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339A -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339A
KR20220117339A KR1020227026719A KR20227026719A KR20220117339A KR 20220117339 A KR20220117339 A KR 20220117339A KR 1020227026719 A KR1020227026719 A KR 1020227026719A KR 20227026719 A KR20227026719 A KR 20227026719A KR 20220117339 A KR20220117339 A KR 2022011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data
information
scenario
state information
virtu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루 호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먼저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고; 다음, 식별된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AR 시나리오 데이터에 적어도 두 가지의 AR 효과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고; 다음 AR 기기를 통해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2020년 9월 23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2011011479.0 이고 출원인이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이며, 발명의 명칭이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시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여행지를 관람하거나 특정 목적지에 갈 경우, 일반적으로 음성 가이드 또는 지도 내비게이션의 도움을 받아 구현하는데, 상기 방식은 직관성이 떨어지고,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가 한정적인 등 결함이 존재하므로, 가이드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AR 기기의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를 비교적으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R 기기의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지, 또는 정지 상태인지를 비교적으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상기 AR 기기의 위치 또는 위치하는 시나리오 특징 정보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운동 상태의 정보, 위치의 정보 및 시나리오 특징의 정보는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람 상태 정보는,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람 상태 정보가 이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가 보다 사실적이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정지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정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정지 시나리오에서의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세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실 시나리오에서의 정보를 쉽게 누락하여, 특정된 시나리오의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없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입력된 전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시 요청 정보를 상기 AR 기기의 현재 상기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시 요청 정보를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가상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안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명소에 대한 소개인 전시 수요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전시 수요 정보를 관람 상태로 사용하여 상기 명소에 대한 소개 정보를 매칭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후 AR 기기는 상기 명소에 대한 소개 정보를 문자,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통해 AR 기기에 전시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 및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및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즉시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AR 효과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유창성과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갑자기 변경하는 상황을 감소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상태에서 디폴트로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여, AR 기기가 이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타입의 상태 변경 방식에서의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지 상태에서 디폴트로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여, AR 기기가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타입의 상태 변경 방식에서의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 중이고,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한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전시가 완료된 후에야만, 타깃 AR 효과 개수를 전시할 수 있으므로, AR 효과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유창성과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갑자기 변경하는 상황을 감소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AR 기기의 현재 재생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AR 기기에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가상 안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는,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상기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기설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포함할 경우, 기설정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설정 위치에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도록 할 수 있고;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기설정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를 포함할 경우, 기설정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설정 시나리오과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도록 할 수 있으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것을 포함할 경우, 전시 요청 정보를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여, 전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시 요청 정보와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매칭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람 상태 정보 및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에 기반하여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AR 기기에서 재생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여, 관람 상태 정보와 가장 관련된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어,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상태 식별부;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획득부;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선별부;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시부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식별부는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람 상태 정보는,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및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식별부는 또한, 입력된 전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시 요청 정보를 상기 AR 기기의 현재 상기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는 또한,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 및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는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는,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상기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상기 전시 데이터 선별부는 또한, 상기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매칭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자 기기가 작동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 사이는 버스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식별된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AR 시나리오 데이터에 여러 가지 AR 효과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AR 기기에서 재생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AR 기기에서 안내 정보, 즉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전시하는 것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 풍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지도록 하기 위해, 아래에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고, 첨부 도면과 배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 곳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 도시할 뿐이므로,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분야의 기술자는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도,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연관된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R 기기가 이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로직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R 기기가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로직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로직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경우에서,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부터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로직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임은 자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곳의 도면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컴포넌트는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치되고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 도면에서 제공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 없이 얻은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유사한 부호 및 문자는 아래의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표시하므로, 어느 한 항목이 하나의 도면에서 정의되면, 후속 도면에서 추가로 정의되고 해석될 필요가 없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다만 한 가지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세 가지의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상황을 나타낸다. 또한, 본 문에서 용어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둘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A, B 및 C로 구성된 조합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복수 개 또는 여러 가지는 각각 적어도 두 개 또는 적어도 두 가지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 존재하는 가이드 직관성이 좋지 않고, 제공된 안내 정보가 한정적이며, 안내 효율이 낮은 결함에 대해,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여, 본 발명은 식별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 하고, AR 시나리오 데이터에 여러 가지 AR 효과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AR 기기에서 재생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AR 기기에서 안내 정보, 즉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전시하는 것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 풍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서버측 또는 예를 들어 AR 기기 등 전자 기기에 적용되어, AR 기기의 현재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AR 기기에서 재생되어야 할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에 있어서,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자 기기는 또한, 예를 들어 핸드폰(Mobile Phone) 등 핸드헬드 기기,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개인 정보 단말,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스마트 스피커, 내비게이션 장치,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스마트 목걸이 등 웨어러블 기기, 만보기 장치, 디지털 TV, 가상 현실(VirtualReality, VR) 단말 기기, 산업용 제어(Industrial Control)에서의 무선 단말, 무인 운전(Self Driving)에서의 무선 단말, 원격 수술(Remote Medical Surger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서의 무선 단말, 운송 안전(Transportation Safe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시티(SmARt Ci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홈(SmARt Home)에서의 무선 단말, 차량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차량, 차량 탑재 기기 또는 차량 탑재 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람 상태 정보는,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시 요청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는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정지 상태 정보는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입력된 전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시 요청 정보를 상기 AR 기기의 현재 상기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요정 정보는 AR 기기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시 요청 정보를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고,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가상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안내 효율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된 명소에 대한 소개인 전시 수요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전시 수요 정보를 관람 상태로 사용하여 상기 명소에 대한 소개 정보를 매칭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후 AR 기기는 상기 명소에 대한 소개 정보를 문자,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통해 AR 기기에 전시할 수 있다.
관람 상태 정보가 이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가 보다 사실적이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정지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정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정지 시나리오에서의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AR 기기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세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실 시나리오에서의 정보를 쉽게 누락하여, 특정된 시나리오의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없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및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등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서브 단계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R 기기의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R 기기의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 또는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결정하여, 상기 AR 기기의 위치 또는 시나리오 특징 정보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운동 상태의 정보, 위치의 정보 및 시나리오 특징의 정보는 모두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 또는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AR 기기의 위치 정보 또는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AR 기기가 이동 상태일 경우, AR 기기에서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디폴트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AR 기기가 정지 상태일 경우, AR 기기에서 정지 상태에 대응되는 디폴트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AR 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AR 기기가 기설정 특수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예를 들어 특정된 유명 인물과 관련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AR 기기에서 상기 기설정 특수 위치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AR 기기가 기설정 특수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예를 들어, 특정된 유명 역사 사건과 관련된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AR 기기에서 상기 기설정 특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AR 기기의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AR 기기의 상기 관람 상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또는 AR 기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20에 있어서,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전, 사전에 각 관람 상태 정보를 위해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된 특수 위치를 위해 상기 특수 위치와 관련된 인물 및 역사 사건의 AR 효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또 예를 들면, 특정된 특수 시나리오를 위해, 상기 특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설정한다. 여기서, 특정 타입의 관람 상태 정보를 위해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각 관람 상태 정보를 위해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설정한 후, 각 관람 상태 정보 및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AR 기기의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를 획득한 후, 저장부로부터 상기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매칭된 적어도 한 가지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AR 효과 데이터는 오디오,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중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한다.
저장부가 각 AR 효과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오디오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등과 같은 AR 기기에서 전시되는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또한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관람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설명 텍스트, 오디오에 대응되는 텍스트, 애니메이션의 명칭, 순환 재생의 여부, 오디오의 명칭, 식별자 심볼 및 재생 우선 순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여기서, 재생 우선 순위는 정수로 표시될 수 있고, 1은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음을 나타내고, 숫자가 클수록, 순위가 더욱 높다.
단계 S130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기 전, 매칭된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이후,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AR 효과 데이터를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한다.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한 가지의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만 매칭될 경우, 매칭된 상기 AR 효과 데이터를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한다.
여러 가지의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매칭될 경우, 상기 여러 가지의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대기열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선택한 후, 대기열에서 선택된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비움으로써, 대기열에 오래된 AR 효과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140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한다.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한 후,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기 전,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 및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를 먼저 획득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R 기기의 관람 상태 정보 및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즉시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AR 효과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유창성과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갑자기 변경하는 상황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으로, AR 기기에서 재생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는 AR 기기에 대응되는 가상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 캐릭터와 AR 기기 사이에는 기설정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존재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AR 기기는 적어도 두 가지의 관람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는 디폴트 타입의 상태 정보에 속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예를 들어 AR 기기의 위치 정보,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는 시나리오 트리거 타입의 상태 정보에 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다음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를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AR 기기가 정지 상태로 스위칭될 경우, AR 기기는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정지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고;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스위칭될 경우, AR 기기는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AR 기기는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 중이며,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예시적으로,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정지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고,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AR 기기가 종점까지 이동되면, AR 기기는 이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 상태에서 디폴트로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함으로써, AR 기기가 이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상태 변경 방식에서의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다음 AR 기기의 현재의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AR 기기를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AR 기기가 이동 상태로 스위칭될 경우, AR 기기는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고;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스위칭될 경우, AR 기기는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AR 기기는 정지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 중이며,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실시 과정에 있어서,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고,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 상태에서 디폴트로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를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함으로써, AR 기기가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로 변경될 경우, AR 기기에 전시된 AR 효과 데이터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상태 변경 방식에서의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R 기기가 현재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 중이고,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가 식별될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에야만,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AR 효과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유창성과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AR 기기에 전시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갑자기 변경하는 상황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AR 기기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 중이고, AR 기기의 재생이 완료될 경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정지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동 상태일 경우, AR 기기는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하고, 정지 상태일 경우, AR 기기는 정지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식별하여 얻은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가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는 디폴트이며,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정지 상태 또는 이동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AR 기기가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고; 이후, AR 기기가 현재 재생 중인 원래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의 획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획득하지 못한 경우, AR 기기는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하고; 획득한 경우, 원래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의 순환 여부를 결정하고, 순환되지 않을 경우, 수행 완료하고, 순환될 경우, 현재 재생의 수행을 완료하는 조건 (1);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 A를 대기열에 넣는 조건 (2); 및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 N을 대기열에 넣는 조건 (3)을 결정한다. 상기 조건을 전부 만족할 경우, 즉, 상기 조건 (1), 조건 (2) 및 조건 (3) 을 만족할 경우, 대기열에서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AR 효과 데이터를 선택하고; 다음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AR 효과 데이터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복수 개가 아닐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하고, 복수 개일 경우, 가장 먼저 획득된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하여 얻은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가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할 경우, 아래의 단계를 이용하여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고, AR 기기에서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
단계 1에 있어서, AR 기기가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으로 식별한다.
단계 2에 있어서, AR 기기에서 현재 재생되는 원래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의 획득 여부를 판단하고, 획득하지 못한 경우, AR 기기에서 새로운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한다.
단계 3에 있어서, 원래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에 대응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효과 데이터로부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선택하려면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현재 재생 중인 AR 효과 데이터가 순환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일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를 완료한다.
현재 재생 중인 AR 효과 데이터가 순환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가 아닐 경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전시를 완료한다.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모든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4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만족한 후, 새로운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효과 데이터로부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 5에 있어서, 가장 높은 재생 우선 순위의 AR 효과 데이터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 개일 경우, 획득 시간이 가장 빠른 AR 효과 데이터를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고, 결정된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서 전시하며, 복수 개가 아닐 경우, 가장 높은 재생 우선 순위의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서 전시한다.
상기 재생 우선 순위는 인공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기설정된 방법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의 서브 단계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서브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와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를 각각 결정한다.
실시 과정에서, 먼저 AR 효과 데이터에 의해 설명되는 제1 대상 및 관람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제2 대상을 결정할 수 있고, 이후,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관련 정도에 따라 상기 매칭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련 정도가 높을수록, 매칭도는 더욱 높고; 관련 정도가 낮을수록, 매칭도는 더욱 낮다.
AR 효과 데이터에 의해 설명되는 제1 대상의 추출을 결정할 경우,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에서의 특징 포인트를 추출할 수 있고, 이후 특징 포인트에 대해 시멘틱 분할을 수행하며, 시멘틱 분할 결과에 따라 제1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또는 텍스트에서 대상과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따라 제1 대상을 결정한다.
서브 단계 2에 있어서,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매칭도에 기반하여,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각각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매칭도가 높을수록, 재생 우선 순위는 더욱 높고; 매칭도가 낮을수록, 재생 우선 순위는 더욱 낮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얻을 경우, 상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람 상태 정보 및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에 기반하여,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AR 기기에서 재생되는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관람 상태 정보와 가장 관련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어, 안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재생 우선 순위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지만,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람 상태 정보가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가상 가이드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여 적절한 반응을 해내기 위해, 각 AR 효과 데이터에 재생 우선 순위를 구성할 수 있다. 현재에 특정된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조작을 실행할 경우, 복수 개의 현재의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고,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대기열에 배열한 다음,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 및 대기열에서 AR 효과 데이터의 정보, 예를 들면,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다음으로 재생할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및 애니메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매회 대기열로부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하나의 AR 효과 데이터를 선택한 후, 대기열에서 이미 획득된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지울 수 있음으로써, 대기열에 오래된 AR 효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실시간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된 AR 효과 데이터를 대기열에 추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또한 아래의 단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AR 기기가 현재 재생되는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AR 기기에서 타깃 AR 효과 데이터을 전시함으로써, 가상 안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는,
상기AR 기기가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 및 상기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포함할 경우, 기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기설정된 위치와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를 포함할 경우,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기설정된 시나리오과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가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를 포함할 경우, 전시 요청 정보를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여, 전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시 요청 정보와 관련된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특정된 명소 등의 가상 가이드 시나리오에 적용되고, 초보자 안내 및 노선 안내 등의 시나리오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포지셔닝 또는 이미지 식별 기술에 기반하여 현재 특정된 시나리오 (상기 실시예에서의 관람 상태 정보에 대응됨)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할 경우, 상기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시나리오 파일(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의 AR 시나리오 데이터)을 획득할 수 있고, 시나리오 파일에서의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가이드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오디오 및 애니메이션(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의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상 가이드는 사용자와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할 경우, 가상 가이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상 가이드의 애니메이션 및 오디오는 두 가지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타입은 제자리에서 이동하지 않은 상태 또는 이동 중인 상태에서의 애니메이션 및 오디오이고; 두 번째 타입은 시나리오가 트리거된 경우에서의 애니메이션 및 오디오이며, 예를 들면, 서버측 또는 전자 기기에는 가상 가이드의 시나리오 트리거 실행표가 포함될 수 있음으로써, 시나리오 트리거를 통해 대응되는 실행표를 결정하고, 실행표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및 오디오를 디스플레이하며, 실행표에는, 시나리오를 표시하기 위한 시나리오 식별자(ID), 시나리오를 지시하기 위한 설명 텍스트의 시나리오 묘사,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 오디오에 대응되는 텍스트 내용, 애니메시션 명칭, 애니메이션 순환 여부의 지시 및 오디오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에 대응되는 텍스트 내용은 현재 시나리오에 구성된 가상 가이드 텍스트일 수 있고; 애니메시션 명칭은 현재 시나리오에 구성된 애니메이션 파일을 지시할 수 있으며; 오디오 명칭은 현재 시나리오에 구성된 오디오 파일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를 더 개시하며, 상기 장치에서의 각 모듈은 상기 각 실시예의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서의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는,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상태 식별부(610);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획득부(620)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선별부(630);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시부(6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식별부(610)는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할 경우,
상기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식별부(610)는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람 상태 정보는,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및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식별부(610)는 또한, 입력된 전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시 요청 정보를 상기 AR 기기의 현재 상기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640)는 또한,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 및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640)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640)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640)는 또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시부(640)는 또한, 상기 AR 기기의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는,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 및 상기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시 데이터 선별부(630)는 또한, 상기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매칭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에 대응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700)를 더 제공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전자 기기(700)의 구조 예시도이며,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71), 메모리(72) 및 버스(73)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자 기기가 작동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 사이는 버스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메모리(72)는 실행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램(721) 및 외부 메모리(722)를 포함하며; 여기서, 램(721)은 내부 메모리로도 지칭되고, 프로세서(71)에서의 연산 데이터 및 하드디스크 등 외부 메모리(722)와 교환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71)는 램(721) 및 외부 메모리(722)를 통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며, 전자 기기(700)가 작동될 때, 프로세서(71)와 메모리(72) 사이는 버스(73)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프로세서(71)로 하여금,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것;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것 등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상기 방법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매체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을 실행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포함된 명령어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전술된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구체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저장 매체로 구체적으로 반영되며,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제품으로서 구체적으로 반영된다.
상기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 또는 프로세서는, 응용 주문형 직접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임베디드 신경 네트워크 프로세서(neural-network processing units, NPU), 컨트롤러, 마이크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합체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프로세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는 또한 다른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메모리는, 롬(Read 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머블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에프램(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메모리, 광디스크, 또는 판독 전용 광디스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등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함을 포함하는 각 단말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핸드폰, 컴퓨터, 태블릿 PC,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등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함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에 대한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로 구현될 경우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또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 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며,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고,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 즉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 상기 실시예는,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닌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청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록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본 기술분야의 공지된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용이하게 변화를 생각해낼 수 있으며, 또는 그것의 일부 기술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이러한 수정, 변화 또는 교체는 상응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을 개시하며, 여기서,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은,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AR 기기에서 안내 정보, 즉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전시하는 것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 풍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안내 효율을 향상시킨다.

Claims (15)

  1.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으로서,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현실 시나리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실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상태 정보는,
    이동 상태 정보, 정지 상태 정보, AR 기기의 위치 정보, AR 기기의 시나리오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입력된 전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시 요청 정보를 상기 AR 기기의 현재 상기 관람 상태 정보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AR 기기가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 및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래 관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이동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정지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지시하고, 상기 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현재 이동 상태 또는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AR 기기에서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래 관람 상태 정보가 상기 AR 기기가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의 금번 전시가 완료된 후,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 하는 단계는,
    상기 AR 기기의 현재 전시 중인 AR 효과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AR 기기에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트리거 상태는,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상기 AR 기기가 기설정 시나리오에 위치하는 상태; 및 상기 AR 기기가 전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 및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매칭도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에 대응되는 매칭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12.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로서,
    증강 현실(AR) 기기의 현재 관람 상태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상태 식별부;
    상기 관람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 AR 시나리오 데이터를 획득 - 상기 AR 시나리오 데이터는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획득부;
    상기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가 적어도 두 가지인 경우, 각 가상 가이드의 AR 효과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시 데이터 선별부; 및
    상기 AR 기기를 통해 상기 가상 가이드의 타깃 AR 효과 데이터를 전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장치.
  13. 전자 기기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버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며, 전자 기기가 작동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 사이는 버스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26719A 2020-09-23 2021-05-25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KR20220117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011479.0 2020-09-23
CN202011011479.0A CN112150318A (zh) 2020-09-23 2020-09-23 增强现实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CT/CN2021/095805 WO2022062441A1 (zh) 2020-09-23 2021-05-25 增强现实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及产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39A true KR20220117339A (ko) 2022-08-23

Family

ID=7389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719A KR20220117339A (ko) 2020-09-23 2021-05-25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17339A (ko)
CN (1) CN112150318A (ko)
WO (1) WO2022062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318A (zh) * 2020-09-23 2020-12-29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增强现实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699331A (zh) * 2020-12-31 2021-04-23 深圳市慧鲤科技有限公司 留言信息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966119B (zh) * 2022-12-28 2023-07-21 广州市昱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vr技术的模拟旅游训练方法、系统、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9911B2 (en) * 2012-11-13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Modifying virtual object display properties
CN106652043A (zh) * 2016-12-29 2017-05-10 深圳前海弘稼科技有限公司 一种景区虚拟游览方法及装置
CN110286773B (zh) * 2019-07-01 2023-09-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信息提供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716646A (zh) * 2019-10-15 2020-01-21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538920A (zh) * 2020-03-24 2020-08-14 天津完美引力科技有限公司 内容的呈现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CN111553815A (zh) * 2020-04-03 2020-08-18 江苏云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主航行的游览船的景点识别方法和装置
CN111581547B (zh) * 2020-06-04 2023-12-15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游览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38796A (zh) * 2020-06-05 2020-09-08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虚拟对象的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665945B (zh) * 2020-06-10 2023-11-24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游览信息展示方法及装置
CN111696215A (zh) * 2020-06-12 2020-09-22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2150318A (zh) * 2020-09-23 2020-12-29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增强现实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2441A1 (zh) 2022-03-31
CN112150318A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7339A (ko) 증강 현실 정보 인터랙션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제품
CN110832450B (zh) 用于基于用户特性在虚拟或半虚拟空间中提供对象的方法和系统
JP7195426B2 (ja) ディスプレイページのインタラクション制御方法及び装置
US9024844B2 (en) Recognition of image on external display
CN108882018B (zh) 虚拟场景中的视频播放、数据提供方法、客户端及服务器
CN101833391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程序
US10078847B2 (en) Distribution device and distribution method
CN103093780B (zh) 控制移动终端中动画消息的回放速度的方法和装置
CN112104915A (zh)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304493B2 (en) Cartoon content editing method and cartoon content editing apparatus
CN111760272B (zh) 游戏信息显示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CN113298602A (zh) 商品对象信息互动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10200303A1 (en) Method of Video Playback
US10133408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05529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server,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703297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hyperlink in a three-dimensional scene
US2023005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ovisual work, device, and medium
US1186115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offset content
KR101559623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 유형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매칭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031846B (zh) 用于展示任务的描述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298426A (zh) 终端应用程序app信息的展现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1684577B1 (ko)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048010A (zh) 视听作品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30298286A1 (en) System, method for system, terminal,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erminal
JP6367733B2 (ja) 画面制御装置、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