동죠와, 상기 조절편홈에 삽입 안착되고 상부면에 상기 이동래칫과 치결합되는 조절래칫이 형성되는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편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제2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죠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간격조절 가능한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이동래칫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톱니가 형성되어 치합될 수 있는 제1조절래칫이 형성된 제1조절편 및 제2조절래칫이 형성된 제2조절편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래칫과 제2조절래칫은 톱니가 교차하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Spanner capable of adjusting a interval}
본 발명은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죠와 고정죠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스패너는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할 때 사용하는 공구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패너 사용시 볼트나 너트의 치수에 맞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치수 외에 다양한 치수의 볼트나 너트를 잠그거나 풀기 위해 대부분 일명 몽키 스패너를 사용한다.
보통 '몽키 스패너'는 죠(jaw)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것을 일컫는다.
즉, 스패너의 헤드에 고정된 고정죠와 헤드 상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조의 이동죠로 구성되어 죠 사이의 간격 조정이 용이한 스패너이다.
아래 도 1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공지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길이조절형 스패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의 일단부에 접합되는 납작한 형태의 것으로, 손잡이(10) 반대측의 단부면(25)에서 두께방향 중간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과 편의 중앙에서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에 연통하는 관통공(22)을 구비하는 헤드(20); 상기 헤드(20)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어 헤드 단부면(25)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돌출되는 고정죠(30); 상기 가이드홈(21)과 맞물리는 형상의 가이드레일(41)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41)이 가이드홈(21)에 삽입되는 이동죠(40); 헤드(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는 조절편(50); 상기 조절편(50)을 가이드홈(21)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0); 및 상기 고정죠(30)를 가압하거나 가압하지 않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죠(40)의 가이드레일(41) 단부면에는 단부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돌기(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편(50)의 일단부면에는 일단부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돌기(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형 스패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스패너의 경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정밀가공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때 보통 돌기들이 1mm 간격으로 정밀가공 된다. 그래서 가공비용이 매우 높아 생산단가의 증가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고, 가공시간이 길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돌기들의 간격을 늘리면 정밀한 간격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간격이 늘어나면 스프링이 조절편을 가압하고 있어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나, 너트나 볼트를 체결한 상태로 강하게 돌리면 높은 토크로 인해 치합된 돌기들이 서로 밀려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2705(2016.6.16.)"길이조절형 스패너"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6610(2002.8.8)"개량 몽키 스패너"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죠와 이동죠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죠와 치합되는 조절편의 래칫이 교대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연통되는 조절편홈이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하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이동래칫이 형성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스프링홀이 형성되는 이동죠와, 상기 조절편홈에 삽입 안착되고 상부면에 상기 이동래칫과 치결합되는 조절래칫이 형성되는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편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제2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죠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간격조절 가능한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이동래칫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톱니가 형성되어 치합될 수 있는 제1조절래칫이 형성된 제1조절편 및 제2조절래칫이 형성된 제2조절편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래칫과 제2조절래칫은 톱니가 교차하도록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 사이에는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의 분리하고 승강을 가이드하는 분할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이 상향 볼록하게 벤딩되고 양단은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되,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을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에 비해 조절편에 래칫을 가공하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동래칫의 톱니 간격보다 작은 간격단위로 이동죠와 고정죠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길이조절형 스패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죠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죠와 조절편 치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손잡이(100), 헤드(200), 고정죠(300), 이동죠(400), 조절편(500), 제1스프링(600), 제2스프링(700) 및 치합해제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손잡이(100)는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나 너트 등을 체결할 때 작업자가 잡는 부분으로서 긴 막대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00)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길이에 따라 토크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는 길이가 고정된 구조인 것이 대부분이나, 상기 손잡이(100)의 중앙에 힌지가 형성되게 하여 접음으로써 길이가 축소되고 폄으로써 길이가 연장되는 구조 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헤드(200)는 상기 이동죠(400), 조절편(500), 제1스프링(600), 제2스프링(700) 및 치합해제수단(800)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손잡이(100)의 단부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납작하게 형성된다.
상기 헤드(200)의 단부는 상기 고정죠(300)와 이동죠(400) 사이에 평평한 수평단부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단부면(210)은 실제 너트나 볼트의 머리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단부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시 말해, 상기 손잡이(100)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20)은 후술하는 상기 이동죠(400)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공간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20)은 상기 수평단부면(210)의 두께방향 중간에 형성되고, 단면이 상기 이동죠(400)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게 하여 상기 이동죠(400)가 상기 가이드홈(220)에 맞춤,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되게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2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20)과 연통되고 상기 손잡이(100) 측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500)이 내설될 수 있는 조절편홈(23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의 일측면에는 길이단위를 표시하는 눈금(26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밀리미터(mm) 또는 인치(inch)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0)의 후측에는 락킹채널(250)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채널(250)은 후술하는 상기 치합해제수단(800)이 내설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상기 헤드(200)의 후측면에서 상기 조절편홈(230)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이다.
즉, 상기 락킹채널(250)의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편홈(230)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락킹채널(250)은 상기 가이드홈(220)과 별도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서로 연통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락킹채널(250)의 중간에는 상기 치합해제수단(800)의 누름부(8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7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락킹채널(250) 상에는 이탈방지홈(27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고정죠(300)와 이동죠(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죠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죠(300)는 상기 헤드(20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측이 곡면이고 내측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단부면(210)과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이동죠(400)는 상기 고정죠(3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헤드(200)와 분리되고 몸체가 상기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전후 왕복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죠(40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20)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도록 가이드레일(41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죠(400)의 가이드레일(410)과 상기 가이드홈(220)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이동죠(400)가 상기 가이드홈(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동하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이동죠(400)의 하부에는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스프링(700)이 완전히 내입될 수 있는 제2스프링홀(4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스프링홀(430)은 상기 가이드레일(4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죠(400)의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래칫(42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래칫(420)은 일측은 경사를 이루고 타측은 수직형상을 가져 대략, 직각삼각형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 배열된다.
상기 이동죠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죠(401)와 제2이동죠(402)를 서로 면결합시킨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동죠(401)과 제2이동죠(402)의 하단에 상기 이동래칫(4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죠(401)와 제2이동죠(402)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죠(401)와 제2이동죠(402) 사이에 상기 제2스프링홀(430)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2스프링홀(430)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참고로 상기 이동죠(400)의 일측 단부, 다시 말해서 상기 이동래칫(420)의 일단에는 상기 조절편(500)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44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조절편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죠와 조절편의 치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조절편(5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조절편홈(230) 내에 삽입,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5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래칫(420)과 치결합될 수 있는 조절래칫(520)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래칫(520)은 상기 이동래칫(420)과 동일한 형상과 간격으로 형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은 일방향으로는 경사를 타고 넘어가 이동이 가능하나, 반대방향으로는 걸리게 되어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편(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으로 분할되고 면접촉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중요한 것은 상기 조절래칫(520)은 제1조절래칫(521)과 제2조절래칫(522)으로 분할 형성되고, 각각은 상기 이동래칫과 동일한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편()의 상단에 상기 제1조절래칫()이 형성되며, 상기 제2조절편()의 상단에 상기 제2조절래칫()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래칫()과 제2조절래칫()은 톱니가 교차하도록 교대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조절래칫()의 산 사이사이에 상기 제2조절래칫()의 골이 이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이동래칫 사이에 상기 제1조절래칫() 및 제2조절래칫()이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두배로 미세한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동래칫()의 톱니 간격이 2mm인 경우 종래에는 2mm 단위로 간격조절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조절래칫()과 제2조절래칫()은 비록 톱니 간격이 2mm이더라도 산과 골이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실제 1mm 단위로 간격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실제 상기 조절래칫()을 1mm 간격으로 정밀하게 가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지만 본 발명은 2mm 간격으로 가공만 하면 되므로 그러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 사이에는 얇은 평판형상의 분할판(540)이 삽입된다.
상기 분할판(540)은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을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이 개별적으로 승강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한다.
상기 분할판(540)의 상단 일측 모서리는 추후 설명하는 치합해제수단(800)의 슬라이더부(810)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파인 형상의 충돌방지홈(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500)의 일측면, 다시 말해서 상기 락킹채널(250) 방향의 측면에 쐐기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홈(510)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조절편(500)의 측면에 수평으로 파인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쐐기홈(510)의 경사면이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더부(810)의 단부가 맞춤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쐐기홈(510)은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 모두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스프링(600)과 제2스프링(7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조절편(500)과 상기 조절편홈(230)의 바닥 사이에는 제1스프링(600)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편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1스프링(600)은 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 적절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스프링(600)의 중앙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고, 양단은 하측을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대략 'Ω'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6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502)을 개별적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은 상기 조절편(50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이 수직으로 강하게 치합되게 한다.
상기 제2스프링(700)은 상기 이동죠(400)와 고정죠(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죠(300)에 대해 상기 이동죠(400)가 탄성 지지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스프링(700)은 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며, 수평으로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2스프링홀(430)에 내입되어 상기 이동죠(400)를 탄성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고정죠(30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죠(400)는 상기 고정죠(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게 된다. 즉, 서로 벌어지려는 상태가 유지된다.
다만,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이 치결합한 상태이므로 상기 이동죠(400)는 더 벌어지지 않고 상기 고정죠(30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스프링(600)과 제2스프링(700)이 상기 이동죠(400)를 동시에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은 서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강하게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강한 토크로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더라도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이 어긋나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스프링(700)이 위치를 유지하고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핀(7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710)은 일단이 상기 고정죠(300)의 내측면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스프링(7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710)의 타단은 상기 제2스프링홈(430)에 일부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치합해제수단(8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치합해제수단(800)은 상기 조절편(500)을 강제 하강시켜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의 치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헤드(200)의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락킹채널(250)을 통해 상기 조절편(500)과 접촉하게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합해제수단(800)은 슬라이더부(810), 누름부(820), 제3스프링(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부(810)는 바(bar) 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락킹채널(250)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810)는 상기 락킹채널(25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다.
또 상기 상기 슬라이더부(810)의 단부의 형상은 상기 조절편(500)의 쐐기홈(5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단면이 직각삼각형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511)과 면밀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면(811)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820)는 상기 슬라이더부(810)의 후단에 결합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락킹채널(25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누름부(820)의 전단에는 상기 슬라이더부(810)의 외경보다 큰 리브(82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락킹채널(250)의 외부에 노출되고 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할 수 있는 푸시버튼(8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821)는 상기 이탈방지홈(270)에 안착되어 전후진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턱(27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리브(821)와 이탈방지턱(271) 사이에는 제3스프링(830)이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820)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제3스프링(830)은 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부(8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홈(270) 내에 안착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이탈방지턱(271)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리브(821)에 걸려 상기 누름부(820)가 상시 후진한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820)의 푸시버튼(822)을 누르면 상기 제3스프링(830)이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810)가 전진하고, 상기 슬라이더부(810)의 전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면(811)이 상기 쐐기홈(510)의 경사면(511)에 면밀착되면서 슬라이딩되면 상기 조절편(500)이 강제 하강하게 되며, 상기 조절편(500)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이 분리되어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이동죠(400)는 자동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7a는 이동죠의 이동에 따른 조절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조절편의 치합을 해제하여 이동죠가 원위치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초기상태는 도 7a의 확대부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래칫()과 제1조절래칫()이 완전히 치합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2조절래칫()은 완전히 치합되지 못하고 상기 이동래칫()에 걸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조절편()은 상기 제1스프링()에 의해 최고로 상승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조절편()은 상기 제1조절편()보다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벌어진 상태의 상기 이동죠(400)와 고정죠(300) 사이에 볼트 머리나 너트(미도시)를 인입하고, 상기 이동죠(400)를 상기 고정죠(300) 방향으로 힘을 가해 민다.
그러면 상기 제2스프링(700)은 압축되고, 상기 이동래칫()은 도 7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절래칫(521)을 타고 넘어가면서 걸친 상태가 되고, 상기 이동래칫()에 상기 제2조절래칫()이 완전히 치합한 상태가 된다.
이때는 상기 제2조절편()이 최고로 상승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조절편은 상기 제2조절편보다 하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죠()를 계속 밀면 상기 이동래칫()은 상기 제1조절래칫() 또는 제2조절래칫()과 번갈아 가면서 치합되므로 상기 이동래칫()의 톱니 간격보다 더 작은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정밀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이동래칫()의 톱니 간격만큼씩 간격조절이 가능했다.
참고로, 상기 조절편()의 갯수를 추가하여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내지 제3조절편 3개를 사용하여 더 정밀한 간격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동래칫()과 상기 제1조절래칫() 또는 제2조절래칫() 중 어느 하나가 치합된 상태에 상기 손잡이(100)에 토크를 가하여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이동죠(400)는 후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데, 상기 제1스프링(600)과 제2스프링(700)에 의해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은 서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강하게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이동죠(400)는 밀려나지 않고 강한 체결력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죠(300)와 이동죠(400)를 벌리기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치합해제수단(800)의 푸시버튼(822)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부(810)가 전진하면서 단부가 상기 쐐기홈(510)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600)은 모두 압축되면서 상기 제1조절편(501)과 제2조절편 모두 하강함으로써 상기 이동래칫(420)과 조절래칫(520)의 치합 상태가 해제된다.
해제와 동시에 상기 제2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죠(400)는 밀려나면서 자동으로 후진하게 되어 상기 고정죠(300)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440)이 상기 조절편(500)의 단부에 걸리므로 상기 이동죠(400)는 벌어진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지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손잡이
200 : 헤드
210 : 수평단부면 220 : 가이드홈
230 : 조절편홈 250 : 락킹채널
260 : 눈금 270 : 이탈방지홈
271 : 이탈방지턱 280 : 핀홀
300 : 고정죠
400 : 이동죠
401 : 제1이동죠 402 : 제2이동죠
410 : 가이드레일 420 : 이동래칫
430 : 제2스프링홀 440 : 걸림턱
500 : 조절편 501 : 제1조절편
502 : 제2조절편 510 : 쐐기홈
511 : 경사면 520 : 조절래칫
521 : 제1조절래칫 522 : 제2조절래칫
540 : 분할판 541 : 충돌방지홈
600 : 제1스프링
700 : 제2스프링 710 : 가이드핀
800 : 치합해제수단
810 : 슬라이더부 811 : 슬라이딩면
820 : 누름부 821 : 리브
822 : 푸시버튼 830 : 제3스프링

Claims (4)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연통되는 조절편홈이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하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이동래칫이 형성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제2스프링홀이 형성되는 이동죠와, 상기 조절편홈에 삽입 안착되고 상부면에 상기 이동래칫과 치결합되는 조절래칫이 형성되는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편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제2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죠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간격조절 가능한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이동래칫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톱니가 형성되어 치합될 수 있는 제1조절래칫이 형성된 제1조절편 및 제2조절래칫이 형성된 제2조절편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래칫과 제2조절래칫은 톱니가 교차하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 사이에는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의 분리하고 승강을 가이드하는 분할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이 상향 볼록하게 벤딩되고 양단은 하향 볼록하게 형성되되,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편과 제2조절편의 일측면에 쐐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일측에는 상기 조절편홈과 연통되는 락킹채널이 형성되되,
    상기 락킹채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전단부가 상기 쐐기홈의 경사면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락킹채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 및 일단이 상기 락킹채널 내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누름부의 전단부에 걸려 상기 누름부를 탄성지지하는 제3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합해제수단이 더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KR1020210025925A 2021-02-25 2021-02-25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KR2022012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25A KR20220121617A (ko) 2021-02-25 2021-02-25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PCT/KR2022/000776 WO2022181983A1 (ko) 2021-02-25 2022-01-14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25A KR20220121617A (ko) 2021-02-25 2021-02-25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17A true KR20220121617A (ko) 2022-09-01

Family

ID=8304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925A KR20220121617A (ko) 2021-02-25 2021-02-25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1617A (ko)
WO (1) WO20221819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10Y1 (ko) 2002-06-05 2002-08-22 에이치비비엔지니어링 (주) 개량 몽키 스패너
KR101632705B1 (ko) 2015-12-07 2016-06-22 김규철 길이조절형 스패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168A (ko) * 1997-11-17 1999-06-05 양재신 걸림수단을 갖는 몽키 스패너
TW200920554A (en) * 2007-11-12 2009-05-16 Proxene Tools Co Ltd Monkey wrench
US20090301268A1 (en) * 2008-06-04 2009-12-10 Proxene Tools Co., Ltd. Ratchet mechanism for adjustable wrench
JP2019038095A (ja) * 2017-08-22 2019-03-14 清水 明 モンキーレンチ
KR20190114516A (ko) * 2018-03-30 2019-10-10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스프링 고정 몽키 스패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10Y1 (ko) 2002-06-05 2002-08-22 에이치비비엔지니어링 (주) 개량 몽키 스패너
KR101632705B1 (ko) 2015-12-07 2016-06-22 김규철 길이조절형 스패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1983A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2383C (en) Press brake tool
US3836118A (en) Adjustable work support assembly
DE102008061420B9 (de) Keiltrieb
US20070256383A1 (en) Door frame system
CN108608984B (zh) 一种车用高度调节器
EP0210584A2 (de) Verstelleinrichtung für die stufenweise arretierbare Höhenverstellung von Rückenlehnen an Arbeitsstühlen
US7661288B2 (en) Press brake tool safety key assemblies
CA1138762A (en) Arrangement for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die base in tool used for bending
US9827878B1 (en) Seat sliding device
US20070175300A1 (en) Adjustable wrench
US20170341535A1 (en) Seat sliding device
KR20220121615A (ko) 서로 다른 길이단위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CN209849620U (zh) 一种电力柜生产用折边装置
KR20220121617A (ko) 미세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US9579920B2 (en) Die unit and system for constructing die units
KR20210118696A (ko) 간격 조정이 용이한 스패너
KR102355041B1 (ko) 간격 조정이 가능한 스패너
US3804265A (en) Stock pusher
DE19700271A1 (de) Führungs- und/oder Setzeinrichtung für Elemente, insbesondere Fügeelemente
CN109048702B (zh) 替换式下压虎钳结构
CN110462232B (zh) 可调节轴承组件
US3358534A (en) Clutch-bar means for an adjustable wrench
CN212884328U (zh) 一种用于汽车覆盖件冲压模的内凹侧翻机构
JPS6016478Y2 (ja) クランクプレス
CN210817111U (zh) 金属片导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