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457A -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457A
KR20220119457A KR1020227025303A KR20227025303A KR20220119457A KR 20220119457 A KR20220119457 A KR 20220119457A KR 1020227025303 A KR1020227025303 A KR 1020227025303A KR 20227025303 A KR20227025303 A KR 20227025303A KR 20220119457 A KR20220119457 A KR 2022011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target path
time delay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시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12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기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31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411013.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로 다운링크 채널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피드백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의해 피드백한 CSI를 기반으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단말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바람직한 링크 성능을 획득하도록 한다.
다중 안테나 기술(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발전됨에 따라,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은 점점 다중 안테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다중 안테나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할 경우, 단말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로 CSI를 피드백해야 한다. 단말기기가 MIMO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CSI를 피드백할 때 리소스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단말기기는 일반적으로 암시적 피드백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로 CSI를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로 탐지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SRS를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상호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채널 상호성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 존재한다. TDD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은 완전히 동일하며, 이러한 상호성(reciprocity)은 완전 상호성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FDD 시스템에서, 이러한 상호성은 부분 채널 상호(partial reciprocity)일 뿐인데, 즉 각도 영역에서 다운링크 채널의 출발각(AoD, Angle of Departure)은 업링크 채널의 도착각(AoA, Angle of Arrival)과 같고, 시간 지연 영역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은 동일한 다중 경로 시간 지연 및 다중 경로 전력을 갖는다. 그러나, FDD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 위치하므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송신에 대응되는 파장은 서로 상이하다. 그 결과, FDD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채널 상호성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FDD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 상호성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기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고,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보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5 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2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7 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8 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2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 보고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다중 안테나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할 경우, 단말기기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상호성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CSI를 피드백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탐지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SRS를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의 상호성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한다.
반면, FDD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상호성은 부분 상호성일 뿐이며, 즉 각도 영역에서, 다운링크 채널의 출발각은 업링크 채널의 도착각과 같고, 시간 지연 영역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은 동일한 다중 경로 시간 지연과 다중 경로 전력을 가지지만, FDD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 위치하므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송신에 대응되는 파장은 상이하다. 이 경우, 단말기기는 채널 상호성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효과적으로 CSI를 피드백할 수 없다.
실제 FDD 시스템에서, 시간 지연 영역에서, 임의의 한 경로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거리는 동일하지만, 파장이 상이하므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임펄스 응답에서 상기 경로의 위상이 상이하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발견하였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경로의 위상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위상 정보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되, 분명한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롱 텀 에볼루션 증강(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통신 시스템, 5G시스템, 또는 NR(New Radio)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기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기기 등으로도 지칭되는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로 이해될 수 있고, 무선 접속망(예를 들어, RAN, Radio Access Network)을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기는 휴대폰(또는 "셀룰러" 폰) 및 이동 단말기를 갖는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 테이블,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모바일 장치일 수 있고, 무선 접속망과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드론, 항공기와 같은 비행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코어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고, WCDMA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으며, LTE 진화형 기지국(eNB 또는 e-NodeB, evolutional Node B) 및 5G 기지국(gNB)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측 기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실시예는 gN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며,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또한 채널 부분 상호성을 갖는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 지시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지시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FDD 시스템에서,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다중 안테나 기술(MIMO, Multi-Input Multi-Output)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 1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기준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 또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에서 특정된 경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 또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강한 경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경로는 네트워크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건 2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N은 0보다 큰 정수이며,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값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으며, 상기 상위 N개의 경로의 강도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나머지 경로의 강도보다 크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기준 경로를 제외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건 3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조건 1 및 조건 3을 만족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기준 경로를 제외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조건 2 및 조건 3을 만족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와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조건 1, 조건 2 및 조건 3을 만족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기준 경로를 제외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와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의 교집합 또는 합집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를 포지셔닝하고,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상기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E,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단말기기를 트리거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탐지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기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기기에 SRS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기기에 의해 송신된 SRS는 단말기기에 의한 프리코딩 후에 송신될 수 있고 단말기기 없이 프리코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에 의해 송신된 SRS를 수신한 후, 상기 SRS에 따라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즉 업링크 채널은 하나 이상의 경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다중 경로가 포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한 후,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다. FDD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은 동일한 다중 경로 시간 지연 및 다중 경로 전력을 가지므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채널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따라,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은 복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한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기반으로 상기 경로의 시간 지연(네트워크 기기의 타이밍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얻은 시간 지연, 즉 상기 시간 지연은 상기 타이밍 표준에 대한 시간 지연임) 및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한다.
본 단계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시간 지연은 네트워크 기기의 타이밍 표준에 대한 시간 지연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한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기반으로 상기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한다.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통합된 시간 지연 표준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강한 경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은 0으로 간주될 수 있고, 위상도 0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하나의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상대적 시간 지연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설정된 길이의 비트맵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와 기준 경로를 나타낼 수 있고,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의 길이가 32이고, 타깃 경로와 기준 경로가 총 4개이며, 비트맵에서 타깃 경로와 기준 경로가 대응되는 비트가 1이고, 다른 비트는 0이라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비트맵에서 기준 경로의 위치가 01이 되도록 지시하고, 즉, 기준 경로는 비트맵의 4개 1 중 두 번째 비트에 대응되는 경로이며, 따라서,
기준 경로에 대한 제1 타깃 경로(비트맵의 첫 번째 1에 대응됨)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N0-1로 나타낼 수 있고, N0은 제1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기준 경로에 대한 제2 타깃 경로(비트맵의 세 번째 1에 대응됨)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N1+1로 나타낼 수 있고, N1은 제2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기준 경로에 대한 제3 타깃 경로(비트맵의 네 번째 1에 대응됨)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N3+1로 나타낼 수 있고, N3은 제3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두 번째는,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다.
시작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시간 영역에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로 이해될 수 있고, 말단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시간 영역에서 마지막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개수는 2보다 크거나 같다.
시작 경로의 시간 지연과 말단 경로의 시간 지연이 주어진 경우, 범위 내 경로의 시간 지연(즉, 다른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경우, 기준 경로에 대한 시작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과 기준 경로에 대한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만이 결정될 수 있다.
세 번째는,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기준 경로에 대한 각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n1, n2,……, nN]으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N은 타깃 경로의 총 개수이며, nk>0(k=1,2,……,N)이면, k 번째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이 기준 경로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nk<0이면, k 번째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이 기준 경로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제1 경로에 대한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기준 경로에 대한 상기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고, 두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에 대해,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에 대한 상기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으며, 세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에 대해, 두 번째 위치에 위치한 타깃 경로에 대한 상기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으며, ……, 이와 같이 직전 위치의 타깃 경로에 대한 마지막 위치에 있는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 결정될 때까지 유추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획득한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제1 경로에 대한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경로와 제2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위치가 인접한 2개의 경로이고, 제1 경로가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제1 타깃 경로인 경우, 제1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기준 경로에 대한 시간 지연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치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직전 타깃 경로에 대한 각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m1, m2,……, mN]으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N은 타깃 경로의 총 개수이며, m1은 기준 경로에 대한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제1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며, m1 은 상기 n1과 같고, mk(k=2,……, N)는 k-1번째 위치에서 k-1번째 타깃 경로에 대한 k번째 위치에서 k번째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이며, mk는 상기 nk-nk-1과 같다.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한 후,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단말기기에 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RRC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 단말기기에 MAC-CE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MAC-CE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 및 단말기기에 DCI를 송신하되, DCI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RRC 시그널링과 DCI를 통해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지시 정보가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시작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기준 경로에 대한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RRC 시그널링의 시작 경로의 복수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말단 경로의 복수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DCI에서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 시작 경로의 복수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와 말단 경로의 복수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 어느 것이 유효한지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기기가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에 송신한 후, 단말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수신한 후,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상기 위상 정보와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 보고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 모식도이고, 상기 방법은 단말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 보고 방법은 단말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보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FDD 시스템에서,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다중 안테나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기반으로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조건;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되,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기는 단계(S204)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기 전에,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s)를 기반으로 단말기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가 CSI-RS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 후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할 경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으로,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단말기기의 타이밍 기준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 즉 단말기기의 타이밍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획득한 시간 지연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기준 경로일 수 있고, 상기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경로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강한 경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이 4가지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여, 아래에서 단말기기가 다른 상황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고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첫 번째 경우, 즉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상대적 시간 지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비트맵을 사용하여 기준 경로와 타깃 경로를 나타내고,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므로, 단말기기는 하나의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3개의 타깃 경로와 하나의 기준 경로에서,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가 01인 것을 예로,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을 x(바람직하게는 0)라고 가정하면,
제1 타깃 경로(비트맵의 첫 번째 1에 대응됨)의 시간 지연은 x-N0-1로 나타낼 수 있고, N0은 제1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제2 타깃 경로(비트맵의 세 번째 1에 대응됨)의 시간 지연은 x+N1+1로 나타낼 수 있고, N1은 제2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제3 타깃 경로(비트맵의 네 번째 1에 대응됨)의 시간 지연은 x+N3+1로 나타낼 수 있고, N3은 제3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와 기준 경로에 대응되는 비트(값이 1임) 간의 비트 개수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두 번째 경우, 즉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기준 경로에 대한 시작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시작 경로의 시간 지연을 획득할 수 있고,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기준 경로에 대한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말단 경로의 시간 지연을 획득한다. 시작 위치에서의 시간 지연 및 끝 위치에서의 시간 지연을 획득한 후, 다른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더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 번째 경우, 즉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을 x(바람직하게는 0)라고 가정하면,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n1, n2,……, nN]이고,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x+n1, x+n2,……, x+nN]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 번째 경우, 즉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제1 경로에 대한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준 경로에 대한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첫 번째 위치에 위치한 제1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제1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고,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을 x(바람직하게는 0)라고 가정하면, 제1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x와 제1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의 합과 같다.
제1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획득한 후, 제2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제1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제2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의 합과 같으며; 제2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한 후, 제3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할 수 있고, 제3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제2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제3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의 합과 같으며; ……, 이와 같이 마지막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획득할 때까지 유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두 번째 경우 내지 네 번째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 어느 하나의 타깃 경로에 대해, 만약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이 1보다 작거나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포인트 NIDFT(다운링크 채널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 가능한 CSI-RS의 수)보다 크면, 또한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IDFT포인트 NIDFT에 대한 샘플링 후의 값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값을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으로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이 x+ni이고, x+ni가 1보다 작거나 NIDFT보다 크면,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은 x+ni가 IDFT포인트 NIDFT에 대해 샘플링한 후의 값이며, x+ni|NIDFT로 표기한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 및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한다.
단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한 후,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기반으로,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상 정보는 위상 및 위상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상차는 타깃 경로와 상기 기준 경로 간의 위상차이다.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할 경우, 만약 위상 정보에 위상이 포함된다면, 단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직접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위상 정보에 위상차가 포함된다면, 단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우선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기준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기준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고; 다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과 기준 경로의 위상에 따라,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차를 결정한다.
단말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획득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또는,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한 후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위상 정보를 보고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할 경우, 만약 타깃 경로의 개수가 1보다 크면, 상이한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한 후 획득한 비트 수는 같을 수 있고, 즉 각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는 고정 개수의 비트로 양자화되며, 여기서 고정 개수의 비트는 프로토콜 값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타깃 경로의 개수가 1보다 클 경우, 상이한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획득한 비트의 수는 상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1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획득한 비트의 수는, 제2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획득한 비트의 수보다 크고, 제1 타깃 경로의 강도는 제2 타깃 경로의 강도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강도가 상이한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는 정밀도가 다르게 양자화되며, 타깃 경로의 강도가 강할수록,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획득한 비트의 수가 많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며, 보고 방법은 주기적 보고, 비주기적 보고, 반영구적 보고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할 경우 사용되는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즉 단말기기는 PUCCH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원하고, 또한 PUSCH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원한다.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한 후,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상기 위상 정보와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일부 경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동작 또는 단계는 실시예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전히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도면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도 가능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신 모듈(31)을 포함하며, 여기서,
송신 모듈(31)은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에 송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적어도 하나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또는,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또는,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여기서, 송신 모듈(31)은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기기에 의해 송신된 탐지 기준 신호(SRS)에 따라,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결정하며;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한다.
송신 모듈(31)은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데, 이는,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강한 경로이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하나의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상대적 시간 지연;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제1 경로에 대한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경로와 제2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위치가 인접한 2개의 경로이고, 제1 경로가 제1 타깃 경로인 경우, 제1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기준 경로에 대한 시간 지연이다.
또는, 송신 모듈(31)은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는,
단말기기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RRC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단말기기에 매체 접근 제어 제어 요소(MAC-CE)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MAC-CE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단말기기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되, DCI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도 1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기의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단말기기는 수신 모듈(41) 및 보고 모듈(42)을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 모듈(41)은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보고 모듈(42)은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한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또는,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또는,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고 모듈(42)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기 전에,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보고 모듈(42)은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동일한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 및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위상 정보는 위상 및 위상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는, 보고 모듈(42)은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는,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기준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과 기준 경로의 위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와 기준 경로 간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보고 모듈(42)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보고 모듈(42)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데, 이는,
네트워크 기기에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송신하되, PUCCH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기기에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송신하되, PUSCH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는, 보고 모듈(42)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데, 이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단말기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3)를 포함한다. 단말기기(500) 중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505)을 통해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505)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5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 5에서 다양한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505)으로 표기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3)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클릭 기기(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5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Synchronous 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 SDRAM, Double Data Rate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Enhanced 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Synchlink 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RAM, Direct Rambus RAM)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502)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메모리(502)는 실행 가능한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서브 세트, 또는 이들의 확장 세트인 운영체제(5021) 및 애플리케이션(5022)과 같은 요소를 저장한다.
여기서 운영체제(5021)는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예를 들어, 프레임층, 코어 라이브러리층, 드라이버층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5022)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MediaPlayer), 브라우저(Browser)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5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기(500)는 메모리(5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되면,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지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5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5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501)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5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502)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정보 보고 방법 실시예에 따른 각 단계를 구현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D, DSPDevice),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본 발명의 상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스, 함수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되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하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를 포함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동일한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 및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상 정보는 위상 및 위상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기준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과 기준 경로의 위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와 기준 경로 간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에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송신하되, PUCCH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기기에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송신하되, PUSCH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기(500)는 상기 실시예에서 단말기기에 의해 구현된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600)는 프로세서(601), 송수신기(602), 메모리(603), 사용자 인터페이스(6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600)는 메모리(6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되면,
지시 정보를 단말기기에 송신하되, 지시 정보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1)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03)로 표시되는 다양한 메모리 회로가 함께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기기, 전압 레귤레이터 및 전력 관리 회로와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도 함께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02)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는 또한 필요한 장비를 외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된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6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603)는 프로세서(60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단말기기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지정된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채널의 부분 상호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단말기기에 의해 보고된 위상 정보를 결합하여,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프리코딩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다운링크 송신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3)에 의해 실행되면,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가 하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여기서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기기에 의해 송신된 탐지 기준 신호(SRS)에 따라,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는,
임펄스 응답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준 경로는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강한 경로이다.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하나의 비트맵 및 기준 경로의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상대적 시간 지연;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기준 경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제1 경로에 대한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경로와 제2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위치가 인접한 2개의 경로이고, 제1 경로가 제1 타깃 경로인 경우, 제1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기준 경로에 대한 시간 지연이다.
단말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기에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RRC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단말기기에 매체 접근 제어 제어 요소(MAC-CE)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MAC-CE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단말기기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되, DCI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정보 보고 또는 정보 지시 방법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 용어 "포괄", "포함"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런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 또는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추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를 포함하는" 문장으로 한정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하여, 상기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지만, 많은 분야에서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에 저장되고,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시사 하에 본 발명의 취지나 청구보호범위가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42)

  1. 단말기기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정보 보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기 전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되,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가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동일한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정보는 위상 및 위상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기준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과 상기 기준 경로의 위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와 상기 기준 경로 간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송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11.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고,
    단말기기로 상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지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정보 지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정보 지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기가 송신한 탐지 기준 신호(SRS)에 따라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지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펄스 응답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지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경로는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가장 높은 경로인 정보 지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하나의 비트맵 및 상기 기준 경로의 상기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상대적 시간 지연;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제1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위치가 인접한 2개의 경로이고, 상기 제1 경로가 제1 타깃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시간 지연인 정보 지시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제어 요소(MAC-CE)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지시 방법.
  19.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상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보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단말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단말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보고 모듈은 또한,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단말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되,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와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는 동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과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타깃 경로에 대응되는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며;
    상기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말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정보는 위상 및 위상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기준 경로의 위상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과 상기 기준 경로의 위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와 상기 기준 경로 간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단말기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양자화된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말기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송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단말기기.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방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보고하는 단말기기.
  29. 단말기기로 상기 단말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위상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기준 경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가장 높은 상위 N개의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N은 자연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 상기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로가 포함되는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네트워크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N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고;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은 프로토콜 값이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인 네트워크 기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기가 송신한 탐지 기준 신호(SRS)에 따라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결정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의 임펄스 응답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임펄스 응답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임펄스 응답 성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며;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기준 경로의 시간 지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기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경로는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응되는 다중 경로 중의 강도가 가장 높은 경로인 네트워크 기기.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하나의 비트맵 및 상기 기준 경로의 상기 비트맵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상대적 시간 지연;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시작 경로와 말단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및
    제1 경로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 중의 제2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깃 경로에서 위치가 인접한 2개의 경로이고, 상기 제1 경로가 제1 타깃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경로의 상대적 시간 지연은 상기 기준 경로에 대한 시간 지연인 네트워크 기기.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제어 요소(MAC-CE)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기로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기.
  37.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단말기기.
  38.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기.
  39.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 또는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말기기.
  42.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27025303A 2019-12-31 2020-12-24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20119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411013.7A CN113131980B (zh) 2019-12-31 2019-12-31 信息上报、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201911411013.7 2019-12-31
PCT/CN2020/139111 WO2021136071A1 (zh) 2019-12-31 2020-12-24 信息上报、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457A true KR20220119457A (ko) 2022-08-29

Family

ID=7668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303A KR20220119457A (ko) 2019-12-31 2020-12-24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지시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02980A1 (ko)
EP (1) EP4087152A4 (ko)
JP (1) JP7391209B2 (ko)
KR (1) KR20220119457A (ko)
CN (1) CN113131980B (ko)
BR (1) BR112022007874A2 (ko)
WO (1) WO2021136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266A (zh) * 2021-08-06 2021-12-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定位测量的方法及其装置
CN114466364A (zh) * 2021-12-31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1912A1 (en) * 2010-05-19 2013-08-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ased on path location information
CN107733481B (zh) * 2016-08-11 2020-08-0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信道获取方法、基站、用户终端和大规模天线系统
CN107786250B (zh) * 2016-08-23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和设备
CN110999109B (zh) * 2017-05-23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相关反馈上报和信道状态信息获取
KR102356351B1 (ko) * 2017-11-23 2022-02-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N108833061B (zh) * 2018-04-12 2022-0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报告方法、装置、接收方法和装置
CN109039962B (zh) * 2018-07-26 2021-04-16 南京东科优信网络安全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路径相位差分的频分双工系统互易信道参数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7152A4 (en) 2023-01-25
BR112022007874A2 (pt) 2022-07-12
CN113131980A (zh) 2021-07-16
JP2023501566A (ja) 2023-01-18
EP4087152A1 (en) 2022-11-09
CN113131980B (zh) 2022-06-10
US20220302980A1 (en) 2022-09-22
JP7391209B2 (ja) 2023-12-04
WO2021136071A1 (zh)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3459B2 (ja) 測定報告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11277244B2 (en) Signaling sending method and device, and signaling receiving method and device
CN110831196B (zh) Csi报告配置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1088870A1 (zh) 信道信息的确定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US11728876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818660B (zh) 波束信息更新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8567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3635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ownlink channel information
US20220302980A1 (e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method for indica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190051993A (ko) Srs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20002534A (ko) 참조 신호 측정 방법, 참조 신호 자원 구성 방법 및 장비
US20200127876A1 (en)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9034121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IMO COMMUNICATION
KR20230113619A (ko) 전송 방법, 전송 장치, 전송 기기 및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WO2021047594A1 (zh) 信息上报、发送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1169976A1 (zh) 时延上报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EP3910848A1 (en) Object receiv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65820A (ko)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