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20A - 고양이를 위한 정원 - Google Patents

고양이를 위한 정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20A
KR20220118620A KR1020210022246A KR20210022246A KR20220118620A KR 20220118620 A KR20220118620 A KR 20220118620A KR 1020210022246 A KR1020210022246 A KR 1020210022246A KR 20210022246 A KR20210022246 A KR 20210022246A KR 20220118620 A KR20220118620 A KR 2022011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flowerpot
cat
main body
c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548B1 (ko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영 filed Critical 김호영
Priority to KR102021002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4Scratching devices, e.g. f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를 위한 정원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화분안착부(1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계단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화분안착부(11)에 안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20);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화분안착부(11)와 연통되는 물받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양이를 위한 정원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를 위한 정원 {GARDEN FOR A CAT}
본 발명은 고양이를 위한 정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가 특정의 공간에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반려동물 중 키우기가 비교적 용이한 고양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고양이는 대부분의 생활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므로 휴식공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보조하여 고양이의 휴식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친환경 캣타워는 베이스판재; 베이스판재의 상측면에 마련되며,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캣하우스; 베이스판재의 상부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폴대; 하단은 베이스판재에 고정되고 상단은 폴대의 상단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스크래쳐가 형성되어 있는 원목지주; 원목지주를 따라 결합되는 다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원목지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인조나뭇잎 및 인조나뭇가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친환경 캣타워는 등록특허공보 제10-193081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친환경 캣타워는 고양이에게 육체적인 휴식공간 및 운동공간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정신적(정서적)인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인조나뭇잎 및 인조나뭇가지가 구비되어 있는 원목지주는 단순히 실내 환경에 미적인 심미감을 연출하기 위한 인공의 구조물일 뿐 고양이의 정서적(정신적)인 휴식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는 결국, 친환경 캣타워의 기능성 및 사용성 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양이가 육체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정신적(정서적)으로도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은, 상면에 화분안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화분안착부에 안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화분안착부와 연통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은 고양이에게 육체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정신적(정서적)으로도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인해, 실내생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다.
특히 고양이에게 자연에 대한 기본적 욕구인 바이오필리아(Biophilia)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를 위한 정원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의 본체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를 위한 정원은 본체(10); 본체(10)에 상면에 안착되는 화분(20);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물받이(30);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크래쳐(Scratcher)(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고양이의 휴식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정신적(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작나무 등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의 상면에는 화분안착부(11) 및 휴식공간부(13)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계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화분안착부(11)는 화분(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장소로서, 본체(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특히 화분안착부(11)는 화분(20)의 배수를 위하여 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양이가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휴식공간부(13)의 일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분안착부(11)의 형상이나 개수 또는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계단부(12)는 고양이가 사방에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면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계단부(12)의 단수나 배치형태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휴식공간부(13)는 원형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양이가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휴식을 취하기 위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한편,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1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의 바텀부(10a); 바텀부(10a)의 상부에 계단식으로 적층되는 중공형의 센터부(10b); 센터부(10b)의 내측에 결합되는 탑부(10c); 바텀부(10a), 센터부(10b) 및 탑부(10c)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결합조인트(10d)로 이루어진다.
바텀부(10a)는 그 개방영역을 통해 물받이(30)가 슬라이딩 결합되며, 바텀부(10a) 및 센터부(10b)는 각각 2개의 몸체로 구분되어 나비 형상의 수평결합조인트(10e)에 의해 결합된다.
탑부(10c)이 상면에는 화분안착부(11) 및 휴식공간부(13)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수직결합조인트(10d)는 바 형상을 가지며, 바텀부(10a)와 센터부(10b) 및 탑부(10c)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본체(10)가 조립식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그 손상 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화분(20)은 그 상단이 화분안착부(11)에 걸림 지지되어 본체(10)의 내부로 수용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화분(20)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분(20)에는 정신적(정서적)·육체적 건강을 충분히 고려하여 엄격하게 선정된 식물이 식재된다. 또한 화분(20)에 식재되는 식물은 단순히 고양이의 육체적 건강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위험한 식물들을 접촉할 위험이 많은 고양이의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도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식물들을 엄선하였다. 그 예로는 아프리칸데이지, 아프리칸바이올렛, 안개꽃, 블루데이지, 디모포르세카, 금어초, 방울철쭉(서양철쭉), 크로산드라, 알소비아, 아키메네스, 금잔화, 자스민, 정글제라늄(익소라), 아펠란드라, 수박필레아, 딜허브, 이레카야자, 페페로미아, 넉줄고사리, 대나무야자, 바질, 에케베리아블루엔젤, 보스턴고사리, 주병야자, 칼라데아, 테이블야자, 석송, 디지코데카, 하월시아, 리본호야, 돈나무, 레몬밤, 마란타, 로즈마리, 타임, 크로튼 등이 있다.
위와 같은 화분(20)에 식재된 식물을 통해 고양이에게 자연에 대한 기본적 욕구인 바이오필리아(Biophilia)를 충족시킬 수 있다.
물받이(30)는 화분(20)에서 배출되는 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집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받이(30)는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며, 화분안착부(11)와 연통된다. 즉, 물받이(30)는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끼움 삽입되어, 화분안착부(11)와 대응 위치하는 플레이트형의 몸체부(32); 몸체부(32)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분안착부(11)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형의 집수부(34)로 이루어진다.
몸체부(32)는 본체(10)와 동일한 목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에는 집수부(34)의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집수부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부(34)는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부(32)의 집수부수용홈에 안정적으로 수용 안착되어 화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집수된다.
한편, 집수부(34)의 형상 등은 집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에 변경 가능하다.
스크래쳐(4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휴식공간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래쳐(40)는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스크래쳐(40) 외에도 해먹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본체 11 : 화분안착부
12 : 계단부 13 : 휴식공간부
20 : 화분 30 : 물받이
40 : 스크래쳐

Claims (5)

  1. 상면에 화분안착부(1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계단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화분안착부(11)에 안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20);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슬리이딩 끼움 결합되며, 상기 화분안착부(11)와 연통되는 물받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홈 형상의 휴식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식공간부(13)에 설치되는 스크래쳐(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화분안착부(11)는 상기 휴식공간부(13)의 일측을 감싸도록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를 위한 정원.
KR1020210022246A 2021-02-19 2021-02-19 고양이를 위한 정원 KR10255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46A KR102551548B1 (ko) 2021-02-19 2021-02-19 고양이를 위한 정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46A KR102551548B1 (ko) 2021-02-19 2021-02-19 고양이를 위한 정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20A true KR20220118620A (ko) 2022-08-26
KR102551548B1 KR102551548B1 (ko) 2023-07-05

Family

ID=8311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46A KR102551548B1 (ko) 2021-02-19 2021-02-19 고양이를 위한 정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5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243A1 (en) * 2000-09-01 2002-09-05 Martyn Glenn Joseph Petscape
US8695533B1 (en) * 2010-08-02 2014-04-15 TheCattitude, LLC Modular cat station
KR20170074425A (ko) * 2015-12-22 2017-06-30 최낙훈 다용도 거치대
JP2018174884A (ja) * 2017-04-20 2018-11-15 政智 宜寿次 立体花卉鉢架台
KR101930813B1 (ko) * 2017-03-09 2018-12-19 권도현 친환경 캣 타워
KR101948754B1 (ko) * 2017-10-20 2019-02-15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정원조성모델 가이드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243A1 (en) * 2000-09-01 2002-09-05 Martyn Glenn Joseph Petscape
US8695533B1 (en) * 2010-08-02 2014-04-15 TheCattitude, LLC Modular cat station
KR20170074425A (ko) * 2015-12-22 2017-06-30 최낙훈 다용도 거치대
KR101930813B1 (ko) * 2017-03-09 2018-12-19 권도현 친환경 캣 타워
JP2018174884A (ja) * 2017-04-20 2018-11-15 政智 宜寿次 立体花卉鉢架台
KR101948754B1 (ko) * 2017-10-20 2019-02-15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정원조성모델 가이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548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059B2 (en) Modular gardening system
US6622425B2 (en) Portable greenhouse cart
JPH0518936Y2 (ko)
US7958671B2 (en) Plant container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WO2020099814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US8776431B1 (en) Planter with adjustable legs
US20120204488A1 (en) Plant container with rigidly reversibly attachable canopy training rack
KR100404389B1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CN203608617U (zh) 立体型鱼菜共生种植装置
KR20220118620A (ko) 고양이를 위한 정원
US10070593B2 (en) Green horticultural therapy apparatus
KR101279133B1 (ko) 채소 재배기
US20130185993A1 (en) Green Horticultural Therapy Apparatus
KR20080001458U (ko) 조립식화분
CN205961995U (zh) 立体植栽装置
KR20220081187A (ko) 모듈식 식물 재배기
CN201015356Y (zh) 太阳能灯喂鸟器
JPH119095A (ja) 移動式プランターおよび受水槽
KR200339586Y1 (ko)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CN203302050U (zh) 一种家庭室内草坪盒
CN207460910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折叠蔬菜种植架
CN2363472Y (zh) 组合式阳台蔬菜、花卉栽培柱
KR200414410Y1 (ko) 관상용 화분
US20230363324A1 (en) Elevated garden 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