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809A -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809A
KR20220118809A KR1020210022729A KR20210022729A KR20220118809A KR 20220118809 A KR20220118809 A KR 20220118809A KR 1020210022729 A KR1020210022729 A KR 1020210022729A KR 20210022729 A KR20210022729 A KR 20210022729A KR 20220118809 A KR20220118809 A KR 2022011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unit
main frame
io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935B1 (ko
Inventor
조정훈
장준영
전은진
김지현
나정승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9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Abstract

사용자의 신발이 인입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살균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계절에 따른 날씨를 확인하고 신발 내외부의 온/습도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살균과 건조를 효율적으로 살균소독 처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IoT-applied shoe storage box}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보관함의 문이 자동개폐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하여 신발 내외부의 온/습도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하여 신발을 살균과 건조하는 신발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일 신는 신발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내부에 땀이 차게 되어 신발 내부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위생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우천시에는 신발이 빗물에 젖게 되어 그 상태로 계속 사용하게 되면 신발 내부에 습기와 세균 등의 발생으로 인해 악취나 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불쾌한 신발 냄새는 신발에 오염되어 있는 균에 의한 것이며 이들을 살균하여 신발의 악취를 제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살균방법은 가열, 화학적인 소독약, 그리고 건조 및 살균 자외선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이나 양말은 소독이 쉬우나, 신발은 화학적인 소독제를 사용하거나 삶으면 표면의 가죽 또는 표피가 손상이 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부각되고, 자연건조의 방법만으로는 살균효과가 낮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발 내부의 습기와 세균을 없애기 위해서는 세탁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하는데, 세탁 또는 자연 건조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매일 청결한 신발을 신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관련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인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한국 등록특허 제10-1260063호)는 신발 내부로 자외선, 온풍 및 탈취액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되는 온풍이 신발 내부에서 온풍이 순환되는 구조를 가져 살균, 탈취 및 건조의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휴대할 수 있게 구성되고 특히 자동차 실내에 설치하면 차량을 이동하면서 신발을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발을 살균, 탈취 및 건조시키는 시간을 줄이고 신발을 신었을 때 항상 위생적이고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된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구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신발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전원을 공급하면 신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여 신발을 건조시키게 구성되는 신발건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신발소독기는 계절 또는 날씨와 신발 내외부의 습도에 따라 건조시간 및 살균시간을 변경되어야 하나, 일괄적인 살균시간과 건조 온도를 가지고 살균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063호 :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계절에 따른 날씨를 확인하고 신발 내외부의 온/습도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살균과 건조를 효율적으로 살균소독 처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은 사용자의 신발이 인입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살균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로 상기 신발이 인입되도록 일측에 개방된 신발입구가 마련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신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개폐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접근 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신발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제안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을 살균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마련된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통기공에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통풍장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로 상기 살균램프와 상기 통풍장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살균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된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유닛은 상면은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오염물질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 바닥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마련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에 대해 상기 신발을 지지하는 신발고정부와,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발판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절삭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신발의 바닥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장치는 상기 발판부의 하측의 내부공간에 상에 설치되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레이저조사부를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이저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신발이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작동시간까지 상기 진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시간 이후에 상기 진동장치를 정지시키고 상기 레이저장치를 작동시키는 청소제어모듈과,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의 바닥면의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깊이 영상을 토대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패턴을 산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제어모듈은 상기 레이저장치를 작동 시 상기 패턴을 따라 상기 신발의 바닥면이 소정깊이로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부분에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소정의 미끄럼방지 홈이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는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하여 신발 내외부의 온/습도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계절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폐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따른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이 적용 신발 보관함(1)은 본체유닛(100), 살균유닛(200), 제어유닛(300), 센서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유닛(100)은 사용자의 신발(10)이 인입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20)이 형성되고, 메인프레임(110), 도어(120), 개폐장치(130), 상태표시창(140)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신발(10)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20)이 마련되어 있는 사각단면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20)의 내부로 상기 신발(10)이 인입되도록 전방이 개방되어서 신발입구(111)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기 내부공간(20)이 상기 메임프레임(110)의 외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통기공(112)은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홀의 단면은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20)에서 상기 신발(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113)은 상기 신발입구(111)를 통하여 진퇴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프레임(113)의 전방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 할 수 있는 손잡이(121)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신발입구(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되어서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상기 내부공간(20)에 인입된 상기 신발(10)이 상기 사용자의 육안으로 식별이 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도록 재질이 빛에 대한 투과성이 좋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acrylic) 등 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13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111)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20)를 회동시키도록 설치되고, 감지센서(131), 구동부(132), 도어제어모듈(133)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131)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으로 접근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사용자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가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2)는 상기 신발입구(111)가 개폐되도록 상기 도어(120)를 상하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을 인출입 시키는 것으로서, 액츄에이터(134), 동력전달부재(135)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34)는 상기 도어(120)를 구동시키도록 전기식 액츄에이터가 적용되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13)의 하부에 일측은 상기 바닥프레임(113)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부에 고정되어서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35)는 상기 도어(120)의 후면에 일측이 회동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닥프레임(113)의 중간부에 회동 연결되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13)이 상기 신발입구(111)에서 통하여 진퇴하고 상기 도어(120)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술하면 상기 바닥프레임(113)이 인출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34)가 구동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135)에 의하여 상기 도어(12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신발입구(111)를 개방시킨다.
상기 도어제어모듈(133)은 상기 감지센서(131)에서 제안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111)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20)를 슬라이딩하는 상기 개폐장치(130)를 제어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제어모듈(133)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30)에 의하여 상기 개폐장치(130)를 제어하도록 상기 단말기(30)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상기 상태표시창(140)은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센서유닛(400)에서 측정된 상기 내부공간(20)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태표시창(140)은 종래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보다 내구성이 우수하고 높은 주사율을 갖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00)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10)을 살균하게 마련되고, 살균램프(210), 통풍장치(220)를 구비한다.
상기 살균램프(210)는 상기 내부공간(20)을 살균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고, 도면에 도시 되지 않았으나,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램프(210)는 한 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램프(210)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살균에 효과적으로 자외선(UV, Ultraviolet Ray)의 파장영역이 200~300나노미터의 UV-C가 적용된 LED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장치(220)는 상기 통기공(11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내부공간(20)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기 통풍장치(220)는 상기 내부공간(20)을 보다 빠르게 환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풍장치(140)는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프로펠러 형태의 통풍팬(221)과 상기 통풍팬(221)을 구동시키는 통풍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통풍장치(140)는 상기 통기공(112)의 후방에 설치되는 공기차단판(222)은 상기 통풍팬(221)이 미작동시 상기 내부공간(20)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통기공(112)을 폐쇄하고, 상기 통풍팬(221)이 작동시에는 상기 내부공간(20)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통기공(112)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살균유닛(200)을 제어하게 구비되며, 통신모듈(310), 살균제어모듈(320), 촬영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310)은 상기 단말기(30)로 부터 송신된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310)은 후술하는 미세먼지센서(410)와 온습도센서(410)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어모듈(320)은 상기 통신모듈(310)에서 수신되는 상기 살균유닛(200)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로 상기 살균램프(210)와 상기 통풍장치(220)를 각각 작동시킨다.
상기 촬영모듈(미도시)은 상기 메임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20)에 인입된 상기 신발(10)이 상기 살균유닛(200)에 의하여 살균하는 상기 신발(10)의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센서유닛(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20)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하고, 미세먼지센서(410), 온습도센서(420)를 구비한다.
상기 미세먼지센서(41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의 하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20)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며,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식은 베타선 흡수방식과 중량농도 측정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소형화가 가능한 광산란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습도센서(42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의 하방에 상기 미세먼지센서(4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20)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며, 종래의 개발된 온습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된 다양한 종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1)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시 상기 신발입구(111)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20)를 슬라이딩시키는 개폐장치(130)를 구비하고 있어서, 별도의 버튼의 조작없이 상기 신발(10)을 상기 내부공간(20)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이 적용 신발 보관함(2)은 상기 내부공간(20)에 인입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마련된 청소유닛(500)을 더 구비하고, 발판부(510), 신발고정부(520), 진동장치(530), 레이저장치(540), 촬영부(550), 분석부(560), 청소제어모듈(570)을 구비한다.
상기 발판부(510)는 상면이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신발(10)의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오염물질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 바닥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511)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표기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통홀(511)의 단면의 형상은 다수의 원형, 사각형, 팔각형 등이 가능하나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관통홀(511)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고정부(520)는 상기 발판부(510)의 상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발판부(510)의 대해 상기 신발(10)을 지지하도록, 하면은 상기 발판부(5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신발(10)의 외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신발고정부(520)는 상기 신발(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510)에 고정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부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5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2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장치(530)는 상기 발판부(510)의 하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발판부(510)를 진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동장치(530)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발판부(510)의 상단에 지지된 상기 신발(10)의 바닥의 오염물질이 이탈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두 개가 설치되었으나, 더 많은 진동주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진동장치(53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이저장치(540)는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을 절삭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511)을 통해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형성되고, 레이저조사부(541), 레이저구동부(542)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조사부(541)는 상기 발판부(510)의 하측공간에 상에 설치되어서 상기 관통홀(511)을 관통하여 상기 신발(10)의 바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조사부의 적용기술에는 He-Ne레이저, 반도체레이저, 아르곤(Ar)레이저 등의 종래의 다양한 레이저 기술이 적용가능하나 경량화가 가능하고 상기 신발(10)의 바닥의 오염을 제거하거나 절삭 가능한 탄산가스(C02)레이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구동부(532)은 상기 발판부(510)의 하측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조사부(53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육면체의 지지블럭(543)과, 상기 지지블럭(543)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블록구동부재(544)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어서 적용 가능하므로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촬영부(550)는 상기 발판부(5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구동부(54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의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게 마련된다.
상기 분석부(560)는 상기 촬영부(550)의 깊이 영상을 토대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패턴을 산출한다.
상기 청소제어모듈(570)은 상기 신발(10)이 상기 발판부(510)의 상면에 안착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작동시간까지 상기 진동장치(530)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시간 이후에 상기 진동장치(530)를 정지시키고 상기 레이저장치(540)를 작동시키며, 상기 레이저장치(540)를 작동 시 상기 패턴을 따라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이 소정깊이로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부분에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소정의 미끄럼방지 홈이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장치(540)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작동시간은 상기 단말기(30)에서 수신된 작동시간정보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홈은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서 소정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1)은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발판부(510)를 진동시키는 상기 진동장치(530)와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상기 레이저장치(540)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신발(10)의 바닥면에 고착된 오염물질 쉽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10 : 신발 20 : 내부공간
30 : 단말기
100 : 본체유닛 110 : 메인프레임
111 : 신발입구 112: 통기공
113 : 바닥프레임
120 : 도어 121 : 손잡이
130 : 개폐장치 131 : 감지센서
132 : 구동부 133 : 도어제어모듈
134 ; 액츄에이터 135 : 동력전달부재
140 : 상태표시창
200 : 살균유닛 210 : 살균램프
220 : 통풍장치 221 : 통풍팬
222 : 공기차단판
300 : 제어유닛 310 : 통신모듈
320 : 살균제어모듈
400 : 센서유닛 410 : 미세먼지센서
420 : 온습도센서
500 : 청소유닛 510 : 발판부
511 : 관통홀 520 : 신발고정부
530 : 진동장치 540 : 레이저장치
541 : 레이저조사부 542 : 레이저구동부
543 : 지지블럭 544 : 블록구동부재
550 : 촬영부 560 : 분석부
570 : 청소제어모듈

Claims (10)

  1. 사용자의 신발이 인입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살균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로 상기 신발이 인입되도록 일측에 개방된 신발입구가 마련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신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설치되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접근 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신발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제안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메인프레임으로 상기 사용자가 접근 시 상기 신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을 살균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마련된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통기공에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통풍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로 상기 살균램프와 상기 통풍장치를 각각 작동시키는 살균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청소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된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유닛은
    상면은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신발의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오염물질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 바닥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마련된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에 대해 상기 신발을 지지하는 신발고정부와,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발판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신발의 바닥면을 절삭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신발의 바닥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장치는
    상기 발판부의 하측의 내부공간에 상에 설치되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레이저조사부를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이저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신발이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작동시간까지 상기 진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시간 이후에 상기 진동장치를 정지시키고 상기 레이저장치를 작동시키는 청소제어모듈과,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의 바닥면의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깊이 영상을 토대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형성된 패턴을 산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제어모듈은
    상기 레이저장치를 작동 시 상기 패턴을 따라 상기 신발의 바닥면이 소정깊이로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부분에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소정의 미끄럼방지 홈이 절삭되도록 상기 패턴을 제외한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1020210022729A 2021-02-19 2021-02-19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10246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9A KR102463935B1 (ko) 2021-02-19 2021-02-19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9A KR102463935B1 (ko) 2021-02-19 2021-02-19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09A true KR20220118809A (ko) 2022-08-26
KR102463935B1 KR102463935B1 (ko) 2022-11-03

Family

ID=8311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29A KR102463935B1 (ko) 2021-02-19 2021-02-19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69A1 (ko) * 2022-09-01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535A (ko) * 2003-06-25 2004-06-05 (주)덕성이엔지 다용도 건조기
KR200438114Y1 (ko) * 2007-10-19 2008-01-21 공준식 방사성 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안전화 건조기
KR20100080314A (ko) * 2008-12-30 2010-07-08 (주)파이브텍 건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0063B1 (ko)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535A (ko) * 2003-06-25 2004-06-05 (주)덕성이엔지 다용도 건조기
KR200438114Y1 (ko) * 2007-10-19 2008-01-21 공준식 방사성 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안전화 건조기
KR20100080314A (ko) * 2008-12-30 2010-07-08 (주)파이브텍 건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0063B1 (ko)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69A1 (ko) * 2022-09-01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935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580B2 (ja) 紫外線ベースのバスルーム表面衛生処理
KR101017596B1 (ko)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KR101132397B1 (ko) 신발 살균소독기
KR101596917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발 건조기
WO2010090601A1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objects placed thereon and method of use
KR200454036Y1 (ko) 문이 없는 신발장 및 개방된 곳을 살균하는 살균기
KR102016631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20180072890A (ko) 오픈형 신발 살균기
KR101729571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변기커버
KR102463935B1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KR100416317B1 (ko) 신발용 자외선 소독기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KR101019520B1 (ko) 무좀치료기
KR200296964Y1 (ko) 신발소독건조기.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KR200415480Y1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KR20070083401A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US20200030472A1 (en) Bidet Having Bidet Seat Sterilizing Function
KR101580186B1 (ko) 휴대용 살균집진장치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