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159A -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159A
KR20220116159A KR1020227018766A KR20227018766A KR20220116159A KR 20220116159 A KR20220116159 A KR 20220116159A KR 1020227018766 A KR1020227018766 A KR 1020227018766A KR 20227018766 A KR20227018766 A KR 20227018766A KR 20220116159 A KR20220116159 A KR 2022011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field
eye
subject
im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느 부띠농
에스뗄 네떼르
마르타 에르낭데즈-꺄스따네다
코노걍 바랑똥
질다스 마랭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2011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1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using integral imag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100)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 피검자(10)의 제1 및 제2 눈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6)을 포함하고,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눈(1)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71), 및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72)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1 눈에 대한 제1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명시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적어도 제2 눈에 대한 제2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2 명시야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피검자의 눈의 굴절 교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안 또는 양안 시력 조건에서 피검자의 눈의 굴절 특징을 객관적 또는 주관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여러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객관적 굴절은 일반적으로 검영기(skiascope) 또는 자동 굴절계(auto-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객관적 굴절은 개인의 적절한 교정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주관적 굴절은 피검자가 필요로 하는 최적의 굴절 교정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방법이다. 기존의 주관적 굴절은 시험 렌즈의 세트 및 시험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수동 또는 자동 렌즈 교환기를 갖춘 포롭터(phoropter)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이러한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0.25 디옵터(D)의 단위로 광학적 굴절력이 달라지는 렌즈들이 사용된다. Essilor 포롭터 시력 R800에는 광학적 굴절력의 연속적인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 광학 렌즈가 사용된다.
문헌 WO 2018/104600(Essilor Int.)에는 눈의 주관적인 구면 및/또는 원통형 안굴절(subjective spherical and/or cylindrical ocular refraction)을 고해상도로 측정하기 위한 포롭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포롭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조합된 통상적인 굴절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고, 굴절 광학 시스템은 최소 단위로 변화되는 광학적 굴절력을 가지며, 예를 들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최소 단위 미만으로 광학적 굴절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문헌에는 이전에 결정된 시력 결함의 교정을 제공하기 위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초로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S 2017/0060399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피검자의 감소된 시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는 교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하는 시력 교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은 정확한 굴절 측정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문헌 US 2016/0042501 A1에는, 명-시야 요소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수차-보상된 이미지를 컴퓨팅하기 위해서 이전에 결정된 관찰자의 광학적 수차 매개변수를 기초로 수차 보상된 시력 교정 디스플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WO 2018/091984 A1에는, 관찰자가 단안 깊이 큐(monocular depth cue)를 인식하도록, 명시야 성분의 시퀀스를 관찰자의 각각의 눈 내로 투사하여 항상 초점이 맞는(always-in-focus) 망막 이미지를 형성하여, 깊이의 착시(illusion)를 제공하는, 근안 순차 명-시야 투사기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US 2014/0327750 및 US 2014/0327771에는 명시야로서 장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들에는, 특히 양안 시력에서, 피검자의 안굴절을 정확하게 측정하거나 관찰자의 굴절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나 기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양안에서 양호하게 교정된 이미지를 가지는 것은 정확한 굴절 측정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사실상 중요한데, 이는 단안 굴절이 원근조절(accommodation)을 유도할 수 있고, 우측 눈과 좌측 눈 굴절을 구분하지 않는 양안 굴절이 매우 빈번한 부동시(anisometropia)(또는 두 눈 사이의 양안 격차)를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편안한 시력 교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렌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양안 시력 조건에서 눈 각각의 굴절 교정을 정확하고 주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은 3차원적인 기준을 갖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 기준에 대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찰하는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의 위치를 결정하는(localisation) 시스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의 제1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명시야는 피검자의 제1 눈에서 제1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가 제1 눈에 의해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눈에 대한 제1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명시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으로부터 제1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의 제2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명시야는 피검자의 상기 제2 눈에서 제2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2 이미지가 제2 눈에 의해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제2 눈에 대한 제2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2 명시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으로부터 제2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초로 하는 시스템은, 부가적인 렌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계적으로 이동하는 부품 없이도, 단안 또는 양안 시력에서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일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1 명시야 및 제2 명시야는, 순차적 교번으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일 지역으로부터 또는 2개의 구분된 지역들로부터 생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검자의 상기 제1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린 및 피검자의 제2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한다.
특정의 유리한 양태에 따라, 시스템은 제1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제1 이미지의 제1 선명도(sharpness)에 대한 피검자의 제1 응답 및 제2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제2 이미지의 제2 선명도에 대한 피검자의 제2 응답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기록된 상기 제1 및 제2 응답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명시야를 각각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굴절 매개변수의 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된 상기 제1 및 제2 굴절 매개변수 값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명시야를 각각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특정 양태에 따라, 시스템은 제2 눈을 향한 제1 명시야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하거나 제1 눈을 향한 제2 명시야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의 어레이 및 픽셀의 어레이 상에 적층된 시차 장벽 마스크(parallax barrier mask), 또는 다-층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시차 장벽 마스크는 핀홀의 어레이, 렌즈렛 어레이(lenslet array),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렌티큘러 어레이(lenticular array) 및 렌티큘러 렌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향성 백라이트 조사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위치결정 시스템은 눈 추적기, 3D 스캐닝 장치, 카메라, 비행-시간 센서(time-of-flight sensor) 및/또는 동공-크기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위치결정 시스템은 동공 직경 및/또는 눈 응시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피검자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융합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시각적 자극을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포함하도록, 제1 명시야 및 제2 명시야가 미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피검자의 양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a)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3차원적인 기준에 대한 피검자의 제1 눈의 위치 및 제2 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b) 피검자의 제1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를 생성하기 위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명시야는 피검자의 상기 제1 눈에서 제1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c)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가 제1 눈에 의해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눈의 제1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제1 명시야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으로부터 제1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e) 피검자의 제2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를 생성하기 위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명시야는 피검자의 제2 눈에서 제2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f) 적어도, 상기 제2 이미지가 제2 눈에 의해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제2 눈의 제2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제2 명시야를 조정하는 단계;
g) 상기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으로부터 제2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 따라, 단계 b) 및 c) 그리고 각각 단계 e) 및 f)는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단계 b) 및 c) 중에 제2 명시야는 오프되거나 제2 눈을 향해서 차단되고, 단계 e) 및 f) 중에 제1 명시야는 오프되거나 제1 눈을 향해서 차단된다.
다른 특정 양태에 따라, 단계 b) 및 c) 그리고, 각각, 단계 e) 및 f)가 동시에 수행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단안 시력에서 제1 눈에 대한 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작동 및 단안 시력에서 제2 눈에 대한 청구범위 제12항에 따른 작동 및 양안 시력에서 제1 눈 및 제2 눈에 대한 청구범위 제13항에 따른 동시적인 작동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방법은:
h) 제1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제1 이미지의 제1 선명도에 대한 피검자의 제1 응답을 기록하는 단계, 및
i) 제2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제2 이미지의 제2 선명도에 대한 피검자의 제2 응답을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리고
단계 c) 중에, 제1 명시야는 단계 h) 중에 기록된 상기 제1 응답의 함수로서 조정되고, 단계 f) 중에, 제2 명시야는 단계 i) 중에 기록된 상기 제2 응답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특정 양태에 따라, 결정되는 굴절 특징(들)은 스피어(sphere), 실린더(cylinder) 및 축(axis), 단안 및/또는 양안 조건에서 피검자의 제1 눈 및 제2 눈에 대한 부가 값 및/또는 고차의 수차(high order aberration)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양태에 따라, 피검자가 볼 때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특징을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포함하도록, 제1 명시야 및 제2 명시야가 미리 결정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 따라, 제1 명시야는 제1 눈으로부터 제1 거리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명시야는 제2 눈으로부터 제2 거리에 디스플레이되며,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제1 눈과 제2 눈 사이의 동공간 거리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언급된 특징부 다음에 참조 부호가 후속되는 경우, 그러한 부호는 청구범위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만 포함되며, 청구범위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간단한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통상적인 2D 이미지의 광 특성을 도시한다.
도 2는 3D 명시야의 광 특성을 도시한다.
도 3은 4D 명시야의 광 특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다른 4D 명시야의 광 특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유형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유형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피검자의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피검자에게 보이는 시각적 자극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10은 피검자의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스피어를 탐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난시 축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생성되는 2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난시 축 및 실린더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생성되는 2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도시될 필요는 없으며, 특정 특징부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또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일반화되거나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형태의 제조 및 사용을 상세히 논의하겠지만,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맥락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발명적 개념이 제공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실시형태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정의되는 모든 기술적 특징이 장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치될 수 있고, 역으로, 장치와 관련하여 정의되는 모든 기술적 특징이 프로세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치될 수 있다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통상적인 포롭터에서와 같이, 부가적인 렌즈의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 피검자의 눈의 주관적 굴절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기술의 사용에 의존한다.
정의
본 문헌에서, 명시야(LF)는, 공간 내의 모든 점을 통해서 모든 방향으로 흐르는 광의 양을 설명하는 벡터 함수이다. 광의 양은 예를 들어, 표면 및 입체각의 단일체(unity of surface and solid angle)로 나눈 광의 파워를 나타내는 휘도(cd/m2)이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LFD)는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디스플레이이다.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2D 이미지를 생성하고, 여기에서 광 특성은 이미지(3) 내의 각각의 점의 위치(x, y)에 따라 달라진다(도 1 참조).
대조적으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LFD)는 명시야를 생성하고, 위치(X, Y)의 함수로서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함수로서, 광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명시야를 생성하고, 광의 양은 이미지(4) 내의 위치(x, y) 및 하나의 방향(u)에 따라 달라진다(도 2 참조). 3D 명시야(x, y, u)를 생성하는 것이 또한 1D 통합 이미징으로 지칭된다. 다른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4D 명시야를 생성하고, 광의 양은 이미지(5) 내의 위치(x, y) 및 2개의 횡방향들(u, v)에 따라 달라진다(도 3 참조). 일반적으로, 벡터(u)의 방향은 수평 평면 내에 위치되고 벡터(v)의 방향은 수직 평면 내에 위치된다. 4D 명시야(x, y, u, v)를 생성하는 것이 또한 통합 이미징으로 지칭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컬러(예를 들어, 3개의 컬러를 기초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RGB 또는 적색-청색-녹색)에 대한 광선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창과 유사하고, 이미지(5)의 각각의 점으로부터 독립적인 방향들로 광선을 전달할 수 있다(도 4 참조).
상이한 종류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20) 및 시차 장벽(30)을 포함하는, 공지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개별적으로 어드레스될 수 있는 픽셀(21, 2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픽셀의 라인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픽셀의 2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픽셀들은 직교 기준계(X, Y, Z)에서 축(X)을 따라서 일정 피치(p)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차 장벽(3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표면으로부터 거리(f)에 배치된, 판을 포함한다. 판은 축(X)을 따라서 피치(Δx)로 배치된 복수의 핀홀(31), 또는 마이크로 홀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픽셀의 피치(p)는 핀홀 어레이의 피치(Δx)보다 훨씬 더 작다. 어드레스되는 픽셀의 함수로서, 핀홀을 통과하는 명시야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대한 법선에 대해서 특정 벡터(u)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LFD(60)는 마이크로-홀(31) 위의 반-공간(semi-space) 내의 모든 곳에서 3D 명시야를 생성한다. 도 5는, 시차 장벽(30)으로부터 거리(l)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에 평행한 이미지 평면(50)을 도시한다. 이미지 평면(50)은 명시야 빔의 4D 표현을 위해서 사용된다. 각각의 명시야 빔은 4개의 좌표(x, y, u, v)의 세트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x,y)는 마이크로-홀의 평면 내의 좌표를 나타내고 (u,v)는 거리(l)에서의 평면(50) 내의 좌표를 나타낸다. 생성되는 명시야는 활성화된 픽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평면(50)에서, 동일 핀홀을 통과하는 인접 픽셀들에 의해서 생성된 2개의 광선들 사이의 거리(Δu)는 픽셀 피치(p)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시차 장벽 사이의 거리(f)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명시야의 최대 개구(maximum aperture)는, 핀홀 피치(Δx) 및 거리(f)에 따라 달라지는 각도(θMAX)를 갖는다. 이러한 각도(θMAX)는 이하의 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그리고
Figure pct00002
이다.
이로부터
Figure pct00003
가 도출된다.
다른 종류의 시차 장벽(30)이 핀홀 어레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핀홀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LF가 눈의 동공 내로 직접적으로 투사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핀홀은 개별적으로 온으로 스위칭된 특정 공급원과 연관된다. 각각의 가상 핀홀에서, 모든 방향은 공간 광 변조기(SLM)에 의해서 구동된다.
도 6은, 렌즈렛 어레이(40)와 조합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하는, 다른 공지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렌즈렛 어레이(4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근접하여 배치된 마이크로렌즈(41, 42, 43,...)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렌즈렛 어레이(4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상단부에 배열된다. 마이크로렌즈들 사이의 피치가 축(X)을 따라서 Δx로 표시된다. 어드레스되는 픽셀(21)의 함수로서, 마이크로렌즈(44)를 통과하는 명시야는 특정 벡터(u)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LFD(60)는, 렌즈렛 어레이(40)로부터 거리(l)에서, LFD에 평행한 이미지 평면(50) 내에서 3D 명시야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명시야는 활성화된 픽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전술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4D 명시야를 생성하기 위해서, 2D 픽셀 어레이 및 2D 핀홀 어레이, 또는 각각, 2D 반사 표면의 그리드 또는 2D 렌즈렛 어레이로, 방향(Y)을 따라서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의 하나의 점으로부터 오는 광선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변적인 포커싱 거리의 부가적인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명시야를 형성하는 각각의 광선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검자의 눈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거리에서 이미지를 가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어된 거리에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시차 장벽 LFD 또는 렌즈렛 어레이 LFD는 일반적으로 공간적 해상도와 각도적 해상도 사이에서 절충을 한다.
명시야의 특성은 피검자의 눈의 굴절 오류를 교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된 평행 빔들의 명시야를 고려한다. 피검자의 눈이 이완된다. 시각적 자극이 무한대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피검자의 눈이 정시(emmetrope)인 경우에, 정시의 눈에 의해서 형성된 (예를 들어, 점의) 이미지는, 각막, 동공 및 수정체를 통해서, 피검자의 망막에 포커스된다. 따라서, 공급원 점의 망막 이미지는 망막 상의 점에서 포커스되고 선명하게 인식된다. 대조적으로, 피검자의 눈이 이완되었으나 눈이 근시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 근시안(또는 근시의 눈)에 의해서 형성된 이미지(예를 들어, 점)는 피검자의 망막의 앞의 점에서 포커스된다. 따라서, 평행 빔의 명시야를 수용하는 근시안에서, 점의 망막 이미지는 지역 위에서 연장되고 흐릿하게 인식된다. 예를 들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발산 빔의 명시야를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근시안의 수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어서, 근시안이 이완될 때, 근시안에 의해서 형성된 (예를 들어, 점의) 이미지는 피검자의 망막(19)에서 포커스된다. 따라서, 점의 망막 이미지는 근시 피검자에 의해서 선명하게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이완된 원시안을 가지는 피검자에서, 평행 빔을 갖는 명시야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의 이미지는 피검자의 망막 뒤쪽에 포커스된다. 원시 굴절력 값을 아는 경우에, 원시안의 수차를 보상하기 위한 수렴 빔의 명시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원시안이 이완될 때, 원시안에 의해서 형성된 수렴 빔을 갖는 LF의 (예를 들어, 점의) 이미지는 피검자의 망막 상에서 포커스된다. 따라서, 점의 망막 이미지는 원시 피검자에 의해서 선명하게 인식된다.
더 일반적으로, 눈의 굴절 오류를 아는 경우에, 눈에 의해서 포커스되어 보이는 명시야를 또한 생성할 수 있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상이한 방향들을 따라 예를 들어 X 및 Y 방향을 따라 상이한 눈 수차들에 상응하는 명시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의 축의 방향 및 난시 오류(또는 실린더)의 양을 아는 경우에, 구면 오차뿐만 아니라 난시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고차 수차(HOA)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생성된 명시야를 최적화하여 망막에서 선명한 이미지(더 많은 자유도를 갖는 개선된 디콘볼루션(deconvolution))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피검자의 눈의 결함을 교정 또는 보상하는 대신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이는 문제를 반전시키는 것 그리고 우측 쪽 눈과 좌측 눈의 굴절 특성을 구분할 수 있게 하면서, 특히 양안 시력 조건에서, 피검자의 눈의 굴절 오류를 주관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제시한다.
장치
이를 위해서, 우측 눈 및 좌측 눈을 위한 상이한 명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눈에 독립적인 명시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결국, 부가적인 렌즈가 없어도 우측 눈 및 좌측 눈 굴절 특성들을 구분하면서 눈의 양안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제1 실시형태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시스템(100)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 제어 유닛(80), 및 피검자(10)의 제1 눈(1) 및 제2 눈(2)의 각각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6)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위치결정 시스템(6)은 또한 제1 눈(1) 및 제2 눈(2)의 각각의 동공의 중심 및 동공 직경을 결정한다. 위치결정 시스템(6)은 각각의 눈으로 오는 광선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핀홀의 어레이 또는 렌즈렛 어레이와 조합된 고해상도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유형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려된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에 대한 3D 직교 기준계(XYZ)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XY 평면 내에 위치된 스크린 표면을 포함하고, Z 축은 LFD(60)의 표면에 직교한다.
위치결정 시스템(6)은 카메라 및 비행-시간 센서 또는 3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결정 시스템(6)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 시스템(6)은 제1 방향(7)을 검출하고 제1 눈(1)의 동공 중심과 위치결정 시스템(6) 사이의 제1 거리를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위치결정 시스템(6)은 제2 방향(8)을 검출하고 제2 눈(2)의 동공 중심과 위치결정 시스템(6) 사이의 제2 거리를 측정한다. 위치결정 시스템(6) 및/또는 제어 유닛(80)은 그로부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기준계(X, Y, Z)에 대한, 피검자의 제1 눈(1) 및 제2 눈(2)의 3차원(3D)의 각각의 위치를 추정한다. 위치결정 시스템(6)은 예를 들어 각각 제1 눈(1) 및 제2 눈(2)의 동공 중심의 3D 위치를 제어 유닛(80)에 전송한다. 유리하게, 위치결정 시스템(6)은 각각 제1 눈(1) 및 제2 눈(2)의 동공 직경, 및/또는 제1 눈(1)과 제2 눈(2) 사이의 동공간 거리를 측정한다. 이어서, 위치결정 시스템(6)은 측정된 동공 직경 및/또는 동공간 거리를 제어 유닛(80)에 전송한다. 위치결정 시스템(6) 및/또는 제어 유닛(80)은 또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와 제1 눈(1) 및 제2 눈(2) 각각의 사이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간략히, 제어 유닛(80)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기준계(X, Y, Z)에 대한 제1 눈(1)의 3D 위치 및 제2 눈(2)의 3D 위치를 위치결정 시스템(6)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위치결정 시스템(6)에 의해서 송신된 정보로부터 추정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제1 지역(61) 및 제2 지역(62)을 포함한다. 제1 지역(61) 및 제2 지역(62)은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제1 지역(61) 및 제2 지역(62)은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생성되나, 구분된 능동 픽셀들에 상응한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2개의 별개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제1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명시야를 생성하고 제2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명시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경우에, 제1 지역(61)은 제1 눈(1) 전방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 절반에 상응하고, 제2 지역(62)은 제2 눈(2) 전방의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절반에 상응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80)이 LFD(60)의 제1 지역(61)에 어드레스하여, 피검자(10)의 제1 눈(1)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된 제1 명시야(71)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80)은 LFD(60)의 제2 지역(62)에 어드레스하여, 피검자(10)의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된 제2 명시야(72)를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눈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피검자의 시상면 내의 불투명 벽과 같은 부가적인 차단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제1 눈(1)은 제2 명시야(72)를 수용하지 않고, 제2 눈(2)은 제1 명시야(71)를 수용하지 않는다. 제1 명시야(71)는 제1 눈(1)에 의해서만 수용되도록 성형된다. 제1 명시야(71)와 독립적으로, 제2 명시야(72)는 제2 눈(2)에 의해서만 수용되도록 성형된다.
단안 시력 조건에서, 제어 유닛(80) 및 LFD(60)는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 중 하나만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안 시력에서,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가 동시에 생성되고, 제1 눈(1) 및 제2 눈(2) 중 하나가 차단된다. 예를 들어, 테스트되지 않는 눈은 해당 눈의 전방에서 사용자의 한 손으로 또는 카드를 사용하여 차단된다. 다른 대안에 따라, 제1 또는 제2 명시야는 (단안 검사에서) 테스트되지 않는 눈을 향해서 지향되고, 이러한 명시야는 흐린 이미지로 테스트되지 않는 눈을 조사하도록 그리고 테스트되지 않는 눈의 원근조절을 이완시키도록 구성된다.
양안 시력 조건에서, 제1 실시형태는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고, 2개의 명시야는 서로 독립적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양안 시력에서, 제1 눈(1) 및 제2 눈(2) 모두는 LFD(60)의 스크린의 훨씬 뒤쪽의 점을 응시한다. 도 7은, 제1 눈(1) 및 제2 눈(2)의 각각의 동공 중심을 통과하는 제1 눈 응시 방향(11) 및 제2 응시 방향(12)의 각각, 그리고 점의 가상 이미지를 도시한다. 먼 점의 경우에, 자연적인 양안 시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표적의 거리에 따라 수렴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눈들의 위치 및 표적의 거리를 아는 경우에, 이는 쉽게 계산된다. 희망하는 자연 수렴을 기초로, 주어진 거리에서 가상 표적을 시뮬레이트하도록, 2개의 명시야(71, 72)가 생성된다. 무한대의 점의 경우에, 제1 눈 응시 방향(11) 및 제2 눈 응시 방향(12)은 대체로 서로 평행하다. 원거리 시력에서, 가상 거리는 4 m 내지 무한대의 범위를 포함한다. 현재의 수단을 사용하면, 가상 거리는 일반적으로 4 내지 8 미터, 예를 들어 6 m이고, 제1 응시 방향(11) 및 제2 응시 방향(12)은 약간 수렴된다. 근거리 시력 조건에서, 제1 눈 응시 방향(11) 및 제2 눈 응시 방향(12)은 대체로 동일 지점 또는 이미지 상에서 수렴한다. 또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2개의 눈들 사이의 미리 결정된 수렴 각도와 조합된, 근거리 시력 또는 중간 시력에서 하향 응시 방향에 상응하는 지점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거리 및 방향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사용하여 테스트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라 피검자의 양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시스템(100)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40)와 조합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을 포함하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기초로 한다. 다른 픽셀(24)은 오프로 유지하면서 일부 픽셀(23)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제1 지역(61) 및 제2 지역(62)내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명시야를 생성하고,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는 각각의 눈에 대해서 상이한 굴절 특징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눈(1)은 근시이고, 제1 명시야(71)는 -1D 구면 굴절 교정을 제공하고, 제2 눈(2)은 정시이고, 제2 명시야(72)는 어떠한 굴절 교정도 제공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일부 픽셀(23)은 온인 반면, 다른 픽셀(24)은 오프이고, 제1 지역(61) 및 제2 지역(62)에서 온 및 오프인 픽셀들 및/또는 온인 픽셀과 오프인 픽셀에 대한 상이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이 상이하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눈(1)을 향한 발산 빔들의 제1 명시야(71) 및 제2 눈(2)을 향한 평행 빔들의 제2 명시야(72)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시각적 자극은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에 의해서 선택된 거리에서 동시에 생성된다. 시각적 자극은 여기에서, 제1 눈(1) 및 제2 눈(2)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점이고, 그에 따라 양한 시력 조건에서 융합을 허용한다.
도 8에는 각각 제1 및 제2의 눈 모션 박스(각각 13, 14)가 도시되어 있다. 눈 모션 박스(각각 13, 14)는, 제1 눈(1) 및 제2 눈(2) 각각이 자극을 볼 수 있는 구역에 상응한다. 제1 눈(1)은 제1 지역(61)에 의해서 생성된 제1 자극만을 보는 한편, 제2 눈(2)은 제2 지역(62)에 의해서 생성된 제2 자극만을 보도록, 눈 모션 박스(13, 14)가 공간적으로 제한된다. 도 8에서, 제1 지역(61) 내의 3개의 마이크로렌즈(41)는 제1 눈(1) 동공으로부터 오는 제1 명시야를 제공하고, 제2 지역(62) 내의 4개의 다른 마이크로렌즈(42)는 제2 눈(2) 동공으로부터 오는 제2 명시야를 제공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안 시력 조건에서 피검자가 볼 수 있는 예시적인 시각적 자극을 도시한다. 2개의 망막 이미지가 융합되고, 이는 피검자(10)가 각각의 눈에 대해서 상이하고 적절한 굴절 교정을 가지고 피검자의 시계(90) 내에서 점(91)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자극의 이미지는 제1 자극 및 제2 자극의 중첩 또는 융합에 의해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자극의 이미지는 검은색 배경에서 빛나는 점으로 나타난다.
도 10은 피검자(10)의 제1 눈(1) 및 제2 눈(2)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제2 실시형태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2개의 분리된 지역들(61, 62)을 사용하는 대신, 동일 명시야 지역(63)을 사용하여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를 생성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는 시간적 교번에 의해서, 다시 말해서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지역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위치결정 시스템(6)은 제1 눈(1) 및 제2 눈(2)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는 제어 유닛(80) 및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가 제1 명시야(71)를 피검자(10)의 제1 눈(1)을 향해서 그리고 제2 명시야(72)를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시킬 수 있게 한다.
단안 시력 조건에서,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 한 번에 제1 및 제2 명시야 중 하나만이 생성된다. 따라서, 어떠한 차단 수단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단지 하나의 눈이 이러한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된 명시야를 수용한다.
양안 시력에서,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가 교번적으로 그러나 빠른 시간적 교번으로 생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는 20 헤르쯔 내지 120 헤르쯔의 문턱값보다 큰 교번 주파수로 생성되고, 그에 따라 2개의 눈에 보이는 이미지들을 융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자극은 시력 검사표일 수 있다.
프로세스
이제,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어떻게 사용하여 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굴절은 더 광범위한 눈 검사의 단지 일부이고, 여기에서는 원거리 시력 그리고 선택적으로 근거리 시력에서의 굴절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라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각각의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독립적인 명시야를 생성한다. 개시된 프로세스는, 단안 또는 양안 시력 조건이든 간에, 부가적인 렌즈가 없이, 각각의 눈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적절한 굴절 교정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가 피검자의 눈의 전방에 배치된다. 작업 거리 또는 다시 말해서 피검자의 눈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를 수 있다. 일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짧은 작업 거리, 예를 들어 AR/VR 적용예에서 5 mm 내지 50 mm로 설계된다. 다른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짧은 작업 거리 내지 중간 작업 거리,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서 300 mm 내지 600 mm로 설계된다. 또 다른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TV-유사 용도에서 긴 작업 거리로 설계될 수 있다(2 내지 5 m).
원거리 시력 굴절 측정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리적 위치와 관계없이, 원근조정을 줄이기 위해서 무한대에 근접하여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자극의 가상 이미지는 또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각각의 눈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적절한 명시야를 생성하기 위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준계에서 각각의 눈의 동공 직경 및 위치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필요하다. 동공 직경 및 위치를 사용하여,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광선 중 어떠한 광선이 눈의 동공에 유용하게 도달할 수 있고 어떠한 광선이 유용하지 않은지를 추정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및 비행-시간 센서를 사용하여 또는 위치결정 시스템(6)의 3D 센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적어도 2개의 독립적인 명시야, 즉 각각의 눈에 대해 1개의 명시야를 동시에 또는 시간 다중화(time multiplexing)로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셋업은 2개의 분리된 이미지(각각의 눈에 대한 하나의 이미지) 및 2개의 상이한 교정, 즉 각각의 눈에 대한 특정 굴절 교정에 어드레스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명시야(71, 72)가 예를 들어 스피어(Sph), 실린더 및 축(Cyl 및 Axis),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차 수차(HOA)에 대한 특정 교정을 위해서 생성된다. 각각의 명시야(71, 72)는 고려되는 동공 직경,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와 눈 사이의 거리, 표적화된 가상 이미지 및 눈 사이의 거리, 스크린 및 망막 상의 표적화된 이미지의 특성의 함수로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명시야는 광선-추적을 기초로 하는 상이한 모델들을 사용하여 시뮬레이트될 수 있다. 망막 상의 예상되는 그림에서, 광선-추적 모델을 사용하여, 눈의 주어진 결함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모든 광선을 LFD까지 역-전파하고 상응하는 생성 광선을 선택한다.
예시로서, 본원에서 원거리 시력에서 굴절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A, B 및 C로 표시된 몇 개의 페이즈(phase)를 포함한다. 페이즈 A 및 페이즈 B(별도)에서, 테스트가 좌측 눈 또는 우측 눈에 대해서 단안 시력 조건에서 수행되고 이어서 페이즈 A+B가 다른 눈에 대해서 수행된다. 페이즈 C에서, 테스트는 양안 시력 조건에서 수행된다.
단안 검사 중에, 테스트되지 않는 눈의 차단이 필요할 수 있다. 페이즈 A 및 B 중에, 양 눈을 조사하는 명시야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의 눈(굴절(Rx)의 측정이 실행되지 않는 눈) 의 전방에서 사람의 손 또는 카드를 사용하여, 해당 눈을 차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측정되는 눈만을 조사하는 명시야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눈은 명시야를 인식하지 않고 어두운 배경만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대안적으로, 다른 명시야가 테스트되지 않는 눈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다른 명시야는 테스트되지 않는 눈에서 흐릿한 망막 이미지를 생성하여 원근조정을 이완시킨다.
또 다른 대안에 따라, 제1 명시야가 제1 이미지로서 제1 눈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되고 제2 명시야가 제2 이미지로서 제2 눈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된다. 더 정확하게, 제1 명시야는 제1 눈 상에서 제1 망막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2 명시야는 제2 눈 상에서 제2 망막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1 명시야 및 제2 명시야는, 양 눈에 보이는, 양 눈에 공통되는 제1 및 제2 이미지의, 일반적으로 주변부 내의, 부분을 갖는다. 제1 눈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제1 명시야만이, 대체로 그 중심에서, 예를 들어 시력 검사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특정 부분을 가지는 반면, 제2 명시야의 중심은 비어 있거나 특정 부분을 가지지 않거나 상당히 감소된 콘트라스트를 갖는다. 중앙 부분은 제2 눈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제1 명시야와 제2 명시야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주변부 내의 공통 부분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제1 명시야 및 제2 명시야의 조합은 이미지의 공통 부분 내에서 공통 3D 물체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조합은 제1 및 제2 이미지의 공통 부분에 상응하는 결정된 가상 거리에서 제1 및 제2 눈의 원근조정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명시야 또는 제2 명시야 중 하나만이 제1 또는 제2 이미지의, 대체로 중앙의, 다른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부분은 테스트되는 눈에 의해서만 보인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원근조정 거리에서 2개의 눈의 원근조정을 강제하면서, 하나의 눈의 굴절이 테스트될 수 있다.
페이즈 A. 스피어의 탐색(단안)
포그-방법(fog-method)의 적용 및 적응이 제시된다. 이러한 잘 공지된 방법은, 망막의 전방에서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굴절력(예를 들어, +1.50 D)을 초기 굴절 값에 부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는 원근조정을 이완할 수 있게 한다. 초기 굴절 값은 일반적으로 -20 D 내지 +20 D이다. 초기 굴절 값은, 부가적인 렌즈 없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다. 부가 포그 값(예를 들어, +1.5 D)은 또한, 부가적인 렌즈 없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미지는 낮은 시력으로 흐리게 보인다. 이어서, 프로세스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사용하여 이러한 부가적인 스피어를, 예를 들어 0.25 D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적의 시력을 찾고, 시력이 개선되지 않을 때 중단한다. 스피어 값은 최대 시력을 제공하는 가장 큰 값이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눈에서 포그 프로세스를 시뮬레이트한다. 초기 굴절(S0, C0, A0)은 이전의 굴절 실험으로부터 결정되거나 다른 객관적 방법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고, S0는 초기 굴절 값을 나타내고, C0는 초기 실린더 값을 나타내며, A0는 초기 축 값을 나타낸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S0+ΔS, C0, A0)의 굴절에 상응하는 명시야를 생성하고, 여기에서 ΔS는 가변 굴절을 나타낸다. ΔS는 초기에 +1.50 디옵터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망막의 흐린 이미지를 생성하고 원근조정을 이완시킨다. 이어서, 명시야를 수정하여, 최적의 스피어 값이 결정될 때까지, ΔS를 단계별로 감소시키고 시력을 개선한다. 최적의 스피어 값은 일반적으로 피검자에 의해서 선명하게 보이는 제1 이미지에 상응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때, 단위가 반드시 0.25 D인 것은 아니다. ΔS의 단계는 0.25 D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차 장벽 또는 렌즈렛 어레이와 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 ΔS의 최소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의 픽셀 피치(p) 및 핀홀 피치 또는 마이크로렌즈 피치(Δx)에 따라 달라진다. 굴절이 순전히 구면인 경우에, 이러한 페이즈 A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가상 이미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과 같다.
초기 값이 없는 경우, 스피어의 완전한 탐색
이러한 경우에,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Badal 옵토미터(optometer)를 시뮬레이트한다. 다시 말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눈에 근접하여 오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을 때 중단하며, 이는 구면 등가의 첫 번째 추정을 제공한다(SE = S + C/2). 이미지는 예를 들어 작은 상세 부분 또는 패터닝된 이미지를 갖는 시력 검사표일 수 있다.
도 11은 피검자의 눈(1)으로부터 500 mm의 거리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갖는 예를 도시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이미지(51)가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 전방의 600 mm에 위치되도록, +10 D 구면 굴절 또는 다시 말해서 눈(1)의 뒤쪽으로 100 mm에 상응하는 명시야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리는 무한대(위치(52))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이어서 다시 0 내지 400 mm의 LFD 전방(위치(54))에 위치될 때까지, 가상 이미지는 스크린 뒤(위치(53))에 위치된다. 프로세스는 제1 위치에서 매우 선명하게 중단되고, 상응 거리(d)는, 단순한 관계식(S=-1/d)을 사용하여, 최적의 스피어 값(S)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피검자의 굴절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Badal 옵토미터의 원리에 따라, 상이한 가상 거리들에 위치되는 이미지의 동일한 가시적인 크기를 유지하면서, 원근조정을 이완시킬 수 있게 한다.
페이즈 B. 실린더의 탐색(단안)
크로스-실린더와 동등한 방법을 사용하여 축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피검자(10)의 눈(1)을 향한 명시야(71)를 생성하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에, 명시야(71)는, 축(A0)에 대한 구면 굴절(S0) 및 실린더 굴절(C0)을 시뮬레이트하는 발산 또는 수렴 광선에 상응한다. 생성되는 이미지는 시력 검사표 또는 검은색 도트의 무리(cloud)에 상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면 굴절(S0)은, 원거리 시력에서 페이즈 A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페이즈 A에서 확인된 최적의 SE에서 결정된다.
검사의 페이즈 B는 실린더의 원래의 축을 초기 값(S0, C0, A0)으로부터 변경하는 것 및 2개의 상이한 축 값들을 갖는 동일 공급원의 이미지: A0+ΔA 및 A0-ΔA(ΔA는 A0 및 선택된 크로스 실린더 0.25 D 또는 0.50 D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를 동일한 눈(1)에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A0가 최적의 값인 경우에, 피검자는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갖는 2개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A0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A로 변화된다. 피검자가 2개의 이미지를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때까지, 하나는 A+ΔA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A-ΔA를 가지는 2개의 이미지가 동일한 눈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의 상이한 축 값들(A+ΔA에 상응하는 하나의 이미지 및 A-ΔA에 상응하는 다른 이미지)을 교번적으로 동일한 눈에 제공하고, 피검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명시야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고 그 각각의 흐림 레벨을 비교할 수 있도록, 교번 주파수는 충분히 낮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상이한 지역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눈에 대한 2개의 상이한 축 값들에 상응하는 2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생성한다.
도 12는 단안 시력에서 피검자(10)의 시계(90) 내에서 나란히 생성되는 2개의 이미지(93, 94)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93)는 (S0, C0, A0+ΔA) 교정을 갖는 지역에 상응하고, 이미지(94)는 (S0, C0, A0-ΔA) 교정을 갖는 지역에 상응한다. 이는, 2개의 이미지(93, 94)가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가지는지를 피검자가 비교 및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크로스-실린더와 동등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린더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검사의 이러한 단계는 실린더의 원래의 값을 초기 값(S0, C0, A0)으로부터 변경하는 것 그리고 2개의 상이한 값: C0+ΔC 및 C0-ΔC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된다. C0가 최적의 값인 경우에, 피검자는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갖는 2개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C0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C로 변화된다. 피검자가 2개의 이미지를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때까지, 하나는 C+ΔC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C-ΔC를 가지는 2개의 이미지가 동일한 눈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의 상이한 실린더 값(C+ΔC에 상응하는 하나의 이미지 및 C-ΔC에 상응하는 다른 이미지)을 동일 눈에 교번적으로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2개의 상이한 지역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눈에 대한 2개의 상이한 실린더 값들에 상응하는 2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생성한다.
도 13은 단안 시력에서 피검자(10)의 시계(90) 내에서 나란히 생성되는 2개의 이미지(95, 96)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95)는 (S0-ΔC/2, C0+ΔC, A0) 교정을 갖는 지역에 상응하고, 이미지(96)는 (S0-ΔC/2, C0-ΔC, A0) 교정을 갖는 지역에 상응한다. 스피어 값은 일정 SE에서 동작하도록 S0-ΔC/2로 변화된다. 이는, 2개의 이미지(95, 96)가 동일한 흐림 레벨을 가지는지를 피검자가 비교 및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축 및 실린더 값을 동시에 결정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N 개의 상이한 교정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이한 교정 변화 축 및 실린더 값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동시에 생성한다.
초기 값은 여기에서 J0/J45 기준: [C0*cos(2*A); C0*sin(2*A)] = [X0; Y0]으로 규정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4개의 상이한 선택: [X0+δ; Y0], [X0-δ; Y0], [X0; Y0-δ] 및 [X0; Y0-δ]에 상응하는 4개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여기에서 δ는 디옵터의 작은 단위이다.
각각의 δ 값에 대해서, 피검자는 우선 방향, 또는 달리 말해서, 4개의 선택 중에서 덜 흐린 이미지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4개의 상이한 선택들은: [X0+δ/√2; Y0+δ/√2], [X0-δ/√2; Y0-δ/√2], [X0-δ/√2; Y0+δ/√2], [X0+δ/√2; Y0-δ/√2]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6개의 상이한 선택에 상응하는 6개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X0+δ*cos(0); Y0+δ*sin(0)], [X0+δ*cos(60°); Y0+δ*sin(60°)],
[X0+δ*cos(120°); Y0+δ*sin(120°)], [X0+δ*cos(180°); Y0+δ*sin(180°)],
[X0+δ*cos(240°); Y0+δ*sin(240°)] / [X0+δ*cos(300°); Y0+δ*sin(300°)].
각각의 δ 값에 대해서, 피검자는 우선 방향, 또는 달리 말해서, 6개의 선택 중에서 덜 흐린 이미지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다수 선택의 경우에, 예를 들어 위치결정 시스템(6)의 눈-추적기 또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출된 응시 방향의 함수로서 피검자의 응답이 자동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어(S)의 레벨이 각각의 부가된 -0.50 D의 실린더 값에 대해서 +0.25 D만큼 조정된다.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축 및 실린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초기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완전한 탐색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0 내지 180도의 가변 축을 따른 작은 실린더의 연속적인 변동(0.5 D로부터 1.0 D까지)을 갖는 명시야를 생성하고, 프로세스는, 피검자가 최적의 포커스 위치를 결정한 때, 중단된다. 대안적으로, 고정 실린더 값(0.5 D)이 4-사분체 방법(four-quadrant method)에서와 같이 4개의 주 방향으로 테스트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스피어의 체크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는 확인된 스피어 값에 +0.25 D를 부가하고 다른 하나는 -0.25 D를 부가한, 2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된 스피어가 최적의 시력을 제공하는 최대 값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페이즈 C. 양안 최적화 및 체크
첫 번째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시력 조건에서, 각각의 눈을 위한 동일 테스트의 분리된 뷰(view)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융합을 갖도록 2개의 이미지의 공통 부분을 사용하는 한편, 문자는 좌측 눈만을 위해서 사용되고 동일한 문자는 우측 눈을 위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피검자는 선명도를 비교한다. 2개의 뷰의 선명도가 상이한 경우에, 2개의 스피어의 밸런스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는 원거리 시력에서, 그리고 시작 시에 각각의 눈에 대해서 단안 굴절을 가지고 수행된다.
여기에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우측 눈(SR, CR, αR) 및 좌측 눈(SL, CL, αL)에 대한 단안 시력에서 이전에 확인된 2개의 굴절 오류를 갖는 동일 이미지의 2개의 명시야를 생성한다. 이러한 단계는 동일 원근조정 상태에서 2개의 눈에 보이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쪽 눈에 대해서 예를 들어 +0.5 D의 부가적인 스피어를 갖는 명시야를 생성한다. 2개의 이미지의 흐림 레벨을 비교하도록 피검자에게 요청한다. 흐림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 밸런스는 필요치 않다. 흐림 레벨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2개의 눈의 밸런스를 위해서, 이미지를 덜 흐리게 보는 눈에 대해서 +0.25 D 또는 +0.50 D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최대 시력에 도달하기 위해서, 2개의 눈의 스피어 값이 0.25 D의 단위로 감소된다.
이어서,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또는 입체 테스팅을 위해서 사용된다.
양안 시력에 대한 통상적인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프리즘, 착색 필터 및/또는 편광 테스트를 사용하여, 우측 눈 및 좌측 눈으로 지향된 이미지들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좌측 눈 및 우측 눈 각각에 대해서 2개의 분리된 명시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의 능력을 사용하여 굴절에 따른 입체 능력을 체크한다.
더 정확하게, 무한대의 이미지로, 마지막 테스트 및 +/- 0.25 D의 조정. 양 명시야에 대한 +0.25 D의 부가적인 스피어는 양안 시력을 흐리게할 것인 반면, -0.25 D의 부가적인 스피어 값은 양안 시력에서 어떠한 것도 변경하지 않을 것이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근거리 시력에서 굴절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피검자의 원근조정 범위의 평가를 기초로 한다.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거리 시력에서 확인된 굴절 교정에 따라, 상이한 거리들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시각적 시력이 유지되는 가장 짧은 거리는 원근조정 범위에 상응한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시력에서 필요한 부가는 디옵터의 원근조정 범위의 약 2/3이다.
따라서, 동일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가 근거리 시력에서 굴절을 결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프로세스 및 내용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되고 정의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대체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피검자(10)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으로서,
    - 3차원적인 기준을 갖는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
    - 상기 기준에 대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관찰하는 상기 피검자(10)의 제1 및 제2 눈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6);
    -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유닛(80)
    을 포함하고,
    -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상기 피검자(10)의 제1 눈(10)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71)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명시야(71)는 상기 피검자(10)의 제1 눈(1)에서 제1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80)은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제1 눈에 의해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눈에 대한 제1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명시야(71)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80)은 상기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상기 피검자(10)의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72)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명시야(72)는 상기 피검자(10)의 제2 눈(2)에서 제2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80)은 적어도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제2 눈에 의해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눈에 대한 제2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2 명시야(72)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80)은 상기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으로부터 상기 제2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단일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는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동일 지역으로부터 또는 2개의 구분된 지역들로부터 생성되는, 시스템(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상기 피검자(10)의 상기 제1 눈(1)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상기 제1 명시야(71)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린 및 상기 피검자(10)의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72)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는, 시스템(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선명도에 대한 상기 피검자(10)의 제1 응답 및 상기 제2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선명도에 대한 상기 피검자(10)의 제2 응답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80)은 기록된 상기 제1 및 제2 응답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명시야(71, 72)를 각각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굴절 매개변수의 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80)은 입력된 상기 제1 및 제2 굴절 매개변수 값의 함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명시야(71, 72)를 각각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눈(1)을 향한 상기 제1 명시야(7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하거나 상기 제2 눈(2)을 향한 상기 제2 명시야(72)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는, 픽셀의 어레이 및 픽셀의 어레이 상에 적층된 시차 장벽 마스크, 또는 다층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시스템(6)은 눈 추적기, 3D 스캐닝 장치, 카메라, 비행-시간 센서 및/또는 동공-크기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시스템(6)은 눈 응시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10)가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융합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시각적 자극을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포함하도록, 상기 제1 명시야(71) 및 제2 명시야(72)가 미리 결정되는, 시스템(100).
  11. 피검자(10)의 양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a)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의 3차원적인 기준에 대한 상기 피검자(10)의 제1 눈(1)의 위치 및 제2 눈(2)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피검자(10)의 제1 눈(1)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1 명시야(71)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사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명시야(71)는 상기 피검자(10)의 제1 눈(1)에서 제1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c)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가 제1 눈에 의해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1 눈의 제1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1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제1 명시야(71)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제1 굴절 매개변수의 제1 조정 값으로부터 상기 제1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피검자(10)의 제2 눈(2)을 향해서 선택적으로 지향되는 제2 명시야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명시야 디스플레이 장치(60)를 사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명시야(72)는 상기 피검자(10)의 제2 눈(2)에서 제2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f) 적어도,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제2 눈에 의해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에 대해서 교정되어 인식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눈의 제2 광학적 수차와 연관된 제2 굴절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상기 제2 명시야(72)를 조정하는 단계;
    g) 상기 제2 굴절 매개변수의 제2 조정 값으로부터 상기 제2 눈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 그리고 상기 단계 e) 및 f)는 각각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단계 b) 및 c) 중에 상기 제2 명시야(72)는 오프되거나 상기 제2 눈(2)을 향해서 차단되고, 상기 단계 e) 및 f) 중에 상기 제1 명시야(71)는 오프되거나 상기 제1 눈(1)을 향해서 차단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 그리고, 상기 단계 e) 및 f)가 각각 동시에 수행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단안 시력에서 상기 제1 눈(10)에 대한 제12항에 따른 작동 및 단안 시력에서 상기 제2 눈(2)에 대한 제12항에 따른 다른 작동 및 양안 시력에서 상기 제1 눈(1) 및 제2 눈(2)에 대한 동시적인 제13항에 따른 작동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 상기 제1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선명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제1 응답을 기록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2 눈에 의해서 인식되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선명도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제2 응답을 기록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되,
    단계 c) 중에, 상기 제1 명시야(71)는 단계 h) 중에 기록된 상기 제1 응답의 함수로서 조정되고, 단계 f) 중에, 상기 제2 명시야(72)는 단계 i) 중에 기록된 상기 제2 응답의 함수로서 조정되는, 방법.
KR1020227018766A 2019-12-16 2020-12-15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6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306653.7 2019-12-16
EP19306653 2019-12-16
PCT/EP2020/086278 WO2021122640A1 (en) 2019-12-16 2020-12-1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raction features of both first and second eyes of a su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59A true KR20220116159A (ko) 2022-08-22

Family

ID=6917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766A KR20220116159A (ko) 2019-12-16 2020-12-15 피검자의 제1 및 제2 눈 모두의 굴절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53457A1 (ko)
EP (1) EP4076139B1 (ko)
JP (1) JP2023506515A (ko)
KR (1) KR20220116159A (ko)
CN (1) CN114828730A (ko)
WO (1) WO2021122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0460B2 (en) 2018-10-22 2022-11-15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device, optical aberration compensation or simulation rendering
US11327563B2 (en) 2018-10-22 2022-05-10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vision-based testing device, adjusted pixel rendering method therefor, and online vision-based test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11966507B2 (en) 2018-10-22 2024-04-23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vision testing device, adjusted pixel rendering method therefor, and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11789531B2 (en) 2019-01-28 2023-10-17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vision-based tes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11500461B2 (en) 2019-11-01 2022-11-15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vision-based tes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11635617B2 (en) 2019-04-23 2023-04-25 Evolution Optiks Limited Digi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mplementary light field display or display portion,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11902498B2 (en) 2019-08-26 2024-02-13 Evolution Optiks Limited Binocular light field display, adjusted pixel rendering method therefor,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11487361B1 (en) 2019-11-01 2022-11-01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device and vision testing system using same
US11823598B2 (en) 2019-11-01 2023-11-21 Evolution Optiks Limited Light field device, variable perception pixel rendering method therefor, and variable percep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CN114189623B (zh) * 2021-09-01 2023-03-24 深圳盛达同泽科技有限公司 基于光场的屈光图形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8020010A (zh) 2021-09-28 2024-05-10 见真实股份有限公司 生成光学矫正的虚像的光场投影仪和通过使用该光场投影仪生成经矫正的虚像的方法
EP4218540A1 (en) 2022-01-26 2023-08-02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simulating an ophthalmic lens on an eye of a subject viewing a virtual three-dimensions scene using a light field display
EP4364643A1 (en) * 2022-11-04 2024-05-08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refractive erro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7750A1 (en) 2013-05-01 2014-11-06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 scene as a light field
US20140327771A1 (en) 2013-05-01 2014-11-06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 scene as a light field
US10529059B2 (en) 2014-08-11 2020-01-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sion correcting display with aberration compensation using inverse blurring and a light field display
CA2901477C (en) 2015-08-25 2023-07-18 Evolution Optiks Limited Vision correction syste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mplementation on electronic devices having a graphical display
WO2018091984A1 (en) 2016-11-15 2018-05-24 Creal3D Sa Near-eye sequential light-field projector with correct monocular depth cues
FR3059537B1 (fr) 2016-12-07 2019-05-17 Essilor International Appareil et procede de mesure de refraction oculaire subjective de haute resolution en puissance optique spherique et/ou cylindr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6515A (ja) 2023-02-16
US20230053457A1 (en) 2023-02-23
EP4076139A1 (en) 2022-10-26
EP4076139B1 (en) 2023-11-08
WO2021122640A1 (en) 2021-06-24
CN114828730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761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fraction features of both first and second eyes of a subject
US10292581B2 (en) Display device for demonstrating optical properties of eyeglasses
US10548473B2 (en) Optometry measuring scale
Rolland et al. Towards quantifying depth and size perception in virtual environments
US7828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fixation disparity and proprioceptive misalignment of the visual system
US20090295683A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variable focal length lens
US5483305A (en) Eye examining apparatus
EP2560543A1 (en) Near eye tool for refractive assessment
CN104010563B (zh) 双眼多路复用方法和装置
ES2932157T3 (es) Determinación de un error de refracción de un ojo
US20170261767A1 (en) Optical visual aid with additional astigmatism
Nguyen et al. Detection of the depth order of defocused images
JP2018042760A (ja) 眼科検査装置
JP7491953B2 (ja) 両眼屈折機器、テスト画像のセット、両眼屈折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90060B2 (ja) 眼科装置
US20230036885A1 (en) Method for quantifying ocular dominance of a subject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quantifying ocular dominance of a subject
EP4082422A1 (en) Optometry device for binocular testing of the eyes of a subject
US202401971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ccurate values of refractive features of an eye of a subject in near andor intermediary vision conditions and associated method
IL305329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optometric parameters
WO2023233411A1 (en) Eye ex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eye examination
CN118234424A (zh) 用于比较两个具有不同光学设计的眼科镜片的方法
KR20150049857A (ko) 양안용 시각 모의 실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