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75A -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75A
KR20220120175A KR1020210023937A KR20210023937A KR20220120175A KR 20220120175 A KR20220120175 A KR 20220120175A KR 1020210023937 A KR1020210023937 A KR 1020210023937A KR 20210023937 A KR20210023937 A KR 20210023937A KR 20220120175 A KR20220120175 A KR 2022012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hishing
server
interlocking
voice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727B1 (ko
Inventor
박민규
이정민
전종현
Original Assignee
박민규
이정민
전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이정민, 전종현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102021002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7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8Security; Fraud detection; Fraud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27Fraud preven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 내용을 녹취해 온라인 서버로 전송하여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기술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비연동식 감지와 연동식 감지를 선택적,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무분별한 통화 녹취 및 업로드를 방지하면서도 높은 정확도로 보이스피싱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이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Voice phishing prevention system through server non-interlocking and interlocking complex detection during smart terminal cal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 내용을 녹취해 온라인 서버로 전송하여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기술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비연동식 감지와 연동식 감지를 선택적,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무분별한 통화 녹취 및 업로드를 방지하면서도 높은 정확도로 보이스피싱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이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산업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인해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관련 피해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은행 및 금융 관련 기업의 정보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금 거래, 송금 등의 행동이 기존보다 쉬워졌는데, 이러한 편리성을 이용하면서 보이스피싱과 같은 신종 경제 범죄가 고도로 지능화되고 있다.
보이스피싱은 음성(voice)과 개인정보(private data) 및 낚시(fishing)을 합성한 신조어로서 주로 전화를 이용한 금융 사기 수법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과 같은 신종 금융 사기 수법도 등장하였다.
주로 보이스피싱은 기관을 사칭하거나 명의를 도용하여 수신자의 개인정보를 유출을 유도하거나 현금을 송금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현존하는 대응책보다 더 체계적이고 정밀한 시스템적인 해결 방안이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려 한다. 하나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미리 수집 및 판별하여 수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에 알려줌으로써 피해를 예방한다. 또 다른 하나는 수신자와 발신자가 통화를 하는 중에 통화 내용 데이터를 여러 방식을 통해 분석하여 보이스피싱으로 감지 및 통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정보가 미리 수집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는 점과 기존 기술들은 통화 데이터의 분석 방법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통화 데이터 분석이 서버와 연동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통화 내용이 녹취되고 전송되는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요소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정보를 알 수 없는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순차적으로 비연동식, 연동식 2단계의 보이스피싱 감지를 실시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무분별한 통화 녹취 및 업로드를 방지해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통화 내용 등을 분석하여 보이스피싱 위험도를 판별하는 것뿐 아니라 전화를 끊고 난 뒤에 일정 시간 동안 금융 앱 실행 시 경고창을 띄움으로써 금융 사기 피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87213(2015.12.28)호 "음성 인식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 voice phishing using speech recognition)"
l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내용을 녹취해 온라인 서버로 전송하여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기술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비연동식 감지와 연동식 감지를 선택적,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무분별한 통화 녹취 및 업로드를 방지하면서도 높은 정확도로 보이스피싱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서버와 연동하지 않는 오프라인 감지 단계에서는 통화 음성 STT(Speech To Text) 또는 성문을 이용하여 단말기 내 보이스피싱 DB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기능, 웨어러블 기기를 연동하여 얻은 심장 박동수 등의 추가 데이터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 통화 시간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어 기존의 보이스피싱 감지 기술보다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이싱 피싱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않으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 연동식 감지 단계로 넘어가지 않기 때문에 원치 않는 통화 녹취 및 전송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은,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과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따라 서버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방지 또는 연동식 보이스피싱 방지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100), 네트워크(200),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100)은, 통화 음성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보이스피싱을 판단하기 위한 DB가 저장된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150); 스마트 단말(100) 상의 통화에 따라 통화 음성과 정보 저장부(150) 상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이스피싱을 판단하는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 및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에 의한 보이스피싱을 판단에 따라 안전모드, 주의 메시지,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하는 터치스크린(1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심장박동 측정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 단말과 통화를 제공하는 송수신부(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은,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송수신부(110)를 통해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통화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네트워크(200)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연동하지 않은 자체적인 서버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를 시작하는 제 2 단계; 및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분석 결과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터치스크린(160)을 통해 주의 메시지 및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생성하고, 안전모드 전환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대기하는 제 5 단계; 및 안전모드 전환버튼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보이스피싱 방지 앱에 대한 [안전모드]로의 진입을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동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서버 연동식 감지를 시작하도록 하는 중계 상태로의 진입을 시작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수신된 전화의 경우 우선 내장된 서버 비연동식 감지 기능을 통해 일차적으로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도와 통화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버 연동식 감지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마트 단말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다양한 탐지 방법을 통해 통화 내용의 서버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분별한 통화 녹취 및 서버 전송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더욱 강력한 탐지가 기능해진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 중 스마트 단말(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 중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의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 중 스마트 단말(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 중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의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1)은 스마트 단말(100), 네트워크(200),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 서버(400) 및 빅데이터 서버(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단말(100)은 보이스피싱을 판단하기 위한 DB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150) 및 서버 비연동식으로 보이스피싱을 탐지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하이브리드 감지부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스마트 단말(100),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 서버(400) 및 빅데이터 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는 도 3과 같이 서버 연동식으로 보이스피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330), 연동 감지 제어부(320) 및 통신부(310)를 포함할 수 잇다.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400)은 네트워크(200)와 스마트 단말(100) 및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보이스피싱 탐지 시 자동 신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0)은 상술한 정보 저장부(150),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외에, 송수신부(110), 음성입출력부(120),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 및 터치스크린(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통화 수신하는 경우, 보이스피싱 방지 앱을 실행시키고 송수신부(110), 음성입출력부(120),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 정보 저장부(150), 및 터치스크린(160)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연동하지 않으면서 보이스피싱을 감지한다.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주의 메시지 및 안전모드 전환버튼을 터치스크린(160)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터치스크린(160) 상에 [주의 메세지 및 안전모드 전환버튼 생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정보 저장부(150)에 사전에 저장된 번호와 걸려온 전화가 매칭되거나, 미리 설정된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이스피싱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지 않고 취소버튼을 누를 경우, 보이스피싱 방지 앱을 종료시키며,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지 않고 30초 무응답 시 안전모드로 자동 전환을 수행한다.
한편,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는 경우 안전모드로 전환하며, [안전모드] 실행에 따라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신을 시작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의해 빅데이터 기반으로 보이스피싱을 감지하여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상단에 파란색 배너가 등장하고, 상기 상단의 파란색 배너 가운데의 시간표시 좌측에 SAFE라는 문구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안전모드] 상에서 금융 앱에 대한 실행이 수행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60) 상으로 주의 메시지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안전모드] 상에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의한 보이스피싱 감지 시 [경고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안전모드 상태에서 보이스피싱이 탐지되어 경고모드로 전환되면, 도 6과 같이 경고모드에서 경고 메시지가 터치스크린(16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경고모드] 상에서 네트워크(200)는 통해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경찰서, 금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 서버(400)로 신고를 접수하고, 음성입출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과 함께 걸려온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로 전송하여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상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실시간 정보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로 할 수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경고모드] 상에서 보이스피싱 감지된 것에 대해서 경고 메시지를 터치스크린(160) 상으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실행 중인 금융 앱에 대해서는 강제 종류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자체적인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되는 상대방 음성과 음성입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에 대해서 STT(음성->텍스트 변환)를 통한 변환된 텍스트에 대한 저장 정보부(150)에 저장된 번호 정보 탐지, 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저장 정보부(150) 상에 사전에 저장된 보이스피싱 DB(텍스트,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뿐만 아니라, 통화 시간을 보이스피싱 위험도 측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통화 시간을 보이스피싱 위험도 측정에 이용시 상대방에서 걸려온 번호에 대해서 저장된 통화 시간과 현재 스마트 단말(100)과의 통화 시간에 대해서 반비례하는 각 가중치를 상술한 저장 정보부(150)에 저장된 번호 정보 탐지, 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에 대한 결과 값에 멀티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정량적 수치를 보이스피싱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현재 통화 시간이 짧을수록 더 가중치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단 요소로, 가중치는 판단하는 시간 증가, 반복적인 판단 등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현재 통화 시간에 대해서 각 구간별, 예를 들어 1분 단위로 통화가 끊기는 경우와 같이, 1분을 넘기지 않은 경우 2분을 넘기지 않은 경우 , ... N분(N은 3 이상의 자연수)을 넘기지 않은 경우 등과 같이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가중치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를 이용해 심장 박동수 등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100)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에 비례하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상술한 저장 정보부(150)에 저장된 번호 정보 탐지, 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에 대한 결과 값에 멀티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종 정량적 수치를 보이스피싱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심장 박동수는 수화자의 긴장 혹은 초조함 정도 등의 감정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요소로, 심장 박동수는 높을수록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통화 되는 음성에 대해서 STT(음성->텍스트 변환)를 통한 단어 탐지 및 비교, 성문(음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저장 후 자체적인 분석 데이터(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데이터,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데이터), 통화 시간, 심장 박동수 등의 대상 정보를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저장된 정보를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로 제공받은 심장 박동수 등 하나 이상의 정보를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의 빅데이터 기반으로 탐지된 결과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통해 받고 제공 정보로 보이스피싱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정보 활용을 통해 보이스피싱 유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서버(500)는 구비된 분석/제어 프로그램 상의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통화 시간 및 심장 박동수를 각각 다른 파라미터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인 분석 데이터(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데이터,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데이터)에 대한 특징 정보 비교를 통해서 보이스피싱 탐지를 정보를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는 통화 시간의 범위 또는 심장 박동수의 범위 내에서 보이스피싱시 등장하는 분석 데이터(보이스피싱 관련 단어 탐지 데이터, 보이스피싱시 자주 쓰이는 음성 주파수에 해당하는 성문(聲紋)에 대한 탐지 데이터의 매칭도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뒤, 스마트 단말(100)의 자체적인 분석에 따른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에서도 매칭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보이스피싱 위험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통화를 수신한다(S11).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연동하지 않은 자체적인 서버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를 시작한다(S12).
단계(S12)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분석한다(S13).
단계(S13)의 분석 결과 임계치 미만인 경우 단계(S15c)로 진행하여 보이스피링 방지 앱을 종료한다. 반대로, 단계(S13)의 분석 결과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60)을 통해 주의 메시지 및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생성하고, 안전모드 전환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대기한다(S14).
단계(S14)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안전모드 전환버튼 입력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S15).
단계(S15)의 판단 결과 안전모드 전환버튼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방지 앱에 대한 [안전모드]로의 진입을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동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서버 연동식 감지를 시작하도록 하는 중계 상태로의 진입을 시작한다(S16).
단계(S16)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상에서 서버 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에 따라 보이스피싱 분석 정보를 수신하도록 대기하는 방식으로 서버 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단계(S17)의 판단 결과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 상에서 서버 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가 수행된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방지 앱에 대한 [경고모드]로의 진입을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 서버(400)로 신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하며 및 통화 내용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로 실시간 업데이트로 전송을 시작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18).
단계(S18)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60) 상으로 경고메시지 출력한다(S19).
한편, 단계(S19)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스마트 단말 사용자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앱에 대한 단계(S11)의 이전 및 이후에 실행 여부를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미도시) 상에 로딩(loading)된 정보를 분석한 판단을 수행한다(S20).
단계(S20)의 판단 결과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금융 액이 실행 상태인 경우 금융 앱에 대한 강제 종료를 제어한다(S21).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계(S15)에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60) 상에 안전모드 전환버튼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출력 가능한 취소 버튼에 대한 입력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S15a).
단계(S15a)의 판단 결과 취소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스마트 단말(100) 사용자의 자율적 의지를 존중하여 보이스피싱 방지 앱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보이스피싱 방지 앱의 로딩(loading) 데이터의 삭제을 수행할 수 있다(S15c).
반면에 단계(S15a)의 판단 결과 취소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는 않는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시간(30초) 이상 터치스크린(160) 상에 무응답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S15b).
단계(S15b)의 판단 결과 무응답 상태인 경우 단계(S16)으로 진행하여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보이스피싱 방지 앱에 대한 [안전모드]로의 진입을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동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서버 연동식 감지를 시작하도록 하는 중계 상태로의 진입을 시작한 뒤, 상술한 단계(S16) 내지 단계(S21)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S15b)의 판단 결과 무응답 상태가 아니면서 취소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단계(S15a)로 진입하여 취소 버튼에 대한 재차 입력 시간 카운팅 시간을 0으로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단계(S19) 이후에 스마트 단말 사용자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앱에 대한 실행 여부를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미도시) 상에 로딩(loading)된 정보를 분석한 판단을 수행한다(S16a).
단계(S16a)의 판단 결과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금융 앱이 실행 상태인 경우 주의메시지를 터치스크리나(160) 상에 출력한 뒤(S16b), 단계(S19)로 진행하여 금융 앱에 대한 계속적인 실행시 강제 종료를 제어한다(S21).
한편, 단계(S19) 이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스마트 단말 사용자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앱에 대한 단계(S11)의 이전 및 이후에 실행 여부를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미도시) 상에 로딩(loading)된 정보를 분석한 판단을 수행한다(S20).
단계(S20)의 판단 결과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는 금융 액이 실행 상태인 경우 금융 앱에 대한 강제 종료를 제어한다(S21).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100 : 스마트 단말
110 : 송수신부
120 : 음성입출력부
130 :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
140 :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150 : 정보 저장부
160 : 터치스크린
200 : 네트워크
300 :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
400 : 관제센터 및 외부기관 서버
5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5)

  1.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과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따라 서버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방지 또는 연동식 보이스피싱 방지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100), 네트워크(200),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100)은,
    통화 음성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보이스피싱을 판단하기 위한 DB가 저장된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150);
    스마트 단말(100) 상의 통화에 따라 통화 음성과 정보 저장부(150) 상의 정보를 비교하여 보이스피싱을 판단하는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 및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에 의한 보이스피싱을 판단에 따라 안전모드, 주의 메시지,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하는 터치스크린(1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심장박동 측정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인터페이스(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 단말과 통화를 제공하는 송수신부(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4.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송수신부(110)를 통해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통화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네트워크(200)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와 연동하지 않은 자체적인 서버 비연동식 보이스피싱 감지를 시작하는 제 2 단계; 및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보이스피싱 위험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분석 결과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터치스크린(160)을 통해 주의 메시지 및 안전모드 전환 버튼을 생성하고, 안전모드 전환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대기하는 제 5 단계; 및
    안전모드 전환버튼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감지 제어부(130)가 보이스피싱 방지 앱에 대한 [안전모드]로의 진입을 통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이스피싱 방지 서버(3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동하여 보이스피싱에 대한 서버 연동식 감지를 시작하도록 하는 중계 상태로의 진입을 시작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방법.
KR1020210023937A 2021-02-23 2021-02-23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KR10247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37A KR102472727B1 (ko) 2021-02-23 2021-02-23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37A KR102472727B1 (ko) 2021-02-23 2021-02-23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75A true KR20220120175A (ko) 2022-08-30
KR102472727B1 KR102472727B1 (ko) 2022-12-01

Family

ID=8311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937A KR102472727B1 (ko) 2021-02-23 2021-02-23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7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696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이용한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70006287A (ko) * 2015-07-07 2017-01-17 (주)티아이스퀘어 보이스 피싱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5082A (ko) * 2017-03-22 2019-10-10 김한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5856A (ko) * 2018-04-30 2019-11-07 중소기업은행 보이스 피싱 분석 방법, 시스템 및 단말
KR102105059B1 (ko) * 2019-06-27 2020-04-27 (주)에스에스알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696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이용한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70006287A (ko) * 2015-07-07 2017-01-17 (주)티아이스퀘어 보이스 피싱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5082A (ko) * 2017-03-22 2019-10-10 김한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5856A (ko) * 2018-04-30 2019-11-07 중소기업은행 보이스 피싱 분석 방법, 시스템 및 단말
KR102105059B1 (ko) * 2019-06-27 2020-04-27 (주)에스에스알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727B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019B2 (en) Bot-based data collection for detecting phone solicitations
US2018008269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reducing false positive voice print matching
CN104580646B (zh) 一种语音留言的传输方法及终端
US20190052751A1 (en) Call Holding Management
CN101313483A (zh) 回音消除的配置
JP6461371B2 (ja) 着信端末の状態分析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これを実現したプログラム
CN10510036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11885270A (zh) 一种异常通信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23714A (ko) 보이스피싱 방지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보이스피싱 방지방법
CN107968767A (zh) 一种多终端通信方法、服务器和第一终端
CN111917813A (zh) 通信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220120175A (ko) 스마트 단말 통화 중 서버 비연동식 및 연동식 복합 감지를 통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CN107846520A (zh) 单通检测方法及装置
CN110225213B (zh) 一种语音通话场景的识别方法以及音频策略服务端
US10757593B2 (en) Identifying the network segment responsible for poor audio quality
US11837235B2 (en) Communication transfer between devices
US20190199858A1 (en)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call evaluation setting method
CN113763137B (zh) 信息推送方法及计算机设备
CN105872990A (zh) 呼叫建立的方法和终端
US92530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reputation of at least one telephone number associated with an unclassified source
KR102018095B1 (ko) 통신 호를 통해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4797A (ko) 금융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01927B1 (en) Context aware transactions
KR100989704B1 (ko) 부재중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시스템
KR102018094B1 (ko) 통신 호를 통한 부가 선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