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554A - Roller mill unit and method of retrofitting roller mill unit - Google Patents

Roller mill unit and method of retrofitting roller mil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554A
KR20220118554A KR1020227027513A KR20227027513A KR20220118554A KR 20220118554 A KR20220118554 A KR 20220118554A KR 1020227027513 A KR1020227027513 A KR 1020227027513A KR 20227027513 A KR20227027513 A KR 20227027513A KR 20220118554 A KR20220118554 A KR 2022011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urved
grinding
rang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7299B1 (en
Inventor
신지 마츠모토
다쿠 미야자키
가즈시 후쿠이
에이이치로 오오츠보
다카히로 이마미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4Mills with pressed pendularly-mounted rollers, e.g. spring p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다.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able liner rotatable about a driving axis and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and is pressed toward a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liner to form a space between the table liner and the grinding surface. A roller mill apparatus having a roller configured to pulverize a pulverized object, where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pulverized face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pulverized face, and the pulverized face is flat a flat surface portion formed in a shape,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passes through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 is formed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a first position that is an intersection of a center line orthogonal to the roller axis and the grinding surface.

Description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Roller mill unit and method of retrofitting roller mill unit

본 개시는, 롤러 밀 장치 및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oller mill apparatus and a method of retrofitting the roller mill apparatus.

롤러 밀 장치는, 보일러나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등에 있어서, 석탄이나 석유 코크스 등의 미분쇄 또는 바이오매스 원료의 분쇄 등에 사용된다. 또한, 시멘트 제조 플랜트에서는, 시멘트 재료나 시멘트 클링커의 분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롤러 밀 장치는, 분쇄 대상물의 분쇄, 건조, 분급 및 반송을 행하는 플랜트 기기이다. 롤러와 테이블로 분쇄부를 구성하고, 회전하는 테이블 상에 층 형상으로 형성된 분쇄 대상물을 종동 회전하는 롤러로 압박함으로써, 분쇄 대상물 내에 압축력 및 전단력을 발생시켜, 분쇄 대상물을 분쇄한다.BACKGROUND ART A roller mill apparatus is used in a boiler, a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or the like, for fine pulverization of coal or petroleum coke, or pulverization of a biomass raw material. Moreover, it is widely used in the grinding|pulverization of a cement material, cement clinker, etc. in a cement manufacturing plant. A roller mill apparatus is a plant apparatus which grind|pulverizes, dry, classifies, and conveys an object to be pulverized. A crushing unit is constituted by a roller and a table, and the crushing object formed in a layer shape on a rotating table is pressed with a driven rotating roller, thereby generating a compressive force and a shearing force in the crushing object to pulverize the crushing object.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마모 진전에 수반하여, 전력의 증가 및 분쇄 능력의 저하에 기초하는 반송 공기의 입구 및 출구 사이의 차압의 증가 등,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외주면이 원뿔대 형상인 코니컬형 롤러의 외주면을 완곡면 형상(타이어형)으로 개조함으로써, 롤러 외주면과 테이블 상면으로 형성되는 분쇄면의 접촉 면압이 균일화되어, 해당 분쇄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As the wear of rollers and table liners progresses,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such as an increase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nveying air, which is based on an increase in electric power and a decrease in the crushing ability, so regular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 In Patent Document 1, by remode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nical roller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 truncated cone shape into a curved shape (tire type),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grinding surface formed by the table top surface is equalized,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grinding surface is improved. What can be improved is described.

롤러나 테이블면의 보수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의 삭감은, 가동률에 관계되기 때문에 중요한 과제이다. 롤러의 보수는, 롤러의 교환 장착이 비교적 단기간에 가능하지만, 테이블측의 보수는, 테이블 상면에 마련된 테이블 라이너를 교환하는 경우, 절단, 용단 등의 수단에 의한 테이블 라이너의 떼어내기나 재설치 작업은, 테이블 라이너가 적재되는 테이블 모재면을 재평면화하여 테이블 라이너와의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기가 장기간으로 되고 또한 고비용으로 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서는, 롤러의 외주면 및 테이블면의 형상을, 롤러의 외주면보다 테이블 라이너의 마모를 억제 가능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테이블 라이너의 보수 및 교환의 빈도를 저하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Reduction of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rollers and table surfaces is an important subject since it is related to an operating rate. Rollers can be repair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y replacing and installing the rollers. However, for table side repairs, when replacing the table liner provided on the table top, removing or reinstalling the table liner by means such as cutting or fusing is not necessary. ,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narize the surface of the table base material on which the table liner is mounted so that a gap with the table liner does not occur, the air becomes long and expensive. Then, in patent document 2, the proposal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a table liner is made by making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roller and a table surface into a shape which can suppress abrasion of a table liner rath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roller.

일본 특허 제4101709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101709 Publication 일본 특허 제6469343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469343

외주면이 원뿔대 형상의 롤러를, 완곡면을 갖는 롤러로 교환 장착하는 경우, 테이블의 분쇄면도 롤러의 완곡면에 맞춘 완곡면으로 함으로써, 분쇄 성능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은 공기가 장시간 또한 고비용으로 되기 때문에,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공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테이블 라이너를 교환 장착하는 대신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쇄면의 전체에 걸쳐서 덧살붙임 용접으로 완곡면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분쇄면의 전체에 걸쳐서 완곡면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덧살붙임 용접재와 장시간의 덧살붙임 작업이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다.When a roller having a truncated con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is replaced with a roller having a curved surf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grind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making the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also a curved surface match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roll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placement of the table liner requires air for a long time and high cost, it is necessary to secure ai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placement and mounting of the roller and the table liner. Instead of replacing and mounting the table liner,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also conceivable to form a curved surface by overlay welding over the entire grinding surface, but to realize a curved surface over the entire grinding surface For this purpos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pasting welding materials and a long pasting operation are required.

본 개시는,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테이블의 분쇄면에 있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는 롤러 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roller mill device capable of limiting the range of forming a curved portion on the crushing surface of a table to the minimum required range while ensuring crushing performanc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이란, 테이블 라이너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블면 중, 테이블 라이너를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범위의 테이블면」을 말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table liner rotatable about a driving axis, and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wherein the A roller mill apparatus comprising a roller configured to pulverize a pulverized object between a pulverized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pulverized face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pulverized face, The grinding surface includes a flat surface portion formed in a flat shape,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crushing surface,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It is formed in the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1st position which i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said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and the center line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position of the said roller and is orthogonal to the said roller axis lin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pulverized surface of the table liner" refers to a table surface in a rang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table liner among the table surfac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liner.

또한,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한다.Further, the method for retrofitting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table liner rotatable about a driving axis, and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and the grinding surface is pressed against the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liner. A method of remodeling a roller mill device having a roller configured to pulverize a pulverized object between the sieves,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pulverized face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pulverized face, , The grinding surface includes a flat surface portion formed in a flat shape,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crushing surface, the remodeling method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a first position that passes through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and is orthogonal to the roller axis and a center line that is orthogonal to the roller axis, and a first position that i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crushing surfac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by overlay welding A patch welding step is provided.

본 개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은, 평탄면과 곡면부를 포함함과 함께, 곡면부를 분쇄면 상에 있어서의 적어도 제1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한다. 이 때문에,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로써,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작용 효과에 더하여,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liner includes a flat surface and a curved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range on the grinding surface. For this reason, the range in which a curved-surface part is formed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required range, ensuring grinding|pulverization performance. Thereby,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formation of a curved part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Further, according to the remodeling method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since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formed by overlay welding, replacement of the table liner is not requi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eriod required for remodeling and reduce the cost.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를 일부 확대한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를 일부 확대한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 및 비교예에 관한 분쇄면의 분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enlarged of the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process diagram of a method for remodeling a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graph showing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of a pulverize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som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However, the dimensions, materials, shapes, and their relative arrangements, etc.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se embodiments or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and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expressions indicating a relative or absolute arrangement such as “in any direction”, “along a certain direction”, “parallel”, “orthogonal”, “center”, “concentric” or “coaxial” are strictly It is assumed that not only the arrangement is indicated, but also the state in which the tolerance is relatively displaced with an angle or distance sufficient to obtain the same function.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expressions indicating that things are in an equivalent state, such as "same", "equal" and "homogeneous", not only indicate a strictly equivalent state, but also have a tolerance or a difference to the extent that the same function is obtained. It shall also indicate the state of existence.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expressions indicating a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not only represent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in a geometrically strict sense, but also include irregularities and chamfers within the range where the same effect is obtained. It is assumed that the shape is also indicated.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갖추다」, 「가지다」, 「구비하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한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expressions such as "having", "having", "having", "including", or "having" one component are not exclusive expressions except for the presence of other components.

(롤러 밀 장치의 전체 구성)(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roller mill unit)

도 1은, 롤러 밀 장치를 석탄 분쇄기에 적용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고, 해당 석탄 분쇄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석탄 분쇄기(10)는, 하우징(12), 석탄 공급관(14), 테이블(16), 적어도 하나의 롤러(18), 1차 공기 공급 덕트(20), 회전식 분급기(22) 및 미분탄 배출관(24)을 구비하고 있다. 석탄 공급관(14)은, 하우징(12)의 상방으로부터 하우징(12)의 내부로 관통하여, 테이블(16)의 상면에 분쇄 대상물로서의 석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16)은,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16)은,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26)에 의해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relates to one Embodiment which applied the roller mill apparatus to the coal grinder, It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is coal grinder. The coal grinder 10 includes a housing 12, a coal supply pipe 14, a table 16, at least one roller 18, a primary air supply duct 20, a rotary classifier 22 and a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 24) is provided. The coal supply pipe 14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2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2, and is comprised so that coal as a grinding|pulverization object may be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6. As shown in FIG. The table 16 i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12 . And the table 16 is rotatably supported centering on the drive axis line A1 by the rotation shaft 26 arrange|position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롤러(18)가 테이블(16)의 상방에 배치되고, 또한 테이블(16)에 대향하여 테이블(16)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롤러(18)는, 자중 또는 압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테이블(16)의 상면에 형성된 분쇄면을 압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박 장치는, 롤러(18)의 회전축(19)을 통해 롤러(18)가 상기 분쇄면을 압박하는 힘을 부가한다. 롤러(18)는,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테이블(16)의 상면에 형성된 분쇄면에 종동하여, 회전축(19)의 축 중심에 위치하는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석탄 공급관(14)으로부터 공급된 석탄은, 롤러(18)와 해당 분쇄면 사이에서 분쇄되어 미분탄으로 된다.In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some roller 18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table 16, and opposes the table 16, and is arrange|positioned at fix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able 16. The roller 18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ress the crush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6 by its own weight or a pressing device (not shown). The pressing device applies a force for the roller 18 to press the grinding surface via the rotation shaft 19 of the roller 18 . The roller 18 is driven by the grinding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6 rotating about the driving axis A 1 , and is located at the axial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9 . rotate The coal supplied from the coal supply pipe 14 is grind|pulverized between the roller 18 and this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and turns into pulverized coal.

1차 공기 공급 덕트(20)는, 테이블(16)의 하부의 하우징(12)의 측면 및 테이블(16)의 하부로부터 테이블(16)의 외주측으로 1차 공기를 공급한다. 테이블(16)의 외주측에 공기 분출구(28)가 마련되고, 1차 공기 공급 덕트(20)로부터 공급된 1차 공기는 공기 분출구(28)를 통해 상승한다. 테이블(16)과 롤러(18)로 제조된 미분탄은, 공기 분출구(28)로부터 상승하는 1차 공기에 의해 반송된다. 공기 분출구(28)의 상방에는 편류판(30)이 마련되고, 공기 분출구(28)로부터 분출된 1차 공기는 편류판(30)에 의해 선회력이 부여된다. 편류판(30)에 의해 선회력이 부여된 1차 공기는, 도 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기류가 되어 미분탄을 하우징(12)의 상방의 회전식 분급기(22)로 운반한다. 또한, 1차 공기에 혼합한 미분탄 중 입경이 큰 것은 자중에 의해 회전식 분급기(22)까지 도달하지 않고 낙하하여, 테이블(16)로 다시 되돌아온다.The primary air supply duct 20 supplies primary air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2 of the lower part of the table 16 and the lower part of the table 16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16 . An air outlet 28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16 , and the primary air supplied from the primary air supply duct 20 rises through the air outlet 28 . The pulverized coal manufactured by the table 16 and the roller 18 is conveyed by the primary air which rises from the air outlet 28. As shown in FIG. A drift plate 30 is provided above the air outlet 28 , and the primary air blown out from the air outlet 28 is given a turning force by the drift plate 30 . The primary air to which the swirling force is given by the drift plate 30 becomes an airflow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1 , and conveys the pulverized coal to the rotary classifier 22 above the housing 12 . In addition, among the pulverized coals mixed with primary air, those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fall without reaching the rotary classifier 22 due to their own weight, and return to the table 16 again.

회전식 분급기(22)는, 하우징(1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32)를 구비하고 있다. 1차 공기와 함께 회전식 분급기(22)에 도달한 미분탄은, 회전하는 블레이드(32)에 의해 부여되는 원심력과, 블레이드(32)의 외주측으로부터 회전식 분급기(22)에 유입되는 구심력의 밸런스에 의해, 입경이 작은 미분탄만이 블레이드(32)의 내측에 유입되고, 미분탄 배출관(24)으로부터 유출된다. 미분탄 배출관(24)은 미분탄 보일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유로(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되어 있다.The rotary classifier 22 includes a blade 32 that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12 . The pulverized coal that has reached the rotary classifier 22 together with the primary air balances the centrifugal force imparted by the rotating blade 32 and the centrifugal force flowing into the rotary classifier 22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32 . Accordingly, only the pulverized coal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flows into the inner side of the blade 32 , and flows out from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24 .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24 communicates with a flow path (not shown) connected to a pulverized coal boiler (not shown).

(테이블 및 롤러를 포함하는 분쇄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crushing unit including table and roller)

도 2 및 도 3은, 각각 테이블(16) 및 롤러(18)를 포함하고, 분쇄 대상물로서의 석탄을 분쇄하는 분쇄부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테이블(16)은, 테이블 본체(40), 테이블 라이너(42), 웨지 링(44) 및 댐 링(48) 등을 포함한다. 테이블 본체(40)는, 회전축(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테이블 본체(40)는 원형 접시 형상을 갖고, 테이블 본체(40)의 상면은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0a)을 구성하고 있다.2 and 3 are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each including a table 16 and a roller 18 and showing an embodiment of a pulverizing unit that pulverizes coal as a pulverization object. The table 16 includes a table body 40 , a table liner 42 , a wedge ring 44 , a dam ring 48 , and the like. The table main body 4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26. As shown in FIG. The table main body 40 has a circular dish sha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main body 40 comprises the inclined surface 40a which inclines so that it may become high as it goe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ide.

테이블 라이너(42)는,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을 갖고, 롤러(18)와 대향하도록 경사면(40a)에 마련된다. 테이블 본체(40)는, 경사면(40a)(테이블 라이너(42)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환 형상의 둑부(41)를 갖는다. 테이블 라이너(42)의 외주연부는, 테이블 본체(40)와 둑부(41)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테이블 라이너(42)에 적재된 석탄은,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18) 사이에서 분쇄된다. 테이블 라이너(42)는, 석탄의 분쇄에 의해 마모되기 때문에, 교환 가능한 소모재로서 사용된다.The table liner 42 has, for example, an annular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40a so as to face the roller 18 . The table main body 40 has an annular weir part 41 protruding upward in the inclined surface 40a (outer peripheral side than the table liner 42).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ble liner 42 is inserted and fixed in a recess formed between the table main body 40 and the weir 41 . The coal loaded on the table liner 42 is pulverized between the table liner 42 and the roller 18 . The table liner 42 is used as a replaceable consumable, since it is abraded by the pulverization of coal.

웨지 링(44)은,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을 갖고, 테이블 라이너(42)의 내주연부를 테이블 본체(40)에 압박하도록, 테이블 라이너(42)의 내주연부를 따라 마련된다. 웨지 링(44)은, 볼트(46)에 의해 회전축(26)에 고정된다.The wedge ring 44 has, for example, an annular shape, and is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table liner 42 so as to press the inner periphery of the table liner 42 against the table body 40 . The wedge ring 44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26 by a bolt 46 .

댐 링(48)은, 둑부(41)의 상면에 고정되어, 롤러(18)와 테이블 라이너(42)로 분쇄되고, 롤러(18)보다 외주측의 테이블 라이너(42) 상에 압출된 미분탄을 저류하는 저류 공간을 형성한다. 해당 저류 공간에 저류된 미분탄은, 롤러(18)에 의해 몇 번이나 분쇄되어, 소정의 입경으로 분쇄된다.The dam ring 48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ir 41, pulverized by the roller 18 and the table liner 42, and the pulverized coal extruded on the table liner 42 on the outer periphery side of the roller 18. Forms a storage space for storage. The pulverized coal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pulverized several times by the roller 18 and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이렇게 하여, 테이블 라이너(42)의 상면에 테이블면(St)이 형성되고, 석탄 공급관(14)으로부터 테이블면(St)의 중심측 영역에 공급된 석탄은, 회전하는 테이블 본체(40)에 의해 테이블 본체(40)의 외주측을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서서히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쇄면(Sg)에 도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쇄면(Sg)은, 테이블면(St) 중, 테이블면(St)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18)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범위를 말한다. 분쇄면(Sg)에 도달한 석탄은, 롤러(18)와 분쇄면(Sg) 사이에서 압박되어 분쇄된다. 도 2 및 도 3 중, m은 테이블면(St)에 층 형상으로 퇴적된 분쇄 대상물(석탄)을 나타낸다.In this way, the table surface S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liner 42, and the coal supplied to the center side area|region of the table surface St from the coal supply pipe 14 is rotated by the table main body 40. Since the centrifugal forc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main body 40 acts, it moves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gradually. And it arrives at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says the range which fac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18 of the state pressed toward the table surface St among the table surfaces St. The coal which has reached the pulverized surface Sg is pressed between the roller 18 and the pulverized surface Sg and pulverized. In Figs. 2 and 3, m denotes an object to be pulverized (coal) deposited on the table surface St in a layered form.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50a, 50b, 50c, 50d)와, 곡면부(52)(52a, 52b)를 포함한다. 곡면부(52)는,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롤러(18)의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라인 Lc는,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이다. 곡면부(52)는, 중심선(Lc)과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52)의 재질로서, 예를 들어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는 내마모성 재료가 사용된다.2 and 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s a curved surface shape convex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is formed with The pulverized surface Sg includes flat surface portions 50 ( 50a , 50b , 50c , 50d ) formed in a flat shape, and curved surface portions 52 ( 52a , 52b ). The curved-surface part 52 is formed in the curved-surface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n the state pressed toward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In this figure, the line Lc is a center line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18 , and is orthogonal to roller axis line A2. The curved-surface part 52 is formed in the range which includes at least the 1st position P 1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center line Lc and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As the material of the curved portion 52, for example, a wear-resistant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toughness is used.

제1 위치(P1)는,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때, 롤러(18)의 폭 방향 중심 위치이기 때문에, 곡면부(52)와의 사이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큰 하중이 발생하는 범위에 속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곡면부(52)가 적어도 제1 위치(P1)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소한의 분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곡면부(52)의 형성 범위를 필요 최소한으로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position P 1 is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18 when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it is large with respect to the grinding object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and the grinding surface Sg.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range where the load occurs. Therefore, by forming the curved portion 52 to include at least the first position P 1 ,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inimum crushing performance and to limit the formation range of the curved portion 52 to the minimum necessa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air and cost required for forming the curved portion 52 .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곡면부(52)에 접하는 외주면(18a)과, 외주면(18a)에 접하는 곡면부(52)의 표면은,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형성한다. 이로써, 외주면(18a)과 곡면부(52)의 접촉면의 전역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균일한 하중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FIGS. 2 and 3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in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52 and the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52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form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do. As a result, a uniform load can be applied to the object to be pulveriz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a and the curved portion 52,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lverization performance of the object to be pulverized.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일 때,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의 폭 방향에서 제1 위치(P1)와 다른 위치에, 롤러 축선(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54)를 갖고 있다. 그리고, 곡면부(52)(52a, 52b)는, 적어도 제1 위치(P1)로부터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when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s the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P 1 in the width direction, it has the most protruding end 54 at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roller axis A 2 .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s 52 (52a, 52b), from at least the first position (P 1 ) to the second position (P 2 ) on the grinding surface (Sg) at a position facing the most protruding end (54) It is formed to include the first range (R 1 ) up to.

롤러(18)의 외주면(18a)과 분쇄면(Sg)에 의해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2 위치(P2)에서 가장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를 포함하는 제1 범위(R1)에서 가장 커진다고 생각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적어도 제1 범위(R1)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곡면부(52)의 형성이 제1 범위(R1)에 한정되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The load applied to the crushing object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and the crushing surface Sg of the roller 18 is considered to be greatest at the second position P 2 .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crushing object is greatest in the first range R 1 including the first position P 1 and the second position P 2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ved portion 52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the first range R 1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lverization performance of the object to be pulveriz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rmation of the curved-surface portion 52 is limited to the first range R 1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curved-surface portion 52 .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외주면(18a)의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는, 제1 위치(P1)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롤러 외주면(18a)과 분쇄면(Sg) 사이에서 분쇄 대상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에서 제1 위치(P1)보다 외측에서 증가한다. 그 때문에, 분쇄 대상물(m)이 테이블(16)의 중심측에 공급되어 분쇄면(Sg)을 통해 테이블(16)의 주변측을 향할 때, 제1 위치(P1)보다 분쇄 대상물(m)의 진행 방향 외주측에서 분쇄 대상물(m)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m)은 조립으로부터 미립으로 단계적으로 분쇄된다. 그 때문에,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econd position P 2 on the grinding surface Sg facing the most protruding end 54 of the roller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is the first position ( It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P 1 ). Therefore, the load applied to the crushing object between the roller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and the crushing surface Sg increases outside the first position P 1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le 16 . Therefore, when the crushing object m is supplied to the center side of the table 16 and directed toward the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16 through the crushing surface Sg, the crushing object m rather than the first position P 1 . Si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ad on the crushing object m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refore, it can grind|pulverize with a predetermined particle diameter with high precision.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8)의 외주면(18a) 중, 제1 위치(P1)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은, 중심선(Lc)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곡률 중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돌출 단부(54)는, 제1 곡률 중심(C1)을 지나 중심선(Lc)과 평행인 직선 L1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제2 위치(P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P1)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측의 외주면(18a)은, 중심선(Lc) 상에 있는 제2 곡률 중심(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곡률 중심(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곡률 반경 r2는, 제1 곡률 중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호의 곡률 반경 r1보다 크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nd FIG. 3,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18a of the roller 18, the area|region outside the 1st position P 1 of the table 16 in the radial direction is a center line ( Lc) located outside the first center of curvature (C 1 ) It is formed in a circular arc as a center. And, the most protruding end 54 is formed at a second position P 2 where a straight line L 1 parallel to the center line Lc passes through the first center of curvature C 1 and intersects the grinding surface Sg. . More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adial direction inner side of the table 16 is formed in the arc centering on the 2nd center of curvature C2 on the centerline Lc rather than the 1st position P1.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arc centered on the second center of curvature C 2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arc centered on the first center of curvature C 1 .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면(Sg)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증하는 하중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은 분쇄면(Sg)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서히 입경이 작아지도록 분쇄되기 때문에,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r1<r2이기 때문에, 분쇄면(Sg)의 외주측 영역에서 롤러 외주면(18a)과 분쇄면(Sg)의 간극이 넓어진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m)의 외주측으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oad which generate|occur|produces in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can form the load distribution which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from the radial direction inner side of the table 16.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object to be pulverized is pulverized so that the grain size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in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pulverization surface Sg, so that it can be pulverized with high precision to a predetermined grain size. Moreover, since r1<r2,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roller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and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in the outer peripheral side area|region of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becomes wide. Thereby, discharge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rushing object m is performed smoothly.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 상에 있어서, 곡면부(52)는 제1 범위(R1)보다도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R2)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에서 제1 범위(R1)보다 내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on the pulverization surface Sg, the curved surface part 52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second range R 2 rather than the first range R 1 . ) is includ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ved portion 52 extends more in the inner peripheral side than the first range R 1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le 16,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rushing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crushing object.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부(52)(52b)는, 분쇄면(Sg)에 있어서 제1 범위(R1)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된 제3 범위(R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쇄면(Sg)을 형성하는 곡면부(52)(52b)가 테이블(16)의 반경 방향이고 또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the curved surface portions 52 and 52b have a third range R 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side of the pulverized surface Sg rather than the first range R 1 . contains m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ved portions 52 and 52b forming the grinding surface Sg extend outward a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le 16, the grinding performance of the grinding object can be further improved. .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의 영역에 있어서, 곡면부(52)(52a, 52b)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양측에 평탄면부(50)(50a 내지 50d)를 갖는다. 평탄면부(50)(50a, 50c)는 곡면부(52)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평탄면부이고, 평탄면부(50)(50b, 50d)는 곡면부(52)보다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내주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평탄면부이다. 이와 같이, 분쇄면(Sg)의 영역에 있어서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양측에 평탄면부(50)를 갖기 때문에, 곡면부(52)의 형성 영역을 한정할 수 있어,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nd FIG. 3, in the area|region of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the flat surface part 50 on both sides of the table 16 of the curved-surface part 52 (52a, 52b) in the radial direction. ) (50a to 50d). The flat surface portions 50 ( 50a , 50c ) are outer peripheral flat surface portions located on the radially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16 rather tha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 and the flat surface portions 50 , 50b and 50d are the curved surface portions 52 . ) is an inner peripheral-side flat surface portion located on the radially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16 . In this way, since the flat surface portion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able 16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area of the grinding surface Sg, the formation area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can be limited, and the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formation can be suppressed.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은, 제1 범위(R1)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단으로부터 제1 범위(R1)보다도 더 외주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50)(50a)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52)(52a)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is the outer peripheral side further than 1st range R1 from the radial directio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able 16 of 1st range R1.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6 is formed in the range up to the formed flat surface portions 50 and 50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6 is formed, the str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curved portion 52 (52a) can be increased.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면(Sg)은, 제3 범위(R3)의 테이블(16)의 반경 방향 외주단으로부터 제3 범위(R3)보다도 더 외주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50)(50c)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면부(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52)(52b)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사면부(56)의 분쇄면(Sg)에 대한 각도 θ는, 곡면부(52)(52a, 52b)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한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is the outer peripheral side further than 3rd range R3 from the radial direction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able 16 of 3rd range R3.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6 is formed in the range up to the formed flat surface portions 50 and 50c.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nclined surface part 56 is formed, the intensity|str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area|region of the curved-surface part 52 (52b) can be rais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6 with respect to the grinding surface Sg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s 52 (52a, 52b). do.

일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을 때, 롤러(18)의 선단면(18b)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3 위치(P3)를 0%로 하고, 롤러(18)의 기단면(18c)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분쇄면(Sg) 상의 제4 위치(P4)를 100%로 한다. 이때, 곡면부(52)(52a, 52b)는, 적어도 40 내지 6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40 내지 6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가 상기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쇄 대상물에 대하여 필요 최저한의 분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roller 18 is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the third position ( Let P 3 ) be 0%, and the 4th position P 4 on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which exists in the position facing the base end surface 18c of the roller 18 shall be 100 %. At this time, the curved surface portions 52 (52a, 52b) are formed to cover at least 40 to 60% of the range. That is, the curved-surface part 52 is formed in the whole area of 40 to 60% of rang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ved portion 52 is formed to include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minimum necessary grinding performance for the object to be pulverized.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위치(P3)는, 롤러(18)의 선단면(18b) 상의 직선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점이고, 제4 위치(P4)는, 롤러(18)의 기단면(18c) 상의 직선이 분쇄면(Sg)과 교차하는 점이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third position P 3 is a point at which a straight line on the tip surface 18b of the roller 18 intersects the grinding surface Sg, and the fourth The position P 4 is a point at which the straight line on the base end surface 18c of the roller 18 intersects the grinding surface Sg.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는 30 내지 7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30 내지 7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면부(52)가 더 넓은 범위에 형성되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ved portion 52 is formed to cover a range of 30 to 70%. That is, the curved surface part 52 is formed in the whole area of 30 to 70% of range. As a result, since the curved portion 52 is formed in a wider rang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pulverization performance of the pulverized object.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는 20 내지 80%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즉, 20 내지 80%의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면부(52)가 더 넓은 범위에 형성되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ved portion 52 is formed to cover a range of 20 to 80%. That is, the curved-surface part 52 is formed in the whole area of 20 to 80% of range. Thereby, since the curved part 52 is formed in a wider range, the grinding|pulverization performance of the grinding|pulverization object can be improved further.

일 실시 형태에서는, 곡면부(52)(52a, 52b)는, 평탄면부(50)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42)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개조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ved-surface portions 52 ( 52a , 52b ) include a reinforcement-welded portion formed on the flat-surface portion 50 by reinforcement weld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ved-surface part 52 is formed by adding welding, replacement and mounting of the table liner 42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period required for the remodeling can be shortened and the remodel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16)에 마련되고, 분쇄면(Sg)을 형성하는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18)를 구비한 석탄 분쇄기(10)를 대상으로 한다. 석탄 분쇄기(10)에서는, 롤러(18)는, 테이블 라이너(42)의 테이블면(St)에 형성된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분쇄면(Sg)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러(18)의 외주면(18a)은, 롤러(18)가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remodeling method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is demonstrated below.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remodel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rotatable table 16 centering|focusing on the drive axis line A 1 , The table liner which forms the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42) and the coal grinder 10 provided with the roller 18 rotatable centering on the roller axis A2 is made into object. In the coal pulverizer 10,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pulverized face Sg formed on the table face St of the table liner 42 to pulverize the pulverized object between the pulverized face Sg and the pulverized face Sg. Consist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석탄 분쇄기(10)에 대한 개조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 형상의 테이블면(St)에 대하여, 적어도 제1 위치(P1)를 포함하는 범위에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한다(스텝 S12). 이로써, 곡면 형상의 롤러 외주면(18a)에 대하여, 곡면부(52)의 형성을 분쇄 성능을 확보 가능한 최소한의 범위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곡면부(52)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42)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조 방법은, 석탄 분쇄기(10)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롤러 밀 장치여도 된다.The remodeling method for the coal pulverizer 10, as shown in FIG. 4, with respect to the table surface (St) of the flat surface shape, at least the first position (P 1 )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n a range including the first position (P 1 ) A layer-up welding step formed by layer-up welding is provided (step S12). 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a of the curved roller, the 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52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range capable of ensuring the pulverization performance, so that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52 can be reduced.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formed by gluing welding, replacement of the table liner 42 is not required, and the period required for remodeling and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remodel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coal grinder 10, Another roller mill apparatus may be sufficient.

또한, 개조 대상이 롤러의 압박면이 원뿔대 형상인 코니컬형 롤러인 경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살붙임 용접 스텝 S12의 전공정으로서, 코니컬형 롤러를 곡면 형상의 외주면(18a)을 갖는 롤러(18)로 교환 장착하는 스텝(스텝 S10)을 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remodeling target is a conical roller whose pressing surface is a truncated cone, as shown in FIG. 4 , as a pre-process of the overlay welding step S12, the conical roller is applied to the curv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a. A step (step S10) of replacing and attaching the roller 18 having the roller 18 is performed.

도 5는, 석탄 분쇄기에 있어서, 롤러 및 테이블 라이너의 3종류의 조합 시의 밀 동력비 및 밀 내 순환 입자 차압비를 검증한 결과를 나타낸다. 조합 (a) 및 (b)는 비교예의 검증 결과이고, 조합 (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검증 결과이다. 조합 (a)는, 롤러 외주면 및 테이블 라이너 상면이 모두 평면인 조합이고, 조합 (b)는, 롤러 외주면이 외주면(18a)과 같은 곡면 형상이고, 테이블 라이너 상면이 평면인 조합이다. 조합 (c)는, 롤러 외주면이 외주면(18a)과 같은 곡면 형상이고, 분쇄면(Sg)은 곡면부(52)를 갖는 조합이다.Fig. 5 show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ill power ratio and the circulating particle pressure differential in the mill when combining three types of rollers and table liners in a coal pulverizer. Combinations (a) and (b) ar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combination (c) is the verific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bination (a) is a combination in which bo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liner are flat, and the combination (b) is a combina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has the same curved shap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liner is flat. Combination (c) is a combina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has the same curved shap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and the grinding surface Sg has the curved portion 52 .

밀 동력비(무차원수)는, 조합 (a)의 밀 동력을 1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조합 (b), (c)의 밀 동력의 비이고, 밀 동력비가 클수록 분쇄 성능이 낮고, 밀 동력비가 작을수록 분쇄 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밀내 순환 입자 차압은, 도 1에 있어서,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과 미분탄 배출관(24)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의 차압이고, 밀내 순환 입자 차압비(무차원수)는, 조합 (a)의 해당 차압을 1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조합 (b), (c)의 해당 차압의 비이다. 이 값이 클수록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이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테이블 라이너(42) 상의 미분탄의 체류량이 클수록, 1차 공기 공급 덕트(20)에 있어서의 1차 공기압이 커져, 분쇄 성능이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mill power ratio (dimensionless number) is the ratio of the mill power of each combination (b) and (c) when the mill power of the combination (a) is 1, and the larger the mill power ratio, the lower the grinding performance, and the mill power ratio It shows that the grinding|pulverization performance is so high that is small.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circulating particles in the mill i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primary air pressure in the primary air supply duct 20 and the primary air pressure in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24 in FIG. is a ratio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each combination (b) and (c) in the cas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combination (a) is set to 1. It has shown that the primary air pressure in the primary air supply duct 20 becomes large, so that this value is large. That is, it has shown that the primary air pressure in the primary air supply duct 20 becomes large, so that the residual amount of the pulverized coal on the table liner 42 is large, and the grinding|pulverization performance is low.

도 5로부터, 조합 (b)는, 밀 동력비 및 밀내 순환 입자 차압비 모두 조합 (a)보다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해, 조합 (c)는, 조합 (a)와 거의 동등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조합 (b)는 분쇄 효율이 저하되어 있는 것에 비해, 조합 (c)는 조합 (a)와 거의 동등한 분쇄 효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Fig. 5 , the combination (b) shows that both the mill power ratio and the intramill circulating particle differential pressure ratio increase compared to the combination (a), whereas the combination (c) shows a value almost equal to that of the combination (a).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bination (b) has a reduced pulverization efficiency, whereas the combination (c) maintains a pulverization efficiency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ombination (a).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The contents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re grasped as follows, for example.

1) 일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구동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16)과,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의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Sg)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m)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18)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10)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18a)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50a, 50b, 50c, 50d))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52(52a, 52b))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50)는, 상기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Lc)과 상기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1) 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is a table 16 rotatable about a drive axis A 1 , and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A 2 , and a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 It is a roller mill apparatus 10 having a roller 18 configured to pulverize the pulverized object m between the pulverized surface Sg by being pressed toward Sg,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comprises: The grinding surface Sg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and the grinding surface Sg is formed in a flat surface portion 50 (50a, 50b, 50c) in a flat shape. , 50d))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52 (52a, 52b)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The said curved-surface part 50 passes through the cen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roller 18, and the intersection of the center line Lc and the said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Sg orthogonal to the said roller axis line A2. It is formed in the range which includes at least the phosphorus 1st position P 1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의 분쇄면은, 평탄면과 곡면부를 포함함과 함께, 곡면부를 분쇄면 상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제1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한다. 이 때문에, 분쇄 성능을 확보하면서, 곡면부를 형성하는 범위를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로써,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grinding surface of the table includes a flat surface and a curved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position on the grinding surface. For this reason, the range in which a curved-surface part is formed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required range, ensuring grinding|pulverization performance. Thereby,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formation of a curved part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2)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위치(P1)로부터,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 중 상기 롤러 축선(A2)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54)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제2 위치(P2)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R1)를 적어도 포함한다.2)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1),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pressed from the first position P 1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A second position P 2 on the grinding surface Sg at a position facing the most protruding end 54 at a position farthest from the roller axis A 2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 up to and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range (R 1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곡면부의 시공 범위가, 제1 위치로부터, 테이블 분쇄면으로부터 최대 하중이 가해지는 롤러의 최돌출 단부에 대면하는 제2 위치에 이르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에 대한 분쇄 성능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곡면부의 형성이 제1 범위에 한정되기 때문에,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urved portion reach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facing the most protruding end of the roller to which the maximum load is applied from the table crushing surface, the crushing performance for the crushing object can be improved. While there is, since formation of a curved-surface part is limited to a 1st range, the air and cost required for formation of a curved-surface part can be suppressed.

3)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2)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제2 위치(P2)는, 상기 제1 위치(P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한다.3)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2), wherein the second position P 2 is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nding surface Sg rather than the first position P 1 . located on the 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위치가 제1 위치보다도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롤러와 분쇄면 사이에 발생하는 하중은, 테이블의 반경 방향에서 제1 위치보다 외측에서 증가한다. 이로써, 분쇄 대상물이 테이블의 중심측에 공급되어 분쇄면을 통해 테이블의 주변측을 향할 때, 분쇄 대상물의 진행 방향 하류측에서 분쇄 대상물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을 소정의 입경으로 고정밀도로 분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econd position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grinding surface than the first position, the load generated between the roller and the grinding surface increases outside the first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le. Thereby, when the object to be crushed is supplied to the center side of the table and directed toward the peripheral side of the table through the crushing surface, the load on the object to be crush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crushed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object to be crushed has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can be crushed with high precision.

4)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3)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범위(R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R2)를 포함한다.4)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3),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grinding surface Sg rather than the first range R 1 . A second range (R 2 ) formed is includ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제1 범위보다 내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urved portion extends more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ide than the first rang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grinding performance of the object to be pulverized.

5)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3) 또는 4)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제1 범위(R1)보다도 상기 분쇄면(Sg)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3 범위(R3)를 포함한다.5)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3) or 4),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greater in the grinding surface Sg than the first range R 1 . It includes a third range (R 3 )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제1 범위보다 외주측으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분쇄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urved portion extends more toward the outer periphery than the first range, pulveriz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6)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5)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분쇄면(Sg)은, 상기 제3 범위(R3)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범위(R3)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되는 상기 평탄면(50(50a, 50c))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사면부(56)를 더 포함한다.6)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apparatus according to 5), wherein the grinding surface Sg is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third range R 3 , than the third range R 3 . I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56 formed in a range up to the flat surface 50 (50a, 50c)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곡면부의 외주측 영역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urther included, the str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reg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can be increased.

7)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선단면(18b)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위치를 0%로 하고,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기단면(18c)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Sg) 상의 위치를 100%로 한 경우에, 상기 곡면부(52)는, 적어도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7) 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tip surface 18b of the roller 18 is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The pulveriza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proximal end face 18c of the roller 18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pulverization face Sg with the position on the pulverization surface Sg at the facing position being 0% When the position on the surface Sg is 100%,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40% or more and 60% or less of the rang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가 상기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쇄 대상물의 분쇄 성능을 최저한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minimum pulverization performance of the pulverized object.

8)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는,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곡면부(52)는, 상기 평탄면부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한다.8) 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the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ncludes a reinforcement welding portion formed on the flat surface portion by reinforcement welding. do.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a curved-surface part is formed by adding welding, replacement|exchange attachment of a table liner is not requi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eriod required for remodeling and reduce the cost.

9) 일 양태에 관한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42)와, 롤러 축선(A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42)의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52)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m)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18)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18)의 외주면(18a)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Sg)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50)와, 상기 분쇄면(Sg)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18)의 상기 외주면(18a)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1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A2)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Lc)과, 상기 분쇄면(Sg)의 교점인 제1 위치(P1)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52)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S12)을 구비한다.9) A method for retrofitting a roller mil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is a table liner (42) rotatable about a driving axis, and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A 2 ), the table liner (42) A method of retrofitting a roller mill apparatus comprising a roller (18) configured to pulverize an object (m) to be pulverized between the pulverized surface (52) by being pressed toward the pulverization surface (Sg) of the roller (18)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a of th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crushing surface Sg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crushing surface Sg, and the crushing surface Sg is a flat surface portion ( 50), and a curved portion 52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8a of the roller 18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Sg, wherein the method of remodeling the roller mill apparatus A first position (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P 1 ), a reinforcement welding step S12 in which the curved surface portion 52 is formed by reinforcement welding is provid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곡면 형상의 롤러 외주면에 대하여, 곡면부의 형성을 분쇄 성능을 확보 가능한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으므로, 곡면부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공기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으로 형성하므로, 테이블 라이너의 교환 장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조에 필요로 하는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roller, the 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range in which the grinding performance can be ensured, so that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by gluing welding, replacement of the table liner is not requi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eriod required for remodeling and reduce the cost.

10: 석탄 분쇄기
12: 하우징
14: 석탄 공급관
16: 테이블
18: 롤러
18a: 외주면
18b: 선단면
18c: 기단면
19, 26: 회전축
20: 1차 공기 공급 덕트
22: 회전식 분급기
24: 미분탄 배출관
28: 공기 분출구
30: 편류판
32: 블레이드
40: 테이블 본체
40a: 경사면
41: 둑부
42: 테이블 라이너
44: 웨지 링
46: 볼트
48: 댐 링
50(50a, 50b, 50c, 50d): 평탄면부
52(52a, 52b): 곡면부
54: 최돌출 단부
56: 경사면부
A1: 구동 축선
A2: 롤러 축선
C1: 제1 곡률 중심
C2: 제2 곡률 중심
Lc: 중심선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P4: 제4 위치
R1: 제1 범위
R2: 제2 범위
R3: 제3 범위
Sg: 분쇄면
St: 테이블면
m: 분쇄 대상물(피분쇄물)
10: coal grinder
12: housing
14: coal supply pipe
16: table
18: roller
18a: outer periphery
18b: front end
18c: proximal section
19, 26: axis of rotation
20: primary air supply duct
22: rotary classifier
24: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28: air vent
30: drift plate
32: blade
40: table body
40a: slope
41: Dukbu
42: table liner
44: wedge ring
46: bolt
48: dam ring
50 (50a, 50b, 50c, 50d): flat surface part
52 (52a, 52b): curved portion
54: most protruding end
56: inclined surface part
A 1 : drive axis
A 2 : Roller axis
C 1 : center of first curvature
C 2 : second center of curvature
Lc: center line
P 1 : first position
P 2 : second position
P 3 : 3rd position
P 4 : 4th position
R 1 : first range
R 2 : second range
R 3 : third range
Sg: crushed side
St: table surface
m: object to be pulverized (object to be pulverized)

Claims (9)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롤러 밀 장치.
a table liner rotatable about a drive axis;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the roller configured to pulverize a pulverized object between the table liner and the pulverized surface by being pressed toward the pulverizing surface of the table liner;
It is a roller mill device provid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grinding surface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The grinding surface is
A flat surface portion formed in a flat shape;
and a curved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range including at least a first position that passes through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and is an intersection of a center line orthogonal to the roller axis line and the grinding surface,
roller mil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롤러 축선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최돌출 단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제2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제1 범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ved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grinding surface at a position facing the most protruding end farthest from the roller axis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at least comprising the first range,
roller mil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롤러 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position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grinding surface than the first position,
roller mil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범위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제2 범위를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urved portion includes a second rang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pulverized surface rather than the first range.
roller mill devic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제1 범위보다도 상기 분쇄면에 있어서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3 범위를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The said curved-surface part includes the 3rd rang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ide in the said grinding|pulverization surface rather than the said 1st range,
roller mill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은, 상기 제3 범위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3 범위보다도 외주측에 형성되는 상기 평탄면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rind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in a rang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hird range to the flat surfa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hird range,
roller mill devi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선단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위치를 0%로 하고,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기단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분쇄면 상의 위치를 100%로 한 경우에,
상기 곡면부는, 적어도 40% 이상 60%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롤러 밀 장치.
The position on the grinding surf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position on the grinding surface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is 0%,
When the position on the grinding surface at a position facing the base end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is 100%,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40% or more and 60% or less of the range,
roller mill devi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평탄면부 상에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된 덧살붙임 용접부를 포함하는,
롤러 밀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comprises a reinforcement welded portion formed on the flat surface portion by reinforcement welding.
roller mill device.
구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테이블 라이너와,
롤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이며, 상기 테이블 라이너의 분쇄면을 향해 압박됨으로써 상기 분쇄면과의 사이에서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이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면은,
평탄 형상으로 형성된 평탄면부와,
상기 분쇄면을 향해 압박된 상태의 상기 롤러의 상기 외주면을 향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은, 상기 롤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롤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선과, 상기 분쇄면의 교점인 제1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위에, 상기 곡면부를 덧살붙임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덧살붙임 용접 스텝을 구비하는,
롤러 밀 장치의 개조 방법.
a table liner rotatable about a drive axis;
a roller rotatable about a roller axis, the roller configured to pulverize a pulverized object between the table liner and the pulverized surface by being pressed toward the pulverizing surface of the table liner;
A method of remodeling a roller mill device compri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grinding surface in a state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The grinding surface is
A flat surface portion formed in a flat shape;
and a curved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oward the grinding surface,
The remodeling method of the roller mill apparatus includes at least a first position that passes through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and is orthogonal to the roller axis line and a first position that i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grinding surface, A layer-up welding step of formi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by layer-by-layer welding is provided;
A method of retrofitting a roller mill unit.
KR1020227027513A 2020-02-19 2021-02-15 Roller mill device and method of modification of roller mill device KR1026472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6605A JP7311440B2 (en) 2020-02-19 2020-02-19 Roller mill device and modification method of roller mill device
JPJP-P-2020-026605 2020-02-19
PCT/JP2021/005429 WO2021166829A1 (en) 2020-02-19 2021-02-15 Roller mill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roller mil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554A true KR20220118554A (en) 2022-08-25
KR102647299B1 KR102647299B1 (en) 2024-03-14

Family

ID=773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513A KR102647299B1 (en) 2020-02-19 2021-02-15 Roller mill device and method of modification of roller mill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11440B2 (en)
KR (1) KR102647299B1 (en)
WO (1) WO202116682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88544A (en) * 2021-12-15 2023-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ushing roller,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rushing roller
JP2023092829A (en) * 2021-12-22 2023-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rushing roller,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rushing rol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010A (en) * 1991-10-16 1993-04-27 Kobe Steel Ltd Vertical type roller mill
JP2015112567A (en) * 2013-12-13 2015-06-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933A (en) * 1994-02-14 1995-08-22 Babcock Hitachi Kk Grinding roller mill and low vibration grinding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4101709B2 (en) * 2003-07-11 2008-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Roller mill and its repair method
JP2018171618A (en)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栗本鐵工所 Method for repairing pulverization roller or pulverization 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010A (en) * 1991-10-16 1993-04-27 Kobe Steel Ltd Vertical type roller mill
JP2015112567A (en) * 2013-12-13 2015-06-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99B1 (en) 2024-03-14
JP7311440B2 (en) 2023-07-19
JP2021130087A (en) 2021-09-09
WO2021166829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8554A (en) Roller mill unit and method of retrofitting roller mill unit
WO2015087590A1 (en)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crushing device
US1111713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a pulverizer
US10967382B2 (en) Vertical roller mill
JP2009189909A (en) Roller mill structure
US20120085849A1 (en) Bowl mill deflector
JP2007167757A (en) Fine grinder
JP6172577B2 (en) Vertical crusher
JP5791556B2 (en) Vertical crusher
JP7116365B2 (en) Vertical grinder
JP5857629B2 (en) Biomass mill
GB2484333A (en) Method of converting the body of a grinding mill
KR102152721B1 (en) Crushing apparatus of pulveriz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924472A (en) Biconical high consistency refiner
WO2024095874A1 (en) Pulverizing roller, pulverizing table, solid fuel pulver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lverizing roller
JP6555527B2 (en) Crushing roller for vertical crusher
TW202302220A (en) A classifier and a pulverizer comprising the classifi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ulverizer and a use of the classifier
JP2022156405A (en) Classifier and power plant, and operation method of classifier
CN117244675A (en) Quiet wind ring and coal pulverizer with primary air flow adjusting device
TWI586433B (en) Grinding roller and grinding device
KR20230154224A (en) shredder rotor
JP2017213537A (en) Roller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