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047A - Tube f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ube f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047A
KR20220117047A KR1020210020666A KR20210020666A KR20220117047A KR 20220117047 A KR20220117047 A KR 20220117047A KR 1020210020666 A KR1020210020666 A KR 1020210020666A KR 20210020666 A KR20210020666 A KR 20210020666A KR 20220117047 A KR20220117047 A KR 2022011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ube
housing
presen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9316B1 (en
Inventor
한충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씨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씨이앤씨 filed Critical (주)케이씨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2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16B1/en
Publication of KR2022011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tube feed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 hollow interior; a roll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art, contactable with a tu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part, and moving the tube; and a power transmission par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 part, wherein the roller part includes a first roller contactable to one side of the tube and a second roller disposed facing the first roller with the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ntact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thereby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the tube through which gas can flow smoothly, and improving a work speed.

Description

튜브 공급 장치{Tube feeding apparatus}Tube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튜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ube feeding devices.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바이스 소자의 제조 공정에는 여러 가지 케미컬이 사용되며, 이러한 케미컬 중에는 상당히 유해한 가스가 포함되며, 현장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겉관, 속관 구조로 먼저 겉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가스가 유동되는 속관인 튜브를 설치하게 된다.In general, various chemicals a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device elements such as semiconductor elements or displays, and these chemicals contain quite harmful gases. A tube, which is an inner tube through which gas flows, is installed therein.

종래 겉관 내부에 속관인 튜브를 공급함에 있어 여러 명의 작업자가 튜브를 잡아 배관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튜브를 배관 내부에 설치하였는데, 그 길이가 상당하고 배관의 경로에 대응되도록 튜브를 밀어 넣음에 있어 작업자의 에너지 소모가 크며, 튜브의 공급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supplying the inner tube inside the outer tube, several workers grabbed the tube and pushed it into the tube while installing the tube inside the tub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energy consumption was large, and the supply speed of the tube wa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튜브를 겉관의 내부에 원활하게 공급하며,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e supply device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a tube through which a gas can flow to the inside of an outer tube, and improving the working speed.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가 중공인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부에 투입되는 튜브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튜브를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튜브의 일측에 접촉가능한 제1롤러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롤러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에 접촉가능한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having a hollow inside; a roll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contactable with the tube input to the housing part, and moving the tub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 unit, wherein the roller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contactable to one side of the tube; It provides a tube supply device comprising a;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with the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roller contact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는 튜브가 관통할 수 있는 유입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는 배출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hole through which a tube can pas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n outlet hol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 the inlet hole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에 연동되는 풀리부; 및 상기 롤러부와 상기 풀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shaft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a pulley part installed on the shaft part and linked to rotation of the shaft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roller part and the pulley 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하고 상기 샤프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unit gripable by a user and connected to the shaft unit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belt mann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is opened, and a cover part covering the one side;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튜브를 들고 겉관의 내부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적은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튜브를 겉관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user holding the tube and putting it inside the outer tube and moving it, a small number of people can smoothly move the tube inside the outer tube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so that the work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reduced. Time can be saved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에서 하우징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are separated in the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2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part B of FIG. 2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practic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connected, other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s well as when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are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the case where the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ar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another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 is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에서 하우징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are separated in the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l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part A of FIG. 2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B of FIG. 2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1)는 하우징부(100), 롤러부(200), 동력전달부(300), 가이드부(400), 지지부(500), 커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7 , the tube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0 , a roller part 200 , a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a guide part 400 , and a support part. 500 , and a cover part 600 may be included.

도 1, 도 2,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롤러부(200), 동력전달부(300), 가이드부(400), 지지부(500)가 설치될 수 있고, 커버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1, 2, 3, and 7, the housing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inside, and a roller part 200, a power transmission part ( 300 ), the guide part 400 , and the support part 500 may be install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part 600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일측을 뒤에 설명할 커버부(600), 구체적으로 커버본체(610)가 커버하며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ousing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side (upper side based on FIG. 1 ) open, and a cover part 60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one side, specifically the cover body ( 610) covers and can be connected.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는 유입홀부(101), 배출홀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2 and 3 , an inlet hole 101 and an outlet hole 105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입홀부(101)는 튜브(20)가 하우징부(100)를 관통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영역이고, 배출홀부(105)는 튜브(20)가 하우징부(100)를 관통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영역이다.The inlet hole 101 is a region through which the tube 20 passes through the housing 100 and flows into the housing 100 , and the outlet hole 105 is a tube 20 through the housing 100 . and is a region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100 to the outside.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홀부(101)는 하우징부(10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에 형성되고, 배출홀부(105)는 유입홀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3 기준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2 and 3 , the inlet hol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right side of FIG. 3 ) of the housing part 100 , and the outlet hole 105 is the inlet hole 101 . )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of FIG. 3 ) opposite to one side (right side of FIG. 3 ) of the housing part 100 in which it is formed.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홀부(101), 배출홀부(105)는 서로 마주보는 하우징부(100)의 벽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튜브(20)의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형성되며, 유입홀부(101)와 배출홀부(105)는 중심을 공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inlet hole 101 and the outlet hole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the walls of the housing part 100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of the tube 20 . It is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and the inlet hole 101 and the outlet hole 105 may share a center.

이로 인하여 유입홀부(101)를 통해 튜브(20)가 하우징부(100)로 유입되고,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부(200)와 튜브(20)가 접촉하며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튜브(20)가 이동하게 되고, 속관인 튜브(20)의 일단부가 배출홀부(105)를 통과하며 외부에 위치하는 겉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tube 20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let hole 101, and the roller 200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tube 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 The tube 20 moves along AX2), and one end of the tube 20, which is an inner tube,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outer tube 10 located outside.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105)는 뒤에 설명할 가이드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2 and 3 , the discharge hole 105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가이드부(400)는 배출홀부(105)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AX2)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인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의 내경은 속관인 튜브(20)의 외경보다 크고, 가이드부(400)의 외경은 겉관(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part 105,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2, and may be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400 may be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20 , which is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40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tube 10 .

이로 인하여 속관인 튜브(20)가 투입되어야 하는 겉관(10)이 가이드부(4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부(4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튜브(20)가 걸리는 구간이 없이 겉관(1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is, the outer tube 10 into which the inner tube 20 is to be inserted may be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400 , and a section in which the tube 20 mov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400 takes. Without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

다시 말하여 가이드부(400)가 겉관(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배출홀부(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튜브(20)의 투입 경로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튜브(20)가 겉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since the guide part 4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 it is possible to stably guide the input path of the tube 20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Can be, so that the tube 20 can be put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는 동력전달부(3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3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1, 2, and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specifically the shaft unit 31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샤프트부(310)는 핸들부(37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샤프트부(310)의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부(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뒤에 설명할 풀리부(330), 제2연결부(350)를 통해 롤러부(200)를 회전시키고, 롤러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롤러부(200)와 접촉되는 튜브(20)가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이동하며 배출홀부(105)를 통과하여 겉관(10)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The shaft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370 , and the user grips the handle part 370 and uses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of the shaft part 310 a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IG. 3). reference), the shaft part 3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roller part 200 is rotated through the pulley part 33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ller part 200 As is rotated, the tube 20 in contact with the roller unit 200 moves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to be injected into the outer tube 10 .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롤러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3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1, 2 and 3, the roller part 20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is rotatably installed. installed, and the support part 500 may be installed.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가 지지부(500)에 접촉가능하며 샤프트부(310)와 롤러부(200) 간 동력을 전달하거나, 서로 다른 롤러부(200) 간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can contact the support part 500 inside the housing part 100 and transmit power between the shaft part 310 and the roller part 200, or use different rollers. There is an effect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units 200 .

도 2,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00)는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105)가 형성되는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입홀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외벽에 연결되며, 튜브(20)의 유입 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2 and 3 , the guide part 400 is disposed outside the area in which the discharge hole 105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is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let hole 101 is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formed housing part 100 , and can stably provide an inflow path of the tube 2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부(400)는 유입홀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고, 유입홀부(101)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guide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100 in which the inflow hole 101 is formed, and may also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in which the inflow hole 101 is formed. ca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200, 200A, 200B)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에 투입되는 튜브(20)와 접촉가능하고, 튜브(20)와 접촉되며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튜브(20)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1 to 6 , roller parts 200 , 200A, and 20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art 100 , and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100 . The tube 20 can be contacted, and the tube 20 can be moved in a preset direction by a friction force genera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tube 20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200)는 롤러샤프트(210), 롤러본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the roller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ller shaft 210 and a roller body 2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housing unit 100 .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순차적으로 튜브(20)가 접촉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롤러부(200)와 튜브(20)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튜브(20)가 하우징부(100)에 유입된 후 이동 중심축(AX2)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3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부(100)와 연결되는 겉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The tube 20 may sequentially contact the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200 , and the tube 20 may be moved to the housing portion 100 due to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200 and the tube 20 . ), and then moves in a preset direction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FIG. 3 )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outer tube 10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샤프트(210)는 하우징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롤러본체(230)와 연결될 수 있다. 롤러샤프트(210)는 뒤에 설명할 동력전달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롤러샤프트(210)가 회전됨에 따라 롤러샤프트(210)와 연결되는 롤러본체(230)가 회전될 수 있다.1 to 4 , the roller shaf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body 230 . The roller shaft 210 is rotatable inside the housing unit 10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the roller shaft 210 rotates, a roller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 210 . The body 230 may be rota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샤프트(210)에는 롤러본체(230), 롤러풀리(250)가 설치될 수 있고, 롤러샤프트(2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롤러본체(230), 롤러풀리(250)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1 to 3 , a roller body 230 and a roller pulley 250 may be installed on the roller shaf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roller shaft 210 is The roller body 230 and the roller pulley 25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롤러샤프트(210), 롤러본체(230), 롤러풀리(250)는 동시에 회전될 수 있고, 롤러본체(230)가 회전됨에 따라 튜브(20)가 롤러본체(230)에 형성되는 접촉부(231)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튜브(20)를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ller shaft 210, the roller body 230, and the roller pulley 250 may be rotated at the same time, and as the roller body 230 rotates, the tube 20 is formed on the roller body 230. The contact portion 231.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ve the tube 20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due to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본체(230)는 튜브(20)와 접촉가능한 것으로, 롤러본체(230)와 튜브(20)의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통해 튜브(20)를 이동시킬 수 있다.1 to 4 , the roller body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tube 20 , and through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roller body 230 and the tube 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ube 20 can be moved.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본체(230)는 튜브(20)와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접촉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1, 3, and 4, the roller body 230 is capable of simultaneous contact with the tube 20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specifically includes a first roller 230A and a second roller 230B. can do.

제1롤러(230A)는 튜브(20)의 일측(도 4 기준 상측)에 접촉가능하고, 제2롤러(230B)는 튜브(20)를 사이에 두고 제1롤러(230A)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으로, 튜브(20)의 타측(도 4 기준 하측)에 접촉가능하다.The first roller 230A is contactable to one side (the upper side of FIG. 4 ) of the tube 20, and the second roller 230B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230A with the tube 2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uch, it is possible to contact the other side (lower side of FIG. 4 ) of the tube 20 .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는 각각 롤러샤프트(210A, 210B)에 결합되며, 롤러샤프트(210A, 210B)가 동력전달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가 회전되며, 튜브(20)와 접촉가능하고 튜브(2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roller body 230,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are coupled to the roller shafts 210A and 210B, respectively, and the roller shafts 210A and 210B are power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As it receives and rotates,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are rotated, and the tube 20 can be contacted and the tube 20 can be mov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튜브(20)의 일측(도 3 기준 상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230A)와 튜브(20)의 타측(도 3 기준 하측)에 배치되는 제2롤러(23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roller body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230A disposed on one side (the upper side of FIG. 3 ) of the tube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e 20 . The second rollers 230B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FIG. 3 ) may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제1롤러(230A)와 제2롤러(230B)가 서로 반대 방향, 구체적으로 제1롤러(230A)는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롤러(230B)는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됨으로 인하여 튜브(20)가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230A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3 ), and the second roller 230B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FIG. 3 ). 3),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ube 20 can move from right to left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도 1,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30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가 튜브(20)와 각각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튜브(2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3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겉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1, 3, and 7, due to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in one direction,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first roller (230A), the second roller 230B is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by moving in a preset direction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FIG. 3) due to the surface contact of the second roller 230B with the tube 20, respectively.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so that it can be put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외주면에는 홈부의 형상으로 접촉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231)는 튜브(20)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1 and 4,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ller body 230,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a contact portion 231 in the shape of a groove portion ) can be formed. The contact portion 231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ward the tube 20 ,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ube 20 .

이로 인하여 튜브(20)와 롤러본체(230)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고, 접촉 면적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마찰력이 증가하여, 튜브(2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ube 20 and the roller body 230 is improved, and the frictional force increase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ntact area, thereby stably moving the tube 20 .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본체(2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접촉부(231)의 양측에는 이탈방지부(23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235 may b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s 231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body 230 .

이탈방지부(235)가 접촉부(231)의 양측에서 튜브(20)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됨으로 인하여 마주보며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35) 및 접촉부(231)의 내측에 튜브(20)가 배치될 수 있고, 튜브(20)가 이동하면서 이동 중심축(AX2)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35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tube 20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231, the tube 2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235 and the contact portion 231 facing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while the tube 20 is moved.

이에 더하여 튜브(20)가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ube 20 from deviating from the movement path formed along the movement central axis (AX2).

다시 말하여 튜브(20)의 양측(도 4 기준 상,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에 각각 접촉면, 이탈방지부(235)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에 형성되는 접촉면, 이탈방지부(235)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내측에 튜브(20)가 배치될 수 있고, 튜브(20)를 둘러싸며 마주보는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에 형성되는 각 접촉부(231)에 접촉되면서 튜브(20)가 안정적으로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disposed on both sides (upper and lower side of FIG. 4 ) of the tube 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and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235, so that the first roller (230A), th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second roller 230B, the tube 20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35, and surrounds the tube 20 and faces the first roller (230A), while in contact with each contact portion 231 formed on the second roller 230B,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ube 20 can be stably moved alo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200, 200A, 200B)는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튜브(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튜브(20)에 각각 접촉가능한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 및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에 각각 연결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샤프트(210, 210A, 210B), 뒤에 설명할 롤러풀리(250), 제1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roller parts 200, 200A, 20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roller body 230, specifically, the tube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tube 20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230A, second rollers 230B, and first rollers 230A, and second rollers 230B that are each contactable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 respectively. It may include roller shafts 210 , 210A and 210B, a roller pulley 2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first connection part 270 .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풀리(250)는 롤러샤프트(210, 210A, 210B)에 연결되는 것으로, 동력전달부(30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가능하고, 롤러샤프트(210, 210A, 210B)로 상기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1 to 3, 5 and 6, the roller pulley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s 210, 210A, 210B, an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Rotation is possible by receiving the generated power, and the rotation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roller shafts 210, 210A, and 210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풀리(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풀리(250)는 롤러샤프트(210) 상에서 이격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하다.At least one roller pulley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one roller pulley 250 is spaced apart on the roller shaft 210 and rotatable.

롤러풀리(250)는 뒤에 설명할 제1연결부(270)와 연결되고, 동력전달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연결부(270)가 이동됨에 따라 롤러풀리(250) 및 롤러풀리(250)와 연결되는 롤러샤프트(210)가 회전될 수 있다. 롤러샤프트(210)가 회전됨에 따라 롤러샤프트(210)와 연결되는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가 회전될 수 있다.The roller pulley 250 is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on part 27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moves, the roller pulley 250 and the roller pulley 250 ) and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 210 may be rotated. As the roller shaft 210 rotates, the roller body 230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 210,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may be rotated.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풀리(2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롤러풀리(25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270)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연결부(270)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롤러풀리(250)에 형성되는 홈부에 안착되며, 제1연결부(270)가 이동됨에 따라 롤러풀리(25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pulley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70 connected to the roller pulley 250, ,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is se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roller pulley 250, and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moves, the roller pulley 250 can be rotated stably.

도 1, 도 2,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는 롤러풀리(25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롤러부(200)를 연결하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1, 2, 3, and 6,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ller pulley 250, and connects different roller parts 200, power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는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belt manner,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서로 다른 롤러부(200), 구체적으로 롤러풀리(250)에 각각 연결되며, 어느 하나의 롤러부(200)의 회전을 다른 하나의 롤러부(200)의 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roller parts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a roller pulley 250, and any one roller part The rotation of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rotation of the other roller unit 200 .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부(300)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이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모두 연결되지 않아도, 하나의 롤러부(200)에 전달되고, 제1연결부(270)가 서로 다른 롤러부(200)에 구비되는 롤러풀리(250)에 각각 연결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복수 개의 롤러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is not connect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 it is transmitted to one roller unit 200 ,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270 is connected to different roller units ( Since each is connected to the roller pulley 250 provided in the 20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can be rotated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는 서로 다른 롤러부(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는 지지부(500)에 걸쳐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6 ,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different roller parts 200 and a support part (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 500) can be reached.

제1연결부(270)가 지지부(500)에 걸쳐짐으로 인하여 제1연결부(270)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롤러부(200)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이 제1연결부(270)를 통해 다른 하나의 롤러부(20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is spanned over the support part 500 , the tens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may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any one of the roller parts 20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 ) through the other roller unit 200 has the effect of stably being transferred.

도 1 내지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는 튜브(20)의 이동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도 3 기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구비되는 롤러풀리(250) 중 같은 높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풀리(250)를 연결할 수 있다.1 to 3 and 6 ,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based on FIG. 3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of the tube 20 . A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disposed on the same height among the roller pulleys 25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may be connected.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연결부(270)는 이동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풀리(250)를 연결할 수 있고, 이동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풀리(250)를 연결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may connect the roller pulleys 250 respectively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central axis AX2, and move The roller pulleys 250 each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disposed below the central axis AX2 may be connected.

도 1, 도 2,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00)는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동력을 롤러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1, 2, 3, 5, and 7,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power receiv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roller unit. (200) can be passed.

도 1,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00)는 샤프트부(310), 풀리부(330), 제2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310)는 하우징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1, 2, 3, and 5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unit 310 , a pulley unit 330 ,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350 . can do. The shaft part 3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 and is rotatable with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a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310) 상에는 풀리부(330)가 설치될 수 있고, 핸들부(370)가 연결될 수 있다.The pulley part 330 may be installed on the shaft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dle part 370 may be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310)가 핸들부(370)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핸들부(370)를 샤프트부(310)의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부(3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Since the shaft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370 , the user may attach the handle part 37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100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shaft part 310 ( When AX1)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the shaft unit 310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부(330)는 샤프트부(3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샤프트부(310)의 회전에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샤프트부(310)가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따라 회전되고, 샤프트부(310)에 설치되는 풀리부(330)가 샤프트부(310)의 회전에 연동되며 회전될 수 있다.1 to 3 and 5 , the pulley par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haft part 310 and may be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310 . When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handle portion 370 , the shaft portion 310 is rotated along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 and the pulley portion 330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310 becomes the shaft portion 310 . It can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풀리부(330)는 샤프트부(310)와 연결되고, 샤프트부(310)의 회전에 연동되는 것으로, 풀리부(33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3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1 to 3 and 5 , the pulley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shaft part 310 ,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part 310 , and is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pulley part 330 . Power may be transmitted to 350 .

제2연결부(350)는 풀리부(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롤러부(200), 구체적으로 롤러풀리(2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부(3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310)의 회전이 풀리부(330), 제2연결부(350), 롤러풀리(250)를 통해 롤러샤프트(210, 210A, 210B) 및 롤러본체(230, 230A, 230B)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ulley part 330 to transmit power to the roller part 200 , specifically, the roller pulley 250 . Due to this,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specifically the shaft unit 310, is performed through the pulley unit 330, the second connection unit 350, and the roller pulley 250 through the roller shafts 210, 210A, 210B and the roller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230, 230A, 230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350)는 벨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belt manner,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350)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에 연결되며, 샤프트부(310)의 회전을 통해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 respectively, and the shaft part 310 rotates.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through the .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부(310)의 일측(도 5 기준 상측)에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가 동일 높이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향되는 타측(도 5 기준 하측)에는 지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on one side (upper side of FIG. 5 ) of the shaft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It may be spaced apart, and the support part 50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reference to FIG. 5 ) opposite to it.

도 5를 참조하면, 벨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부(350)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 동력전달부(300)에 구비되는 풀리부(330), 지지부(500)의 외주면에 걸쳐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2연결부(350)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의 상측에 걸쳐지고, 풀리부(330), 지지부(500)의 하측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formed in a belt manner may sp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the pulley part 330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and the support part 500 . In detail,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spans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and spans the lower side of the pulley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500 .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 풀리부(330), 지지부(500)는 'T'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연결부(350)의 장력을 유지하며 동력전달부(300)에서 롤러부(200)로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the pulley part 330 , and the support part 50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are formed in a 'T' shape, and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nd power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transmitting power from the transmission unit 300 to the roller unit 200 .

제2연결부(3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와 다르게 동력전달부(300)에 구비되는 풀리부(330)와 롤러부(200)에 구비되는 롤러풀리(250)를 연결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생시키는 동력을 롤러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y part 330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and the roller pulley 250 provided in the roller part 200 . ), the power generat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le part 370 and rotating it in a preset direc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roller part 200 .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350)는 동력전달부(300)에 구비되는 풀리부(330)와, 단일의 롤러부(200)에 구비되는 롤러풀리(250)를 연결할 수 있고, 동력전달부(300)에서 롤러부(20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1 and 2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ey part 330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and a single roller part 200 . The roller pulley 250 may be connected, and powe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to the roller unit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로 인하여 동력전달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복수 개의 롤러부(200)로 전달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복수 개의 롤러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부(200)와 튜브(20) 간에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튜브(20)를 이동 중심축(AX2)을 따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 and relatively little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can be rotated by force, and the tube 20 is quickly moved along the moving central axis AX2 by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and the tube 20 are in conta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ke it happen.

도 2,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370)는 샤프트부(3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샤프트부(310)의 길이 방향 중심축(AX1)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본체(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고, 샤프트부(310)의 길이 방향 중심축(AX1)과 직교를 이루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샤프트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7 , the handle part 3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haft part 310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of the shaft part 310 . It may include an extended handle body (reference numeral not set), and the shaft portion 310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because i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while forming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of the shaft portion 310 . ) can be rotated.

본 발명에서는 핸들부(370)가 샤프트부(31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샤프트부(310)로 동력을 전달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부(31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고, 외부 장치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샤프트부(3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370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310 and the user manually grips and rotates the handle portion 370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portion 3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3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ransmitting power to the shaft 310 are possible.

도 2,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00)는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105)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AX2)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2, 3, and 7 , the guide pa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 and specifically, the discharge hole part 105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00)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의 내경은 속관인 튜브(20)의 외경보다 크고, 가이드부(400)의 외경은 겉관(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pa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400 may be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20 , which is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40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tube 10 .

이로 인하여 속관인 튜브(20)가 투입되어야 하는 겉관(10)이 가이드부(4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부(4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튜브(20)가 걸리는 구간이 없이 겉관(10)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is, the outer tube 10 into which the inner tube 20 is to be inserted may be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400 , and a section in which the tube 20 mov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400 takes. Without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

다시 말하여 가이드부(400)가 겉관(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배출홀부(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튜브(20)의 투입 경로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튜브(20)가 겉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since the guide part 4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 it is possible to stably guide the input path of the tube 20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Can be, so that the tube 20 can be put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0)는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1, 2, 3, 5, and 6, the support par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the second The connection part 350 may be contact-supported.

지지부(50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지지본체(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본체 상에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가 걸쳐질 수 있다. The support part 500 may include a support body (reference numeral not set) rotatable based on a central axis of rota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may be spanned on the support body.

지지본체 상에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가 걸쳐지며 접촉 지지됨에 따라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고, 지지부(500)가 풀리부(330)와 롤러풀리(250) 사이 또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연결부(270) 또는 제2연결부(350)를 일측으로 접촉 가압하며 지지함으로써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를 통한 동력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re spann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body, the tens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can be maintained, and the support part 500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is disposed between the pulley part 330 and the roller pulley 250 or between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and is supported by contacting and press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to one side.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power transmission forc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35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0)는 동력전달부(300), 구체적으로 풀리부(330)의 일측(도 5 기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풀리부(330)를 기준으로 지지부(500)가 배치되는 일측(도 5 기준 하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5 기준 상측)에는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가 동일 높이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upport par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lower side of FIG. 5 )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specifically, the pulley part 330 . A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based on FIG. 5 ) opposite to one side (lower side based on FIG. 5 ) on which the support part 500 is disposed based on the pulley part 330 . ) may be spaced apart at the same height.

도 5를 참조하면, 벨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부(350)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 동력전달부(300)에 구비되는 풀리부(330), 지지부(500)의 외주면에 걸쳐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2연결부(350)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의 상측에 걸쳐지고, 풀리부(330), 지지부(500)의 하측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formed in a belt manner may sp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the pulley part 330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and the support part 500 . In detail,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spans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and spans the lower side of the pulley part 330 and the support part 500 .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 풀리부(330), 지지부(500)는 '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0)가 제2연결부(350)를 풀리부(33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5 기준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 인하여 제2연결부(350)의 장력을 유지하며 동력전달부(300)에서 롤러부(200)로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 a pulley part 330 , and a support part 500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ller parts 200 may be formed in a 'T' shape. The support part 500 presses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pulley part 330 (lower direction based on FIG. 5 )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nd in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 unit 200 .

도 1,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600)는 하우징부(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커버본체(610), 파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7 , the cover par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100 , and may include a cover body 610 and a gripping part 630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610)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개구되는 일측(도 1 기준 상측)을 커버하며 하우징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ver body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housing part 100 , specifically an opening side (upper side in FIG. 1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100 .

커버본체(610)는 하우징부(100)와 별도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도면 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커버본체(610)가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별도의 홈을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The cover body 61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eparate bol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cover body 610 connected in a slide manner through a separate groove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are possible.

도 1,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630)는 커버본체(6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파지부(630)를 파지하고, 하우징부(100)와 연결되는 커버본체(610)를 들어올릴 수 있고, 하우징부(100)를 원하는 위치, 구체적으로 속관인 튜브(20)를 투입해야하는 겉관(10)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gripper 6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ver body 610 , and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Due to this, the user can hold the grip portion 630, lift the cover body 610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100, and select the desired position for the housing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tube 20, which is an inner tube. It can be moved to a place where the outer tube 10 to be put in is loca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ng principle and effect of the tube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1)는 하우징부(100), 롤러부(200), 동력전달부(300), 가이드부(400), 지지부(500), 커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7 , the tube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0 , a roller part 200 , a power transmission part 300 , a guide part 400 , and a support part. 500 , and a cover part 600 may be included.

도 1,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와 커버부(600)는 연결가능하며,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부(200), 동력전달부(300), 지지부(500)를 교체, 수리하기 위하여 커버부(600)를 하우징부(100)로부터 연결 해제하여 하우징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둘 수 있다. 1 and 7 ,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cover part 600 are connectable, and the roller part 200, the power transmission part 300, the support par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part 100 ( In order to replace or repair the 500 , the cover 60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housing 100 so that one side (the upper side of FIG. 1 ) is left ope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600), 구체적으로 커버본체(610)와 하우징부(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지부(630)를 파지하여 하우징부(100)를 원하는 위치, 구체적으로 속관인 튜브(20)를 투입할 겉관(10)이 위치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over body 610 and the housing part 100 are connected, the user grips the grip part 630 and the housing part ( 100) may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specifically, where the outer tube 10 to which the inner tube 20 is placed is located.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에는 유입홀부(101), 배출홀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우선 겉관(10)이 위치하는 곳에서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배출홀부(105)와 연결되는 가이드부(400)를 겉관(10)과 연결할 수 있다. 2 and 3 , an inlet hole 101 and an outlet hole 105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housing part 100, specifically the guide part 400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part 105,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tube 10 at the location where the outer tube 10 is located.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400)가 겉관(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겉관(10)의 외부에 위치하게 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400 i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positioning outside the outer tube 10 are possible.

가이드부(400)로 인하여 속관인 튜브(20)가 겉관(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튜브(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고, 튜브(20)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하면서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part 400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tube 20 so that the tube 20, which is the inner tube,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and moves on the movement path of the tube 20 to avoid obstacles.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caught.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와 겉관(10)과의 위치가 정해지면, 유입홀부(101)를 통해 튜브(20)를 하우징부(100)에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튜브(20)를 잡고 유입홀부(101)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부(200), 구체적으로 롤러본체(230)에 접촉될 때까지 튜브(20)를 하우징부(100)로 집어넣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whe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outer tube 10 is determined, the tube 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part 100 through the inlet hole 101 . The user holds the tube 20 and moves the tube 20 through the inlet hole 101 to the housing portion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portion 2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00 , specifically the roller body 230 . You can put it in (1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튜브(20)가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튜브(20)의 이동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상, 하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에 접촉되면 사용자는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1 to 3, the tube 20 is a roller body 230, specifically, a first roller 230A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of the tube 20, the first When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ller 230B, the user may grip the handle portion 370 and rotate it in a preset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들부(370)를 동력전달부(300), 구체적으로 샤프트부(310)의 길이 방향 중심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r may rotate the handle unit 370 counterclockwise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 specifically,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X1 of the shaft unit 310 a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

도 5를 참조하면, 핸들부(370) 및 핸들부(370)가 연결되는 샤프트부(310)가 반시계 방향(도 7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부(310)에 연결되는 풀리부(3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풀리부(330)와 복수 개의 롤러풀리(25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35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handle part 370 and the pulley part 330 connected to the shaft part 310 as the shaft part 310 to which the handle part 370 is connected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7 ). )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connecting the pulley part 330 and the plurality of roller pulleys 250 is rotated in a preset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300)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전달받은 복수 개의 롤러부(200)는, 롤러풀리(250) 및 제1연결부(270)를 통하여 또 다른 롤러부(200), 구체적으로 롤러풀리(2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1 to 3 ,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receiving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is another roller unit through the roller pulley 250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270 . (200),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power to the roller pulley (250).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500)는 하우징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를 일측으로 가압하면서 접촉지지함으로써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복수 개의 롤러부(200)로 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1, 2, 3, 5, and 6, the support part 5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are connected to one sid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transmitt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7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50 by supporting the contact while pressing the .

동력전달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를 통해 복수 개의 롤러부(200)에 전달되고, 롤러본체(230), 구체적으로 튜브(20)의 이동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튜브(20)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튜브(20)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3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Power gener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oller units 2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350 , and the roller body 230 , specifically the tube 20 . The first roller 230A, the second roller 230B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ube 20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move the tube 20 in a preset direction. It can be moved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reference to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롤러본체(2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튜브(20)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접촉부(231)가 형성되고, 접촉부(231)에 튜브(20)가 접촉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통해 튜브(20)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4, the contact portion 231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ward the tube 20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body 230, and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tube 20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31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ube 20 can move stably and quickly through.

이에 더하여 접촉부(231)의 양측에 이탈방지부(235)가 돌출 형성됨으로 인하여 튜브(20)가 제1롤러(230A), 제2롤러(230B)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 중심축(AX2)을 유지한 채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 중심축(AX2)을 벗어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235 ar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art 231, the tube 20 moves along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while maintaining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It is possible to move stably while keeping it and to prevent it from deviate from the central axis of movement (AX2) to the outsid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1)에서 사용자는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돌리게 되고, 제1연결부(270), 제2연결부(350)를 통해 튜브(20)의 상측(도 3 기준)에 위치하는 제1롤러(230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튜브(20)의 하측(도 3 기준)에 위치하는 제2롤러(23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튜브(20)가 제1롤러(230A)와 제2롤러(230B) 사이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3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tube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ds the handle portion 370 and rotates i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3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70 , The first roller 230A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based on FIG. 3) of the tube 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350 rotates clockwise, and the first roller 230A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e 20 (based on FIG. 3) As the 2 roller 230B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tube 20 can move along a preset direction (right to left direction based on FIG. 3) between the first roller 230A and the second roller 230B. there is an effect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롤러부(200)를 통과하며 튜브(20)는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105)를 통과하게 되고, 배출홀부(105)와 연결되는 가이드부(400)를 통과하여 겉관(10)의 내부에 투입될 수 있다.3 and 7 , the tube 2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rollers 200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5 formed in the housing 100 ,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05 .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10 through the guide portion (400).

사용자는 핸들부(370)를 파지하고 계속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복수 개의 롤러부(200)로 전달하고, 직접 튜브(20)를 들고 겉관(10)의 내부에 집어넣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튜브(20)를 겉관(10)의 내부에 투입할 수 있고, 직선 경로만이 아니라 곡선 경로가 형성되는 겉관(10)에 대응하여 튜브(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ser grips the handle portion 370 and continuously generates rotational power and transmits it to the plurality of roller portions 200 , and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directly holding the tube 20 and putting it inside the outer tube 10 . The tube 20 can be put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0 by for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ube 20 can be easily moved in response to the outer tube 10 in which a curved path is formed as well as a straight path. .

본 발명에 따른 튜브 공급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튜브를 들고 겉관(10)의 내부에 투입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적은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튜브를 겉관(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tub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the tube smoothly inside the outer tube 10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compared to the user directly holding the tube and putting it inside the outer tube 10 to move it. This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work and improve work efficiency.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 튜브 공급 장치 10: 겉관
20: 튜브 100: 하우징부
101: 유입홀부 105: 배출홀부
200: 롤러부 210: 롤러샤프트
230: 롤러본체 230A: 제1롤러
230B: 제2롤러 231: 접촉부
235: 이탈방지부 250: 롤러풀리
270: 제1연결부 300: 동력전달부
310: 샤프트부 330: 풀리부
350: 제2연결부 370: 핸들부
400: 가이드부 500: 지지부
600: 커버부 610: 커버본체
630: 파지부
1: tube feeder 10: outer tube
20: tube 100: housing part
101: inlet hole 105: discharge hole
200: roller 210: roller shaft
230: roller body 230A: first roller
230B: second roller 231: contact portion
235: separation prevention unit 250: roller pulley
270: first connection unit 300: power transmission unit
310: shaft portion 330: pulley portion
350: second connection part 370: handle part
400: guide part 500: support part
600: cover part 610: cover body
630: grip part

Claims (6)

내부가 중공인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부에 투입되는 튜브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튜브를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튜브의 일측에 접촉가능한 제1롤러와; 상기 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롤러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에 접촉가능한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a housing part having a hollow inside;
a roller part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contactable with the tube input to the housing part, and moving the tub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 unit;
The roller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contactable to one side of the tube; A tube supply device comprising a;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ller with the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roller contact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는 튜브가 관통할 수 있는 유입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는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hole through which a tube can pas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he tub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 the inlet hol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에 연동되는 풀리부; 및
상기 롤러부와 상기 풀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shaft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a pulley part connected to the shaft part and linked to rotation of the shaft part; an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roller part and the pulley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하고 상기 샤프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user grippable handle portion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portion; tub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벨트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ub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belt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ube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is opened, and a cover part covering the one side.
KR1020210020666A 2021-02-16 2021-02-16 Tube feeding apparatus KR102479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66A KR102479316B1 (en) 2021-02-16 2021-02-16 Tube 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666A KR102479316B1 (en) 2021-02-16 2021-02-16 Tube f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47A true KR20220117047A (en) 2022-08-23
KR102479316B1 KR102479316B1 (en) 2022-12-21

Family

ID=8309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666A KR102479316B1 (en) 2021-02-16 2021-02-16 Tube f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806A (en) * 1984-10-05 1986-05-06 Nippon Kokan Kk <Nkk> Feeder for pipe for oxygen hole opening of blast furnace tap hole
JPH0640581U (en) * 1992-11-05 1994-05-31 株式会社クボタ Cable insertion device into the pipe
KR20110021512A (en) * 2009-08-26 2011-03-04 김유진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al pipe
KR101636039B1 (en) * 2014-06-18 2016-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ube Cu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806A (en) * 1984-10-05 1986-05-06 Nippon Kokan Kk <Nkk> Feeder for pipe for oxygen hole opening of blast furnace tap hole
JPH0640581U (en) * 1992-11-05 1994-05-31 株式会社クボタ Cable insertion device into the pipe
KR20110021512A (en) * 2009-08-26 2011-03-04 김유진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al pipe
KR101636039B1 (en) * 2014-06-18 2016-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ube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316B1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968A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215498B1 (en) Cable guide apparatus
EP3138955B1 (en) Roll finishing machine
KR20220117047A (en) Tube feeding apparatus
TW201429852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handling workpieces
KR102349248B1 (en) selective plating device for tape carrier package with automatic masking function
KR20140019204A (en) Feeder of carrier tape for chip mounter
US7632028B2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KR20200072085A (en) Panel&#39;s Surface Coating Apparatus
KR102172665B1 (en) Driving Apparatus For Non Contact Vertical Typed Developing System For Board
KR1019121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paper and synthetic resin film
US7531069B2 (en) Device for the transport of flexible planar material, in particular circuit boards
TW201924559A (en) Transport apparatus for conveying shoe sole
KR960010033B1 (en) Work mounting apparatus
KR101081514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substrate
US20140119871A1 (en) Apparatus equipped with phase maintenance means
KR20220018527A (en) Coating removal apparatus and rotary joint thereof
KR102180378B1 (en) Vacuum Roller Unit of Display Panel Tansfer Device
KR20090053982A (en) Transferring guide device for display susbstrate
JP4311076B2 (en) Flexible chute and workpiece transfer device
KR20220012077A (en) Apparatus for gripp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aratus for aligning cable having apparatus for gripping and method of aligning cable using apparatus for aligning cable
JP2003200232A (en) Material feeder
JP7152199B2 (en) Work supply device
KR20190058942A (en) Fluid Supplying Device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KR100547995B1 (en) Mechanism for driving nozzles of chip mou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