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482A -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 Google Patents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482A
KR20220119482A KR1020227025936A KR20227025936A KR20220119482A KR 20220119482 A KR20220119482 A KR 20220119482A KR 1020227025936 A KR1020227025936 A KR 1020227025936A KR 20227025936 A KR20227025936 A KR 20227025936A KR 20220119482 A KR20220119482 A KR 20220119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locking
locking member
elastic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쿤 자오
윈샹 류
이 쑨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390606.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11618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2429921.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1432537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을 제공한다. 칼세트 장착구조는, 장착홀이 설치되는 용기 저부; 장착홀에 장착되어 식품 가공기의 커터가 장착되기 위한 칼 홀더를 포함하되; 여기서, 칼 홀더에는 이탈 방지부가 설치되고, 용기 저부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며, 이탈 방지부는 이탈 방지 배합부와 배합하여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을 이탈하는 것을 한정한다. 본 출원은 이탈 방지부와 이탈 방지 배합부의 배합에 의해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칼세트가 중력의 작용 하에 용기 저부에서 이탈되어 탁상 또는 지면에 떨어져 탁상, 지면을 손상하거나 또는 칼세트를 손상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착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본 출원은 2019년 12월 30일에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11390606.X"이고 출원의 명칭이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인 중국 특허출원, 2019년 12월 30일에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22429921.0"이고 출원의 명칭이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결부된다.
본 출원은 가전제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이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믹싱컵 및 이 믹싱컵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고속 블렌더 등 식품 가공기에 있어서, 이의 칼세트의 고정방식은 모두 칼세트가 컵 바닥을 관통한 다음 다시 하나의 너트 또는 너트와 유사한 나선 구조를 사용하여 컵 바닥에 관통된 칼세트를 잠금하는 것이다. 칼세트를 해체할 경우, 믹싱컵을 거꾸로 놓고 잠금 너트를 풀어야 한다. 그러나, 잠금 너트를 푼 다음, 칼 홀더는 중력의 작용 하에 쉽게 컵 바닥에서 직접 이탈하여 탁상 또는 지면에 떨어지게 되어 탁상, 지면을 파괴하거나 칼세트를 파괴하게 되며, 심지어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게 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한 목적은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믹싱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믹싱컵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는, 장착홀이 설치되는 용기 저부; 이 장착홀에 장착되어 이 식품 가공기의 커터를 장착하는 칼 홀더;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 칼 홀더에는 이탈 방지부가 설치되며, 이 용기 저부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고, 이 이탈 방지부는 이 이탈 방지 배합부와 배합하여 이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이 장착홀을 이탈하는 것을 한정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는, 칼 홀더에 이탈 방지부를 증설하고, 용기 저부에 대응되게 이탈 방지 배합부를 증설하며, 이탈 방지부와 이탈 방지 배합부의 배합에 의해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칼 홀더와 용기 저부의 고정 연결 관계를 해제한 후, 외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칼 홀더는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을 자연적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칼세트가 중력의 작용 하에 용기 저부에서 이탈되어 탁상 또는 지면에 떨어져 탁상, 지면을 손상하거나 또는 칼세트를 손상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착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칼 홀더와 용기 저부의 고정 연결 관계를 해제한 후, 칼세트 및/또는 용기 저부에 외력을 인가하기만 하면 이탈 방지부와 이탈 방지 배합부의 배합 관계를 해제할 수 있어 칼 홀더가 장착홀을 이탈하도록 하여 칼 홀더의 해체를 구현하고 편리하고 신속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가공기의 믹싱컵을 제공하는데, 이는, 커터를 수용하기 위한 컵 바디; 및 용기 저부가 이 컵 바디의 하단과 연결되고, 이 커터가 이의 칼 홀더에 장착되어 이 칼 홀더와 회동 연결하는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데, 이는,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믹싱컵; 및 이 믹싱컵의 아래에 위치하여 이 믹싱컵과 연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부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아래의 설명부분에서 뚜렷해지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해 요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양태와 장점은 아래 도면과 결부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뚜렷하고 이해하기 용이해질 것인 바,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칼세트 장착구조의 제1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칼세트 장착구조의 제2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서의 칼세트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칼세트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1과 도 2에서의 잠금 부재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제1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믹싱컵의 제2 상태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의 A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의 칼 홀더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2는 도 9에서의 베이스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며;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의 B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며;
도 15는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6은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칼 홀더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17은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칼세트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칼세트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19는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칼세트 장착구조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고;
도 20은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탄성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21은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고정부재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2는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3은 도 22에서의 C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고;
도 24는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5는 도 24에서의 D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고;
도 26은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의 단면 구조 모식도이며;
도 27은 도 26에서의 E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뚜렷이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결부하여 본 출원을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 출원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수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설명하지만 본 출원은 여기서 설명하는 방식과 다른 기타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아래에서 개시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7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는 용기 저부(1)와 칼 홀더(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저부(1)에는 장착홀(111)이 설치된다.
도 2, 도 8,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 홀더(2)는 장착홀(111)에 장착되어 식품 가공기의 커터(3)를 장착한다.
여기서, 도 7, 도 8,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 홀더(2)에는 이탈 방지부(21)가 설치되고, 용기 저부(1)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13)가 설치된다. 이탈 방지부(21)는 이탈 방지 배합부(13)와 배합하여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한정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는, 칼 홀더(2)에 탈 방지부(21)를 증설하고, 용기 저부(1)에 대응되게 이탈 방지 배합부(13)를 증설하며,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배합에 의해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의 고정 연결 관계를 해제(예를 들면 잠금 너트를 해체)한 후, 외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칼 홀더(2)는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자연적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칼세트가 중력의 작용 하에 용기 저부(1)에서 이탈되어 탁상 또는 지면에 떨어져 탁상, 지면을 손상하거나 또는 칼세트를 손상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착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의 고정 연결 관계를 해제한 후, 칼세트 및/또는 용기 저부(1)에 외력을 인가하기만 하면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배합 관계를 해제할 수 있어 칼 홀더(2)가 장착홀(111)을 이탈하도록 하여 칼 홀더(2)의 해체를 구현하고 편리하고 신속할 수 있다.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은, 용기 저부(1)는 식품 가공기의 믹싱컵의 저부 일 수 있는데, 이때 믹싱컵의 컵 바디(4)는 양단이 열린 구조이고, 믹싱컵의 아래에는 받침대(5)가 더 설치되며, 받침대(5)와 믹싱컵은 분리 가능하게 배합하되, 여기서, 용기 저부(1)와 컵 바디(4)의 하단 사이에는 실링 구조가 설치되어 실링 성능을 담보할 수 있고, 용기 저부(1)는 컵 바디(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용기 저부(1)는 믹싱컵의 저부이며, 믹싱컵은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는 컵 바디(4)를 포함하고, 용기 저부(1)는 수용 캐비티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 저부(1)와 컵 바디(4) 사이에는 히팅 플레이트 등 구조가 설치되고, 이때 용기 저부(1)는 사이드 패널을 통해 컵 바디(4)의 측벽과 연결되어 외관으로부터 볼 때, 사이드 패널은 믹싱컵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며, 용기 저부(1)는 믹싱컵의 저부이고, 사이드 패널은 용기 저부(1)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분리형 구조일 수도 있거나; 또는, 용기 저부(1)가 식품 가공기의 받침대(5)의 일부 일 수도 있는데, 이때 믹싱컵은 상단이 열리거나 컵 바닥에 천공이 설치된 구조일 수 있고 믹싱컵과 받침대(5)는 고정 연결되어 사용 과정에서 분리될 수 없게 된다.
이하, 도면과 결부하여 일부 실시예를 소개한다.
[실시예1]
용기 저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와 잠금 부재(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에는 장착홀(111)이 설치된다. 잠금 부재(12)는 베이스(11)에 장착되어 칼 홀더(2)와 배합하여 베이스(11)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고,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하여 칼 홀더(2)를 고정(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시키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 해제(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한다.
용기 저부(1)는 베이스(11)와 잠금 부재(12)를 포함하되, 베이스(11)에는 장착홀(111)이 설치되고, 잠금 부재(12)는 착탈 툴의 작용을 하며, 잠금 부재(12)를 작동시키는 것을 통해 칼세트를 용기 저부(1)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용기 저부(1)에서 해체할 수 있어 선행기술에서 수동 작업으로 인해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타 툴을 별도로 사용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칼세트의 착탈 난이도를 현저하게 저하시켜 칼세트의 신속한 착탈에 유리하도록 한다.
동시에, 잠금 부재(12)가 용기 저부(1)에 직접 장착되어 용기 저부(1)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므로 잠금 부재(12)가 사용 과정에서 용기 저부(1)를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잠금 부재(12)의 분실 또는 기타 툴과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잠금 부재(12)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칼세트를 착탈 할 때마다 잠금 부재(12)를 다시 장착하고 포지셔닝 할 필요가 없어 잠금 부재(12)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칼세트의 착탈이 보다 쉽고 편리하도록 한다.
이 외에, 잠금 부재(12)를 이용하여 칼 홀더(2)를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여 선행기술에서의 잠금 너트를 생략하는데, 커터(3)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품에 있어서, 커터(3)가 여기에서의 한 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너트가 풀려 칼 홀더(2)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 및/또는 잠금 부재(12)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13)가 설치된다.
베이스(11) 및 잠금 부재(12)가 칼 홀더(2)와 모두 배합관계를 이루므로 베이스(11)와 잠금 부재(12)에서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13)를 설치하여 칼 홀더(2)의 이탈 방지부(21)와 배합함으로써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 방안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설치 범위를 확장시켜 실제 생산 과정에서 수요에 따라 합리적으로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의 구조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는 베이스(11)와 회동 연결되고,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슬롯(121)이 설치된다. 칼 홀더(2)의 벽면에는 잠금 돌기(22)(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 설치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22)는 잠금 슬롯(121)과 삽입 장착된다.
잠금 돌기(22)와 잠금 슬롯(121)의 배합에 의해 잠금 부재(12)가 칼 홀더(2)에 대한 잠금과 잠금 해제를 구현하는데, 구조와 원리가 비교적 간단하여 구현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칼을 잠금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이때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장착홀(111)의 출입구를 향하고(즉 잠금 돌기(22)를 향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22)는 노치(1211)에 의해 잠금 슬롯(121)에 삽입된다. 다음,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기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 돌기(22)가 잠금 슬롯(1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칼 홀더(2)에 대한 잠금을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칼을 잠금하는 과정에서, 칼 홀더(2)의 이탈 방지부(21)와 용기 저부(1)의 이탈 방지 배합부(13)도 배합되어 칼 홀더(2)에 일정한 리미팅 작용을 함으로써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회전하는데, 이때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장착홀(111)의 출입구를 향하고, 외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칼 홀더(2)는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한정을 받아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되어 칼 홀더(2) 또는 용기 저부(1)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칼 홀더(2) 및 용기 저부(1)에 외력을 인가하여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배합을 해제시켜 칼 홀더(2)를 장착홀(111)에서 뽑아내어 칼 홀더(2)를 해체할 수 있다.
칼을 제거하는 과정과 칼을 잠금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작동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11)를 거꾸로 놓을 수 있는데, 만약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한정이 없으면 칼세트는 중력의 작용 하에 쉽게 용기 저부(1)에서 이탈되어 떨어지게 되고, 본 방안은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리미팅부의 배합으로 인하여 안심하고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용기 저부(1)는 잠금 부재(12)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잠금 너트 또는 기타 구조를 이용하여 칼 홀더(2)를 베이스(11)에 고정할 수도 있는데, 이때 베이스(11)에 이탈 방지 배합부(13)를 설치하고, 칼 홀더(2)의 이탈 방지부(21)와 배합함으로써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결합부(122)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결합부(122)는 고정부(1221) 및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1222)를 포함한다.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는 잠금 슬롯(121)을 에워싸고, 탄성부(1222)의 일단은 고정부(1221)의 일단과 고정 연결되며, 탄성부(1222)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은 잠금 돌기를 삽입시키는 삽입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이탈 방지부(21)는 잠금 돌기(22)를 포함하고, 이탈 방지 배합부(13)는 잠금 결합부(122)를 포함하며,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H2)는 잠금 돌기(22)의 너비(H1)보다 작다.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은 삽입부를 형성하고, 잠금 돌기는 삽입부에서 탄성부의 타단에 위치되어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간극에 의해 잠금 슬롯에 진입하므로 자연 상태에서의 탄성부의 타단이 고정부의 타단과 접합되지 않고 갭을 형성할 경우,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간극이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0보다 크고, 이 갭은 잠금 슬롯의 노치이며; 자연 상태에서의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이 접합될 경우,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0이다. 탄성부의 타단과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가 잠금 돌기(22)의 너비보다 작으므로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외력을 받지 않을 경우, 잠금 돌기(22)는 잠금 결합부(122)의 한정을 받아 직접 이탈되지 않아 이탈 방지 작용을 하게 되어 잠금 돌기(22)를 이탈 방지부(21)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할 수 있고, 잠금 결합부(122)를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로 잠금 슬롯(121)을 에워싸면 탄성부(1222)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여 삽입부로 하여금 탄성 신축을 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잠금 돌기(22)가 잠금 슬롯(121)를 출입하는 난이도를 저하시켜 칼세트의 착탈 난이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동시에, 잠금 결합부(122)는 잠금 돌기(22)와 배합하여 장착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대로 장착된 감촉을 받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제때에 칼 홀더(2)가 제대로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장착 체험을 향상시킨다.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은,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하나의 평면일 수 있고,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이 노치(1211)의 너비이다.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입체 구조로서 일정한 깊이를 가질 수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이 노치(1211)의 가장 얇은 부위의 너비이다. 예를 들면,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는 대략 V형 구조를 이루고, 잠금 돌기(22)가 잠금 슬롯(121)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 사이즈는 점차적으로 감소(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되며, 이렇게 되면 잠금 돌기(22)가 신속하게 잠금 슬롯(121)에 삽입되고 가장 얇은 부위는 양호한 이탈 방지 작용을 하게 되며, 노치(1211)에서 가장 얇은 부위 외측에 위치하는 구조는 가장 얇은 부위에 지지 작용을 하여 가장 얇은 부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이탈 방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돌기(22)의 너비(H1)는 2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다.
잠금 돌기(22)의 너비(H1)를 2mm 내지 10mm의 범위 내, 예를 들면 2mm, 4mm, 6mm, 8mm, 10mm 등으로 한정하면 잠금 돌기(22)가 너무 좁아 잠금 돌기(22)의 너비와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 너비의 차이값이 너무 작아 이탈 방지 작용이 약한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고; 또 잠금 돌기(22)가 너무 넓어 장착홀(111)의 사이즈가 커져 베이스(11) 강도가 낮은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거나, 또는 잠금 슬롯(121) 사이즈가 너무 커 잠금 부재(12) 사이즈가 커져 장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물론, 잠금 돌기(22)의 너비(H1)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 바, 실제 생산과정에서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21) 및 탄성부(1222)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다. 고정부(1221)의 양단은 잠금 부재(12)와 고정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222)의 일단은 고정부(1221)와 고정 연결되고, 탄성부(1222)의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탄성부(1222)와 잠금 부재(12) 사이에는 회피 간극(123)이 구비된다.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를 모두 스트립 구조로 설계하여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의 연장 방향에 따라 잠금 슬롯(121)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설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221)의 양단은 모두 잠금 부재(12)와 고정 연결되어 고정부(1221)의 고정 신뢰도를 담보하여 잠금 부재(12)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탄성부(1222)는 잠금 부재(12)와 회피 간극(123)을 구비하여 탄성부(1222)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잠금 슬롯(121)의 노치(1211)의 너비를 조절하도록 한다.
[실시예2]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에서의 하나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홈(23)(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걸림홈(23)에 걸리거나 걸림홈(23)에서 이탈한다.
본 방안에서, 칼 홀더(2)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는 압출되어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걸림홈(23)과 탄성부재가 서로 배합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탄성부재는 리셋 변형이 발생하여 걸림홈(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의 고정 연결 관계를 해제한 후, 외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칼 홀더(2)는 탄성부재와 걸림홈(23)의 한정을 받아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되어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 방지 작용을 하게 된다.
다음, 칼 홀더(2) 또는 용기 저부(1)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칼 홀더(2) 및 용기 저부(1)에 외력을 인가하여 탄성부재의 탄력을 극복하여 탄성부재로 하여금 걸림홈(23)에서 이탈하도록 하기만 하면 칼 홀더(2)을 장착홀(111)에서 뽑아내어 칼 홀더(2)를 해체할 수 있다.
동시에, 탄성부재와 걸림홈(23)의 배합에 의해 장착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대로 장착된 감촉을 받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제때에 칼 홀더(2)가 제대로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장착 체험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저부(1)에 설치되고 걸림홈(23)은 칼 홀더(2)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자리를 바꾸어 탄성부재를 칼 홀더(2)에 설치하고 걸림홈(23)을 용기 저부(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탄성 후크(14),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후크(14)일 수 있다. 탄성 후크(14)(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걸림 신뢰도가 높으며 칼 홀더(2) 또는 용기 저부(1)와 일체로 성형되기 용이하여 탄성 후크(14)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111)의 홀벽에 설치된다.
탄성부재를 장착홀(111)의 홀벽에 설치함으로써 칼 홀더(2)에 설치하는 방안에 비해 칼 홀더(2)의 구조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고, 또 칼 홀더(2)의 신속한 착탈에도 유리하다. 잠금 부재(12)에 설치되는 방안에 비해 잠금 부재(12)의 구조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다.
물론, 탄성부재는 칼 홀더(2) 또는 잠금 부재(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3]
실시예2와의 구별점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가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인 것이다.
탄성 클램프 스프링(15)(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의 모델은 여러 가지로서, 제품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기 편리하여 일반성이 양호하고 후속적인 수리와 교체가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의 장착 캐리어(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저부(1))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홈(16)이 상응하게 설치되고,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을 포지셔닝 홈(16)에 장착하며, 장착이 완료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의 일부를 포지셔닝 홈(16) 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일부를 걸림홈(23) 내에 위치시켜 칼 홀더(2)가 용기 저부(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정하여 이탈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는 탄성 후크(14)와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스토퍼 돌기가 고정 연결되는 스프링일 수도 있고, 칼 홀더(2) 또는 용기 저부(1) 내에는 리미팅 홈이 설치되며, 스프링은 리미팅 홈 내에 리미팅되고, 스프링의 신축 방향은 장착홀(111)의 중심축선과 수직되며, 스토퍼 돌기는 걸림홈(23)에 걸리거나 걸림홈(23)에서 이탈된다. 또는, 탄성부재는 탄성체(예를 들면 실리카 겔)이고, 탄성체는 장착홀(111)의 홀벽에 설치되며, 칼 홀더(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되어 걸림홈(23)과 배합되는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할 경우, 탄성체는 리셋 변형되어 걸림홈(23)에 걸리게 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더 나아가, 이탈 방지부(21)의 수량은 다수이고,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수량은 이탈 방지부(21)의 수량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대응된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이탈 방지부(21)는 장착홀(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다수의 이탈 방지부(21)는 다수의 이탈 방지 배합부(13)와 일일이 대응되어 배합함으로써 이탈 방지 신뢰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이탈 방지부(21)는 장착홀(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바, 예를 들어 장착홀(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잠금 돌기(22)를 이격되게 설치(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고, 다수의 잠금 돌기(22)는 다수의 잠금 슬롯(121)와 삽입 장착하거나, 또는 장착홀(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23)을 이격되게 설치하며, 다수의 탄성 후크(14)(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는 다수의 걸림홈(23)과 걸림 결합되어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 사이가 균일한 힘을 받도록 함으로써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의 연결 신뢰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탈 방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더 나아가, 이탈 방지부(21)의 수량은 다수이고,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수량은 이탈 방지부(21)의 수량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대응된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이탈 방지부(21)는 장착홀(111)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적어도 일부의 이탈 방지부(21)는 장착홀(111)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바, 예를 들어 장착홀(111)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23)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은 다수의 걸림홈(23)과 걸림 결합되어 다중 이탈 방지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이탈 방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물론,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의 수량은 모두 하나 일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탄성 클램프 스프링(15)과 하나의 걸림홈(23)의 배합에 의해 양호한 이탈 방지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에서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방안에서, 탄성 변형이 발생되는 구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의 탄성부(1222), 탄성 후크(14), 탄성 클램프 스프링(15) 등 구조는 이탈 방지부(21), 이탈 방지 배합부(13)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가 배합의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배합의 난이도를 해제하도록 하므로 칼 홀더(2)의 신속한 착탈에 유리하여 사용자의 작업 난이도를 저하시켜 사용자의 착탈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12)는 렌치이고, 렌치는 용기 저부(1)와 회동 연결된다.
잠금 부재(12)는 렌치를 선택하고, 렌치는 용기 저부(1)와 회동 연결(예를 들면 힌지 연결 방식 또는 회전축과 축홀이 배합하는 방식 등을 사용)되어 칼세트를 착탈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렌치가 회전한다. 렌치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므로 작업 강도를 크게 저하시켜 칼세트의 착탈 난이도를 더 저하시키고, 칼세트의 착탈이 보다 쉽고 편리하도록 한다.
물론, 잠금 부재(12)는 렌치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잠금 부재(12)의 형상은 렌치에 비슷하지만 용기 저부(1)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되어 칼 잠금 위치까지 슬라이딩 할 경우, 칼 홀더(2)의 잠금부에 걸려 잠금되고,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칼 홀더(2)의 잠금부를 이탈하여 잠금 해제하거나; 또는 잠금 부재(12)가 회전링이고, 회전링 내에는 요홈이 설치되며, 칼 홀더(2)에는 걸림 돌기가 설치되어 걸림 돌기가 요홈에 걸릴 때까지 회전하여 잠금되고, 걸림 돌기가 요홈에서 이탈될 때까지 회전하여 잠금 해제한다.
[실시예4]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더 나아가, 칼 홀더(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기둥(10)을 포함한다. 접속 기둥(1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상부(101) 및 연결 상부(101)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 하부(102)를 포함한다. 연결 상부(101) 및 연결 하부(102)는 모두 장착홀(111)과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 상부(101)의 외주연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하부(102)의 외주연에 돌출된다.
본 방안은 칼 홀더(2)의 접속 기둥(10)의 형상을 개선하여 연결 상부(101)의 외주연이 연결 하부(102)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함으로써 칼 홀더(2)에서 장착홀(111)과 삽입 장착되기 위한 접속 기둥(10)이 기존의 아이소매트릭 구조에서 위는 두껍고 아래는 얇은 구조로 개선된다. 칼 홀더(2)가 장착홀(111)에 삽입되는 방향은 위에서 아래이므로 연결 하부(102)는 먼저 연결 상부(101)에서 장착홀(111)과 삽입 장착되고, 연결 하부(012)는 상대적으로 얇아 장착홀(111)과의 간극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장착홀(111)에 쉽게 삽입되어 접속 기둥(10)이 장착홀(111)에 삽입될 때 보다 편리하도록 하고 정렬이 보다 용이하여 접속 기둥(10)과 장착홀(111)이 삽입 장착되는 편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장착 체험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칼 홀더(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4)를 더 포함한다. 접속 기둥(10)는 용기 저부(1)의 장착홀(111)에 삽입되고, 지지부(104)는 용기 저부(1)에 지지되어 칼 홀더(2)가 용기 저부(1)에서 하향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상부(101) 및 연결 하부(10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소메트릭 구조이다. 연결 상부(101)의 횡단면은 제1 기준원으로 둘러싸이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연결 상부(101)의 횡단면의 윤곽선은 제1 기준원과 중합되거나 또는 일부가 중합된다. 연결 하부(102)의 횡단면은 제1 기준원으로 둘러싸이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연결 하부(102)의 횡단면의 윤곽선은 제2 기준원과 중합되거나 또는 일부가 중합된다. 제1 기준원의 직경(D1)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준원의 직경(D2)보다 커 연결 상부(101)의 외주연이 연결 하부(102)의 외주연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연결 상부(101)와 연결 하부(102)는 아이소메트릭 구조이고, 연결 상부(101)의 횡단면 및 연결 하부(102)의 횡단면은 각각 제1 기준원으로 둘러싸인 범위 및 제2 기준원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 위치하며, 연결 상부(101)의 횡단면의 윤곽선은 제1 기준원과 중합(연결 상부(101)가 원기둥형을 이룸) 또는 일부가 중합(연결 상부(101)가 원기둥형에 근접하는 바, 예를 들어 절단면을 구비한 원기둥형, 각기둥형 등)되고, 연결 하부(102)의 횡단면의 윤곽선은 제2 기준원과 중합(연결 하부(102)가 원기둥형을 이룸) 또는 일부가 중합(연결 하부(102)가 원기둥형에 근접하는 바, 예를 들어 절단면을 구비한 원기둥형, 각기둥형 등)되어 연결 상부(101)와 연결 하부(102)의 구조가 모두 정연하여 가공 성형에 편리하도록 한다. 동시에, 제1 기준원의 직경은 제2 기준원의 직경보다 커 연결 상부(101)의 외주연이 연결 하부(102)의 외주연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연결 하부(102)가 신속하게 장착홀(111)에 삽입되어 칼 홀더(2)의 신속한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상부(101)와 연결 하부(102)의 형상은 원기둥형 또는 원기둥형에 근접(예를 들어 원기둥의 기초상에 종방향으로 일부 구조를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각기둥형 또는 기타 형상일 수도 있는 바, 실제 생산과정에서 수요에 따라 합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기준원의 중심축선과 제2 기준원의 중심축선은 공선이다.
제1 기준원의 중심축선이 제2 기준원의 중심축선과 공선을 이루어 연결 상부(101)의 외주연이 연결 하부(102)에 균일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접속 기둥(10)의 형상이 비교적 정연하므로 가공 성형이 편리하고; 또 접속 기둥(10)과 장착홀(111) 사이의 원주방향 간극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여 실링에 편리하며; 이와 동시에 접속 기둥(10)이 균일한 힘을 받도록 하여 칼 홀더(2)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연결 상부(101)와 연결 하부(10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부(103)를 통해 연결된다. 과도부(103)의 외측벽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 경사면(1031)으로 구성된다.
연결 상부(101)와 연결 하부(102) 사이에 과도부(103)를 설치하고, 과도부(103)의 외측벽을 과도 경사면(1031)으로 구성하되, 과도 경사면(1031)은 원활하게 과도하는 작용을 하여 접속 기둥(10)의 외측벽에 볼록 구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므로 칼 홀더(2)의 삽입 장착 과정에서 연결 하부(102), 과도부(103), 연결 상부(101)가 순차적으로 장착홀(111)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걸려서 멈추거나 심지어 완전히 걸려버리는 확률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칼 홀더(2)가 장착홀(111)에 삽입되는 원활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여 칼 홀더(2)의 장착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칼 홀더(2)는 잠금 돌기(22)(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더 포함하되, 잠금 돌기(22)는 접속 기둥(10)의 측벽면에 설치되어 용기 저부(1)를 관통하여 대응되게 설치된 회피홈(118)이 용기 저부(1)의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칼 홀더(2)를 잠금(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거나 칼 홀더(2)를 잠금 해제(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도록 한다.
칼 홀더(2)에는 접속 기둥(10)의 측벽면에 설치되는 잠금 돌기(22)가 더 포함되는데, 용기 저부(1)에는 회피홈(118)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회피홈(118)은 장착홀(111)과 연통되어 칼 홀더(2)가 순조롭게 용기 저부(1)에 삽입되도록 담보한다. 구체적으로 장착될 경우, 접속 기둥(10)은 장착홀(111)과 정렬되는 동시에 잠금 돌기(22)가 회피홈(118)과 정렬될 때까지 칼 홀더(2)를 회전시킨 다음, 칼 홀더(2)를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시켜 접속 기둥(10)이 장착홀(111)에 삽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잠금 돌기(22)가 회피홈(118)을 관통하도록 한다. 잠금 돌기(22)가 회피홈(118)을 관통한 후 용기 저부(1)의 잠금 부재(12)와 배합하는데, 잠금 부재(12)는 칼 홀더(2)를 잠금하여 사용 과정에서 칼 홀더(2)가 느슨해지거나 또는 칼 홀더(2)를 잠금 해제하여 칼 홀더(2)가 순조롭게 착탈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슬롯(121)이 설치되고, 잠금 슬롯(121)의 개구가 위를 향할 경우(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22)가 위로부터 아래로 잠금 슬롯(121)에 삽입된 후, 잠금 부재(12)를 회전시켜 잠금 슬롯(121)의 개구가 기타 방향(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향하도록 하면 잠금 돌기(22)는 잠금 슬롯(121) 내에 한정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칼 홀더(2)를 용기 저부(1)에 잠금하게 되며; 잠금 부재(12)를 잠금 슬롯(121)의 개구가 위를 향하도록 회전할 경우, 잠금 돌기(22)는 잠금 슬롯(121)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칼 홀더(2)는 잠금 해제되어 접속 기둥(10)을 장착홀(111)에서 뽑아 칼 홀더(2)가 용기 저부(1)와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12)는 렌치이고, 렌치를 칼 제거 위치에서 칼 잠금 위치까지 돌릴 경우, 렌치의 잠금 슬롯(121)은 칼 홀더(2)의 잠금 돌기(22)를 조여 칼 홀더(2)를 고정시킨다. 잠금 로드가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돌려질 경우, 칼 홀더(2)의 잠금 돌기(22)는 조여지지 않아 칼 홀더(2)가 컵 바닥 커버(1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잠금 돌기(22)의 수량은 적어도 3개이고, 다수의 잠금 돌기(22)는 접속 기둥(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잠금 돌기(22)의 수량은 적어도 3개이고, 다수의 잠금 돌기(22)는 접속 기둥(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하나의 잠금 돌기(22) 또는 두 개의 잠금 돌기(22)의 방식에 비해 인접한 잠금 돌기(22) 사이의 협각을 감소시켜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가 정렬할 때의 회동 폭을 감소하여 칼 홀더(2)와 용기 저부(1)의 정렬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 칼 홀더(2)가 용기 저부(1)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하여 칼 홀더(2)를 장착하는 체험을 향상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잠금 돌기(22)의 수량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이다. 4개의 잠금 돌기(22)는 두 그룹으로 나뉘는데 각 그룹의 두 개의 잠금 돌기(2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기둥(10)의 중심축선에 대해 거울 대칭된다.
잠금 부재(12)에 대해 대칭되게 두 개의 잠금 슬롯(121)을 설치하면 각 그룹의 두 개의 잠금 돌기(22)는 모두 이 두 개의 잠금 슬롯(121)과 배합하여 칼 홀더(2)의 정렬 난이도를 저하시켜 칼 홀더(2)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칼 홀더(2)와 잠금 부재(12)가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하여 칼 잠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잠금 부재(12)의 구조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고, 잠금 부재(12) 자체에 대해 두 개의 잠금 슬롯(121)을 대칭되게 설치하는 방안에 대하여 잠금 부재(12)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없어 잠금 부재(12)의 일반성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이 방안은 칼 홀더(2)의 전반적인 구조가 보다 정연하도록 하여 가공 성형에 유리하고 제품의 미관성을 향상시키는데도 유리하다.
물론, 잠금 돌기(22)의 수량은 4개에 한정되지 않는 바, 3개, 5개, 6개, 8개 등 일 수도 있다.
여기서, 베이스(1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바닥 커버(112) 및 컵 바닥 커버(112) 상부에 위치하는 히팅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바닥 커버(112)는 컵 바디의 저부와 연결되고, 히팅 플레이트(113)에는 제1 삽입홀(1131)이 설치되며, 컵 바닥 커버(112)에는 제2 삽입홀(1121)이 설치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111)은 제1 삽입홀(1131) 및 제2 삽입홀(1121)을 포함하는데, 접속 기둥(10)의 연결 상부(101)는 제1 삽입홀(1131)과 삽입 장착되고, 접속 기둥(10)의 연결 하부(102)는 제2 삽입홀(1121)과 삽입 장착된다.
베이스(11)는 컵 바닥 커버(112) 및 히팅 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데, 컵 바닥 커버(112)는 컵 바디의 저부와 연결되고, 히팅 플레이트(113)는 컵 바닥 커버(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컵 바디 내의 식재료를 가열한다. 히팅 플레이트(113)에는 제1 삽입홀(1131)가 설치되고, 컵 바닥 커버(112)에는 제2 삽입홀(1121)이 설치되며, 장착홀(111)은 제1 삽입홀(1131) 및 제2 삽입홀(1121)을 포함하며, 장착할 경우, 연결 하부(102)는 먼저 히팅 플레이트(113)의 제1 삽입홀(1131)을 관통한 다음, 연결 하부(102)와 컵 바닥 커버(112)의 제2 삽입홀(1121)가 삽입 장착되며, 연결 상부(101)는 히팅 플레이트(113)의 제1 삽입홀(1131)과 삽입 장착되어 접속 기둥(10)과 장착홀(111)의 삽입 장착을 구현하여 칼 홀더(2)의 포지셔닝 장착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하부(102)와 제2 삽입홀(1121) 사이의 간극은 연결 상부(101)와 제1 삽입홀(1131) 사이의 간극보다 작거나 같다.
연결 하부(102)와 제2 삽입홀(1121) 사이의 간극을 연결 상부(101)와 제1 삽입홀(1131) 사이의 간극보다 크지 않도록(즉 작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연결 하부(102)가 연결 상부(101)보다 얇으므로 칼 홀더(2)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연결 하부(102)와 제1 삽입홀(1131) 사이의 간극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연결 하부(102)가 신속하게 제1 삽입홀(1131)에 삽입되어 제1 삽입홀(1131)을 관통하기 편리하도록 하여 칼 홀더(2)의 신속한 장착을 구현하고; 연결 하부(102)가 제1 삽입홀(1131)을 관통하여 제2 삽입홀(1121)에 삽입된 후, 제2 삽입홀(1121) 사이의 간극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연결 하부(102)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칼 홀더(2)와 믹싱컵의 중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칼 홀더(2)가 진동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컵 바닥 커버(112)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경사면(1123)이 설치되어 연결 하부(102)로 하여금 제2 삽입홀(1121)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컵 바닥 커버(112)에 가이드 경사면(1123)을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경사면(1123)은 가이드 작용을 하여 연결 하부(102)가 신속하게 제2 삽입홀(1121)에 순조롭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하부(102)가 제2 삽입홀(1121)에 삽입되는 편의를 더 향상시키고 칼 홀더(2)의 장착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5]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더 나아가, 칼세트 장착구조는 도 22, 도 24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기구(6)를 더 포함한다. 리미팅 기구(6)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잠금시켜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한정한다.
칼세트 장착구조는 리미팅 기구(6)를 더 포함하는데, 리미팅 기구(6)는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여 잠금 부재(12)가 사용과정에서 역방향 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잠금 부재(12)가 칼 홀더(2)에 대한 잠금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칼 홀더(2)가 사용과정에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담보하여 제품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리미팅 기구(6)는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부재(61)를 포함한다. 리미팅 부재(61)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베이스(11)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잠금하거나 또는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시킨다.
베이스(11)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리미팅 부재(61)를 설치하여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를 잠금하는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면 되고,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해야 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를 잠금 해제하는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면 되므로, 원리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하다.
더 나아가,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구동면(127)이 설치되고, 리미팅 부재(61)에는 배합면(611)이 설치되며, 구동면(127)과 배합면(611)에서의 적어도 하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구동면(127)은 배합면(611)과 스토핑하도록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잠금 위치를 향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리미팅 부재(61)를 운동시키도록 한다. 리미팅 부재(61)는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리셋되는 동시에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한다.
잠금 부재(12)의 구동면(127)과 리미팅 부재(61)의 배합면(611)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경사면으로 구성하면 구동면(127)과 배합면(611)이 접촉하여 서로 작용할 경우, 구동면(127)과 배합면(611)이 상이한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잠금 부재(12)와 리미팅 부재(61)는 상이한 운동방식, 예를 들면, 하나가 회동하고, 하나가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두 개가 모두 슬라이딩하지만 슬라이딩 방향이 상이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품의 수요에 따라 잠금 부재(12)와 리미팅 부재(61)의 운동방식을 합리적으로 설계하여 제품의 구조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23에서,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구동면(127)은 배합면(611)을 밀어 오른쪽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오른쪽으로 운동하도록 하고, 잠금 부재(12)를 회피하여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리미팅 부재(61)가 왼쪽으로 운동하여 리셋함으로써 잠금 부재(12)를 걸고, 잠금 부재(12)와 스토핑하도록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한다.
도 27에서,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구동면(127)은 배합면(611)을 밀어 왼쪽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왼쪽으로 운동하도록 하고, 잠금 부재(12)를 회피하여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리미팅 부재(61)가 오른쪽으로 운동하여 리셋함으로써 잠금 부재(12)를 걸고, 잠금 부재(12)와 스토핑하도록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한다.
더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기구(6)는 리미팅 부재(61)와 배합하여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리미팅 부재(61)를 리셋시키는 리셋 부재(62)를 더 포함한다.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를 향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리미팅 부재(61)는 잠금 부재(12)의 구동을 받아 잠금 부재(12)를 회피하는 위치를 향해 운동하여 잠금 부재(12)가 순조롭게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수 있도록 담보한다. 이 과정에서, 리셋 부재(62)가 탄성 변형되어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므로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는 더 이상 잠금 부재(12)의 한정을 받지 않고 리셋 부재(62)의 리셋 탄력의 작용 하에 자동으로 리셋되어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시킨다. 이렇게, 사용자가 수동으로 리미팅 부재(61)를 리셋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사용체험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리셋 부재(62)의 한정을 받아 리미팅 부재(61)는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잠금 부재(12)를 잠금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머물게 되어 잠금 부재(12)의 잠금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해야 할 경우, 리셋 부재(62)의 탄력을 극복하고 리미팅 부재(61)를 이동하기만 하면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여 잠금 부재(12)가 순조롭게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리셋 부재(62)를 취소하고 리미팅 부재(61)를 수동으로 작업하여 이를 리셋시킬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 부재(62)는 스프링이고, 베이스(11)에는 스토퍼(116)가 설치되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스토퍼(116) 및 리미팅 부재(61)와 당접된다.
베이스(11)에 스토퍼(116)를 설치하고, 리셋 부재(62)는 스프링의 형식을 사용하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스토퍼(116) 및 리미팅 부재(61)와 당접되면 스프링이 스토퍼(116)와 당접되는 일단은 움직이지 않고, 스프링이 리미팅 부재(61)와 당접되는 일단은 리미팅 부재(61)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여 스프링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하고 구상이 교묘하며 원가가 낮다. 물론, 리셋 부재(62)는 스프링의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시트, 탄성체 등 탄성 구조 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부재(61)에는 작업부(612)가 설치되고, 작업부(612)는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운동하여 잠금 부재(12)를 잠금 해제하도록 한다.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에서 칼 제거 위치를 향해 운동해야 할 경우, 리미팅 부재(61)의 작업부(612)를 통해 리미팅 부재(61)에 구동력을 인가하기만 하면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에 대해 운동하도록 할 수 있어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고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부(612)는 판형 구조, 기둥 구조, 블록 구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부(612)와 베이스(11)의 측벽 사이에 활동 공간을 구비하되, 작업부(612)는 베이스(11)의 측벽과 가까이하는 방향을 향해 운동하여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거나; 또는 베이스(11)의 측벽에 작업부(612)를 수용하기 위한 갭을 설치하되, 작업부(612)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에 움츠려 들어가는 방향을 향해 운동하여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작업부(612)와 베이스(11)의 측벽 사이에 활동 공간을 설치하여 작업부(612)가 활동 공간 내에서 왕복운동하여 베이스(11)의 측벽에 가까이하거나 또는 베이스(11)의 측벽과 멀리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부(612)가 베이스(11)의 측벽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부(612)가 베이스(11)의 측벽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도록 할 수 있다. 리미팅 부재(61)가 잠금 부재(12)를 잠금할 경우, 작업부(612)와 베이스(11)의 측벽 사이에 활동 공간이 구비되므로 베이스(11)의 아래로부터 작업부(612)에 구동력을 인가해야 한다. 이 실시예는 베이스(11) 측벽의 완전성을 담보하고 베이스(1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도 27에서, 리미팅 부재(61)는 왼쪽으로 운동하여 베이스(11)의 측벽에 가까이하고,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다.
베이스(11)의 측벽에 갭을 설치하고 작업부(612)는 이 갭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작업부(612)가 베이스(11)에 움츠려 들어가는 방향을 향해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부(612)가 갭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운동할 경우, 리미팅 부재(61)로 하여금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도록 할 수 있다. 리미팅 부재(61)가 잠금 부재(12)를 잠금할 경우, 작업부(612)는 마침 갭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갭을 통해 직접 작업부(612)에 구동력을 인가하기만 하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 작업부(612)의 위치는 비교적 뚜렷하고, 사용자가 베이스(11)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이 작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악하기 편리하고 사용자의 사용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23에서, 리미팅 부재(61)는 오른쪽으로 운동하여 베이스(11) 내에 움츠려 들어가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기구(6)는, 베이스(11)와 연결되어 베이스(11)와 리미팅 공간을 에워싸아 리미팅 부재(61)가 리미팅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뚜껑(63)을 더 포함한다.
뚜껑(63)의 설치는, 리미팅 부재(61)에 대해 리미팅 작용을 하여 리미팅 부재(61)가 베이스(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리미팅 부재(61)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리셋 부재(62)는 리미팅 공간 내에 설치되어 리셋 부재(62)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리미팅 부재(61)의 작업부(612)와 베이스(11)의 측벽 사이에 활동 공간이 구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63)에는 작업부(612)를 회피하기 위한 회피 갭이 더 설치되어 작업부(612)가 뚜껑(63)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담보하여 사용자의 작업에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도 5,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128)가 설치되고, 리미팅 부재(6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합부(613)가 설치되며, 잠금부(128)는 배합부(613)와 일일이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시킨다.
잠금부(128)와 배합부(613)의 배합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시켜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에서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수요에 따라 잠금부(128)와 배합부(613)의 형상 및 사이즈를 합리적으로 설계하여 제품 구조와 성능을 최적화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28)는 제1 후크부이고, 배합부(613)는 제2 후크부이며,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는 후크 연결되도록 배합한다.
잠금부(128)와 배합부(613)는 모두 후크부의 형식을 사용하고, 후크 연결되도록 배합하는 방식에 의해 서로 리미팅함으로써 잠금 부재(12)가 역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물론, 잠금부(128)와 배합부(613)는 제1 후크부 및 제2 후크부의 배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블록과 삽입 홈의 배합 방식, 삽입 홈과 삽입 블록의 배합 방식, 걸림 고리와 걸림 구멍의 배합 방식, 스토핑 블록과 스토핑 면의 배합 방식 등 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배합부(613)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배합부(613)는 이격되게 설치되며; 리미팅 기구(6)의 리셋 부재(62)는 두 개의 배합부(613) 사이에 위치한다.
두 개의 배합부(613)는 두 개의 잠금부(128)와 일일이 배합하여 이중 잠금을 구현함으로써 리미팅 기구(6)가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리미팅 기구(6)의 리셋 부재(62)를 두 개의 배합부(613) 사이에 설치하여 리셋 부재(62)가 균일한 힘을 받도록 하여 리셋 부재(62)가 경사지거나 변위되는 등 상황이 발생하는 확률을 저하시켜 리셋 부재(62)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실시예6]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더 나아가, 칼세트 장착구조는 잠금 배합기구(7)를 더 포함하는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시켜 잠금 부재(12)가 베이스(11)에 대한 운동을 한정한다.
칼세트 장착구조는 잠금 배합기구(7)를 더 포함하는데, 잠금 배합기구(7)는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시켜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에 위치할 때 흔들림, 이동, 스윙 등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칼 홀더(2)의 착탈에 간섭하지 않아 칼 홀더(2)가 신속하게 장착홀(111)에 삽입되거나 또는 신속하게 장착홀(111)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칼 홀더(2)의 착탈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키고 칼 홀더(2)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잠금 배합기구(7)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7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71)는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잠금 부재(12)가 베이스(11)에 대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고, 리셋 변형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이 방안에서, 잠금 부재(12)가 베이스(11)에 대해 이동할 경우, 탄성부재(71)가 탄성 변형되고 탄성부재(71)가 리셋 변형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므로 탄성부재(71)는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단독으로 밀고 나가거나 또는 기타 외력과 배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게 된다. 이는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는 난이도를 저하시키고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을 저하시켜 칼을 제거하는 난이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탄성부재(71)의 리셋 변형이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발성하게 하므로 칼 제거 위치에 놓이는 잠금 부재(12)는 반드시 탄성부재(71)의 리셋 탄력을 극복해야만 베이스(11)에 대해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그 어떤 외력도 받지 않는 경우, 잠금 부재(12)는 탄성부재(71)의 한정을 받아 칼 제거 위치에 안정적으로 포지셔닝되어 칼 홀더(2)의 신속한 착탈에 유리하게 된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71)는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에 놓이는 경우 자연 상태에 놓이므로 탄성부재(71)를 이용하기만 하면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 할 수 있어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는 신뢰도를 더 향상시키고 잠금 배합기구(7)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물론, 잠금 배합기구(7)는 탄성부재(71)의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잠금 배합기구(7)는 베이스(11)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라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칼라를 통해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완전히 걸리도록 하거나; 또는 잠금 배합기구(7)가 베이스(11)와 이동 연결되는 스토핑 부재를 사용하여 스토핑 부재의 스토핑 배합을 통해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완전히 받치도록 한다.
동시에, 리미팅 기구(6)의 설치는 칼 잠금 위치에 놓이는 잠금 부재(12)가 탄성부재(71)의 리셋 탄력의 작용 하에 흔들림 또는 역방향 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담보하여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에 놓일 때의 안정성을 담보한다.
더 나아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는 베이스(11)와 이동 연결되고, 탄성부재(71)는 토션 스프링(711)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711)은 제1 토션 암(7111)과 제2 토션 암(7112)을 포함하되, 제1 토션 암(7111)은 잠금 부재(12)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고, 제2 토션 암(7112)은 베이스(11)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된다.
잠금 부재(12)와 베이스(11)가 이동 연결되므로, 예를 들어 힌지 연결 방식 또는 회전축(125)과 축홀의 배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렌치와 베이스(11)의 회동 연결을 구현하므로 탄성부재(71)는 토션 스프링(711)의 방식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의 운동 방식에 적응하는데, 이는 토션 스프링(711)의 탄성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기 편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토션 스프링(711)의 리셋 탄력이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되어 잠금 부재(12)가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는 작업의 난이도를 저하시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제1 토션 암(7111)이 잠금 부재(12)에 리미팅된다는 것은, 잠금 부재(12)에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 등 리미팅 구조를 설치하여 제1 토션 암(7111)을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에 삽입시키고, 리미팅 구조를 이용하여 제1 토션 암(7111)이 잠금 부재(1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제1 토션 암(7111)이 잠금 부재(12)에 당접된다는 것은, 제1 토션 암(7111)이 직접 잠금 부재(12)와 스토핑하도록 배합하여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 등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잠금 부재(12)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같은 도리로, 제2 토션 암(7112)이 베이스(11)에 리미팅된다는 것은, 베이스(11)에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 등 리미팅 구조를 설치하여 제2 토션 암(7112)을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에 삽입시켜 리미팅 구조를 이용하여 제2 토션 암(7112)이 베이스(11)에 대해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제2 토션 암(7112)이 베이스(11)에 당접된다는 것은, 제2 토션 암(7112)이 직접 베이스(11)와 스토핑하도록 배합하여 리미팅 홈 또는 삽입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베이스(11)를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711)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토션 스프링(711)은 동축인 동시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동축인 동시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토션 스프링(711)을 이용하여 탄성부재(71)의 제동 신뢰도를 더 향상시키는데 유리하여 잠금 부재(12)가 안정적으로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되도록 효과적으로 담보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71)의 리셋 탄력을 향상시켜 두 개의 토션 스프링(711)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잠금 위치로부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인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체험을 더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장착기둥(1241)이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711)은 장착기둥(1241)에 씌움 설치된다.
잠금 부재(12)에 장착기둥(1241)을 설치하고, 토션 스프링(711)을 장착기둥(1241)에 씌움 설치하게 되면 토션 스프링(711)과 잠금 부재(1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여 토션 스프링(711)과 잠금 부재(12)의 배합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포지셔닝 홀(1242)이 설치되고, 제1 토션 암(7111)은 포지셔닝 홀(1242)과 삽입 장착된다.
잠금 부재(12)에는 포지셔닝 홀(1242)이 설치되어 제1 토션 암(7111)을 포지셔닝 홀(1242)에 삽입하기만 하면 제1 토션 암(7111)과 잠금 부재(12)의 동기적인 회동을 구현할 수 있고, 제2 토션 암(7112)을 베이스(11)에 리미팅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없도록 하므로 제1 토션 암(7111)이 잠금 부재(12)에 따라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1 토션 암(7111)과 제2 토션 암(7112) 사이의 협각은 이에 따라 변화되어 토션 스프링(7111)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711)의 회전축(125)선과 잠금 부재(12)의 회전축(125)선은 공선이다.
토션 스프링(711)의 회전축(125)선과 잠금 부재(12)의 회전축(125)선이 공선이므로 제1 토션 암(7111)은 잠금 부재(12)를 따라 회동하는 과정에서 토션 스프링(711)의 회전축(125)선을 에워싸고 회동하여 토션 스프링(711)이 기타 방향에서의 작용력을 받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션 스프링(711)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에는 고정부재(115)와 제1 호형홈(도면 미도시)이 설치되는데, 고정부재(115)에는 제2 호형홈(1154)이 설치되고, 고정부재(115)는 베이스(11)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호형홈과 제2 호형홈(1154)이 접합하여 축홀을 이루도록 하고; 잠금 부재(12)에는 회전축(125)(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 설치되는데, 회전축(125)은 축홀과 회동한다.
베이스(11)의 제1 호형홈과 고정부재(115)의 제2 호형홈(1154)을 접합시켜 축홀을 이루므로, 장착할 때 먼저 잠금 부재(12)의 회전축(125)을 제1 호형홈 내에 걸리도록 한 다음 고정부재(115)와 베이스(11)를 고정 연결시켜 회전축(125)과 축홀의 삽입 장착을 구현할 수 있고, 회전축(125)은 축홀에 대해 회동하여 잠금 부재(12)와 베이스(11)의 회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잠금 부재(12)는 일체형 구조로 설계되어 잠금 부재(12)의 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잠금 부재(12)와 베이스(11) 사이의 장착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11)와 고정부재(115)를 일체형 구조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먼저 잠금 부재(12)의 회전축(125)을 축홀에 삽입한 다음, 회전축(125)에 이탈 방지 구조를 장착하거나 또는 베이스(11)의 기타 구조를 이용하여 회전축(125)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만 하면 된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결합부(122)와 포지셔닝부(124)가 설치되는데, 잠금 결합부(122)는 칼 홀더(2)를 잠금하기 위한 것이고, 제1 토션 암(7111)은 포지셔닝부(124)에 리미팅되며; 잠금 결합부(122)와 포지셔닝부(124)는 회전축(125)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장착홈(126)을 한정하고, 고정부재(115)의 일부는 장착홈(126) 내에 임베딩된다.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결합부(122)와 포지셔닝부(124)가 설치되는데, 잠금 결합부(122)는 칼 홀더(2)를 잠금시켜 잠금 부재(12)의 잠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토션 암(7111)은 포지셔닝부(124)에 리미팅되어 잠금 부재(12)와 토션 스프링(711)을 배합시킨다. 동시에, 잠금 결합부(122)와 포지셔닝부(124)는 회전축(125)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장착홈(126)을 한정하여 고정부재(115)의 일부가 장착홈(126) 내에 임베딩되므로 회전축(125)이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회전축(125)이 축홀을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잠금 부재(12)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26)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장착홈(126)은 동축인 동시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고정부재(115)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고정부재(115)는 두 개의 장착홈(126)과 일일이 대응된다.
잠금 부재(12)에 대칭되게 설치된 두 개의 동축인 장착홈(126)은 잠금 부재(12)의 구조가 보다 정연하도록 하여 가공 성형이 편리하도록 하고, 잠금 부재(12)가 균일한 힘을 받기 편리하도록 한다. 두 개의 장착홈(126)은 두 개의 고정부재(115)와 일일이 배합하여 리미팅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잠금 부재(12)의 사용 신뢰도를 더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5)는 연결부(1153)와 고정 몸체(1151)를 포함하는데, 고정 몸체(1151)는 베이스(11)와 고정 연결되고, 연결부(1153)에는 제2 호형홈(1154)이 설치된다.
고정부재(115)는 연결부(1153)와 고정 몸체(1151) 두 부분을 포함하는데, 고정 몸체(1151)는 베이스(11)와 고정 연결되어 고정부재(115)와 베이스(11)의 장착 고정을 구현하고; 연결부(1153)에는 제2 호형홈(1154)이 설치되어 잠금 부재(12)와 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115)를 두 부분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수요에 따라 고정부재(115)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설계하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와 성능을 최적화한다.
여기서, 고정 몸체(1151)에는 고정홀(1152)이 설치되는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1152)은 볼트 등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고정부재(115)와 베이스(11)를 고정 연결시키고, 잠금 부재(12)를 리미팅한다.
더 나아가, 잠금 배합기구(7)의 탄성부재(71)는, 칼세트 장착구조의 리미팅 기구(6)가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고,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도록 구성된다.
리미팅 기구(6)가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 탄성부재(71)는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잠금 위치로부터 자동으로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고,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업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물론, 탄성부재(71)의 리셋 탄력은 잠금 부재(12)를 구동하여 칼 잠금 위치로부터 자동으로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는데 부족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잠금 부재(12)에 대해 약간의 힘만 인가하면 되므로 작업도 비교적 편리하다.
더 나아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사이드 패널(114), 컵 바닥 커버(112) 및 히팅 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데, 컵 바닥 커버(112)는 사이드 패널(114)의 저부와 연결되고, 히팅 플레이트(113)는 사이드 패널(114)과 컵 바닥 커버(112)으로 에워싸인 공간 내에 설치되며; 히팅 플레이트(113)에는 제1 삽입홀(1131)이 설치되고, 컵 바닥 커버(112)에는 제2 삽입홀(1121)이 설치되며, 장착홀(111)은 제1 삽입홀(1131) 및 제2 삽입홀(1121)을 포함하고; 컵 바닥 커버(112)는 잠금 부재(12) 및 잠금 배합기구(7)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캐비티(1122)를 에워싸아 형성하며, 장착 캐비티(1122)는 개구가 아래를 향하고; 히팅 플레이트(113), 컵 바닥 커버(112) 및 사이드 패널(114)은 이너 캐비티(117)를 한정하며, 컵 바닥 커버(112)과 히팅 플레이트(113) 사이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캐비티(117)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8)가 설치된다.
베이스(11)는 사이드 패널(114), 컵 바닥 커버(112) 및 히팅 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데, 사이드 패널(114)은 믹싱컵의 컵 바디 저부와 연결되고, 사이드 패널(114)의 저부는 컵 바닥 커버(112)과 연결되어 식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에워싸아 형성한다. 히팅 플레이트(113)는 사이드 패널(114)과 컵 바닥 커버(112)로 에워싸인 공간 내에 설치, 즉 수용 공간의 저부에 위치하여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풍부하게 한다. 히팅 플레이트(113)와 컵 바닥 커버(112)에는 제1 삽입홀(1131) 및 제2 삽입홀(1121)이 각각 설치되어 칼 홀더(2) 내의 칼축(31)의 하단이 베이스(11)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 가공기의 받침대와 연결되도록 하고, 칼축(31)의 상단은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여 커터와 연결됨으로써 커터를 회전시켜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에 대해 절단, 분쇄, 믹싱 등 처리를 진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컵 바닥 커버(112)는 장착 캐비티(1122)를 에워싸아 형성하고, 장착 캐비티(1122)의 개구는 아래를 향하므로 잠금 부재(12)와 잠금 배합기구(7)는 아래로부터 위로 장착 캐비티(1122) 내에 장착되어 구체적인 장착 과정에서 베이스(11)를 상하로 뒤집은 다음, 다시 잠금 부재(12)와 잠금 배합기구(7)를 장착시킴으로써 장착이 보다 편리한 동시에 잠금 부재(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잠금 부재(12)를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칼 홀더(2)를 고정시키거나 칼 홀더(2)를 놓는다. 히팅 플레이트(113), 컵 바닥 커버(112) 및 사이드 패널(114)은 이너 캐비티(117)를 한정하여 전자 소자를 장착할 수 있고, 컵 바닥 커버(112)와 히팅 플레이트(113) 사이에 실링부재(8)를 설치하여 수용 공간 내의 액체가 히팅 플레이트(113) 및 컵 바닥 커버(112) 사이의 간극을 따라 이너 캐비티(117)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캐비티(117)에서의 전자 소자에 대해 방수 보호를 진행하여 이너 캐비티(117)에서의 전자 소자가 물의 영향을 받아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113)에는 연결기둥(1132)이 설치되는데, 연결기둥(1132)은 컵 바닥 커버(112)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히팅 플레이트(113)와 컵 바닥 커버(112)를 연결시킴으로써 실링부재(8)에 압축 작용을 하여 실링부재(8)의 실링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기둥(1132)을 히팅 플레이트(113)에 설치하여 히팅 플레이트(113)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히팅 플레이트(113)의 가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실링부재(8)에는 연장 엣지가 설치되고, 체결부재는 연장 엣지를 관통하여 연결기둥(1132)과 고정 연결된다.
체결부재는 실링부재(8)의 연장 엣지를 관통하여 연결기둥(1132)과 고정 연결되어 실링부재(8)가 어긋나고 움직이는 등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실링부재(8)의 고정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실링부재(8)의 실링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연장 엣지는 완전한 환형으로서 실링부재(8)를 에워쌀 수 있고; 연장 엣지는 환형이 아닐 수 있는 바, 즉 실링부재(8)는 일부에 연장 엣지가 설치되어 체결부재와 배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0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바닥 커버(112)에는 단턱면(1124)이 설치되고, 실링부재(8)는 단턱면(1124)과 접합된다.
실링부재(8)는 컵 바닥 커버(112)의 단턱면(1124)과 접합하여 실링부재(8)와 컵 바닥 커버(112)의 접촉면적을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실링부재(8)가 컵 바닥 커버(112)의 상이한 방향에서의 작용력을 받도록 하여 실링부재(8)의 고정 신뢰도를 향상시켜 실링부재(8)의 실링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의 믹싱컵은 컵 바디(4) 및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컵 바디(4)는 도 7, 도 8,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3)를 수용한다. 칼세트 장착구조의 용기 저부(1)는 컵 바디(4)의 하단과 연결되고, 커터(3)는 칼세트 장착구조의 칼 홀더(2)에 장착되어 칼 홀더(2)와 회동 연결된다.
본 출원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은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므로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컵 바디(4)는 양단이 열린 구조이고, 용기 저부(1)와 컵 바디(4)의 하단 사이에는 실링 구조가 설치되어 실링 성능을 담보할 수 있고, 용기 저부(1)는 컵 바디(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컵 바디(4)는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고, 용기 저부(1)는 수용 캐비티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 저부(1)와 컵 바디(4) 사이에는 히팅 플레이트 등 구조가 설치되고, 이때 용기 저부(1)는 사이드 패널을 통해 컵 바디(4)의 측벽과 연결되어 외관으로부터 볼 때, 사이드 패널은 믹싱컵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며, 용기 저부(1)는 믹싱컵의 저부이고, 사이드 패널은 용기 저부(1)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분리형 구조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할 경우, 먼저 칼축(31)을 통해 커터(3)를 칼 홀더(2)에 장착하여 칼세트를 형성하고, 다음 칼세트를 용기 저부(1)에 장착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믹싱컵과 받침대(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대(5)는 믹싱컵의 아래에 위치하고, 믹싱컵과 연결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식품 가공기는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믹싱컵을 포함하므로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에 구비된 모든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칼축(31) 하단에는 커플링(32)이 설치되어 받침대(5) 내의 모터의 커플링과 맞물려 모터의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식품 가공기는 고속 블렌더, 조리기, 주스 기계 또는 믹서이다.
물론,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두유 제조기 등과 같은 기타 식품 가공기 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믹싱컵은 컵 바디(4)와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고, 칼세트 장착구조는 용기 저부(1)와 칼 홀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저부(1)는 컵 바디(4)의 하단과 연결되고, 용기 저부(1)에는 장착홀(111)이 설치된다. 칼 홀더(2)는 장착홀(111)에 장착되고, 칼 홀더(2)에는 커터(3)가 장착되며, 커터(3)는 컵 바디(4) 내에 수용되기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칼 홀더(2)에는 이탈 방지부(21)가 설치되며, 용기 저부(1)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13)가 설치되고, 이탈 방지부(21)는 이탈 방지 배합부(13)와 배합하여 칼 홀더(2)가 중력의 작용 하에 장착홀(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용기 저부(1)는 베이스(11)와 잠금 부재(12)를 포함하는데; 베이스(11)에는 장착홀(111)이 설치되고; 잠금 부재(12)는 베이스(11)에 장착되어 칼 홀더(2)와 배합하여 베이스(11)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하여 칼 홀더(2)를 고정시키고,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 해제하는데; 여기서, 베이스(11) 및/또는 잠금 부재(12)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13)가 설치된다.
칼세트 장착구조는 리미팅 기구(6)와 잠금 배합기구(7)를 더 포함한다.
리미팅 기구(6)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잠금 부재(12)와 배합함으로써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여 잠금 부재(12)가 칼 제거 위치를 향해 운동하는 것을 한정한다.
리미팅 기구(6)는 리미팅 부재(61)를 포함하되, 리미팅 부재(61)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베이스(11)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잠금 부재(12)를 칼 잠금 위치에 잠금시키거나 또는 잠금 부재(12)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 배합기구(7)는 베이스(11)에 설치되어 잠금 부재(12)와 배합함으로써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여 잠금 부재(12)가 용기 저부(1)에 대해 운동하는 것을 한정한다.
잠금 배합기구(7)는 탄성부재(71)를 포함하는데, 탄성부재(71)는 잠금 부재(12)와 배합하여 잠금 부재(12)가 베이스(11)에 대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고, 리셋 변형하는 과정에서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잠금 부재(12)와 베이스(11)는 이동 연결되고, 탄성부재(71)는 토션 스프링(711)을 포함하며, 토션 스프링(711)은 제1 토션 암(7111)과 제2 토션 암(7112)을 포함하고, 제1 토션 암(7111)은 잠금 부재(12)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고, 제2 토션 암(7112)은 베이스(11)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된다.
탄성부재(71)는, 칼세트 장착구조의 리미팅 기구(6)가 잠금 부재(12)의 잠금을 해제한 후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잠금 부재(12)로 하여금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잠금 부재(12)를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시킨다.
잠금 부재(12)는 베이스(11)와 회동 연결되고,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슬롯(121)이 설치되며, 칼 홀더(2)의 벽면에는 잠금 돌기(22)가 설치되고, 잠금 돌기(22)는 잠금 슬롯(121)와 삽입 장착된다. 잠금 돌기(22)의 너비는 2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다.
잠금 부재(12)에는 잠금 결합부(122)가 설치되고, 잠금 결합부(122)는 고정부(1221) 및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222)를 포함하며,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는 잠금 슬롯(121)을 에워싸아 형성하고, 탄성부(1222)의 일단은 고정부(1221)의 일단과 고정 연결되며, 탄성부(1222)의 타단과 고정부(1221)의 타단은 잠금 돌기(22)를 삽입시키는 삽입부를 형성한다.
고정부(1221) 및 탄성부(1222)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고, 고정부(1221)의 양단은 잠금 부재(12)와 고정 연결되며, 탄성부(1222)의 일단은 고정부(1221)와 고정 연결되고, 탄성부(1222)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탄성부(1222)와 잠금 부재(12) 사이에는 회피 간극(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 방지부(21)는 잠금 돌기(22)를 포함하고, 이탈 방지 배합부(13)는 잠금 결합부(122)를 포함하며, 탄성부(1222)의 타단과 고정부(1221)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잠금 돌기(22)의 너비보다 작다.
또는, 이탈 방지부(21)와 이탈 방지 배합부(13)에서의 하나는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71)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홈(23)을 포함하며, 탄성부재(71)는 걸림홈(23)에 걸리거나 걸림홈(23)에서 이탈되고, 탄성부재(71)는 장착홀(111)의 홀벽에 설치된다.
이하, 고속 블렌더 조리기를 예로 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칼세트 장착구조, 믹싱컵 및 식품 가공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면과 결부하여 3개의 구체적인 예시를 소개한다.
현재, 고속 블렌더 조리기는 점점 더 많은 소비자의 환영을 받고 사용되고 있으나 믹싱컵의 세척이 힘든 문제점은 늘 사용자의 골치거리가 되었다. 믹싱컵을 더 쉽게 세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칼세트의 분해 세척에 관한 실시예를 사용하였다. 일부 관련 기술에서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칼 홀더(2)를 탈착한다. 다른 일부 관련 기술에서는, 잠금 부재(12)를 돌려 칼 홀더(2)를 잠금한다. 그러나 소비자가 칼을 제거할 때, 믹싱컵을 거꾸로 놓고 손잡이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잠금 부재(12)가 칼 홀더(2)를 잠금 해제할 때, 칼세트가 쉽게 떨어져 탁상(지면)을 파괴하거나 칼세트를 손상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이 제공하는 방안은 상기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1(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블렌더 조리기는 믹싱컵과 받침대(5)를 포함하되, 믹싱컵은 칼세트 장착구조와 컵 바디(4)를 포함하고, 칼세트 장착구조는 용기 저부(1)와 칼 홀더(2)를 포함하며, 칼 홀더(2)에는 커터(3)로 형성된 칼세트가 장착되고, 용기 저부(1)는 베이스(11)(또는 컵 바닥 커버) 및 잠금 부재(12)가 포함되며, 잠금 부재(12)는 렌치이고, 렌치는 베이스(11)와 회동 연결되며, 렌치에는 갭 홈(즉 잠금 슬롯(121))이 설치되고, 칼 홀더(2)에는 러그(즉 잠금 돌기(22))가 설치되며, 잠금 슬롯(121)은 잠금 돌기(22)와 삽입 장착된다. 잠금 부재(12)는 칼 홀더(2)와 배합하여 베이스(11)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하여 칼 홀더(2)를 고정시키고,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칼 홀더(2)를 잠금 해제하여 칼 홀더(2)를 풀어놓는다.
믹싱컵에서의 칼세트의 해체 가능한 장착 원리는, 칼 홀더(2)가 베이스(11)의 장착홀(111)에 삽입되어 베이스(11) 저부에 장착된 렌치가 칼 제거 위치에서 칼 잠금 위치로 돌려질 경우, 렌치의 갭 홈(즉 잠금 슬롯(121))이 칼 홀더(2)의 러그(즉 잠금 돌기(22))를 조여 칼세트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렌치가 칼 잠금 위치에서 칼 제거 위치로 돌려질 경우, 칼 홀더(2)의 러그는 조여지지 않아 칼세트를 컵 바닥에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칼 홀더(2) 하부의 외측에는 두 개의 러그가 대칭되게 설치되고, 러그 너비는 H1이며, 2mm≤H1≤10mm이다.
잠금 로드의 개구홈은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에 의해 에워싸아 형성되고, 고정부(1221)와 탄성부(1222) 사이의 개구의 최소 거리(즉 잠금 슬롯(121)이 개구한 최소 너비)는 H2이며, H2<H1이다.
탄성부(1222)는 외력의 작용을 받아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갭 홈의 개구 거리(H2)는 커지며, 외력이 소실될 경우, H2는 회복된다.
본 구체적인 예시의 이탈 방지 원리는 다음과 같다.
칼세트가 컵 저부 중심홀(즉 장착홀(111))에 장착될 경우, 칼 홀더(2)의 러그는 렌치 잠금 슬롯(121)의 개구로부터 잠금 슬롯(121)에 진입하게 되는데, 러그의 너비(H1)가 개구 거리(H2)보다 크므로 잠금 슬롯(121)의 탄성부(1222)는 외력을 받아 외부를 향해 탄성 변형을 발생하게 되고, 칼세트가 제대로 장착된 후, 잠금 슬롯(121)의 탄성부(1222)는 외력을 받지 않아 원래의 위치로 회복된다.
칼세트를 해체할 경우, 사용자는 흔히 믹싱컵을 거꾸로 놓는다. 이때, 렌치를 칼 제거 위치까지 돌리는데, 잠금 슬롯(121)이 개구한 거리가 칼 홀더(2) 러그의 너비보다 작으므로 칼세트는 한꺼번에 떨어지지 않는다. 다음, 조금만 힘을 가하면 칼세트를 믹싱컵에서 인출할 수 있다.
칼세트를 장착할 경우, 렌치를 칼 제거 위치에서 칼 잠금 위치까지 돌리면 렌치의 잠금 슬롯(121)의 고정부(1221)가 칼 홀더(2)의 러그를 조여 칼세트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칼세트를 장착할 경우, 사용자에게 제대로 장착되는 감촉을 주게 된다. 칼세트를 해체할 경우, 렌치를 칼 제거 위치까지 돌리면 컵이 거꾸로 놓이더라도 칼 홀더(2)의 러그가 잠금 슬롯(121)의 개구에 걸리므로 칼세트가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컵이 거꾸로 놓일 경우, 렌치를 칼 제거 위치까지 돌려도 칼세트가 떨어지지 않아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예시2(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바닥 커버의 중간 구멍(즉 장착홀(111))의 내벽에 탄성 후크(14)를 설치하고, 칼 홀더(2)의 외벽에 걸림홈(23)을 설치한다. 칼세트가 중심홀에 삽입될 경우, 탄성 후크(14)를 밖으로 돌리고; 칼 홀더(2)가 제대로 장착될 경우, 탄성 후크(14)는 칼 홀더(2)의 걸림홈(23)에 걸린다. 컵을 거꾸로 놓더라도 렌치는 칼 제거 위치에 놓이고, 칼 홀더(2)는 탄성 후크(14)에 의해 걸리게 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칼세트를 힘껏 밖으로 뽑을 경우, 탄성 후크(14)는 변형되고, 칼세트는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시3(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바닥 커버의 중간 구멍(즉 장착홀(111))의 내벽에 포지셔닝 홈(16)을 설치하고, 칼 홀더(2)의 외벽에는 걸림홈(23)을 설치한다.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은 컵 바닥 커버의 포지셔닝 홈(16)에 장착된다. 칼세트 가 중심홀에 삽입될 경우, 탄성 클램프 스프링(15)는 외부로 확장되고, 칼 홀더(2)가 제대로 장착될 경우,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은 리셋되어 칼 홀더(2)에 걸린다. 컵을 거꾸로 놓더라도 렌치는 칼 제거 위치에 놓이고, 칼 홀더(2)는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에 의해 걸리게 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칼세트를 힘껏 밖으로 뽑을 경우, 탄성 클램프 스프링(15)은 외부로 확장되고, 칼세트는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달리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고; 용어 "연결”, "장착”, "고정” 등은 모두 일반화한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는 바,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한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 설명은 이 실시예와 결부하거나 또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의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은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7에서의 도면 부호와 부품 명칭 사이의 대응관계는 아래와 같다.
1: 용기 저부, 11: 베이스, 111: 장착홀, 112: 컵 바닥 커버, 1121: 제2 삽입홀, 1122: 장착 캐비티, 1123: 가이드 경사면, 1124: 단턱면, 113: 히팅 플레이트, 1131: 제1 삽입홀, 1132: 연결기둥, 114: 사이드 패널, 115: 고정부재, 1151: 고정 몸체, 1152: 고정홀, 1153: 연결부, 1154: 제2 호형홈, 116: 스토퍼, 117: 이너 캐비티, 118: 회피홈, 12: 잠금 부재, 121: 잠금 슬롯, 1211: 노치, 122: 잠금 결합부, 1221: 고정부, 1222: 탄성부, 123: 회피 간극, 124: 포지셔닝부, 1241: 장착기둥, 1242: 포지셔닝 홀, 125: 회전축, 126: 장착홈, 127: 구동면, 128: 잠금부, 13: 이탈 방지 배합부, 14: 탄성 후크, 15: 탄성 클램프 스프링, 16: 포지셔닝 홈;
2: 칼 홀더, 21: 이탈 방지부, 22: 잠금 돌기, 23: 걸림홈, 10: 접속 기둥, 101: 연결 상부, 102: 연결 하부, 103: 과도부, 1031: 과도 경사면, 104: 지지부;
3: 커터, 31: 칼축, 32: 커플링;
4: 컵 바디;
5: 받침대;
6: 리미팅 기구, 61: 리미팅 부재, 611: 배합면, 612: 작업부, 613: 배합부, 62: 리셋 부재, 63: 뚜껑;
7: 잠금 배합기구, 71: 탄성부재, 711: 토션 스프링, 7111: 제1 토션 암, 7112: 제2 토션 암;
8: 실링부재.

Claims (19)

  1. 장착홀이 설치되는 용기 저부; 및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어 상기 식품 가공기의 커터를 장착하는 칼 홀더;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칼 홀더에는 이탈 방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 저부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와 배합하여, 상기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상기 장착홀을 이탈하는 것을 한정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저부는,
    상기 장착홀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칼 홀더와 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상기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상기 칼 홀더를 잠금하여 상기 칼 홀더를 고정시키고,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상기 칼 홀더를 잠금 해제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베이스 및/또는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회동 연결하고, 상기 잠금 부재에는 잠금 슬롯이 설치되며, 상기 칼 홀더의 벽면에는 잠금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잠금 슬롯과 삽입 장착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에는 잠금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결합부는 고정부 및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잠금 슬롯을 에워싸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잠금 돌기를 삽입시키는 삽입부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잠금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는 상기 잠금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상기 잠금 돌기의 너비보다 작은,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의 너비는 2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고, 상기 고정부의 양단은 상기 잠금 부재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잠금 부재 사이에는 회피 간극이 구비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에서의 하나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이탈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홀의 홀벽에 설치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의 수량과 상기 이탈 방지부의 수량은 동일하며 일일이 대응되는데;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장착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장착홀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 홀더는,
    연결 상부 및 상기 연결 상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부 및 상기 연결 하부는 모두 상기 장착홀과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접속 기둥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연결 상부의 외주연은 상기 연결 하부의 외주연에 돌출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1.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잠금 위치에 잠금시킴으로써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칼 제거 위치를 향해 운동하는 것을 한정하는 리미팅 기구를 더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팅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거나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는 리미팅 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3.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용기 저부에 대해 운동하는 것을 한정하는 잠금 배합기구를 더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배합기구는,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고, 리셋 변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이동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토션 암과 제2 토션 암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 암은 상기 잠금 부재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고, 상기 제2 토션 암은 상기 베이스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칼세트 장착구조의 리미팅 기구가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로 하여금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가공기의 칼세트 장착구조.
  17. 커터를 수용하기 위한 컵 바디; 및
    용기 저부가 상기 컵 바디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커터가 이의 칼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칼 홀더와 회동 연결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의 믹싱컵.
  18. 제17항에 따른 믹싱컵; 및
    상기 믹싱컵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믹싱컵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컵은 컵 바디와 칼세트 장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칼세트 장착구조는,
    상기 컵 바디의 하단과 연결되고, 장착홀이 설치되는 용기 저부;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고, 상기 컵 바디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커터가 장착되며; 상기 칼 홀더에는 이탈 방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 저부에는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와 배합하여 상기 칼 홀더가 중력의 작용 하에 상기 장착홀을 이탈하는 것을 한정하는 칼 홀더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용기 저부는 베이스와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장착홀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칼 홀더와 배합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 칼 제거 위치와 칼 잠금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고, 상기 칼 잠금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상기 칼 홀더를 잠금하여 상기 칼 홀더를 고정시키며,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할 경우, 상기 칼 홀더를 잠금 해제하는데; 여기서, 상기 베이스 및/또는 상기 잠금 부재에는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칼세트 장착구조는 리미팅 기구와 잠금 배합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미팅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칼 제거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정하며;
    상기 리미팅 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잠금 위치에 잠금하거나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는 리미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배합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용기 저부에 대해 운동하는 것을 한정하며;
    상기 잠금 배합기구는, 상기 잠금 부재와 배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고, 리셋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밀고 나가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이동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토션 암과 제2 토션 암을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 암은 상기 잠금 부재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고, 상기 제2 토션 암은 상기 베이스에 리미팅되거나 당접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칼세트 장착구조의 리미팅 기구가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의 리셋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로 하여금 상기 칼 제거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고,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칼 제거 위치에 포지셔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회동 연결되고, 상기 잠금 부재에는 잠금 슬롯이 설치되며, 상기 칼 홀더의 벽면에는 잠금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잠금 슬롯과 삽입 장착되며;
    상기 잠금 돌기의 너비는 2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잠금 부재에는 잠금 결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 결합부는 고정부 및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는 상기 잠금 슬롯을 에워싸며,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은 상기 잠금 돌기를 삽입시키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고, 상기 고정부의 양단은 상기 잠금 부재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잠금 부재 사이에는 회피 간극이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잠금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는 상기 잠금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상기 고정부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자연 상태에서의 최소 너비는 상기 잠금 돌기의 너비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이탈 방지 배합부에서의 하나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거나 이탈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홀의 홀벽에 설치되는, 식품 가공기.
KR1020227025936A 2019-12-30 2020-09-28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KR20220119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90606.XA CN113116183B (zh) 2019-12-30 2019-12-30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201911390606.X 2019-12-30
CN201922429921.0 2019-12-30
CN201922429921.0U CN211432537U (zh) 2019-12-30 2019-12-30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PCT/CN2020/118281 WO2021135453A1 (zh) 2019-12-30 2020-09-28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482A true KR20220119482A (ko) 2022-08-29

Family

ID=7668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936A KR20220119482A (ko) 2019-12-30 2020-09-28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86820A1 (ko)
EP (1) EP4042914A4 (ko)
KR (1) KR20220119482A (ko)
WO (1) WO2021135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3373A1 (en) 2022-09-21 2024-03-27 LX Semicon Co., Ltd. Image sens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456B (zh) * 2021-07-16 2023-03-3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固定器组件、刀座组件、容器组件以及食物料理机
CN114532873B (zh) * 2021-10-28 2023-10-27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搅拌杯与料理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8727B (de) * 1954-09-17 1958-09-11 Alfred Paul K G Haushaltgeraet
FR2690611B1 (fr) * 1992-04-30 1996-02-02 Moulinex Sa Appareil menager tel qu'un mixeur equipe d'un dispositif de securite.
BR9803559A (pt) * 1998-09-09 2000-05-09 Arno Sa Liquidificador com lâminas removìveis
DE102009014990A1 (de) * 2009-03-26 2010-09-3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mit einem Rührgefäß
DE102015201699A1 (de) * 2015-01-30 2016-08-04 BSH Hausgeräte GmbH Mischwerkzeugverriegelung für ein Küchengerät
CN205697385U (zh) * 2016-04-01 2016-11-23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多功能食物处理装置及其搅拌杯
CN205866650U (zh) * 2016-04-15 2017-01-11 广州市福立达电器有限公司 便于清洗的食物料理机
CN208510861U (zh) * 2017-08-07 2019-0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杯组件及料理机
CN208510863U (zh) * 2017-08-07 2019-0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杯组件及料理机
CN208551478U (zh) * 2018-02-08 2019-03-01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破壁机用的杯体与刀组件的可拆卸结构
US11779159B2 (en) * 2019-07-11 2023-10-10 Sunbeam Products, Inc. Locking blade base
CN210611937U (zh) * 2019-07-19 2020-05-26 主力智业(深圳)电器实业有限公司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112237388B (zh) * 2019-07-19 2024-10-0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211432536U (zh) * 2019-12-30 2020-09-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211432574U (zh) * 2019-12-30 2020-09-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刀座、搅拌杯及食品料理机
CN211432537U (zh) * 2019-12-30 2020-09-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3373A1 (en) 2022-09-21 2024-03-27 LX Semicon Co., Ltd. Image sens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5453A1 (zh) 2021-07-08
EP4042914A1 (en) 2022-08-17
EP4042914A4 (en) 2023-01-04
US20220386820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9482A (ko) 식품 가공기 및 이의 칼세트 장착구조와 믹싱컵
US10799070B2 (en) Mixing tool lock for a kitchen appliance
US8807469B2 (en) Ice shaving machine
WO2019237880A1 (en) A mixing bowl assembly for a food processor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the mixing bowl assembly
EP2887848B1 (en) Safety system for household food-processing device
CN109091034B (zh) 料理机用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CN211432537U (zh)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113116183B (zh)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CN112237388B (zh) 食品料理机及其刀组安装结构和搅拌杯
BRMU8800469Y1 (pt) mecanismo de acoplamento e travamento de copo e base de liquidificador/processador
CN114871916B (zh) 一种具有快换底板功能的砂光机
CN103464255A (zh) 一种安全多功能食物切碎机
CN211432574U (zh) 刀座、搅拌杯及食品料理机
CN113693462B (zh) 一种食品加工器具
CN214804267U (zh) 搅拌杯组件及料理机
CN210043863U (zh) 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EP3960046A1 (en) Rotator, rotation assembly, container, and food processor
CN112656252B (zh) 食品处理机
CN209733750U (zh) 料理杯和料理机
CN214231072U (zh) 搅拌杯组件及料理机
CN221205172U (zh) 搅拌刀组件及料理机
CN212326217U (zh) 锁紧件、旋转头、旋转组件、联轴器、容器及食品处理机
CN214128298U (zh) 一种食品加工机
WO2022007066A1 (zh) 锁紧件、旋转头、旋转组件、联轴器、容器及食品处理机
CN113892841A (zh) 锁紧件、旋转头、旋转组件、联轴器、容器及食品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