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080A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 Google Patents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7080A KR20220117080A KR1020210020754A KR20210020754A KR20220117080A KR 20220117080 A KR20220117080 A KR 20220117080A KR 1020210020754 A KR1020210020754 A KR 1020210020754A KR 20210020754 A KR20210020754 A KR 20210020754A KR 20220117080 A KR20220117080 A KR 20220117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fork
- forks
- fixing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포크에 버킷을 근접상태로 배치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so that the bucket can be rotated by arranging the bucket in proximity to a fork mounted in an elevating and lowering manner on equipment.
지게차는 차량의 전방으로 한 쌍의 포크가 돌출되어 짐을 싣고 위아래로 움직여서 짐을 나르는 중장비로서, 포크에 의해 들려질 수 있는 일정한 형상을 가진 물체만을 운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A forklift is a heavy equipment in which a pair of forks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load and move up and down to carry the load.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지게차로도 흙이나 모래 등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992318호에 지게차 부착용 버켓(이하 버킷이라 한다) 어셈블리가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enable transport and unloading of soil, sand, etc., even with a forklift, a forklift attachment bu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cket) assembly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2318.
그런데, 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버켓이 지게차의 포그의 수직부분에 근접되지 않고 실린더 길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지게차를 기준으로 버킷의 회전토크가 증가하여 버킷을 통해 운반할 수 있는 허용 하중이 줄어들며 지게차가 지면으로부터 일부 들리게 회전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bucket assembly is structurally installed so that the bucket is spaced apart from the cylinder length or more without being close to the vertical part of the forklift fog while the bucket assembly is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The allowable load that can be transported is reduced, and the forklift can be rotated partially lifted from the ground, which can cause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할 수 있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bucket by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bucket while being able to mount the bucket close to the vertical part of the fork mounted so as to be elevating and lowering on the equip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는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을 갖는 버킷과;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착용 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의 돌출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와;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as it progresses back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s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s a bucket having a rear surface forming a loading spac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extends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of the bucket, and the protrusions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forks mounted to elevating and lowering on the wearing equipment are detach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rst and second couplers having insertion grooves capable of being inserted; a main connecting bar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and first and second cylinders each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to rotate the bucke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의 타단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며 상부 및 후방이 열려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부분의 하단까지 안착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직부분의 하단 후방까지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직부분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된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와; 상기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의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직부분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에 관통상태로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된 삽입봉부분과, 상기 삽입봉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일단이 접합되어 상기 삽입봉부분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봉부분과, 상기 가로봉부분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홀에는 상기 가로봉부분의 진입 및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의 가장자리까지 연통되게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top and the rear are opened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While allowing seating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vertical portion, it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the first and a fork fixing guide flange having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for preventi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econd fork from being separated. and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of the fork fixing guide flange to prevent separation of vertic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wherein the fixing pins ar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An insertion rod portion exten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 a penetrating state, and one end at intervals that can b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insertion rod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respectively a transverse bar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bar part and a connecting bar part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transverse bar part; An incision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dge of the fork fixing guide flange to allow the.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와 같은 착용 장비에 수직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can be mounted close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ork movably mounted vertically on wearable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and the rotation torque of the bucket is increased by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bucket. By reducing i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bucket and improving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킷 장치를 버킷 내부가 보이는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낙하저지 지지지대가 보관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orklif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device of FIG. 1 is separated and rotat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cket device of FIG. 1 from an angle where the inside of the bucket is see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arresting support of FIG. 2 is seated in a storage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ucket device for mounting a f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킷 장치를 버킷 내부가 보이는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낙하저지 지지지대가 보관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orklif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device of FIG. 1 is separated and rotated, and FIG. 3 is the bucket device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rom an angle where the inside of the bucket is visibl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 arresting support of FIG. 2 is seated in a storage stat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버킷(110), 제1 및 제2 결합구(121)(122), 메인 연결바(130),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를 구비한다.1 to 4 , the
버킷(110)은 상부 및 전방이 열리고 삼각형상의 적재공간(111)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버킷(110)의 형상을 구분하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112)과, 바닥면(112)의 선단(112a)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114)과, 바닥면(112)의 후단(112b)에서 측면(114)과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면(114)들과 함께 적재공간(111)을 형성하는 배면(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바닥면(112)의 저부(112c)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와는 밀착이 유지되고,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와 밀착상태에서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와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측면(114)을 따라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112d)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저면(112c)은 도시된 예와 다른 방식으로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와는 밀착이 유지되고,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와 밀착상태에서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와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는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일단이 선단힌지(124)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1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연장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는 지게차(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21)(22)의 돌출부분(21a)(22a)이 입출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1a)(122a)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포크(21)(22)는 지게차(10)에 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부분(21b)(22b)과 수직부분(21b)(22b)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21a)(2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은 삽입홈(121a)(122a)과 연통되며 상부 및 후방이 열려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하단까지 안착을 허용하면서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하단 후방까지 돌출되게 연장된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125)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125)들에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핀(128)을 삽입하여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고정홀(126)(127)이 형성되어 있다.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제1고정홀(126) 및 제2고정홀(127)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고정핀(128)의 삽입봉부분(128a)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내경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The
제1고정홀(126)에는 후술되는 고정핀(128)이 가로봉부분(128b)의 진입 및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125)의 가장자리까지 외부와 연통되게 절개된 절개구(126a)가 형성되어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절개구(126a)는 제1고정홀(126)로부터 상방으로 45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선을 따라 절개처리된다.Preferably, the cut-out 126a is cut along an extension line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고정핀(128)은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125)의 제1 및 제2고정홀(126)(127)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고정핀(128)은 제1 및 제2고정홀(126)(127)에 관통상태로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된 삽입봉부분(128a)과, 삽입봉부분(128a)의 양단에서 각각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고정홀(128a)(128b)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일단이 접합되어 삽입봉부분(128a)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봉부분(128b)과, 두 개의 가로봉부분(128b)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부분(128c)을 구비한다. 여기서 가로봉부분(128b)은 제1 및 제2고정홀(126)(127)에 고정핀(128)이 삽입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핀(128)의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125)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 것이다.The
고정핀(128)은 충분한 이탈 방지력과 자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중량을 갖게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포크(21)(22)가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128)으로 이탈이 억제되게 고정작업을 하는 경우 먼저, 연결봉 부분(128c)을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핀(128)의 삽입봉 부분(128a)의 일단이 제1고정홀(126)에 삽입되게 한 후 가로봉부분(128b)이 절개구(126a)를 따라 진입되게 이동시키는 과정을 제2고정홀(127)에 삽입봉부분(128a)이 진입될 때 까지 진행하고, 이 과정을 통해 두 개의 가로봉부분(128b)이 제1 및 제2고정홀(126)(127) 사이 영역내에 위치되면 연결봉 부분(128c)의 파지를 해제한다. 이 경우 연결봉부분(128c)이 자중에 의해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의 후면과 접촉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이탈을 억제하는 고정지지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참조부호 105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상면에 장착되어 버킷(110)이 안착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탄성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된 완충판이다.
메인 연결바(130)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상호 대향되는 타단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130)의 결합위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main connecting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버킷(110)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를 기준으로 선단힌지(124)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버킷(110)의 저면(112c)과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에 일단이 바디힌지(144)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112d) 내에 장착된 로드힌지(145)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One end of the first and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유압에 의해 바디로부터 로드(147)가 진퇴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로드(147)의 진퇴에 의해 버킷(110)을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보강바(151)는 제1결합구(121)와 제2결합구(122) 사이에 메인 연결바(130)와 나란하게 결합된 부분이며 도시된 예에서는 2개가 상호 이격되게 적용되어 있다.The reinforcing
낙하저지 지지대(161)는 2개의 보강바 중 메인 연결바(130)에 더 인접되게 배치된 보강바(151)의 중간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112c)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부분(115)에 지지시켜 버킷(110)의 낙하를 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여기서, 돌출턱부분(115)은 제1 및 제2 실린더(141)(142)의 로드힌지(145)가 장착되는 위치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사각띠 형태로 돌출되어 메인연결바(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낙하저지 지지대(161)가 걸림지지작용을 할 수 있게 별도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protruding
안착브라켓(165)은 낙하저지 지지대(161)가 설치된 보강바(151)에 제1결합구(1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낙하저지 지지대(161)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며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165a)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낙하저지 지지대(161)는 유지보수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제1 및 제2결합구(121)(122)의 타단으로부터 버킷(110)이 이격되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돌출턱부분(115)에 지지되게 거치시키면되고, 거치해제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브라켓(165)에 안착시키면 된다.In the case of wanting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호스보호 안내관(180)은 메인 연결바(130)의 중간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와 연결되는 유압호스(185)의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hose
호스보호 안내관(180)은 수직 연장방향을 따라 유압호스(18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면 되고, 일 예로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유압호스(185)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구속편을 결합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The hose
이러한 구조에서 버킷(110)의 배면(116)을 지게차(1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최대한 밀착되는 위치로 지게차(10)에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110)에 적재된 적재물 예를 들면 모래를 회동에 의해 하역할 수 있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까지의 길이(L)는 적용되는 지게차(10)의 제1포크(21)의 돌출부분(21a)의 길이(m)보다 1.1 내지 2배로 더 길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의 로드힌지(145)에 결합되는 타단은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까지의 전체연장길이(L)에 대해 버킷(110)의 바닥면(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후단(112b)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L/4 내지 3L/4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structure, the
이러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버킷(110)의 바닥면(112) 선단(112a) 부근 저부(112c)에 제1 및 제2결합구(121)(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버킷(110)의 배면(116)을 지게차(1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최대한 밀착되는 위치로 지게차(10)에 장착할 수 있다.In this fork mounting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100)에 의하면, 지게차(10)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에 버킷(110)의 배면(116)이 근접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110)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110)의 배면(116)과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직부분(21b)(22b)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지게차(10)를 기준으로 버킷(110)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110)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ork mounting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포크(21)(22)가 장착된 착용 장비로서 지게차(10)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및 제2포크(21)(22)를 장착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유압공급이 가능한 페이로더, 트랙터 등 각 종 착용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110: 버킷
121, 122: 제1 및 제2 결합구
130: 메인 연결바
141, 142: 제1 및 제2실린더110: bucket
121, 122: first and second couplers
130: main connection bar
141, 142: first and second cylinders
Claims (5)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착용 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포크의 돌출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갖는 제1 및 제2 결합구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구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연결바와;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a bucket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floor surface, and a rear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loor surface to form a loading space together with the side surface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extends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of the bucket, and the protrusions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forks mounted to elevating and lowering on the wearing equipment are detach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rst and second couplers having insertion grooves capable of being inserted;
a main connecting bar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and first and second cylinders each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so as to rotate the bucke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Bucket device for fork mounting.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 사이에 상기 메인 연결바와 나란하게 결합된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의 중간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부분에 지지시켜 상기 버킷의 낙하를 저지시키는 낙하저지 지지대와;
상기 보강바에 상기 제1결합구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낙하저지 지지대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며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reinforcing bar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main connecting bar between the first coupler and the second coupler;
a fall arresting support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in the middle of the reinforcing bar to support the protruding jaws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bucket to prevent the bucket from falling;
Bucket for mounting f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coupler on the reinforcement bar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fall prevention support and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for guiding seating. Device.
상기 포크고정 가이드 플랜지의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직부분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에 관통상태로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된 삽입봉부분과, 상기 삽입봉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홀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일단이 접합되어 상기 삽입봉부분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봉부분과, 상기 가로봉부분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홀에는 상기 가로봉부분의 진입 및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포크 고정 가이드 플랜지의 가장자리까지 연통되게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and rear are open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While allowing seating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forks protrude to the rear of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a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ers, the first and second 2 A fork fixing guide flang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for preventing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ork from being separated;
and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of the fork fixing guide flange to prevent separation of vertic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rks; and
The fixing pin includes an insertion rod portion extending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in a penetrating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rod portion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and a transverse bar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bar portion with one end joined at an interval that can be disposed in the fixing hole, and a connecting bar portion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transverse bar portion; and
The first fixing hole has a fork mounting buck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ut-ou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dge of the fork fixing guide flange to allow entry and movement of the transverse ro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754A KR102473204B1 (en) | 2021-02-16 | 2021-02-16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754A KR102473204B1 (en) | 2021-02-16 | 2021-02-16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7080A true KR20220117080A (en) | 2022-08-23 |
KR102473204B1 KR102473204B1 (en) | 2022-11-30 |
Family
ID=8309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754A KR102473204B1 (en) | 2021-02-16 | 2021-02-16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3204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00557U (en) * | 1979-12-29 | 1981-08-07 | ||
JPH03192097A (en) * | 1989-12-20 | 1991-08-21 | Sanyo Kiki Kk | Forklift mounting/demounting working machine |
DE19524383A1 (en) * | 1995-07-04 | 1997-01-09 | Groeger Edwin | Back tipping bucket for fork lift trucks - has triangular pick-up device with lower insert guide for fork tines and cylinders for bucket and frame controlled electromagnetically to incline bucket |
KR19990032900U (en) * | 1997-12-29 | 1999-07-26 | 이월영 | Safety device for cultivator's dump trailer |
US6200083B1 (en) * | 1999-04-08 | 2001-03-13 | Richard Hein |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
JP2001329560A (en) * | 2000-05-24 | 2001-11-30 | Yanmar Diesel Engine Co Ltd | Boom structure of turning work vehicle |
KR100992318B1 (en) * | 2009-12-30 | 2010-11-05 | 김진용 | Bucket assembly attachable to fork lift |
-
2021
- 2021-02-16 KR KR1020210020754A patent/KR10247320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00557U (en) * | 1979-12-29 | 1981-08-07 | ||
JPH03192097A (en) * | 1989-12-20 | 1991-08-21 | Sanyo Kiki Kk | Forklift mounting/demounting working machine |
DE19524383A1 (en) * | 1995-07-04 | 1997-01-09 | Groeger Edwin | Back tipping bucket for fork lift trucks - has triangular pick-up device with lower insert guide for fork tines and cylinders for bucket and frame controlled electromagnetically to incline bucket |
KR19990032900U (en) * | 1997-12-29 | 1999-07-26 | 이월영 | Safety device for cultivator's dump trailer |
US6200083B1 (en) * | 1999-04-08 | 2001-03-13 | Richard Hein |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
JP2001329560A (en) * | 2000-05-24 | 2001-11-30 | Yanmar Diesel Engine Co Ltd | Boom structure of turning work vehicle |
KR100992318B1 (en) * | 2009-12-30 | 2010-11-05 | 김진용 | Bucket assembly attachable to fork lif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3204B1 (en) | 2022-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05831B1 (en) | Mobile lift unit | |
RU2521088C2 (en) | Crane hook unit | |
US9297140B2 (en) | Rope shovel | |
US10066365B2 (en) | Public works vehicle provided with counterweight lifting system | |
RU2285388C2 (en) | Chokerless tree skidding machine | |
JP2015051880A (en) | Counter-weight block for crane and assembly | |
US3584897A (en) | Protective guard for lift trucks | |
US6672467B2 (en) | Articulating truss boom | |
US5332110A (en) | Tractor mounted hydraulic pipelayer with side boom | |
CA2336426C (en) | Attachment assembly for use on flat roofs | |
US20120098285A1 (en) | Apparatus for gripping and lifting construction castings | |
JP2016199345A (en) | Boom attaching/detaching device and attaching/detaching method | |
KR102270976B1 (en)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lift | |
US20090250971A1 (en) | Material handling machine | |
KR20220117080A (en) | 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 |
KR200488425Y1 (en) | Fork Lift Attachment for Excavators | |
JP6559605B2 (en) | Auxiliary lifting device and work machine with auxiliary lifting device | |
US5156497A (en) | Temporary roof support for mines | |
KR101163849B1 (en) | Harrow for tractor | |
US20110180282A1 (en) | Wrap around dozer blade hitch | |
GB1591061A (en) | Lift-mast assembly | |
KR20140076186A (en) | Snow removal device | |
JP6468297B2 (en) | Construction machine scaffold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 |
US9624740B2 (en) | Hydraulic pipe handling apparatus | |
CA2828008A1 (en) | Rope shov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