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51B1 -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51B1
KR102356351B1 KR1020207014287A KR20207014287A KR102356351B1 KR 102356351 B1 KR102356351 B1 KR 102356351B1 KR 1020207014287 A KR1020207014287 A KR 1020207014287A KR 20207014287 A KR20207014287 A KR 20207014287A KR 102356351 B1 KR102356351 B1 KR 10235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delete delete
power control
uplink signal
target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114A (ko
Inventor
웬홍 첸
즈화 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는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링크 신호로 말하면, 단말의 전력 제어는 절전과 셀 간 간섭을 억제하는 두 방면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어떻게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줄곧 연구를 진행하는 과제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s,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송신 전력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CSI-RS 자원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CSI-RS 자원을 사전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서로 다른 CSI-RS 자원 또는 서로 다른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한 그룹의 독립적인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전 구성할 수 있는 바, 한 그룹의 독립적인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된다.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의 계산 공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파라미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참조하는 것을 통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정보에는 해당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정보로부터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해당 제1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또는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제1 정보는 해당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사전 구성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송신하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또는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며, 여기에는 상기 각 방면을 실행하기 위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방면 또는 기타 방면은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간단 명료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아래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사인(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이며,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이 통신 분야에서 또한 기타 명칭으로 불릴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다중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밴드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범용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OFDM(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환경 하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는 단말 장치(1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10)는 네트워크 장치(2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장치(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업링크 신호로 말하면, 단말의 전력 제어는 절전과 셀 간 간섭을 억제하는 두 방면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업링크 전력 제어는 LTE에서 가중 주목하는 부분이다. 셀 내의 업링크 전력 제어에는, 각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과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이 포함된다.
NR에서 두 가지 업링크 전송 방식을 도입하였는 바, 즉 코드북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과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이다. 코드북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에 있어서, 전송에 사용되는 업링크 빔은 스케줄링 정보 중의 빔 지시 정보를 통하여 단말로 통지한다. 단말이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할 때, 서로 다른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업링크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관련되고, 빔 지시 정보를 통하여 상응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관련 관계는 RRC 신호를 통하여 사전에 단말로 통지한다.
비코드북의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은 업링크 SRS 또는 PUSCH를 위하여 하나의 대응되는 CSI-RS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CSI-RS 자원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취득하고, 다시 해당 다운링크 채널 정보와 채널 호혜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 정보를 취득하며, 해당 업링크 채널 정보에 의하여 상기 업링크 SRS 또는 PU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계산한다. 전송에 사용되는 업링크 빔은 또한 단말이 업링크/다운링크 빔 대응성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는 바, 즉 단말은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빔을 통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 빔을 취득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의 빔 지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이 어떻게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위하여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0)에는 하기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이 포함되는 바, 즉
S110: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S12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S13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S14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s, CSI-RS) 자원을 사전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할 수 있고, 서로 다른 CSI-RS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CSI-RS는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CSI-RS 자원과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사전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각 CSI-RS 자원 또는 각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한 그룹의 독립적인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어느 CSI-RS 자원 또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을 진행할 것인지 지시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지시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기초 상에서 일정한 조정을 진행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거나 또는 또한 직접 네트워크 장치가 지시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진일보로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결정된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참조하는 것을 통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목표 업링크 신호는 PUSCH, PUCCH 또는 SRS 등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목표 업링크 신호의 유형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고, 업링크 신호이기만 하면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다시 말하면, 해당 PUSCH의 전송은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이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에 의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취득하고, 다시 해당 다운링크 채널 정보와 채널 호혜성을 기반으로 업링크 채널 정보를 취득하며, 또한 해당 업링크 채널 정보에 의하여 해당 PUSCH의 프리코딩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또한 빔 대응성을 통하여 해당 PUSCH의 송신 빔을 취득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가 CSI-RS를 수신한 수신 빔을 사용하여 PUSCH를 송신하는 송신 빔을 취득할 수 있다. 해당 SRS의 전송도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일 수 있다.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또한 상기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위에서 이미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어떻게 PU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는지 설명하였으며, 해당 방법은 마찬가지로 임의의 업링크 신호, 예를 들면 상술한 PUCCH 또는 SRS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여러 가지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는 모두 제1 SRS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 및 채널 호혜성에 의하여,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이 해당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기반으로 해당 제1 SRS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측은 해당 제1 SRS에 의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또한 결정된 전송 파라미터를 단말로 지시하거나, 또는 결정된 전송 파라미터에 의하여 단말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SRS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SRS의 안테나 포트 수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포트 수와 같은 것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 업링크 신호는 SRS와 관련되고, 또한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는 바로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와 관련된 SRS 자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해당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가 바로 제1 SRS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 중의 "대응"은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가 사전에 약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어떤 지시 방식이 특정된 한 가지 업링크 신호에 속한다는 것을 구성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PU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의 어느 특정 도메인을 해당 PUSCH에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로 약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CSI-RS 자원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가 사전에 4가지 CSI-RS 자원을 약정하고, 또한 사전에 2개 비트를 사용하여 해당 4개 CSI-RS 자원을 지시할 것을 약정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CSI-RS 자원1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00이고, CSI-RS 자원2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01이며, CSI-RS 자원3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10이고, CSI-RS 자원4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11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의 계산 공식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파라미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의 계산 공식에는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 전력 오프셋, 업링크 신호의 서브 프레임 상의 전송 대역폭, 목표 수신 전력, 경로 손실 보상 인자, 폐쇄 루프 전력 조정량과 경로 손실 등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각 CSI-RS 자원 또는 각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된다.
아래 각각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와 SRS인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CSI-RS의 베어링 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정보에는 해당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정보로부터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해당 제1 정보는 예를 들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신호 등 상위 계층 신호, DCI 신호, 시스템 정보 등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1: 만일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고, 또한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PUSCH를 위하여 구성한 CSI-RS 자원 지시 정보라면,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를 통하여 베어링할 수 있다.
실시예2: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고, 또한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SRS를 위하여 구성한 CSI-RS 자원 지시 정보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해당 SRS가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베어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해당 SRS가 주기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RRC 신호를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해당 SRS가 비주기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DCI를 트리거시키는 것을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DCI의 전송 자원과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동일한 타임 슬롯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해당 SRS가 준지속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MAC 신호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3: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해당 SRS가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베어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해당 SRS가 주기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RRC 신호를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해당 SRS가 비주기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DCI를 트리거시키는 것을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DCI의 전송 자원과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동일한 타임 슬롯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해당 SRS가 준지속성의 SRS라면, 해당 SRS가 전송하는 MAC 신호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측이 사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중의 각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 중의 각 정보, 대응되는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구성하여, 단말이 현재 지시하는 CSI-RS 자원 또는 현재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단지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예를 들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경로 손실 값이 포함될 수도 있고, 또한 다수의 파라미터, 예를 들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경로 손실 값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가 사전에 4가지 CSI-RS 자원을 약정하고, 또한 해당 4가지 CSI-RS 자원은 각각 모두 독립적인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있다면,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는 또한 사전에 2개 비트를 사용하여 해당 4개 CSI-RS 자원을 지시할 것을 약정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CSI-RS 자원1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00이고, CSI-RS 자원2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01이며, CSI-RS 자원3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10이고, CSI-RS 자원4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는 11이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00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1에 대응되고, 01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2에 대응되며, 10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3에 대응되고, 11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4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CSI-RS 자원1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1에 대응되고, CSI-RS 자원2가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2에 대응되며, CSI-RS 자원3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3에 대응되고, CSI-RS 자원4가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4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그룹1-4는 동일한 그룹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서로 다른 값 상황에 대응된다.
CSI-RS 자원과 CSI-RS 자원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와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시한 후, 해당 지시 정보의 값에 의하여 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단말 장치는 또한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우선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을 결정하고, 나아가 해당 CSI-RS 자원에 의하여 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그 중에서,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는 경로 손실 참조 관련 정보로 간주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목표 업링크 신호의 경로 손실에 대하여 추산을 진행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부분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USCH에 대한 경로 손실 참조 관련 정보는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의 구성 집합 중에서 어떤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들이 경로 손실의 측정에 사용되어 PUSCH의 경로 손실을 추산하는지를 가리킨다. 해당 다운링크 신호는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 SSB), CSI-RS 또는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단말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을 기반으로 다운링크 경로 손실 측정을 진행하여, 해당 경로 손실 값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당 단말은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대응되는 하나의 다운링크 신호의 인덱스 k를 결정하고, 해당 인덱스 k가 지시하는 다운링크 신호를 기반으로 다운링크 경로 손실 측정을 진행하여, 해당 경로 손실 값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다운링크 신호의 인덱스 k의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 측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j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 p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인덱스 j는 상위 계층 신호가 사전에 구성한 다수의 목표 전력 값 중에서 하나의 목표 전력을 지시하고, 인덱스 p는 상위 계층 신호가 사전에 구성한 다수의 경로 손실 가중 인자 값 중에서 하나의 경로 손실 가중 인자를 지시한다. 여기에서,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j 및 경로 손실 가중 인자의 인덱스 p와 CSI-RS 자원 지시 정보의 대응 관계는 상위 계층 신호가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1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인덱스1은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프로세스 중에서 하나의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지시하고, 인덱스1과 CSI-RS 자원 지시 정보의 대응 관계는 상위 계층 신호가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사전 구성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단말이, 네트워크 측이 송신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네트워크 측이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를 위하여 사전 구성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로 네트워크 측이 사전 구성한 값을 대체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에는 하기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이 포함되는 바, 즉
S210: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며;
S220: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송신하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대응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참조하는 것을 통하여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또는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경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장치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상호작용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 장치의 관련 특성, 기능에 상응하다. 또한 관련 내용은 상기 방법(100)에서 이미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아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 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300)에는,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제1 결정 유닛(310);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2 결정 유닛(320);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3 결정 유닛(330);
해당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340)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제1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해당 제1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제1 정보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해당 제1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또는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제1 정보는 해당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제2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해당 제2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제2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해당 제2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해당 구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제1 결정 유닛이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사전 구성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4 결정 유닛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3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3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의 방법 중의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400)에는,
단말 장치로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제1 송신 유닛(41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송신하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420)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는 비코드북을 기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비코드북을 키반으로 프리코딩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탐지 참조 신호(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1 SRS는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또는 해당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의 전송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SRS이거나, 또는 해당 제2 SRS는 해당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된 S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SRS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송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사용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계층 수, 프리코딩 매트릭스, 변조 코딩 방식과 송신 빔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는 해당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 중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과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이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제2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해당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는 제2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하기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해당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폐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의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단말 장치(5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500)는 도 4 중의 단말 장치(300)일 수 있고, 이는 도 2 중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기억장치(5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기억장치(5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5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530)는 해당 기억장치(5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업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5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5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5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5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5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5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5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30)가 기억장치(5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단말 장치(300) 중의 제1 결정 유닛, 제2 결정 유닛, 제3 결정 유닛 및 제4 결정 유닛은 도 6 중의 프로세서(53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말 장치(300) 중의 송신 유닛은 도 6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5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0)의 제1 수신 유닛과와 제2 수신 유닛은 도 6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6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는 도 5 중의 네트워크 장치(400)일 수 있고, 이는 도 3 중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기억장치(6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기억장치(6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630)는 해당 기억장치(6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전력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하여, 시스템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6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6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6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6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6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6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30)가 기억장치(6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제1 송신 유닛과 제2 송신 유닛은 도 7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수신 유닛은 도 7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6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60)

  1.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빔을 취득하는데 이용됨 - ;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가 포함됨 - ;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정보에는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가 PUSCH이라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또는 상기 PUSCH와 대응되는 제2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가 SRS라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SRS를 구성, 트리거 또는 활성화하는 다운링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와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는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한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각 그룹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목표 전력 Po의 값,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값, 목표 전력 Po의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가중 인자 a의 인덱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폐루프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인덱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사전 구성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2.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제1 결정 유닛 -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빔을 취득하는데 이용됨 - ;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2 결정 유닛 -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가 포함됨 - ;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3 결정 유닛;
    상기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탐지 참조 신호(S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제1 S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송신 빔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조작, 즉,
    목표 업링크 신호와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CSI-RS 자원은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빔을 취득하는데 이용됨 - ;
    상기 CSI-RS 자원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는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값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정보가 포함됨 - ;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의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전력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목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조작
    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 명령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KR1020207014287A 2017-11-23 2017-11-23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56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12718 WO2019100296A1 (zh) 2017-11-23 2017-11-23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14A KR20200071114A (ko) 2020-06-18
KR102356351B1 true KR102356351B1 (ko) 2022-02-08

Family

ID=6663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87A KR102356351B1 (ko) 2017-11-23 2017-11-23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10945218B2 (ko)
EP (3) EP3965481B1 (ko)
JP (1) JP6999811B2 (ko)
KR (1) KR102356351B1 (ko)
CN (2) CN111201815A (ko)
AU (2) AU2017440897B2 (ko)
BR (1) BR112020010070A2 (ko)
CA (1) CA3083010A1 (ko)
ES (1) ES2899626T3 (ko)
FI (1) FI3965481T3 (ko)
MX (1) MX2020005215A (ko)
RU (1) RU2738221C1 (ko)
SG (1) SG11202004644QA (ko)
WO (1) WO2019100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0269B2 (en) * 2009-10-23 2014-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LAN system
CN110035484A (zh) * 2018-01-12 2019-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第一通信节点和第二通信节点
CN110475330B (zh) * 2018-05-11 2021-05-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3556220A (zh) * 2018-10-18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接收、发送方法及装置
US11576060B2 (en) 2019-05-30 2023-02-07 Qualcomm Incorporated Maximum number of path loss or uplink spatial transmit beam reference signals for downlink or up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N111800861A (zh) * 2019-07-12 2020-10-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及设备
CN113131980B (zh) * 2019-12-31 2022-06-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5136699A (zh) * 2020-02-14 2022-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和装置
CN113972938B (zh) * 2020-07-24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067823A1 (zh) * 2020-09-30 2022-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及设备
EP4228340A1 (en) * 2020-10-06 2023-08-16 LG Electronics Inc.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5623500A (zh) * 2021-07-12 2023-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装置、网络节点、终端及存储介质
WO2023050213A1 (zh) * 2021-09-29 2023-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7676873A (zh) * 2022-08-11 2024-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资源指示方法及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44B1 (ko) * 2011-02-22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40126530A1 (en) * 2011-06-17 2014-05-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CN106413067B (zh) * 2011-08-18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566079B1 (en) * 2011-08-31 2013-10-02 Alcatel Lucent Method for coordinating at least one first transmission from a single-point transmitter to a single-point receiver and at least one second transmission from a multipoint transmitter or to a multipoint receiver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thereof
WO2013141505A1 (ko) * 2012-03-17 201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205630A1 (zh) * 2013-06-24 2014-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15180170A1 (zh) * 2014-05-30 2015-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2d通信中发射功率的控制方法及设备
CN111183593B (zh) * 2017-10-02 2022-10-18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上行链路功率控制
WO2020075138A1 (en) * 2018-10-11 2020-04-16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ysical uplink channel power control parameter values for use after a beam failure re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42105B (zh) 2022-07-19
MX2020005215A (es) 2020-08-20
US20220369236A1 (en) 2022-11-17
RU2738221C1 (ru) 2020-12-09
AU2021209147B2 (en) 2022-04-28
WO2019100296A1 (zh) 2019-05-31
US20200280929A1 (en) 2020-09-03
US10945218B2 (en) 2021-03-09
AU2021209147A1 (en) 2021-08-19
SG11202004644QA (en) 2020-06-29
KR20200071114A (ko) 2020-06-18
EP3709720A1 (en) 2020-09-16
US11432245B2 (en) 2022-08-30
EP3709720A4 (en) 2020-10-28
CA3083010A1 (en) 2019-05-31
AU2017440897B2 (en) 2021-05-27
EP4366400A2 (en) 2024-05-08
EP3709720B1 (en) 2021-10-06
AU2017440897A1 (en) 2020-06-04
BR112020010070A2 (pt) 2020-11-03
EP3965481B1 (en) 2024-03-20
FI3965481T3 (fi) 2024-05-16
JP2021503854A (ja) 2021-02-12
CN111201815A (zh) 2020-05-26
EP3965481A1 (en) 2022-03-09
US11758485B2 (en) 2023-09-12
ES2899626T3 (es) 2022-03-14
US20210153135A1 (en) 2021-05-20
CN111542105A (zh) 2020-08-14
JP6999811B2 (ja)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351B1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17121B1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52689B1 (ko) 전력 제어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11265057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WO2019140665A1 (zh) 功率控制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359313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