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044A -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044A
KR20220121044A KR1020210024955A KR20210024955A KR20220121044A KR 20220121044 A KR20220121044 A KR 20220121044A KR 1020210024955 A KR1020210024955 A KR 1020210024955A KR 20210024955 A KR20210024955 A KR 20210024955A KR 20220121044 A KR20220121044 A KR 2022012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xial direction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2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044A/ko
Publication of KR2022012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일면에 인접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차폐 시트와, 상기 흡기구에 인접하여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중 상기 도어부에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도어부의 사이에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방향 일면과 상기 차폐 시트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무선 충전 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하우징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고,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가 냉각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이란, 전력 송신 장치와 전력 수신 장치가 상호 유선 연결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력 수신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무선 충전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에 전력이 충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 등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일정한 공명 주파수가 발생하면, 이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전력 수신 장치 내부의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내에서도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는 후면에 구비되는 결합 구조를 통해 차량 송풍구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서 자기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여러 저항 요소들로 인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 현상으로 인해 충전이 끊어지거나 전력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무선 충전 장치의 많은 소자들의 손상이나 변형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349165호 (2018.06.08 공고)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무선 충전 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통해 충전 속도 저하 및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일면에 인접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차폐 시트; 및 상기 흡기구에 인접하여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중 상기 도어부에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도어부의 사이에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방향 일면과 상기 차폐 시트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무선 충전 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통해 충전 속도 저하 및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는 부분은 축 방향 타측이 축 방향 일측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축 방향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축 방향 일단이 상기 차폐 시트의 축 방향 일면과 측 방향으로 중첩되거나, 상기 차폐 시트의 상기 축 방향 일면에서 축 방향 일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부의 양 측면에 인접하는 제1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벽의 돌출 길이는 상기 도어부의 가동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일면의 내주면에서 축 방향 타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내벽의 축 방향 일단과 밀착되는 제2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도어 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rack gea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도어 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인접하는 제1 도어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타 측면에 인접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는 제2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래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 유닛은 상기 제2 도어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래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크 기어와 상기 제2 래크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방향 일면과 상기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내측단에서 상기 배기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시트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어 보드에 저장된 기준 온도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다른 면(aspect)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무선 충전 장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통해 충전 속도 저하 및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축 방향 일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축 방향 타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도 1의 P-P'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도 5의 Q-Q'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구비되는 송풍구(F)에 거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 외부의 공기(A)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무선 충전 장치(100)를 냉각시킨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축 방향(X) 일방은 전방을, 축 방향(X) 타방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측 방향(Y)은 축 방향(X)에 수직한 방향이고, 제2 측 방향(Z)은 축 방향(X)과 제1 측 방향(Y)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측 방향(lateral direction)은 제1 측 방향(Y)과 제2 측 방향(Z)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 방향(Y) 일면 및 타면, 제2 측 방향(Z) 일면 및 타면은 측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미도시)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은 차량의 송풍구(F)에 인접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X)에서 보았을 때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진 사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10)은 축 방향(X)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과, 제1 하우징(111)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서로 축 방향(X)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 부재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측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축을 중심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흡기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113)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 공기(A)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송풍구(F)에서 공급되는 공기(A)가 흡기구(113)로 유입될 수 있다.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측면 및/또는 축 방향(X)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A)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므로, 흡기구(113)가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보다,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제1 측 방향(Y) 일면 및/또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흡기구(113)로 유입된 공기(A)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코일(140)과 제어 보드(130)가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 쪽으로 유동하여야 한다. 이 때, 흡기구(113)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면, 흡기구(113)에서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공기(A)가 효과적으로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흡기구(113)는 축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A)는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유입되므로, 각각의 개구부(113a)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면, 공기(A)가 더욱 효과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보다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에 더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13)가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후방에 편중되어 형성되면,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A)를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더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3a)는 축 방향(X)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3a)는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복수의 개구부(113a)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13)로 유입된 공기(A)는 하우징(110)의 측면과 도어부(1611, 16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유동하므로, 복수의 개구부(113a)는 도어부(1611, 1621)와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개구부(113a)는 하우징(110)의 측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중 흡기구(113)가 형성되는 부분은 축 방향(X) 타측이 축 방향(X) 일측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기구(113)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A)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배기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A)는 제1 공기 유로(S1)와 제2 공기 유로(S2)를 거쳐 배기구(114)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구(114)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구(114)는 하우징(110)의 제2 측 방향(Z)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구(114)는 하우징(110)의 측면 상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A)는 온도가 높은 하우징(110)의 내부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므로, 배기구(114)로 배출되는 공기(A)의 온도는 흡기구(113)로 유입되는 공기(A)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 때, 배기구(114)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면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방에 거치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 측으로 가열된 공기(A)가 공급되어 이동 단말기(미도시)가 가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홀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미도시)는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미도시)는 각각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홀더(미도시)는 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방에 이동 단말기(미도시)가 안착될 때, 홀더(미도시)의 측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고정할 수 있다. 홀더(미도시)의 위치는 사람이 직접 조절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미도시)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안착될 때, 무선 충전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안착을 인지하고, 자동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받침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부재(미도시)는 하우징(110)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 부재(미도시)는 하우징(110)에서 제2 측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받침 부재(미도시)는 제2 측 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받침 부재(미도시)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받침 부재(미도시)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크기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부재(미도시)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 부재(미도시)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송풍구(F)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 부재(미도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송풍구(F)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부재(미도시)는 집게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클램프(clamp)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거치 부재(미도시)와 하우징(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부재(미도시)와 하우징(110)은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로 결합될 수 있다. 거치 부재(미도시)와 하우징(110)이 유니버설 조인트로 결합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의 거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좋아질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를 축 방향 일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를 축 방향(X) 타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를 도 1의 P-P'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를 도 5의 Q-Q'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기 가이드(114a)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 일면에 축 방향(X)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의 축 방향(X) 일면과, 제2 측 방향(Z) 일면과 타면은 개방되고, 축 방향(X) 타면과 제1 측 방향(Y) 일면과 타면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는 제2 측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는 제2 내벽(182)에서 배기구(114)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는 제1 결합 부재(114b)에 의해 제1 하우징(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기 가이드(114a)는 제2 내벽(18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기 가이드(114a)와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의 사이에 배기 유로(114c)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로(114c)는 제2 공기 유로(S2)와 배기구(114)를 연통시킬 수 있다. 배기 유로(114c)는 배기 가이드(114a)의 형상에 따라 배기구(114)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를 통과하며 온도가 높아진 공기(A)가 배기구(114)를 통해 배출될 때, 배기구(114)의 면적이 작으면, 배출되는 과정에서 단열 팽창 효과가 발생하여 공기(A)의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의 제2 공기 유로(S2) 측 단부는 제2 내벽(182)에 밀착될 수 있다. 배기 가이드(114a)와 제2 내벽(182)이 밀착되면, 제2 공기 유로(S2)와 배기 유로(114c)가 연통되는 부분에서 하우징(110) 내부의 다른 공간으로 공기(A)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기 가이드(114a)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제2 측 방향(Z) 길이가 제2 공기 유로(S2)의 제2 측 방향(Z) 길이와 대응되면, 배기구(114)가 제2 공기 유로(S2)와 바로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 유로(114c)가 별도로 형성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140), 차폐 시트(150), 제어 보드(130), 및/또는 구동 유닛(17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브라켓(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구조적인 뼈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브라켓(120)은 안착부(121)와 브릿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1)는 축 방향(X)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브릿지부(122)는 안착부(1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릿지부(122)는 후방으로 갈수로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제2 결합 부재(123)에 의해 제2 하우징(112)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부재(123)는 브릿지부(122)의 축 방향 타방 부분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123)는 나사일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어 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브라켓(120)의 안착부(121)의 축 방향(X) 일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제3 결합 부재(131)에 의해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131)는 제어 보드(130)의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여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차폐 시트(150)의 축 방향(X) 타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차폐 시트(150)는 제어 보드(1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되고, PCB에 여러 전자 소자들이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보드(13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T0)와,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에 기반하여 구동 유닛(170)을 작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보드(1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제어 보드(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제어 보드(130)의 일부일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인가된 외부 전원은 제어 보드(130)로 공급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코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140)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코일(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40)은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코일(140)은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에 인접할 수 있다. 코일(140)은 차폐 시트(150)의 축 방향(X) 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40)은 제어 보드(130)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140)은 제어 보드(130)로부터 교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코일(140)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40)에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에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내측에 배치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동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차폐 시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시트(150)는 제어 보드(130)의 축 방향(X) 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시트(150)는 코일(140)의 축 방향(X) 타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폐 시트(150)는 제어 보드(130)와 코일(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시트(150)는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다.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제어 보드(130)에 들어가는 전자 장치나, 구동 유닛(170)의 모터, 충전 대상이 아닌 다른 외부 전자 장치, 및 인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충전 대상인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향해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차폐 시트(150)는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여 자기장이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충전의 효율을 높이고, 무선 충전 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어 유닛(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113)는 도어 유닛(161, 16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도어부(1611, 16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611, 1621)는 흡기구(113)에 인접할 수 있다. 도어부(1611, 1621)는 하우징(110)의 측면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1611, 1621)의 제2 측 방향(Z) 길이는 제어 보드(130)의 제2 측 방향(Z)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어부(1611, 1621)가 하우징(110)의 측면의 내주면에 밀착되면 흡기구(113)가 폐쇄되고, 도어부(1611, 1621)가 하우징(110)의 측면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면 흡기구(113)가 개방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래크 기어(1612, 1622)를 포함할 수 있다. 래크 기어(1612, 1622)는 도어 유닛(161, 162)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크 기어(1612, 1622)는 후술할 구동 기어(172)에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크 기어(1612, 1622)는 도어부(1611, 1621)의 축 방향(X) 타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제어 보드(130)와 인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기어(172)는 제어 보드(130)의 축 방향(X)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래크 기어(1612, 1622)는 구동 기어(172)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부(1611, 1621)의 축 방향(X) 타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래크 기어(1612, 1622)는 구동 기어(172)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가이드부(1613, 16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613, 1623)는 도어부(1611, 1621)의 축 방향(X)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1613, 1623)는 도어부(1611, 16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613, 1623)는 도어부(1611, 1621)의 축 방향(X) 일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진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의 용이성이나, 구조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가이드부(1613, 1623)는 도어부(1611, 1621)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도어부(1611, 16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613, 1623)는 도어부(1611, 1621)에 결합되지 않고 차폐 시트(150) 등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1613, 1623)는 제1 공기 유로(S1)를 통과한 공기(A)를 제2 공기 유로(S2)로 안내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A)가 코일(140)과 제어 보드(130)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제1 공기 유로(S1)를 통과한 공기(A)가 다른 곳으로 새나가지 않고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이드부(1613, 1623)를 통해, 공기(A)가 도어부(1611, 1621)와 차폐 시트(150) 사이 공간을 거쳐 구동 유닛(170) 측으로 새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이드부(1613, 1623)의 축 방향(X) 일단은 차폐 시트(150)의 축 방향(X) 일면과 측 방향으로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이드부(1613, 1623)의 축 방향(X) 일단은 차폐 시트(150)의 축 방향(X) 일면에서 축 방향(X) 일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기 유로(S1)를 통과한 공기(A)가 효과적으로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레일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63)는 래크 기어(1612, 1622)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63)는 래크 기어(1612, 16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63)는 제1 측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163)는 제2 하우징(112)의 내주면에서 축 방향(X)으로 돌출된 레일 가이드(164)에 안착될 수 있다. 레일부(163)는 도어 유닛(161, 162)의 운동 방향을 제1 측 방향(Y)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와 제어 보드(130)에 저장된 기준 온도(T0)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도어 유닛(161, 16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흡기구(113)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에 관련되 정보에 기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어 유닛(161, 162)은 제1 도어 유닛(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161)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인접하는 제1 도어부(16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161)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흡기구(113)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유닛(161, 162)은 제2 도어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유닛(162)은 하우징(110)의 타 측면에 인접하는 제2 도어부(16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유닛(162)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의 반대측 면인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도어 유닛(162)은 제1 도어 유닛(16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161)은 제1 래크 기어(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유닛(162)는 제2 래크 기어(1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크 기어(1612)는 제1 도어부(161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래크 기어(1622)는 제2 도어부(162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래크 기어(1612)와 제2 래크 기어(1622)는 구동 기어(17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구동 기어(172)에 맞물릴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공기 유로(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S1)는 흡기구(113)가 개방되었을 때, 하우징(110) 중 도어부(1611, 1621)가 인접하는 부분과 도어부(1611, 16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 유닛(161, 162)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도어부(1611, 1621)가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이격된 공간이 제1 공기 유로(S1)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제1 공기 유로(S1)는 흡기구(113)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흡기구(113)로 유입된 공기(A)는 제1 공기 유로(S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2 공기 유로(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과 차폐 시트(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는 양 측에서 제1 공기 유로(S1)와 연통될 수 있다. 흡기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A)는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코일(140)은 제2 공기 유로(S2)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14)의 적어도 일부는 측 방향으로 제2 공기 유로(S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배기구(114)가 형성되는 높이와 제2 공기 유로(S2)가 형성되는 높이가 비슷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A)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유동하므로, 최적의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와 배기구(114)가 측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면, 제2 공기 유로(S2)에 있는 공기(A)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114)의 적어도 일부는 측 방향으로 제2 공기 유로(S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동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코일(140)의 축 방향(X) 타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170)은 코일(140)의 축 방향(X) 타방에 배치되는 브라켓(120)의 축 방향(X) 타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제4 결합 부재(174)에 의해 브라켓(120)의 축 방향(X)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도어 유닛(161, 162)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유닛(170)는 모터(17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71)는 회전 동력을 생산할 수 있다. 모터(171)에서 생산된 회전 동력은 샤프트(173)를 통해 구동 기어(172)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1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172)는 모터(171)의 동력을 도어 유닛(161, 16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기어(172)가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 기어(172)의 반경이 커질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172)는 복수로 형성되어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 기어(172)가 제1 구동 기어(172a)와 제2 구동 기어(172b)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기어(172)는 제1 구동 기어(17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는 외접 기어(external gear)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172a)는 모터(171)에서 축 방향(X) 타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73)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171)에서 생산된 회전 동력은 샤프트(173)를 통해 제1 구동 기어(172a)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기어(172)는 제2 구동 기어(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172b)는 외접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172b)는 제1 구동 기어(172a)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172b)는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2 구동 기어(172b)는 제1 구동 기어(172a)의 제1 측 방향(Y) 일측과 타측에 맞물릴 수 있다. 모터(171)에서 생산된 회전 동력은 제1 구동 기어(172a)를 통해 제2 구동 기어(172b)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래크 기어(1612)는 도 6을 기준으로 제2 구동 유닛(17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래크 기어(1622)는 도 6을 기준으로 제2 구동 유닛(17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172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구동 기어(172a)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2 구동 기어(172b)는 각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17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구동 유닛(170)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구동 유닛(170)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구동 유닛(170)으로부터 생산되는 회전 동력은 구동 유닛(170)과 래크 기어(1612, 1622)를 통해 직선 동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가이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과 코일(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로 가이드(180)는 제2 공기 유로(S2)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제1 하우징(1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 가이드(180)는 하우징(110)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제2 공기 유로(S2)를 구획하는 격벽 구조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하우징(110)의 제1 측 방향(Y) 일측과 타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단에서 제2 측 방향(Z)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각각 제1 부분(18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80a)은 하우징(110)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분(180a)은 제1 측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각각 제2 부분(18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80b)은 제1 부분(180a)의 내측에서 배기구(114)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부분(180b)은 제1 부분(180a)의 내측에서 제2 측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로 가이드(180)는 도어 유닛(161, 162) 측에서 배기구(114) 측으로 연장되고, 중간 부분이 코일(140) 측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부분(180a)과 제2 부분(180b)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두고 절곡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라운드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기(A)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제1 부분(180a)과 제2 부분(180b)이 서로 라운드지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내벽(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18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내벽(181)은 도어부(1611, 1621)의 양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벽(181)은 제1 도어부(1611)와 제2 도어부(1621)에 대응하여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 있고, 도어부(1611, 1621)의 제2 측 방향(Z) 일측과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내벽(181)의 돌출 길이는 도어부(1611, 1621)의 가동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어부(1611, 1621)는 제1 내벽(181)를 따라 가동할 수 있다. 즉, 제1 내벽(181)은 도어부(1611, 1621)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내벽(181)은 제1 공기 유로(S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벽(181)은 제1 공기 유로(S1)의 경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A)가 축 방향(X) 일측이 아닌 도어부(1611, 1621)의 측면, 즉 제2 측 방향(Z)으로 빠져나가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제1 내벽(181)은 제1 공기 유로(S1)의 양 측면을 막아줄 수 있고, 이를 통해, 흡기구(113)로 유입될 공기(A)가 축 방향(X) 일측으로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2 내벽(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182)은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의 내주면에서 축 방향(X) 타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내벽(182)은 제1 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벽(182)는 축 방향(X)에서 보았을 때, 제어 보드(130)의 제1 측 방향(Y) 길이는 제어 보드(130)의 제1 측 방향(Y)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내벽(182)은 제2 공기 유로(S2)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벽(182)은 제2 공기 유로(S2)의 경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된 공기(A)가 제2 측 방향(Z)으로 빠져나가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제2 내벽(182)은 제2 공기 유로(S2)의 양 측면을 막아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 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와, 배기 유로(114c)는 서로 연통되어야 하므로, 배기 가이드(114a)가 배치되고, 제2 공기 유로(S2)와 배기 유로(114c)가 연통되는 부분에는 제2 내벽(18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내벽(182)의 축 방향(X) 타단의 일부는 제1 내벽(181)의 축 방향(X) 일단과 인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내벽(182)은 제1 내벽(181)의 축 방향(X) 일단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내벽(182)의 일부는 축 방향(X)으로 제1 내벽(181)과 중첩(overlap)될 수 있다. 즉, 제1 내벽(181)과 제2 내벽(182)은 흡기구(113)로 유입된 공기(A)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내부 온도 센서(19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는 코일(14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는 차폐 시트(150)를 관통하여 제어 보드(130)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코일(140)과 제어 보드(13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감지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에 대한 정보는 제어 보드(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보드(130)는 내부 온도 센서(191)로부터 전송받은 내부 온도(T1)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 유닛(1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온도 센서(19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는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는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온도 센서(192)는 차량의 송풍구(F)에서 공급되는 공기(A)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감지된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에 대한 정보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수신부(192a)는 PCB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수신부(192a)는 외부 온도 센서(192)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수신부(192a)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의 내주면에 인접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수신부(192a)는 외부 온도 센서(192)로부터 받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 보드(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제어 보드(130)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온도(T2)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구동 유닛(1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온도 센서(192)는 제어 보드(13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와 제어 보드(130)는 별도의 송수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감지된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와 관련된 정보는 곧바로 제어 보드(13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공기(A)가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어 유닛(161, 162)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흡기구(113)가 개방되고, 제1 공기 유로(S1)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풍구(F)에서 공급되는 공기(A)는 흡기구(113)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0)의 측면 중 흡기구(113)가 형성되는 부분은 축 방향(X) 타측이 축 방향(X) 일측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있으므로, 흡기구(113)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A)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흡기구(113)를 통과한 공기(A)는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S1)로 유입된 공기(A)는 축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흡기구(113)의 형성 방향과 각도, 그리고 제1 공기 유로(S1)의 형상 방향에 의해 공기(A)의 흐름이 안내될 수 있다.
공기(A)가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축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1 내벽(181)은 공기(A)가 축 방향(X)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로(S1)의 축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한 공기(A)는 가이드부(1613, 1623)의 도움을 받아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1613, 1623)는 공기(A)가 도어부(1611, 1621)와 구동 유닛(170)의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2 공기 유로(S2)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공기 유로(S1)를 통해 축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한 공기(A)는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A)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의 내주면을 따라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기 유로(S2)로 유입된 공기(A)는 유로 가이드(180)의 사이 공간을 따라 제1 측 방향(Y)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80)의 제1 부분(180a)은 공기(A)가 측 방향 내측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공기(A)가 유로 가이드(180)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2 내벽(182)은 공기(A)가 다른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부분(180a)을 따라 측 방향 내측으로 유동한 공기(A)는 코일(140)과 차폐 시트(150)와 제어 보드(130)에 접촉하면서 이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공기(A)는 코일(140)과 차폐 시트(150)와 제어 보드(130)의 열을 가져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A)의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
온도가 높아진 공기(A)는 유로 가이드(180)의 제2 부분(180b)을 따라 배기구(114)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부분(180b)을 따라 유동한 공기(A)는 배기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기구(114)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온도가 높아진 공기(A)가 이동 단말기(미도시)가 장착된 위치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어 보드(130)에 기준 온도(T0)를 저장하는 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온도(T0)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제조할 때 기 설정될 수도 있고, 추후에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를 블루투스 등의 방법으로 연동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기준 온도(T0)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에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안착시키면 무선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S132).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133)는 무선 충전이 시작되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충전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도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감지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감지된 내부 온도(T1)에 대한 정보는 제어 보드(130)에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134)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134)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에 관련된 정보와 제어 보드(130)에 저장된 기준 온도(T0)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134)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높으면 흡기구(113)를 개방하고,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낮으면 흡기구(113)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134)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다음과 같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134)는 제어 보드(130)에 구비되는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상기 기준 온도(T0)와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흡기구(113)가 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는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6, S137).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높은 경우, 흡기구(113)가 폐쇄되어 있다면, 제어 보드(130)는 구동 유닛(170)을 제1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S138). 여기서, 제1 방향은 흡기구(113)가 개방되도록 도어 유닛(161, 162)을 가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흡기구(113)가 이미 개방되어 있다면, 구동 유닛(170)을 미가동 시킬 수 있다(S139).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낮은 경우, 흡기구(113)가 폐쇄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 보드(130)는 구동 유닛(170)을 제2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S140). 여기서, 제2 방향은 흡기구(113)가 폐쇄되도록 도어 유닛(161, 162)을 가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흡기구(113)가 이미 폐쇄되어 있다면, 구동 유닛(170)을 미가동 시킬 수 있다(S139).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낮은 경우, 외부의 공기 온도가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보다 높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외부 공기(A)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다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냉각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기준 온도(T0)보다 낮은 경우 흡기구(113)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축 방향(X) 일면에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안착시키면 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무선 충전이 시작(S231)된 후 ,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232)와,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23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232)가 수행된 이후 외부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233)가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233)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232)와 외부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233)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온도(T1)를 감지하는 단계(S232)와 외부 온도(T2)를 감지하는 단계(S233)는 무선 충전이 시작(S231)된 이후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충전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도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X) 타면에 배치되는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감지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191)에서 감지된 내부 온도(T1)에 대한 정보는 곧바로 제어 보드(130)에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감지된 외부 온도(T2)에 대한 정보는 외부 온도 센서(192)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에 전송된 후, 외부 온도 수신부(192a)와 제어 보드(130)의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통신선을 통해 제어 보드(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온도 수신부(192a)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외부 온도 센서(192)에서 감지된 외부 온도(T2)에 대한 정보는 곧바로 제어 보드(130)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234)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234)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와 관련된 정보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234)는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보다 높으면 흡기구(113)를 개방하고,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보다 낮으면 흡기구(113)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234)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다음과 같다.
흡기구(113)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S234)는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와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S2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흡기구(113)가 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는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6, S237).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흡기구(113)가 폐쇄되어 있다면, 제어 보드(130)는 구동 유닛(170)을 제1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S238). 여기서, 제1 방향은 흡기구(113)가 개방되도록 도어 유닛(161, 162)을 가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흡기구(113)가 이미 개방되어 있다면, 구동 유닛(170)을 미가동 시킬 수 있다(S239).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T1)가 하우징(110)의 외부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흡기구(113)가 폐쇄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 보드(130)는 구동 유닛(170)을 제2 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S240). 여기서, 제2 방향은 흡기구(113)가 폐쇄되도록 도어 유닛(161, 162)을 가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흡기구(113)가 이미 폐쇄되어 있다면, 구동 유닛(170)을 미가동 시킬 수 있다(S239).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무선 충전 장치 110: 하우징
111: 제1 하우징 112: 제2 하우징
113: 흡기구 113a: 개구부
114: 배기구 114a: 배기 가이드
114b: 제1 결합 부재 114c: 배기 유로
120: 브라켓 121: 안착부
122: 브릿지부 123: 제2 결합 부재
130: 제어 보드 131: 제3 결합 부재
140: 코일 150: 차폐 시트
161: 제1 도어 유닛 1611: 제1 도어부
1612: 제1 래크 기어 1613: 제1 가이드부
162: 제2 도어 유닛 1621: 제2 도어부
1622: 제2 래크 기어 1623: 제2 가이드부
163: 레일부 164: 레일 가이드
170: 구동 유닛 171: 모터
172: 구동 기어 172a: 제1 구동 기어
172b: 제2 구동 유닛 173: 샤프트
174: 제4 결합 부재 180: 유로 가이드
180a: 제1 부분 180b: 제2 부분
181: 제1 내벽 182: 제2 내벽
191: 내부 온도 센서 192: 외부 온도 센서
192a: 외부 온도 수신부 S1: 제1 공기 유로
S2: 제2 공기 유로 F: 송풍구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일면에 인접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차폐 시트; 및
    상기 흡기구에 인접하여 상기 흡기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중 상기 도어부에 인접하는 부분과 상기 도어부의 사이에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방향 일면과 상기 차폐 시트 사이에 상기 제1 공기 유로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는 부분은 축 방향 타측이 축 방향 일측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축 방향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축 방향 일단이 상기 차폐 시트의 축 방향 일면과 측 방향으로 중첩되거나, 상기 차폐 시트의 상기 축 방향 일면에서 축 방향 일방으로 돌출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부의 양 측면에 인접하는 제1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벽의 돌출 길이는 상기 도어부의 가동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무선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일면의 내주면에서 축 방향 타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내벽의 축 방향 일단과 밀착되는 제2 내벽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도어 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rack gear)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도어 유닛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인접하는 제1 도어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타 측면에 인접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는 제2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유닛은 상기 제1 도어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래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 유닛은 상기 제2 도어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래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크 기어와 상기 제2 래크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상기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무선 충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측 방향으로 상기 제2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무선 충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축 방향 일면과 상기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가이드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내측단에서 상기 배기구 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의 축 방향 타방에 배치되는 제어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제어 보드에 저장된 기준 온도에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개폐되는 무선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온도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개폐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210024955A 2021-02-24 2021-02-24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21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55A KR20220121044A (ko) 2021-02-24 2021-02-24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55A KR20220121044A (ko) 2021-02-24 2021-02-24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44A true KR20220121044A (ko) 2022-08-31

Family

ID=8306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55A KR20220121044A (ko) 2021-02-24 2021-02-24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0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9165B2 (ja) 2014-06-27 2018-06-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昇圧回路、モータ駆動モジュール及び冷凍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9165B2 (ja) 2014-06-27 2018-06-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昇圧回路、モータ駆動モジュール及び冷凍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0420A1 (en) Wireless charger air cooling system
JP5359544B2 (ja) 非接触電力伝達装置、車両および非接触電力伝達システム
US20230075973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7085913A1 (ja) 冷蔵庫
US1163288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fa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2156083A (ja) 車両搭載受電装置
US20120073797A1 (en)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94050A1 (ja) 車両
EP220462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BR112015019149B1 (pt) Sistema de controle de temperatura para veículo
KR20190003114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220121044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170372B2 (ja) 空調装置用送風ユニット
JP2018158644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4271167A (ja) 空気調和装置
JP6085988B2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US20220381441A1 (en) Electric range
JP2009236376A (ja) 空気調和機のデータ表示装置
US11731540B2 (en) Blower for ventilation seat having warm-air-blowing function and vehicular ventilation seat including the same
JP2009283306A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コイルユニット
ES2915836T3 (es) Dispositivo de inducción
US20220386428A1 (en) Electric range
JP3044185U (ja) 車両用マイクロ波検出装置
CN219420341U (zh) 无线充电装置及汽车
CN221597488U (zh) 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