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69A -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69A
KR20220120069A KR1020210023724A KR20210023724A KR20220120069A KR 20220120069 A KR20220120069 A KR 20220120069A KR 1020210023724 A KR1020210023724 A KR 1020210023724A KR 20210023724 A KR20210023724 A KR 20210023724A KR 20220120069 A KR20220120069 A KR 2022012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us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주
Original Assignee
씨앤피파트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피파트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피파트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069A/ko
Publication of KR2022012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사용자 인증 및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개폐장치 제
어부; 및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하고자 하는 다수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MIN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보안성이 향상되고,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Lightweight mobile electronic entrance gate}
전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이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사용자
인증 및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출입구의 보안 등급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고, 사
용자의 등록 및 삭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RFID, UWB, Bluetooth(이하 RFID 등)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1)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1)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330)
에 인식시켜 출입구를 개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하고자 하는 다수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MIN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보안성이 향상되고,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회사의 경우 직원의 출퇴근 시간 관리 등의 근태 관리가
가능하고, 직원의 입사나 퇴사의 경우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만으로 입사한 직원의 출입을 허용하고, 퇴
사한 직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회사의 일시적인 방문자의 경우에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통해 방문
자의 출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할 수 있고, 출입 지역의 보안 등급을 설정하고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설정된 보안 등급을 확
인하여 보안 등급에 맞는 출입구의 개폐만을 허용할 수 있어 보안 수준을 사용자별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출입구 개폐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00),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이동통신 장비(3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출입구 개폐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개폐장치 제어부(320),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320)의 명령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구 개폐
장치(330) 및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320)에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3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에서부터 PDA,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화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말하며, 출입구 개폐 요청 신호(350)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출입구 개폐 요청 신호(350)는 출입구 개폐 요청 번호(351), 출입구 식별 번호(352) 및 비밀번호(353)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입구 개폐
장치에 인식시키는 단계; 상기 인식에 따라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읽
어들이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 정보를 개폐장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폐
장치 제어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단계;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출입구 개폐장
치로 출입구 개폐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구 개폐 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가 출입구를 개폐하는 단
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가 관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출입구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출
입구 개폐 시스템은 열쇠부(100), 상기 열쇠부(100)를 인식하여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출입구 개폐장치(110) 및 상기 출입
구 개폐장치(110)를 제어하는 개폐장치 제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쇠부(100)는 전통적인 기계적 열쇠, 디지털 도어록에 사용되는 자석 열쇠, 전자태그(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 내장된 단말기(102)나 ID tag(10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110)는 상기 열쇠부(100)을 인식하는 장치를 구비하며, 출입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120)는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11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110)에 인식된 상
기 열쇠부(100)의 정보를 바탕으로 출입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110)로 출입구 개폐 신호를 전
송하게 되고, 상기 출입구 개폐장치(110)는 상기 출입구 개폐 신호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시키게 된다.

Claims (1)

  1.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출입구 개폐장
    치를 제어하는 개폐장치 제어부; 및
    상기 개폐장치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KR1020210023724A 2021-02-22 2021-02-22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KR20220120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24A KR20220120069A (ko) 2021-02-22 2021-02-22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24A KR20220120069A (ko) 2021-02-22 2021-02-22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69A true KR20220120069A (ko) 2022-08-30

Family

ID=8311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24A KR20220120069A (ko) 2021-02-22 2021-02-22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0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86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5471533B2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CN106097495A (zh) 一种智能声控声纹人脸认证门禁控制系统及方法
KR101554959B1 (ko) 고유키 상호교환으로 생성된 기간제 출입키를 이용한 방문자 출입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373237A (zh) 一种基于微信的远程控制门禁系统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CN113678177B (zh) 安全性增强门锁及利用该门锁的进出门安全管理系统
KR20170111804A (ko) 출입보안 시스템
KR20160005863A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CN205880945U (zh) 一种智能声控声纹人脸认证门禁控制系统
JP6218671B2 (ja) 自動ドアの電子錠制御システム
KR101979340B1 (ko) 스마트글라스와 위치센서 인식 기술을 이용한 원격 IoT 시건장치
US20100289616A1 (en) Movable barrier system adapted to utilize biometric technology to identify and authorize access to premises
KR20220120069A (ko) 이동가능한 경량식 전자출입 게이트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KR102108346B1 (ko) 시간제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JP434430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8025278A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CN110930564B (zh) 一种多路门禁联合识别方法及系统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