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18A - rivet screw drill - Google Patents

rivet screw d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18A
KR20220120018A KR1020210023622A KR20210023622A KR20220120018A KR 20220120018 A KR20220120018 A KR 20220120018A KR 1020210023622 A KR1020210023622 A KR 1020210023622A KR 20210023622 A KR20210023622 A KR 20210023622A KR 20220120018 A KR20220120018 A KR 2022012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ing
tapping
screw drill
rivet screw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0649B1 (en
Inventor
박병학
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2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649B1/en
Publication of KR2022012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10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 F16B25/103Screws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to thread-forming, e.g. drill screws or self-piercing screws by means of a drilling screw-point, i.e. with a cutting and material remov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6Solid rivets made in one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16B23/003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star-shaped or multi-lobular, e.g. Torx-type, twelve-point st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1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ody into which the screw is screwed
    • F16B25/0021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ody into which the screw is screwed the material being metal, e.g. sheet-metal or 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To improve bearing performance through a double bear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ivet screw drill for piercing and tapping a base material, comprising: a burring part, which includes a first burring part which is connected to a cutting edge part which is rotationally pressed against the material and has a round-shaped outer profile in section, and a second burring part which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urring part and has a round-shaped outer profile in section discontinuous with the first burring part, and which has a heat generation relief groove form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and the second burring part; a tapping part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rring part and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or tapp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hole formed in the material; and a head part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apping part,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and allows for the selective mounting of a coupling tool for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 on the upper portion.

Description

리벳 스크류 드릴{rivet screw drill}rivet screw drill

본 발명은 리벳 스크류 드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버링구조로 버링성능이 개선되는 리벳 스크류 드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vet screw dr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vet screw drill having improved burring performance with a double burr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모재, 예를 들면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의 판재, 시트류, 및 불특정 형상물을 접합하여 각종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는 볼트와 너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서로 겹쳐진 모재들을 기계적으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a method of forming various structures by joining a plurality of base materials, for example, metal or non-metallic plates, sheets, and unspecified shapes, the superimposed base materials are mechanically formed using fastening elements such as bolts, nuts, and rivets. The method of joining is used.

여기서, 리벳을 이용한 기계적인 접합 방식은 접합하고자 하는 모재들에 드릴링 작업을 통해 구멍을 형성시키고, 그 구멍에 리벳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리벳을 소성 변형시키며 모재들을 체결할 수 있다.Here, in the mechanical bonding method using a rivet, a hole is formed in the base materials to be joined through a drilling operation, and the rivet is plastically deformed while the rivet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base materials can be fastened.

그리고, 다른 방식의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는 복수 개의 모재를 홀 가공한 후, 블라인드 리벳 접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nd, as another mechanical bonding method, a method of blind riveting after hole processing a plurality of base materials is generally used.

한편,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폐단면 이종재료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모재 간의 용융 온도가 상이하여 이종재료를 접합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설계 자유도 측면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onding dissimilar materials with closed cross-sections such as aluminum or steel, there was a limitation in bonding dissimilar materials due to different melting temperatures between the base materials,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erms of design freedom.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FDS(Flow Drill Screw) 라고 하는 체결 요소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모재를 접합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 요소는 당 업계에서 마찰 교반 방식의 리벳이라고도 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recently, a plurality of base materials are joined using a fastening element called FDS (Flow Drill Screw). Such fastening elements are also referred to in the art as friction stir rivets.

여기서, 예컨대 FDS의 체결 요소는 가압/회전장치에 장착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나사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모재를 천공하는 천공부를 구비하고 있다.Here, for example, the fastening element of the FDS includes a head part mounted to the pressing/rotating device, a screw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art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erforation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crew part and perforating the base material. are doing

이러한 FDS의 체결 요소를 이용한 접합 방식은 가압/회전장치에 헤드부를 장착하고, 천공부를 서로 겹쳐진 모재들 상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압/회전장치를 통해 헤드부를 가압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FDS 체결 요소는 천공부의 마찰에 의해 모재들에 홀을 형성하며, 나사부를 통해 모재들을 스크류 체결함으로써 모재들을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The bonding method using the fastening element of the FDS can rotate the head while pressing the head through the pressing/rota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mounted on the pressing/rotating device, and the perfora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superimposed base materials. Accordingly, the FDS fastening element may form holes in the base materials by friction of the perforations, and may integrally bond the base materials by screwing the base materials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블라인드 접합 방식은 접합하고자 하는 모재에 프리 홀을 가공해야 하고, 또한 FDS의 체결 요소를 이용한 접합 방식은 고장력강의 모재를 접합할 경우 그 모재에 대한 FDS 체결 요소의 피어싱 능력이 제한되어 모재에 프리홀을 가공한 후에 FDS 체결 요소로 모재를 접합했다. However, the blind joi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requires processing a free hole in the base material to be joined, and in the joining method using the FDS fastening element, when the base material of high tensile steel is joined, the piercing ability of the FDS fastening element to the base material is reduced. After a free hole was machined in the base material as it was limited, the base material was joined with an FDS fastening element.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계적인 접합 방식들의 경우 모재에 프리홀을 별도로 천공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공정 추가로 인해 홀 가공비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bonding methods as described above, since a process for separately drilling a free hole in the base material is added, hole processing cost may be add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are lowered. there was.

또한, 종래에는 FDS 체결 요소의 버링되는 부분의 반경이 나사산이 탭핑되는 부분의 반경보다 작음으로 인해 모재에 탭핑되어 형성되는 나사산의 면적 및 형성 각도 등이 균일하지 않아 제품의 정밀도가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because the radius of the burring part of the FDS fastening element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part where the thread is tapped, the area and the formation angle of the thread formed by tapping on the base material are not uniform, so the precision of the product is slightly lowered. there was

더욱이, 종래의 FDS 체결 요소는 둘 이상의 모재에 천공을 형성하는 경우 첫번째 모재를 버링시 버링되는 부분이 과도한 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면 두번째 모재를 버링할 수 없게 되어 버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forming a perforation in two or more base materials in the conventional FDS fastening element, when deformation and damage occur as the burring part is heated by excessive heat when burring the first base material, it is impossible to burr the second base material, so the burring performance is lowered There was a problem being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251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514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 버링구조로 버링성능이 개선되는 리벳 스크류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vet screw drill having improved burring performance with a double burring structur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재를 피어싱 및 탭핑하기 위한 리벳 스크류 드릴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회전 가압되는 첨단부에 연결되되 단면이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1버링부와, 상기 제1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단면이 상기 제1버링부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2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발열도피홈이 형성되는 버링부; 상기 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면에 상기 모재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주를 탭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탭핑부; 및 상기 탭핑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탭핑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부에 왕복이동 및 회전을 위한 접합툴이 선택적으로 마운팅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vet screw drill for piercing and tapping a base material, a first burring part connected to a tip that is rotationally pressed to the base material and formed in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in cross section, and a second burring part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urring part and having a cross-section formed in a discontinuously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first burring part, and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and the second burring part a burring portion in which a heat escape groove is formed; a tapp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rring part and having a thread for tapp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And it provides a rivet screw drill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tapping part, the rivet screw drill including a head part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and selectively mounting a joint tool for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 on the upper part.

또한, 본 발명은 모재를 피어싱 및 탭핑하기 위한 리벳 스크류 드릴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회전 가압되는 첨단부에 연결되되 단면이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을 갖는 제1곡률반경을 따라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1버링부와, 상기 제1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면이 상기 제1버링부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크며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을 갖는 제2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발열도피홈이 형성되는 버링부; 상기 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면에 상기 모재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주를 탭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탭핑부; 및 상기 탭핑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탭핑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부에 왕복이동 및 회전을 위한 접합툴이 선택적으로 마운팅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vet screw drill for piercing and tapping the base material, the center of rotation is connected to the tip that is rotationally pressed to the base material and the cross section is arrang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in the horizontal line. A first burring portion formed in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alo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having a first burr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formed in a discontinuously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first burring portion in cross section. It is larg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includes a second burring portion formed alo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having a center of rotation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in a radial direction outward on a horizontal line,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a burring part in which a heat escape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burring parts; a tapp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rring part and having a thread for tapp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And it provides a rivet screw drill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tapping part, the rivet screw drill including a head part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and selectively mounting a joint tool for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 on the upper par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모재에 천공이 1차로 피어싱된 후 2단 라운드 구조의 버링부를 통해 천공이 확장되되 제1버링부 및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발열도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버링부 및 제2버링부와 모재 간의 접촉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어 체결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the perforation is first pierced in the base material, and then the perforation is expanded through the burring part of the two-stage round structu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and the second burring part and the base material is substantially increased, so that fastening strength and durability may be improved.

둘째, 마찰열 냉각을 위한 발열도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제1버링부 및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형성되어 피어싱 과정에서 과열에 따른 버링부의 변형이 예방되므로 피어싱 성능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Second, the heat escape groove for frictional heat cooling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rring part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urring part due to overheating during the piercing process, so that the pierc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ave.

셋째, 제1곡률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버링부가 모재를 피어싱한 이후에 제1버링부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제2곡률반경의 제2버링부가 모재의 천공을 확장시키는 2단 구조로 피어싱 초기의 마찰열이 저감되며 모재의 천공에 형성되는 탭핑나사산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Third, after the first burring part formed to be rounded with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pierces the base material, the second burring part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formed as a discontinuously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first burring part expands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The short structure reduces frictional heat at the initial stage of piercing, and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the tapping screw thread formed in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can be improved.

넷째, 안착단턱의 내측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 함몰 형성된 경화안내홈에 용융코팅부의 상부가 회전 마찰력에 의해 용융된 후 경화되어 형합되고 하부가 안착단턱의 하면과 모재 사이에 밀착 결합되므로 갈바닉 부식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coating part is melted by the rotational friction force in the hardening guide groove that is recesse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step, and then hardened and formed, and the lower part is closely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step and the base material, so galvanic corrosion As this is minimized,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ivet screw drill according to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버링부(110), 탭핑부(120), 그리고 헤드부(130)를 포함한다. 1 to 4 , the rivet screw dril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ring part 110 , a tapping part 120 , and a head part 130 .

여기서,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모재(미도시)를 피어싱 및 탭핑하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 요소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차체용 패널들을 일체로 접합하는 차체 조립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재(미도시)는 차체용 패널을 포함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차체용 멤버 및 프레임 등과 같은 각종 차체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fastening element provided for piercing and tapping at least two or more base materials (not shown). In addition, the rivet screw drill 200 may be applied to a vehicle body assembly process of integrally bonding panels for a vehicle body. 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ncluding a body panel, and may include various body structures such as body members and fra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상기 모재(미도시)의 재질보다 고강도의 하이스강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재(미도시)는 알루미늄 시트, 스틸 강판 등의 금속 시트재로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합소재, 플라스틱, 고무 등과 같은 비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모재(미도시)는 상호간 동일한 동종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간 상이한 이종 재질의 판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ivet screw drill 200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high-strength steel,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a metal sheet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sheet or a steel sheet. may be provided, and in some cases, may be provided with a non-metal material such as a composite material, plastic, rubber, or the like. Moreover,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of the same kind to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as a plate material of different materials.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폐단면의 동종 또는 이종 재료를 포함하는 모재(미도시)를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 접합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상호간 겹쳐진 적어도 둘 이상의 모재(미도시)를 마찰 및 소성 변형 등의 기계적인 접합 방식으로 고상 접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 요소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모재(미도시)에 별도의 프리홀 가공이 요구되지 않으며, 모재(미도시)를 피어싱하여 천공을 형성하고 탭핑하는 체결 요소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base material (not shown) including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of the closed cross-section is joined by a mechanical bon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the rivet screw dril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derstood as a fastening element provided for solid-state bonding of at least two or more base materials (not shown) overlapping each other through mechanical bonding methods such as friction and plastic deformation. This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rivet screw dril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ree hole processing i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a fastening element that pierce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o form a perforation and tap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한편, 상기 버링부(110)는 상기 모재(미도시)에 회전 가압되는 첨단부(111)에 연결되되 단면이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1버링부(112)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버링부(112)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2버링부(11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urr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tip part 111 that is rotationally pressed to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has a first burring part 112 formed in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and the first burring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burring part 113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112 and formed in a discontinuously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first burring part 112 .

여기서, 상기 첨단부(111)는 상기 모재(미도시)를 피어싱 하도록 상기 버링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0.1~0.3mm-1의 곡률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단부(111) 및 가상의 회전중심 사이의 간격(a1)이 상술된 곡률반경으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첨단부(111)의 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첨단부(111)의 최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버링부(112)측으로 0.1~0.3mm 만큼 상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첨단부(111)는 첨예한 형태로 상기 제1버링부(112)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tip part 1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rring part 110 to pierce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may be formed to be round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0.1 to 0.3 mm -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distance a1 between the tip 111 and the virtual center of rotation is formed with the above-mentione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ip 111 is the tip 111 )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by 0.1 to 0.3 mm from the lowermost end to the first burring part 112 side. Of course, in some cases, the tip part 11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in a sharp shape.

그리고, 상기 첨단부(111) 및 상기 제1버링부(112)는 상기 첨단부(111)에 의해 피어싱된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이 상기 버링부(110)의 회전 가압에 따라 확장되도록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전체적인 형상이 원뿔 형태에 근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tip part 111 and the first burring part 112 so that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pierced by the tip part 111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ressure of the burring part 110 .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be round, but the overall shape may be formed in a shape close to the conical shape.

이에 따라, 상기 첨단부(111)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고속으로 회전 가압하면 상기 첨단부(111) 및 상기 모재(미도시) 간에 마찰열이 발생됨에 따라 천공이 피어싱되며, 상기 천공이 상기 제1버링부(112)에 의해 마찰 절삭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점차 확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ip part 111 rotationally presse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t high speed, the perforation is pierced as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between the tip part 111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the perforation is the It is friction-cut by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may be gradually expand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제1버링부(112)는 상기 첨단부(11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버링부(112)는 상측으로 갈수록 기설정된 제1곡률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버링부(112)는 외면 프로파일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p portion 111 to the upper 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formed to be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first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formed to be round in a convex shape with an outer surface profil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버링부(113)는 상기 제1버링부(1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제2곡률반경으로 직경이 증가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diameter increases with a predetermined second radius of curvatu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be round. do.

여기서,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의 외주는 기설정된 제1곡률반경 및 제2곡률반경으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버링부는 단면 프로파일이 제1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버링부는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formed to be rounded with a preset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and the first burring part has a cross-sectional profile. It is formed alo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alo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버링부(112)의 제1곡률반경은 9.0~9.4mm-1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버링부(112)의 라운드진 외면 및 제1곡률반경의 회전중심 사이의 간격(r1)이 상기 제1곡률반경에 대응되어 9.0~9.4mm로 설정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formed to be round to 9.0 to 9.4 mm -1 ,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the first burring part 112 . ) may be virtually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on a horizontal lin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 Here, the distance r1 between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may be set to 9.0 to 9.4 mm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이때, 상기 제1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가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버링부(112)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원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may be virtually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on a horizontal lin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 Correspondingly,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ular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burring part 110 .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버링부(113)의 제2곡률반경은 19.2~19.8mm-1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버링부(112)의 라운드진 외면 및 제2곡률반경의 회전중심 사이의 간격(r2)이 상기 제2곡률반경에 대응되어 19.2~19.8mm로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formed to be round to 19.2 to 19.8 mm -1 ,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 may be virtually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on a horizontal lin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 Here, the interval r2 between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2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be set to 19.2 to 19.8 m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이때, 상기 제2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가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버링부(113)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원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be virtually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on a horizontal lin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Correspondingly,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ular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burring part 110 .

또한, 상기 제1버링부(112)의 제1곡률반경과 상기 제2버링부(113)의 제2곡률반경 간의 비율은 1:2.11~2.13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제1곡률반경이 9.2mm-1로 설정되고, 상기 제2버링부(113)의 제2곡률반경이 19.5mm-1로 형성되며, 상기 첨단부(111)의 곡률반경이 0.2mm-1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ratio betwee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may be set to 1:2.11 to 2.13. For example,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set to 9.2mm -1 ,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formed to be 19.5mm -1 , and the tip ( 111) may be set to a radius of curvature of 0.2 mm -1 .

즉,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의 외면 경계부측이 불연속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상기 버링부(110)가 2단 라운드 구조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의 경계부측은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의 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outer boundary sid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discontinuously and clearly separated so that the burring part 110 is formed in a two-stage round structure. And, the boundary side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relatively circumferential compar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formed in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ncavely concave in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이때, 상기 첨단부(111) 및 상기 제1버링부(112)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에 형성된 천공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소 외경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대 외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s the first burring part 112 so that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by the tip part 111 and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expanded. )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outer diameter.

상세히,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의 경계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대 외경이 인접한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소 외경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positioned on the boundary side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113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adjacent second burring portion 113 . It is preferably formed by

이에 따라, 상기 첨단부(111) 및 상기 제1버링부(112)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회전 가압함에 따라 마찰열에 의해 천공이 형성된 후 상기 제1버링부(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기 제2버링부(113)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p part 111 and the first burring part 112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fter the perforation is formed by frictional heat a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rotated and pressed.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extended radially outward by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그리고, 상기 제1버링부(113)의 최대 외경은 상기 탭핑부(12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천공의 내주에 탭핑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탭핑부(120)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최대 외경으로 형성된 상기 제1버링부(113)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이 확장되므로 탭핑나사산의 형성 면적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정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3 is preferably formed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apping portion (120). Through this,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by the first burring portion 113 formed with a maximum outer diameter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apping portion 120 for forming a tapping screw threa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As it is expanded, the forming area of the tapping screw thread is increased, so that the precis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상단측 최대 외경부와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상단측 최대 외경부 간의 직경 비율은 1:1.41~1.43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iameter ratio between the uppermost maximum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and the uppermost maximum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113 may be set to 1:1.41 to 1.43.

예컨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대 외경부 직경(m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소 외경부 직경이 3.1mm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대 외경부의 직경(m1)이 4.4mm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outer diameter (m2)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and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113 are set to 3.1mm,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113 The diameter m1 of the part may be set to 4.4 mm.

그리고, 상기 제1버링부(112)와 상기 제2버링부(113)의 길이방향 각 길이 간의 비율은 1:1.18~1.20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버링부(112)의 길이방향 길이(k1)가 4.2mm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2버링부(113)의 길이방향 길이(k2)가 5.0mm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ratio between each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may be set to 1:1.18 to 1.20. For example, when the longitudinal length k1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set to 4.2 mm, the longitudinal length k2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may be set to 5.0 mm.

이에 따라, 상기 탭핑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 및 제1곡률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제1버링부(112)에 의해 적은 마찰열이 발생되며 상기 모재(미도시)가 1차적으로 피어싱될 수 있다. Accordingly, less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by the first burring part 112 formed to be round with a relatively small outer diameter and a first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the tapping part 120,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primarily pierced. can be

이어서, 상기 탭핑부(120)의 외경에 대응되되 제1곡률반경보다 큰 제2곡률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버링부(112)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제2버링부(113)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이 확장될 수 있다. Then, the second burring portion ( 113),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expanded.

따라서, 2단 피어싱 구조로 상기 모재(미도시)의 피어싱 초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저감되며 피어싱 성능이 현저히 개선됨에 따라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에 형성되는 탭핑나사산의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with the two-stage piercing structure,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initial process of piercing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reduced, and as the piercing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the tapping screw thread formed in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improved. can

더욱이, 상기 첨단부(111)에 의해 천공시키고자 하는 상기 모재(미도시)의 정확한 위치에 1차로 천공이 피어싱된 이후에 2단 라운드 구조의 상기 버링부(110)를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천공이 확장되므로 상기 탭핑부(120)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 내주에 형성되는 탭핑나사산의 면적 및 형성 각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정밀한 탭핑나사산의 제조가 가능하다.Furthermore, after the first perforation is pierced at the exact posi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o be perforated by the tip 111, the perforation is radially outwardly through the burring unit 110 of the two-stage round structure. Since this is expanded, the area and the formation angle of the tapping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by the tapping part 120 are uniformly formed, so that a precise tapping screw thread can be manufactur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술된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각 설정 비율에 관계없이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이 제조될 수도 있으나, 상술된 각 설정 비율에 따라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이 제조되는 경우에 피어싱이 최적화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rivet screw drill 200 may be manufactured regardless of each setting ratio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iercing is optimized when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manufactured.

한편,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를 포함하는 상기 버링부(110)의 외주에는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발열도피홈(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버링부(110)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피어싱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열도피홈(114)에 상기 모재(미도시)로부터 절삭된 절삭물이 일시적으로 유입되고 배출될 수도 있다.Meanwhi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ring part 110 including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formed in the area. Here, the cutting material cut from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temporarily introduced and discharged into the heat escape groove 114 while the burring part 110 pierce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여기서, 상기 발열도피홈(114)은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열도피홈(114)은 링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버링부(112)의 상단과 상기 제2버링부(113)의 하단은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상하방향 폭(m3)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continuously de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That is,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preferably recessed in a ring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width m3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 .

그리고, 상기 발열도피홈(114)은 상기 버링부(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버링부(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recessed to a preset dep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set wid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

상세히,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반경방향 함몰깊이(m4)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대 외경부의 직경(m2) 간의 비율이 1:15.4~15.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반경방향 함몰깊이(m4)와 상기 제2버링부(113)의 최소 외경부 직경 간의 비율이 1:15.4~15.6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ratio between the radial depression depth (m4)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and the diameter (m2) of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may be set to 1:15.4 to 15.6. In addition, the ratio between the radial dent depth (m4)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and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may be set to 1:15.4 to 15.6.

예컨대, 상기 제1버링부(112)의 최대 외경부의 직경(m2)이 3.1mm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반경방향 깊이(m4)가 0.2mm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m2 of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is set to 3.1mm, the radial depth m4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may be set to 0.2mm.

또한,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상하방향 폭(m3)과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 간의 비율이 1:11.1~14.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라 함은 상기 첨단부(111)의 하단에서 상기 제2버링부(113)의 상단 사이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ratio between the vertical width m3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and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may be set to 1:11.1 to 14.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burring part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ip part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예컨대,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가 10.0mm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상하방향 폭(m3)이 0.8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버링부(112)의 길이방향 길이(k1)가 4.2m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버링부(113)의 길이방향 길이(k2)가 5.0mm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is set to 10.0 mm, the vertical width m3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may be set to 0.8 mm.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length k1 of the first burring part 112 may be set to 4.2 mm, and the longitudinal length k2 of the second burring part 113 may be set to 5.0 mm.

여기서,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반경방향 함몰깊이(m4) 및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상하방향 폭(m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술된 비율보다 작게, 즉,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기설정된 함몰깊이 및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버링부(110)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회전 가압시 발생되는 마찰열의 시간당 발열량이 저하되어 상기 버링부(11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radial depression depth m4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and the vertical width m3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ratio, that is, the heat escape groove ( 114)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t least any one of the preset depression depth and the burring part 110 is reduced in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per hour of frictional heat generated whe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rotated and pressed by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burring part 110 is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반면,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반경방향 함몰깊이(m4) 및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상하방향 폭(m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술된 비율보다 크게, 즉,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기설정된 함몰깊이 및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버링부(110)의 피어싱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radial depth m4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and the vertical width m3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greater than the above-mentioned ratio, that is, the heat escape groove ( 11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t least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depression depth and width, there is a fear that the piercing performance of the burring portion 110 is reduced.

따라서,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기설정된 반경방향 함몰깊이(m4) 및 상하방향 폭(m3)으로 설정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버링부(110)의 피어싱 성능 및 발열 성능간의 균형이 최적화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radial depression depth (m4) and a vertical width (m3), the balance between the piercing performance and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burring part 110 can be optimized. have.

이에 따라, 상기 모재(미도시)가 2단 라운드 구조의 상기 버링부(110)에 의해 회전 가압되어 피어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이 상기 버링부(110)의 외주에 상기 모재(미도시)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도록 함몰된 상기 발열도피홈(114)에 의해 저감됨에 따라 상기 버링부(110)의 과열에 따른 변형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역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발열도피홈(114)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와의 유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발열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frictional heat generated while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rotationally pressed and pierced by the burring part 110 of the two-stage round structure is gener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rring part 110 with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s the contact area is reduced by the heat escape groove 114 recessed to reduce the deformation due to overheating of the burring part 110 is prevented in advance,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That is, a clearance space with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formed by the heat escape groove 114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As it is formed, the contact area is reduced, so that heat gen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 또는 사선 형태로 도피홈이 형성되던 종래에 비해 피어싱 성능이 개선되면서도 이와 동시에 발열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it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While the piercing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escape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blique line,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상세히,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 또는 사선 형태로 도피홈이 형성되던 종래의 경우에는, 버링부가 모재를 회전 가압시 접촉면이 감소됨에 따라 피어싱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때, 버링부와 모재 간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피홈의 면적이 감소되면 회전 가압시 발생되는 마찰열이 신속하게 냉각되지 못하여 버링부가 변형됨에 따른 피어싱 성능 저하 우려가 있다.In detail, in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escape groove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or obliqu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pierc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as the contact surface is reduced when the burring unit rotates and presses the base material. At this time, if the area of the escape groove is reduc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urring part and the base material, frictional heat generated during rotational pressing cannot be cooled quickly, so that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piercing performanc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burring par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탭핑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 및 제1곡률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제1버링부(112)에 의해 적은 마찰열이 발생되며 상기 모재(미도시)가 1차적으로 피어싱된 후 상기 발열도피홈(114)에 의해 상기 버링부(110)가 냉각 되면서 상기 제2버링부(113)에 의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이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ss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by the first burring part 112 formed to be round with a relatively small outer diameter and a first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the tapping part 120, and the heat generation after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pierced primarily As the burring part 110 is cooled by the escape groove 114 ,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stably expanded by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즉,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와 상기 모재(미도시) 간의 접촉면적은 실질적으로 유지되면서도 마찰열 냉각을 위한 상기 발열도피홈(114)의 형성 위치가 확보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locat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are located. )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while maintaining substantial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heat escape groove 114 for frictional heat cooling can be secured.

따라서, 같이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버링부(110)의 피어싱 성능 및 발열 성능간의 균형이 최적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heat escape groove 114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the piercing of the burring part 110 is similar. By optimizing the balance between performance and thermal performanc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모재(미도시)에 천공이 1차로 피어싱된 후 2단 라운드 구조의 상기 버링부(110)를 통해 천공이 확장되되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와 모재(미도시) 간의 접촉면적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어 체결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perforation is first pierced i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he perforation is extended through the burring part 110 having a two-stage round structure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 As the heat escape groove 114 in the boundary reg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compared to the related art. This can be substantially increased to improve the fastening strength and durability.

이와 동시에, 마찰열 냉각을 위한 상기 발열도피홈(114)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버링부(112) 및 상기 제2버링부(113) 간의 경계영역에 형성되어 피어싱 과정에서 과열에 따른 상기 버링부(110)의 변형이 예방되므로 피어싱 성능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heat escape groove 114 for frictional heat cooling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art 112 and the second burring part 11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urr caused by overheating in the piercing process. Since deformation of the ring part 110 is prevented, pierc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may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탭핑부(120)는 상기 버링부(1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면에 상기 모재(미도시)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주를 탭핑하는 나사산(1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apping part 1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rring part 110, and a thread 121 for tapp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버링부(110)와 상기 탭핑부(120)의 길이방향 길이 비율, 즉,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와 상기 탭핑부(12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7) 간의 비율은 1:1.16~1.18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가 10.0mm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탭핑부(12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7)가 11.7mm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length ratio of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tapping part 120, that is,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tot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120 ( The ratio between k7) may be set to 1:1.16 to 1.18. For example, when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is set to 10.0 mm, the total length k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120 may be set to 11.7 mm.

여기서,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가 길수록 상기 버링부(110)가 동일한 두께의 상기 모재(미도시)를 피어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의 발열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핑부(12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7)는 기설정 두께의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모재(미도시)에 탭핑나나산을 형성하기 위해 기설정 길이 이상의 길이가 요구될 수 있다. Here, as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is longer, the heating rate of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burring part 110 piercing the base material (not shown) of the same thickness can be improved. . In addition, the total length k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120 may be requir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ngth in order to form a tapping thread 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base materials (not shown) of a preset thickness.

이때, 상기 버링부(11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3)와 상기 탭핑부(120)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k7) 간의 비율이 1:1.16~1.18로 설정됨에 따라 발열속도 및 탭핑나사산 형성의 상이한 기능 제공을 위한 최적화된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ratio between the total length k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total length k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ping part 120 is set to 1:1.16 to 1.18, the rate of heat gener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tapping screw thread It can be formed in an optimized ratio to provide different functions.

그리고, 상기 탭핑부(120)의 나사산(121) 중 하부에 형성된 제1나사산(121a)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탭핑부 상부에 형성된 제2나사산(121b)의 길이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first screw thread 121a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thread 121 of the tapping part 120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tapping part. .

여기서, 상기 나사산(121)은 상기 탭핑부(120)의 외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탭핑부(120)의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나사산(121)의 길이방향 폭이 감소되고 각 나사산(121) 간의 간격이 감소될 수도 있다.Here, the screw thread 121 may be formed to be continuously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apping part 120 , and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screw thread 121 de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tapping part 120 . and the spacing between the respective threads 121 may be reduced.

상세히, 상기 제2나사산(121b)은 상기 버링부(110)에 의해 천공된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 내주에 실질적으로 스크류 체결되도록 상기 버링부(110) 및 상기 헤드부(130) 사이에 형성된 상기 탭핑부(120)의 외주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is between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head part 130 so as to be screw-fastened substantially to the perforated inner periphery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punched by the burring part 110 .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ormed tapping part 120 .

그리고, 상기 제1나사산(121a)은 상기 버링부(110)에 의해 천공된 모재(미도시)의 천공 내주에 제2나사산(121b)이 스크류 체결되기 전에 상기 천공을 지지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나사산(121b)과 상기 버링부(110) 사이의 상기 탬핑부(120) 외주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crew thread 121a supports the perforation before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is screw-fasten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perforated by the burring part 110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mping part 120 between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and the burring part 110 .

여기서, 상기 제1나사산(121a)은 제2나사산(121b)의 나삿니들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나삿니들을 가지며, 상기 제1나사산(121a) 나삿니의 치 단면적이 제2나사산(121b)의 나삿니 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crew thread 121a has relatively fewer threads than the threads of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and the too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crew thread 121a threa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can be formed large.

또한, 상기 제2나사산(121b)은 삼각형 단면 형상의 나삿니들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121a)은 상기 제2나사산(121b) 보다 완만한 라운드진 단면 형상의 나삿니들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may be formed of threads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first screw thread 121a may be formed of threads having a rounder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smoother than that of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

여기서, 후술되는 접합툴(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 및 회전력을 통해 상기 버링부(110)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회전 가압하여 피어싱한 이후 상기 탭핑부(120)의 제1나사산(121a)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 내주를 따라 회전 가압되며 상기 천공 테두리에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나사산(121)의 제2나사산(121b)이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천공 내주에 탭핑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crew thread 121a of the tapping part 120 after the burring part 110 rotates and presse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o pierce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hrough a pressing force and a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a bonding tool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is rotationally pressed along the perforation inner periphery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may be supported by the perforation rim. Then, as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of the screw thread 121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 tapping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이에 따라, 상기 모재(미도시)의 천공 내주에 상기 탭핑부(120)의 제2나사산(121b)이 스크류 체결되기 전에 상기 제1나사산(121a)이 상기 천공에 지지되므로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이 상기 모재(미도시)에 대하여 실질적인 직각을 유지하며 상기 모재(미도시)를 접합하므로 작업편의성 및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first screw thread 121a is supported by the perforation before the second screw thread 121b of the tapping part 120 is screwed o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of the base material (not shown), the rivet screw drill 200 ) maintains a substantially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nd joins the base material (not shown), so work convenience and manufacturing precision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탭핑부(12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탭핑부(12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부에 왕복이동 및 회전을 위한 접합툴(미도시)이 선택적으로 마운팅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part 13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apping portion 120,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ortion 120, and a bonding tool (not shown) for reciprocating and rotating on the upper portion. ) is optionally mounted.

여기서, 상기 접합툴(미도시)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을 회전 가압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합툴(미도시)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툴(미도시)은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합툴(미도시)은 상기 헤드부(130)를 클램핑하는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며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onding tool (not show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separately provided device for rotationally pressing the rivet screw drill 200 . In this case, the bonding tool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rivet screw drill 200 , and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move and rotate the rivet screw drill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bonding tool (not shown) may be rotatably provided while reciprocating in a linear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riving means. For example, the bonding tool (not shown) may include a mount part for clamping the head part 130 and a driving part (not shown) capable of rotating the mount part while reciprocally moving the mount part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접합툴(미도시)에 결합되는 마운팅돌기(131)와, 상기 마운팅돌기(131) 및 상기 탭핑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단턱(13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unit 130 includes a mounting protrusion 131 coupled to the bonding tool (not shown), and a seating step 132 formed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131 and the tapping unit 12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그리고, 상기 안착단턱(132)은 상기 마운팅돌기(131) 및 상기 탭핑부(120)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턱(132)은 상기 버링부(110) 및 상기 탭핑부(120)가 상기 모재(미도시)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모재(미도시)에 안착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step 132 is extended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131 and the tapping part 120 . Here, the seating step 132 may provide a function of being seated on and supporting the base material (not shown) after the burring part 110 and the tapping part 120 pass through the base material (not shown). have.

또한, 상기 헤드부(130)에는 상기 접합툴(미도시)에 결합되는 마운팅돌기(131)가 상방 돌출되되, 상기 마운팅돌기(13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돌설형합부(13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운팅돌기(131) 및 상기 돌설형합부(131a)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130 has a mounting protrusion 131 coupled to the bonding tool (not shown) that protrudes upward, and the mounting protrusion 131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type fittings that protrude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131a) is preferably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31 and the protruding tongue type fitting portion 131a ar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마운팅돌기(131)는 상기 헤드부(13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설형합부(131a)는 상기 마운팅돌기(13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운팅돌기(131) 및 상기 돌설형합부(131a)는 상기 접합툴(미도시)의 장착홈에 형합되도록 상기 장착홈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unting protrusion 1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unit 130, and the protrusion-shaped fitting portion 131a extends radially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131 in a plurality of pl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esirab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131 and the protruding tongue-type fitting portion 131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bonding tool (not shown).

예컨대, 상기 돌설형합부(131a)는 상기 마운팅돌기(13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여섯개소 연장 돌설되어 꽃잎 형상, 바람개비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돌설형합부(131a)의 사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설형합부(131a)의 측면 프로파일이 라운드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shaped fitting portion 131a may be formed in a petal shape, a pinwheel shape, or the like by protruding six places radially outwar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13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 formed concavely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protruding tongue-shaped fitting portions 131a, respectively. That is, the side profile of the protrusion-shaped fitting portion 131a may be formed to be rounded or curved.

이에 따라, 상기 마운팅돌기(131)는 상기 접합툴(미도시)의 마운트부에 구비된 장착홈에 클램핑 장착됨에 따라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접합툴(미도시)에 의해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이 상기 모재(미도시)를 회전 가압하여 탭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unting protrusion 131 is clamp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of the bonding tool (not shown), and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performed by the bonding tool (not shown). The base material (not shown) may be tapped by rotationally pressing.

그리고, 상기 마운팅돌기(131)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 상기 돌설형합부(131a)의 사이에 상기 접합툴(미도시)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평탄면의 형태로 절곡 형성된 복수개의 접촉경사면(134)이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교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rim of the mounting protrusion 131 is bent in the form of a flat surface inclin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joining tool (not shown) between each of the protrusion-shaped fitting portions 131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ontact inclined surfaces 134 are alternat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이를 통해, 상기 접합툴(미도시)이 각 상기 접촉경사면(134)에 안착되어 면접촉됨과 더불어 걸림 결합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토크 전달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as the bonding tool (not shown) is seated on each of the contact inclined surfaces 134 and is engaged with the surface contact, so that the torque transmission for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헤드부(130)에는 상기 접합툴(미도시)에 결합되는 상기 마운팅돌기(131) 및 상기 탭핑부(120)의 사이에 안착단턱(132)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the head part 130 , a seating step 132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131 coupled to the bonding tool (not shown) and the tapping part 120 extends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그리고, 상기 헤드부(130)에는 상기 안착단턱(132)의 내측단으로부터 경화안내홈(133)이 상기 탭핑부(120)의 상부 외측면을 감싸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in the head part 130 surrounds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tapping part 120 and is depressed continuously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더불어,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은 상기 탭핑부(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경화안내홈(133)에 개재되되 상부가 상기 경화안내홈(133)에 형합되고 하부가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용융코팅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provid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apping part 120 to be interposed in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 and the upper part is fitted to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 The low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olten coating portion 140 dispose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ring guide groove (133).

여기서, 상기 용융코팅부(140)는 고형화된 에폭시 링으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이 상기 모재(미도시)에 회전 가압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1차 용융되며 변형될 수 있다.Here, the melt coating part 140 may be provided as a solidified epoxy ring, and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first melted and deformed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rotated and pressed against the base material (not shown). have.

그리고, 상기 용융코팅부(140)는 1차 용융된 상부가 2차 경화됨에 따라 상기 경화안내홈(133)에 형합 고정됨과 더불어, 1차 용융된 하부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면과 상기 모재(미도시) 사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melt coating part 140 is molded and fixed to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as the first melted upper part is secondarily hardened, and the first melted lower part is rotated in the rivet screw drill 200 . It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closely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step 132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이를 통해, 상기 안착단턱(132)의 내측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 함몰 형성된 경화안내홈(133)에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상부가 회전 마찰력에 의해 용융된 후 경화되어 형합되고 하부가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면과 상기 모재(미도시) 사이에 밀착 결합되므로 갈바닉 부식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pper part of the molten-coated part 140 is melted by the rotational friction force in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which is recesse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then hardened and formed,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Since it is closely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step 132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galvanic corrosion is minimized and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경화안내홈(133)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상면 윤곽은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윤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contour of the molten coating portion 14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tour of the curing guide groove (133).

그리고,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상단과 하단 간의 간격(f1)은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을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f1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melt-coated portion 140 may be set to exceed the distance f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at the upper end of the curing guide groove 133 .

여기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상단과 하단 간의 간격(f1)이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 마찰열에 의해 1차 용융된 상기 용융코팅부(140) 하부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면과 상기 모재(미도시) 사이에 밀착 결합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Here, when the distance f1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140 is set to be less than the distance f2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the rivet The lower portion of the molten coating portion 140, which is first melted by the rotational friction heat of the screw drill 200, is expanded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ivet screw drill 200, and the seating step 132 There is a fear that it may not be closely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따라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상단과 하단 간의 간격(f1)이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에 따라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하부가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면과 상기 모재(미도시)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distance f1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melt-coated portion 140 is set to exceed the distance f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at the upper end of the curing guide groove 133, the mel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ating unit 140 may be stably and closely coup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step 132 and the base material (not shown).

또한,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은,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에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하단 간의 간격(f3)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f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at the upper end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is the distance f3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140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 It can be set to more than

여기서,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이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에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하단 간의 간격(f3)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 마찰열에 의해 1차 용융된 상기 용융코팅부(140) 하부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 상기 용융코팅부(140) 상부의 지지력이 상실되어 상기 용융코팅부(140)가 상기 경화안내홈(133)으로 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용융코팅부(140) 하부가 상기 리벳 스크류 드릴(200)의 회전력에 의해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융코팅부(140) 전체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다. Here, the distance f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from the upper end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is less than the distance f3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140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When set to , the lower portion of the molten coating portion 140 that is first melted by the frictional heat of rotation of the rivet screw drill 200 is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ivet screw drill 200 . During expansion, the support for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elt-coated portion 140 is lost,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melt-coated portion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curing guide groove 133 . That is, there is a risk that the whole of the melt-coated portion 140 in the process of being deform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ivet screw drill 2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lten-coated portion 140 radially outwardly.

따라서,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 간의 간격(f2)이 상기 안착단턱(132)의 하단에서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하단 간의 간격(f3)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용융코팅부(140)의 하부 열변형시 상부가 상기 경화안내홈(133)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경화된 후에는 상기 경화안내홈(133)에 안정적으로 형합 고정되어 박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istance f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from the upper end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is greater than the gap f3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140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132 . As set to , the upper part is stably supported inside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dur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melt coating part 140 and, after hardening, is stably molded and fixed in the hardening guide groove 133. Delamination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버링부(110), 상기 탭핑부(120) 및 상기 헤드부(130)의 표면에는 아연니켈(Zn-Ni) 재질의 마찰저감코팅부가 연속적으로 코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연니켈 재질의 마찰계수는 0.18로, 종래에 사용되던 알루미늄 도금의 마찰계수 0.47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다. Meanwhile, a friction reducing coating made of zinc nickel (Zn-Ni) material may be continuously coated on the surfaces of the burring part 110 , the tapping part 120 , and the head part 130 . At this tim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zinc-nickel material is 0.18,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luminum plating of 0.47.

이를 통해, 상기 버링부(110), 상기 탭핑부(120) 및 상기 헤드부(130)의 표면에는 아연니켈(Zn-Ni) 재질의 상기 마찰저감코팅부가 연속적으로 코팅 형성되므로 회전 가압시 발생하는 마찰열이 저감되면서 피어싱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urface of the burring part 110, the tapping part 120, and the head part 130 is continuously coated with the friction reducing coating part made of zinc-nickel (Zn-Ni) material. Pierc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s frictional heat is reduc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includ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리벳 스크류 드릴 110: 버링부
111: 첨단부 112: 제1버링부
113: 제2버링부 114: 발열도피홈
120: 탭핑부 121: 나사산
130: 헤드부 131: 마운팅돌기
132: 안착단턱 133: 경화안내홈
134: 접촉경사면 140: 용융경화부
200: rivet screw drill 110: burring part
111: tip 112: first burring part
113: second burring part 114: heat escape groove
120: tapping part 121: thread
130: head 131: mounting projection
132: seating step 133: hardening guide groove
134: contact inclined surface 140: melt hardening part

Claims (15)

모재를 피어싱 및 탭핑하기 위한 리벳 스크류 드릴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회전 가압되는 첨단부에 연결되되 단면이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1버링부와, 상기 제1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단면이 상기 제1버링부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2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발열도피홈이 형성되는 버링부;
상기 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면에 상기 모재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주를 탭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탭핑부; 및
상기 탭핑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탭핑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부에 왕복이동 및 회전을 위한 접합툴이 선택적으로 마운팅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A rivet screw drill for piercing and tapping a base material, comprising:
A first burring part connected to the tip part which is rotationally pressed to the base material and formed with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in cross section,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urring part, the cross section is discontinuously rounded with the first burring part a burr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burring portion formed in an outer profile, wherein a heat escape groove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a tapp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rring part and having a thread for tapp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and
A rivet screw drill comprising a head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app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ortion, and selectively mounting a joint tool for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 on the upp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도피홈은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escape groove is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is continuously de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도피홈은 반경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열도피홈의 반경방향 함몰깊이와 상기 제1버링부의 최대 외경부의 직경 간의 비율이 1:15.4~15.6으로 설정되며,
상기 발열도피홈의 상하방향 폭과 상기 버링부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 간의 비율이 1:11.1~14.3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escape groove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tio between the radial depression depth of the heat escape groove and the diameter of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art is set to 1:15.4 to 15.6,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between the vertical width of the heat escape groov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burr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t to 1:11.1 to 14.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링부의 단면 프로파일은 제1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버링부는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first burring part is formed alo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The second burring part is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버링부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곡률반경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2버링부의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first burring part in a radial direction outward on a horizontal lin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second burring part radially outward on a horizontal lin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기설정된 제1곡률반경 및 제2곡률반경으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1버링부의 최대 외경이 상기 제2버링부의 최소 외경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버링부의 제1곡률반경과 상기 제2버링부의 제2곡률반경 간의 비율이 1:2.11~2.13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urring part and the second burring part are formed to be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art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art become,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betwee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is set to 1:2.11 to 2.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링부의 최대 외경부와 상기 제2버링부의 최대 외경부 간의 직경 비율은 1:1.41~1.43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7. The method of claim 6,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ratio betwee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burring portion is set to 1:1.41 to 1.4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링부와 상기 제2버링부의 길이방향 길이 비율은 1:1.18~1.20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7. The method of claim 6,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length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t to 1:1.18 to 1.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와 상기 탭핑부의 길이방향 길이 비율은 1:1.16~1.18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7. The method of claim 6,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urring portion and the tapping portion is set to 1:1.16 to 1.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접합툴에 결합되는 마운팅돌기 및 상기 탭핑부의 사이에 안착단턱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안착단턱의 내측단으로부터 경화안내홈이 상기 탭핑부의 상부 외측면을 감싸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향 함몰 형성되며,
상기 탭핑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형으로 개재되되 상부가 상기 경화안내홈에 형합되고 하부가 상기 경화안내홈의 하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용융코팅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The method of claim 1,
A seating step is formed in the head part to extend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joining tool and the tapping part,
A hardening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head part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step, which surrounds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tapping part and is continuously depresse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ivet screw drill further comprising a molten coating part interpos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apping part, wherein the upper part is fitted to the hardening guide groove and the lower part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코팅부의 상단과 하단 간의 간격은 상기 경화안내홈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의 하단 간의 간격을 초과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경화안내홈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단턱의 하단 간의 간격은 상기 안착단턱의 하단에서 상기 용융코팅부의 하단 간의 간격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is set to excee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at the upper end of the curing guide groove,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ardening guide groove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is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lten coating 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접합툴에 결합되는 마운팅돌기가 상방 돌출되되,
상기 마운팅돌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돌설형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The method of claim 1,
A mount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bonding tool protrudes upwardly from the head portion,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radially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돌기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각 상기 돌설형합부의 사이에 경사진 평탄면의 형태로 절곡 형성된 복수개의 접촉경사면이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교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13. The method of claim 12,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upper outer edge of the mounting protrusion, a plurality of contact inclined surfaces bent in the form of a flat surface inclined between each of the protruding tongue-shaped mating por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alternat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 상기 탭핑부 및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는 아연니켈 재질의 마찰저감코팅부가 연속적으로 코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The method of claim 1,
A rivet screw dr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burring part, the tapping part, and the head part is continuously coated with a zinc-nickel friction reducing coating.
모재를 피어싱 및 탭핑하기 위한 리벳 스크류 드릴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회전 가압되는 첨단부에 연결되되 단면이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을 갖는 제1곡률반경을 따라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제1버링부와, 상기 제1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면이 상기 제1버링부와 불연속적으로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크며 최상단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선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을 갖는 제2곡률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링부 및 상기 제2버링부 간의 경계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발열도피홈이 형성되는 버링부;
상기 버링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면에 상기 모재에 형성되는 천공의 내주를 탭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탭핑부; 및
상기 탭핑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탭핑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부에 왕복이동 및 회전을 위한 접합툴이 선택적으로 마운팅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리벳 스크류 드릴.
A rivet screw drill for piercing and tapping a base material, comprising:
A first burring part connected to the tip that is rotationally pressed to the base material and formed in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alo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having a center of rotation having a cross-section disposed at a posi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most side to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urring part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of a discontinuously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with the first burring part,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most side on a horizontal line A burring portion comprising a second burring portion formed alo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having a rotation cente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in a heat escape groove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burring portion and the second burring portion ;
a tapp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rring part, the tapping part having a thread for tapp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base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and
A rivet screw drill comprising a hea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app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ping portion, and selectively mounting a joint tool for reciprocating movement and rotation on the upper portion.
KR1020210023622A 2021-02-22 2021-02-22 rivet screw drill KR102580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2A KR102580649B1 (en) 2021-02-22 2021-02-22 rivet screw d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2A KR102580649B1 (en) 2021-02-22 2021-02-22 rivet screw dr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18A true KR20220120018A (en) 2022-08-30
KR102580649B1 KR102580649B1 (en) 2023-09-20

Family

ID=8311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22A KR102580649B1 (en) 2021-02-22 2021-02-22 rivet screw d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6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616A (en) * 2000-12-19 2002-07-05 Honda Motor Co Ltd Tightening mechanism for magnesium alloy member by bolt
KR20160125148A (en)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ivet screw drill
KR20170067586A (en) * 2015-12-08 2017-06-16 장영현 Block device mold coolant flow way
KR20200082148A (en)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ivet screw dri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616A (en) * 2000-12-19 2002-07-05 Honda Motor Co Ltd Tightening mechanism for magnesium alloy member by bolt
KR20160125148A (en)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ivet screw drill
KR20170067586A (en) * 2015-12-08 2017-06-16 장영현 Block device mold coolant flow way
KR20200082148A (en)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rivet screw dr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649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778B2 (en) Connection between two components made of reinforced plastic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3909913A (en) Method of joining sheets by use of fasteners
US20040022602A1 (en) Self-penetrating fastening rivet
US20060213954A1 (en) Method and joining element for joining workpieces
US20090070983A1 (en) Self-piercing element
TWI753162B (en) Clinch-in fastener and assembly of a clinch-in fastener and a workpiece
CN102369362A (en) Self-tapping thread forming screw and corresponding thread roll die
JP2009534612A (en) Piercing nuts and their use
JPH0925975A (en) Friction lining for cluthc disc and clutch disc with friction lining thereof
US5332349A (en) Flush rivet with compound radius domed head
KR102580649B1 (en) rivet screw drill
WO2018044848A1 (en) Fastener for thin-sheet materials
KR102143044B1 (en) rivet screw drill
EP3626982B1 (en) Self-piercing rivet
EP3606729B1 (en) Bonding objects together
EP4202238A1 (en) Improved structural rivet for forming flat-bottom riveting of plate
CN214578135U (en) Riveting structure
SK288361B6 (en) Friction member for a clutch friction disk
KR20170069499A (en) Soft metal joint module of and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EP3633215B1 (en) Self-piercing rivet
CN220006705U (en) Board connecting device
KR20240009177A (en) rivet screw drill
EP4253771A1 (en) Fastening element and method for joining at least two components without a pre-formed hole
KR101305261B1 (en) An element attachable by riveting to a sheet metal part and also a component assembly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component assembly
CN116393974A (en) Board connec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