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69A -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 Google Patents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69A
KR20220120169A KR1020210023924A KR20210023924A KR20220120169A KR 20220120169 A KR20220120169 A KR 20220120169A KR 1020210023924 A KR1020210023924 A KR 1020210023924A KR 20210023924 A KR20210023924 A KR 20210023924A KR 20220120169 A KR20220120169 A KR 2022012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liquid
cylinder
elastic
push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102021002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169A/ko
Publication of KR2022012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23
    • B05B11/307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화장액 용기의 펌프(1)는,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상부는 본체(11)의 내부 중공에 고정되고 하부는 저장 케이스(4)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 통로(L)가 형성되는 흡입관(3)과; 흡입관(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지지관(13)과; 흡입관(3)의 내측에 지지관(13)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고정관(5)과; 고정관(5)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실린더(9)와; 실린더(9)의 내측 및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실린더(9)와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저장 케이스(4)의 화장액의 흡입통로(L)가 되는 보조 실린더(7)와; 실린더(9)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린더(9)를 아래로 가압하는 푸셔(23)와; 푸셔(23)의 하부와 지지관(13)의 내측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눌려진 푸셔(2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라바 구조의 탄성 조립체(17)와; 그리고 푸셔(23)에 구비되어 통로(L)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container for storing cosmetic liquid}
본 발명은 화장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화장액 공급통로상에 자바라 구조의 밸브를 배치하고, 내측 혹은 외측에 탄성 조립체를 배치함으로써 저장된 화장액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펌핑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다.
특히, 샴프와 같은 액상의 화장품은 용기에 충전한 후 외부에서 펌프를 가압하여 샴프를 소량씩 손에 분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액 도포 용기는 푸셔를 눌러서 펌프를 구동시켜서 샴프를 분사하게 되는 바, 푸셔를 가압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일정하지 않아서 불편함이 있다.
특허출원 제2014-69144호(명칭: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의 화장액 공급통로상에 자바라 구조의 밸브를 배치하고, 내측 혹은 외측에 탄성 조립체를 배치함으로써 저장된 화장액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펌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저장 케이스(4)와,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와, 저장 및 상부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1)를 포함하며,
펌프(1)는,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상부는 본체(11)의 내부 중공에 고정되고 하부는 저장 케이스(4)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 통로(L)가 형성되는 흡입관(3)과;
흡입관(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지지관(13)과;
흡입관(3)의 내측에 지지관(13)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고정관(5)과;
고정관(5)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실린더(9)와;
실린더(9)의 내측 및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실린더(9)와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저장 케이스(4)의 화장액의 흡입통로(L)가 되는 보조 실린더(7)와;
실린더(9)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린더(9)를 아래로 가압하는 푸셔(23)와;
푸셔(23)의 하부와 지지관(13)의 내측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눌려진 푸셔(2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라바 구조의 탄성 조립체(17)와; 그리고
푸셔(23)에 구비되어 통로(L)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15)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액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장액을 토출하는 펌프의 구조를 탄성력을 갖는 자바라 구조의 연질체 및 다수의 고리로 개선하였는 바, 연질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가 연속된 구조이고, 다수의 고리는 연질체의 내측 및 외측의 오목부에 상하로 서로 일정 거리 어긋난 상태에서 적층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탄성 조립체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 고리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하측 고리와 상측 고리 사이의 연질체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측 고리는 중량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측 고리가 하측 고리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가 전체적으로 쉽게 원상복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장액을 토출하는 펌프의 구조를 탄성력을 갖는 자바라 구조의 연질체로 개선하는 바, 연질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가 연속된 구조이고, 볼록부의 피크(Peak)에 오목하게 탄성홈이 형성되고, 오목부의 바닥면에 볼록하게 탄성구가 돌출 형성되고, 탄성홈과 탄성구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길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며, 탄성 조립체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의 탄성구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탄성구와 탄성홈 사이의 연질체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탄성홈은 중량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탄성홈이 탄성구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가 쉽게 원상복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분해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바라 구조의 펌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바라 구조의 펌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장액 용기는 사용자가 펌프(1)의 푸셔(23)를 가압하여 액상의 화장액을 일정량씩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액 용기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Pump;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장 케이스(4)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펌프(1)에 의하여 밀폐되고 흡입관(3)만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저장 케이스(4)의 내부에는 화장액이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프와 같은 화장액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케이스(4)의 내부는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으며,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단면을 갖을 수 있다.
그리고, 화장액은 펌프(1)가 구동할 때 펌프(1)의 하부에 돌출된 흡입관(3)을 통하여 펌프(1)의 내부로 흡입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1)는,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상부는 본체(11)의 내부 중공에 고정되고 하부는 저장 케이스(4)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 통로(L)가 형성되는 흡입관(3)과; 흡입관(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지지관(13)과; 흡입관(3)의 내측에 지지관(13)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고정관(5)과; 고정관(5)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실린더(9)와; 실린더(9)의 내측 및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실린더(9)와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저장 케이스(4)의 화장액의 흡입통로(L)가 되는 보조 실린더(7)와; 실린더(9)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린더(9)를 아래로 가압하는 푸셔(23)와; 푸셔(23)의 하부와 지지관(13)의 내측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눌려진 푸셔(2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라바 구조의 탄성 조립체(17)와; 푸셔(23)에 구비되어 통로(L)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펌프(1)에 있어서,
본체(11)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를 상부 케이스에 결합할 때 나사산이 상부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는 흡입관(3)이 결합된다.
즉, 흡입관(3)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G1)이 본체(11)의 중공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G2)에 치합됨으로써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흡입관(3)의 상부 외주면에는 테두리(14)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본체(11)의 상측 테두리(12)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관(3)의 상측은 몸체(43)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흡입관(3)의 상측에는 지지관(13)의 중간부가 결합됨으로써 지지관(13)이 흡입관(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관(13)은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흡입관(3)의 중공과 연통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통로(L)를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관(13)의 외주면 상측에는 결합홈(18)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결합홈(18)은 흡입관(3)의 상측이 결합됨으로써 지지관(13)이 흡입관(3)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관(13)의 내측 바닥에는 일정 높이로 상측으로 돌출된 받침턱(16)이 형성된다. 이 받침턱(16)의 상부에는 탄성 조립체(17)의 하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받침턱(16)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피스톤의 하부턱(26)이 걸림으로써 피스톤의 상승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흡입관(3)의 내측 하부에는 고정관(5)이 장착됨으로써 피스톤의 하강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고정관(5)은 원통형상으로서, 내측에 배치되어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관체(42)와; 내측 관체(42)로부터 외측에 일정 거리(D) 떨어져 배치되며 흡입관(3)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외측 관체(40)를 포함한다.
내측 관체(42)에 형성된 중공은 화장액이 토출되는 통로(L)로서 보조 실린더(7)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에는 실린더(9)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2)이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홈(22)에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9) 및 보조 실린더(7)가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9)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으며, 상측에형성되어 푸셔(23)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턱(24)과; 하측에 형성되어 지지관(13)의 받침턱(16)의 저면에 접촉하는 하부턱(26)과; 하부턱(26)의 저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22)을 포함한다.
따라서, 푸셔(23)를 아래로 가압하는 경우, 실린더(9)는 슬라이딩 홈(22)에 고정관(5)의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아래로 일정거리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9)의 내측에는 보조 실린더(7)가 삽입됨으로써 실린더(9)의 승하강시 같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 실린더(7)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43)와; 몸체(43)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관(5)의 내측 관체(42)와 대응됨으로써 화장액이 공급되는 공급홀(45)과; 몸체(43)의 하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관(5)의 하부와 접촉 혹은 분리됨으로써 화장액이 유입 혹은 차단되는 차단판(44)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실린더(7)는 차단판(44)이 고정관(5)의 내측 관체(42)의 하부와 밀착한 상태에서, 하강하는 경우에는 차단판(44)이 내측 관체(42)의 하부로부터 분리되므로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하여 화장액이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화장액은 공급홀(45)을 통하여 보조 실린더(7)의 내측으로 흡입되며, 토출통로(L)를 통하여 분사구(15)로 공급됨으로써 분사될 수 있다.
한편, 푸셔(23)는 가압된 후 탄성 조립체(17)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조립체(17)는 자바라 구조의 연질체(19)와; 연질체(19)의 주름구역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고리(21,25)를 포함한다.
연질체(19)는 자바라 구조, 즉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55,57)가 연속된 구조이다.
그리고, 연질체(19)의 상부는 푸셔(23)에 연결되고 하부는 지지관(13)의 받침턱(16)에 연결된다. 따라서, 푸셔(23)가 하강할 때, 연질체(19)는 지지관(13)의 받침턱(16)에 지지된 상태로 수축되거나 팽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질체(19)의 내측 및 외측의 오목부(57)에는 다수의 고리(21,25)가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다수의 고리(21,25)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즉, 상측의 고리(21,25)와 하측의 고리(21,25)는 서로 일정 거리(D)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상측고리(21,25)와 하측고리(21,25)는 그 사이에 배치된 연질체(19)를 중심으로 일측단 하부와 타측단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 고리(21)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하측 고리(21)와 상측 고리(25) 사이의 연질체(19)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측 고리(25)는 중량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측 고리(25)가 하측 고리(2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23)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전체적으로 쉽게 원상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조립체(17)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고리(21,25)가 생략되고, 연질체(19)의 구조가 일부 개량된 차이점이 있다.
즉, 연질체(19)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자바라 구조, 즉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55,57)가 연속된 구조이다.
그리고, 볼록부(55)의 피크(Peak)에 오목하게 탄성홈(52)이 형성되고, 오목부(57)의 바닥면에 볼록하게 탄성구(54)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탄성홈(52)과 탄성구(5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길이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의 탄성구(54)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탄성구(54)와 탄성홈(52) 사이의 연질체(19)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탄성홈(52)은 중량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탄성홈(52)이 탄성구(54)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23)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전체적으로 쉽게 원상복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푸셔(23)를 누르게 되면, 푸셔(23)의 내측에 배치된 가압구가 하강함으로써 실린더(9)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실린더(9)가 하강하게 되면, 보조 실린더(7)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탄성 조립체(17)도 실린더(9)의 하강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수축된다.
보조 실린더(7)가 하강함으로써 차단판(44)이 고정관(5)의 내측 관체(42)의 하부와 밀착한 상태에서, 차단판(44)이 내측 관체(42)의 하부로부터 분리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틈새를 통하여 상하부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화장액이 유입되며, 유입된 화장액은 공급홀(45)을 통하여 보조 실린더(7)의 내측으로 흡입되며, 토출통로(L)를 통하여 분사구(15)로 공급됨으로써 분사될 수 있다.
반대로, 푸셔(23)에 작용한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자바라 구조의 탄성 조립체(17)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바, 하측 고리(21)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하측 고리(21)와 상측 고리(25) 사이의 연질체(19)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측 고리(25)는 중량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측 고리(25)가 하측 고리(2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23)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전체적으로 쉽게 원상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화장액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Claims (5)

  1. 화장액이 저장되는 저장 케이스(4)와,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1)를 포함하는 화장액 용기에 있어서,
    펌프(1)는, 저장 케이스(4)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상부는 본체(11)의 내부 중공에 고정되고 하부는 저장 케이스(4)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 통로(L)가 형성되는 흡입관(3)과;
    흡입관(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지지관(13)과;
    흡입관(3)의 내측에 지지관(13)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고정관(5)과;
    고정관(5)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실린더(9)와;
    실린더(9)의 내측 및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실린더(9)와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저장 케이스(4)의 화장액의 흡입통로(L)가 되는 보조 실린더(7)와;
    실린더(9)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린더(9)를 아래로 가압하는 푸셔(23)와;
    푸셔(23)의 하부와 지지관(13)의 내측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눌려진 푸셔(2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자라바 구조의 탄성 조립체(17)와; 그리고
    푸셔(23)에 구비되어 통로(L)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장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15)를 포함하며,
    지지관(13)의 외주면 상측에는 결합홈(18)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결합홈(18)은 흡입관(3)의 상측이 결합됨으로써 지지관(13)이 흡입관(3)의 내측에 고정되며,
    지지관(13)의 내측 바닥에는 일정 높이로 상측으로 돌출된 받침턱(16)이 형성되며 이 받침턱(16)의 상부에는 탄성 조립체(17)의 하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화장액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관(5)은 원통형상으로서, 내측에 배치되어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관체(42)와; 내측 관체(42)로부터 외측에 일정 거리(D) 떨어져 배치되며 흡입관(3)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외측 관체(40)를 포함하며,
    내측 관체(42)에 형성된 중공은 화장액이 토출되는 통로(L)로서 보조 실린더(7)가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에는 실린더(9)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2)이 삽입됨으로써 실린더(9) 및 보조 실린더(7)가 승하강가능한 화장액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9)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으며, 상측에 형성되어 푸셔(23)의 하단이 안착되는 상부턱(24)과; 하측에 형성되어 지지관(13)의 받침턱(16)의 저면에 접촉하는 하부턱(26)과; 하부턱(26)의 저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측 관체(42)의 상부 테두리(2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22)을 포함하며,
    보조 실린더(7)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몸체(43)와; 몸체(43)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관(5)의 내측 관체(42)와 대응됨으로써 화장액이 공급되는 공급홀(45)과; 몸체(43)의 하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관(5)의 하부와 접촉 혹은 분리됨으로써 화장액이 유입 혹은 차단되는 차단판(44)을 포함하는 화장액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조립체(17)는 자바라 구조의 연질체(19)와; 연질체(19)의 주름구역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고리(21,25)를 포함하며,
    연질체(1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55,57)가 연속된 구조이고,
    연질체(19)의 내측 및 외측의 오목부(57)에는 다수의 고리(21,25)가 각각 배치되어 상하로 서로 일정 거리(D) 어긋난 상태에서 적층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탄성 조립체(17)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 고리(21)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하측 고리(21)와 상측 고리(25) 사이의 연질체(19)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상측 고리(25)는 중량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측 고리(25)가 하측 고리(2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23)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전체적으로 원상복귀할 수 있는 화장액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조립체(17)는 연질체(19)를 포함하며, 연질체(1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구역이 형성됨으로써 오목 및 볼록부(55,57)가 연속된 구조이고,
    볼록부(55)의 피크(Peak)에 오목하게 탄성홈(52)이 형성되고, 오목부(57)의 바닥면에 볼록하게 탄성구(54)가 돌출 형성되고, 탄성홈(52)과 탄성구(5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길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며,
    탄성 조립체(17)가 가압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측의 탄성구(54)가 중심점 역할을 하고, 탄성구(54)와 탄성홈(52) 사이의 연질체(19)는 지렛대 역할을 하고, 탄성홈(52)은 중량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탄성홈(52)이 탄성구(54)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반동하게 됨으로써 푸셔(23)가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 조립체(17)가 원상복귀할 수 있는 화장액 용기.
KR1020210023924A 2021-02-23 2021-02-23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KR20220120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24A KR20220120169A (ko) 2021-02-23 2021-02-23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924A KR20220120169A (ko) 2021-02-23 2021-02-23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69A true KR20220120169A (ko) 2022-08-30

Family

ID=8311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924A KR20220120169A (ko) 2021-02-23 2021-02-23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1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144A (ko) 2011-09-13 2014-06-09 히어 아이피 피티와이 엘티디 생체에 적합한 전극 컴포넌트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144A (ko) 2011-09-13 2014-06-09 히어 아이피 피티와이 엘티디 생체에 적합한 전극 컴포넌트 및 그것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440B1 (ko) 화장품용기
JP5714224B2 (ja) ポンプ付き容器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US11523671B2 (en) Cosmetic liquid container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WO2009028810A9 (en) Dispenser receptacle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20220120169A (ko) 자바라 구조의 펌프가 구비된 화장액 용기
KR102304211B1 (ko)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KR200466221Y1 (ko) 화장품용기
KR102462958B1 (ko) 액체 분사 펌프
KR102535161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332102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305802B1 (ko) 펌프캡
KR102140284B1 (ko) 액상 화장품의 미스트 분사기구
JP2011073756A (ja) 反転、折返し底壁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
KR102229912B1 (ko) 화장액 용기
KR20210124871A (ko) 화장품 용기
KR100855445B1 (ko) 좌우대칭의 버튼식 에어리스펌핑구조
KR102111972B1 (ko)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KR20230065453A (ko) 합성수지재 탄성밀착구가 구비된 호스식 스프레이 용기
AU2003241715B2 (en) Dischar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