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823A -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823A
KR20220115823A KR1020227027493A KR20227027493A KR20220115823A KR 20220115823 A KR20220115823 A KR 20220115823A KR 1020227027493 A KR1020227027493 A KR 1020227027493A KR 20227027493 A KR20227027493 A KR 20227027493A KR 20220115823 A KR20220115823 A KR 2022011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le structure
midsole unit
filled bladder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471B1 (ko
Inventor
브라이언 피 콘래드
로쓰 클라인
트로이 씨 린드너
브라이언 알 피코
제프리 조지 라스무센
브라이언 케이 영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1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10)을 위한 솔 구조체(12)는 제1 플레이트(40), 제1 플레이트(40) 상에 지지되는 유체 충전 블래더(fluid-filled bladder)(44),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42) -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제1 플레이트(40)와 제2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됨 - 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40)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제2 플레이트(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40)의 뒤쪽 부분(54)이 제2 플레이트(42)의 뒤쪽 부분 위에 있다. 신발류 솔 구조체(12)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에 대한 솔 구조체들(12)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솔 구조체(12)는 복수의 범위 중 적어도 2개에 대해 상이한 소정의 팽창 압력을 갖는 유체 충전 블래더(4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SOLE STRUCTURE WITH PLATES AND INTERVENING FLUID-FILLED BLAD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660,547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또한 2018년 8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15,056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둘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sole structure) 및 신발류 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발을 이격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솔 구조체를 포함한다. 솔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완충, 모션 제어(motion control) 및 탄력성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 2005/0102859 (2005.05.1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솔 구조체 및 솔 구조체에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솔 구조체의 사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4-4에서 취한 도 3의 솔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솔 구조체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솔 구조체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 및 유체 충전 블래더(fluid-filled bladder)의 내측 측면도로서, 중창 유닛(midsole units) 및 겉창 구성요소(outsole components)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7은 도 6의 플레이트들 및 유체 충전 블래더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솔 구조체의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솔 구조체의 구성요소들의 배면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선 10B-10B에서 취한 제1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a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선 11B-11B에서 취한 제1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솔 구조체의 전족 중창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a의 제1 플레이트 상에 스택된 도 12의 전족 중창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솔 구조체의 제2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솔 구조체의 후방부 중창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3의 선 17-17에서 취한 도 1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에 대한 대안적인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솔 구조체 및 솔 구조체에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선 20-20에서 취한 도 19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신발류 물품에 대한 대안적인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솔 구조체 및 솔 구조체에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의 제2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3의 제1 플레이트, 도 27의 제2 플레이트, 및 도 21의 유체 충전 블래더의 내측 측면도로서, 중창 유닛 및 겉창 구성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0은 도 29의 플레이트들 및 유체 충전 블래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플레이트들 및 유체 충전 블래더를 갖고 중창 유닛 및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솔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솔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의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21의 유체 충전 블래더를 갖는 도 33의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제1 플레이트 및 유체 충전 블래더, 도 27의 제2 플레이트 및 전방부 중창 유닛을 갖는 솔 구조체의 개략도로서, 후방부 중창 유닛 및 겉창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7은 도 36의 선 37-37에서 취한 도 36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솔 구조체에 대한 후방부 중창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후방부 중창 유닛 및 도 27의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솔 구조체 및 솔 구조체에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선 42-42에서 취한 도 40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1, 제2 및 제3 플레이트들 및 유체 충전 블래더의 내측 측면도로서, 중창 유닛 및 겉창 구성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4는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3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3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8은 서로 끼워진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1 및 제3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9는 서로 끼워진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1 및 제3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50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2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제2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2는 겉창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3은 겉창 구성요소가 도시되지 않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40의 솔 구조체의 중창 구성요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40의 솔 구조체의 중창 구성요소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6은 전장 중창 유닛이 도시되지 않은 도 40의 솔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2의 선 57-57을 따라 취한 도 40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솔 구조체 및 솔 구조체에 고정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면도이다.
도 60은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전장 중창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1은 도 59의 선 61-61에서 취한 도 59의 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2는 도 58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3은 도 58의 솔 구조체의 제1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4는 도 62에서의 제1 플레이트에 조립된 도 60의 전장 중창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5는 도 58의 솔 구조체의 제3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6은 도 68의 솔 구조체의 제3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7은 서로 조립된 도 58의 솔 구조체의 전장 중창 유닛 및 제1, 제2 및 제3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8은 서로 조립되고 후방부 중창 유닛 및 유체 충전 블래더를 포함하는 도 58의 솔 구조체의 전장 중창 유닛 및 제1, 제2 및 제3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9는 3개의 상이한 크기 범위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도이다.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유체 충전 블래더에 가해지고 이로부터 수용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고유한 형상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플레이트들은 유체 블래더에 있을 때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반대 상대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며,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나의 플레이트는 상승하고 다른 하나는 하강한다.
일 예에서,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유체 충전 블래더, 및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상승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medial-side)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lateral-side)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두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질 수도 있고 테이퍼지지 않을 수도 있는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 사이에서 상승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플레이트의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아래로부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위로 유체 충전 블래더로부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로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상승하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며, 하강하고 테이퍼질 수 있고 테이퍼지지 않을 수도 있는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및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된 뒤쪽 부분은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는 이들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되고, 솔 구조체의 내측 측면도, 외측 측면도, 및/또는 저면도에서 볼 수 있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후방부의 말단 단부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말단 단부(들)의 후방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말단 단부(들)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모두를 포함하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수렴한다. 제2 플레이트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중앙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된 블래더의 후방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내측 아암 및 외측 아암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속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특정 위치들에서 그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분기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분기된 부분은 내측 돌출부 및 측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내측 돌출부 및 외측 돌출부 각각은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ridge)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의 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뒤쪽 부분의 후방부 범위로 분기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플레이트의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이 수렴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유체 충전 블래더는 분기된 부분의 내측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유체 충전 블래더는 분기된 부분의 외측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으로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1 플레이트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분기되지 않는다.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있는 횡방향 리지, 및 횡방향 리지와 정렬된 제1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있는 횡방향 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은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의 원위 측은 리세스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테이퍼질 수 있고, 테이퍼진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의 전방으로 수렴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 각각은 제1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를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 및/또는 발에 내측-외측 지지를 제공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의 원위 측은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의 근위 측은 리세스에 네스팅될(nested)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 주변 벽을 한정할 수 있다. 주변 벽은 발의 주변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멀리 그리고 토우 박스 주위와 같은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의 전방부 주위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 구멍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보다 탄력적인 전족 중창 유닛을 발가락이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발 운동을 도울 수 있다. 관통 구멍이 없는 제2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에서 끝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전족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최전방 에지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부 범위는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2 플레이트까지 유체 충전 블래더로부터 멀리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부 범위는 제1 플레이트에서 제2 플레이트까지 유체 충전 블래더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들의 기하학적 구조에 더하여,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위해 선택된 재료는 원하는 성능 특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복합재,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 유리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fiber strand-lain composit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또는 강철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는 쇼어 D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75의 경도를 갖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11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쇼어 A 경도계 스케일에서 대략 95의 경도를 갖는 사출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유체 충전 블래더(즉, 제1 유체 충전 블래더)가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제1 유체 충전 블래더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유체 충전 블래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블래더(들)는 각각 유체 충전 블래더의 상부 내부 표면과 유체 충전 블래더의 하부 내부 표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tethers)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 위의 그리고 아래의 플레이트들의 위치는 테더를 갖는 블래더의 영역에 걸쳐 압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가 압축 상태 하에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때 테더가 느슨해질 수 있게 하고, 압축이 완화됨에 따라 유체 충전 블래더가 블래더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인가된 에너지를 복귀시킬 때 일제히 인장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솔 구조체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부 중창 유닛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접하고 이에 고정된 내측 숄더(medial shoulder),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과 접하고 이에 고정된 외측 숄더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숄더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같은 높이로 접할 수 있고, 외측 숄더는 외측 트레일링 아암과 같은 높이로 접할 수 있다. 후방부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으로 그리고 제2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상향으로 연장되는 주변 벽을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에서 종료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의 최전방 에지는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에 있다. 추가적으로, 제2 플레이트가 관통 구멍을 한정하기 보다는, 후방부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은 내측 숄더의 리세스에 네스팅될 수 있고,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외측 숄더의 리세스에 네스팅될 수 있다.
후방부 중창 유닛은 내측 숄더와 외측 숄더 사이에 리세스를 갖는 원위 측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내측 아암 및 외측 아암으로부터 리세스 내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과 접하는 벽을 포함한다. 벽은 연속적일 수 있고, 리세스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과 같은 높이로 접할 수 있다. 벽은 후방부 중창 유닛에 본딩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리세스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에 대해 안착될 수 있다. 후방부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 위에서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의 후방부 부분에 오버레이되고(overlay)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굽힘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제1 굽힘 강성보다 작은 제2 굽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들의 재료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복합재, 예컨대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 사출될 수 있는 유리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강철, 또는 다른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 재료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플레이트는 사출된 TPU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전족 중창 유닛 및 후방부 중창 유닛은 폴리머 폼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탄성 재료일 수 있다.
겉창 구성요소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원위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겉창 구성요소의 제1 내측 측벽은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의 내측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족 중창 유닛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겉창 구성요소는, 상향으로 감싸고 제1 내측 측벽의 전방으로 전족 중창 유닛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는 제2 내측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겉창 구성요소는 제1 내측 측벽과 제2 내측 측벽 사이에 노치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겉창 구성요소는 후방부 중창 구성요소의 원위 측에 고정되고, 겉창 구성요소의 제1 내측 측벽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후방부 중창 구성요소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솔 구조체는 노치를 한정하는 전방 에지를 갖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테이퍼질 수 있고, 제3 플레이트가 제2 플레이트의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위에서 제1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노치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솔 구조체는, 제3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노출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는 제3 플레이트의 후방부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만곡되는 세장형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에 솔 구조체가 포함되는 경우, 세장형 테일부는 발로부터 신발류 물품을 제거하기 위해 반대쪽 발이 푸시하는 레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솔 구조체는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으로 연장되는 전장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할 수 있으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서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할 수 있다.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이 전장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관통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전장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 아래에서 제2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솔 구조체는 힐 구역에서 제3 플레이트 위로 연장되는 중창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 유닛은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제2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관통 구멍에 추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굽힘력 및 압축력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를 중창 유닛의 지면(地面) 대면 표면이 아니라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에 고정하는 것이 구성요소들 사이의 본딩에 더 작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중창 유닛은 전장 중창 유닛일 수 있고, 이 전장 중창 유닛은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으로 연장되고, 제2 플레이트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면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서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그리고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비교적 두꺼운 레그(leg) 및 중창 유닛 위의 비교적 두꺼운 레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 상의 리세스에 안착되는 비교적 얇은 레그를 갖는 계단식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뒤쪽 부분의 후방부의 계단식 구조는 제1 플레이트가 상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안 아래로부터 중창 유닛을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테이퍼질 수 있고, 관통 구멍에서 테이퍼진 뒤쪽 부분의 발 대면 표면에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가 사출 성형되는 경우, 더 얇은 부분으로 생산 구성요소가 치수 공차에 부합되는 것이 향상될 수 있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이 관통 구멍에서 비교적 두꺼우면, 테이퍼진 뒤쪽 부분이 비교적 두꺼운 곳에 걸쳐 발 대면 표면에 리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발 대면 표면이 치수 공차에 부합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은 발 대면 표면에서 중창 유닛과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전장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2 플레이트까지 연장되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방으로 만곡되는 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의 내측 에지에 있는 내측 플랜지 및 제1 플레이트의 외측 에지에 있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플랜지 및 외측 플랜지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전장 중창 유닛의 하향 연장 부분의 후방부 면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솔 구조체는, 제3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노출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 중창 유닛은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 위로 연장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과 접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중앙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 사이의 중앙 부분의 후방에서 관통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상승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의 후방부 주위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여, 솔 구조체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 블래더의 팽창 압력이 신발류 크기와 상관될 때, 지지 및 완충의 바람직한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류 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에 대한 솔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근위 측에 지지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는 소정의 팽창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팽창 압력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 중 적어도 2개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제1 범위 및 제2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는 제2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제3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는 제2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범위는 남성용 미국(U.S.) 크기 6 내지 9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범위는 남성용 미국 크기 9.5 내지 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범위는 남성용 미국 크기 12.5 내지 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10 psi(pounds per square inch) 더 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클 수 있고,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15 psi일 수 있고,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20 psi일 수 있으며,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25 psi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유체 충전 블래더를 소정의 팽창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및 유체 충전 블래더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상승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제2 플레이트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을 가질 수 있으며, 유체 충전 블래더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근위 측에 지지될 수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 있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 사이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상승할 수 있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강할 수 있다.
본 교시들의 위의 특징 및 이점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본 교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할 때,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면들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 1은 솔 구조체(12) 및 솔 구조체(12)에 고정된 갑피(14)를 갖는 신발류 물품(10)을 도시한다. 갑피(14)는 점선으로 표시된 발(1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발 수용 공동(16)을 형성한다. 신발류 물품(10)은 신발류(10)로 지칭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예시된 바와 같이, 농구와 같은 스포츠 또는 런닝, 테니스, 풋볼, 축구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다른 스포츠를 위해 구성된 운동화로 도시된다. 솔 구조체(12)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은 운동화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그 대신에 레저 슈즈, 드레스 슈즈, 작업 슈즈, 샌들, 슬리퍼, 부츠, 또는 임의의 다른 범주의 신발류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류(10)는 전족 구역(20), 중족 구역(22), 힐 구역(24), 및 발목 구역(26)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각각 솔 구조체(12)의 전족 구역, 중족 구역 및 힐 구역 및 갑피(14), 그리고 갑피(14)에 의해 한정된 발목 구역(26)이기도 하다. 전족 구역(20)은 일반적으로 발의 중족골과 발가락의 근위 지골을 연결하는 발가락 및 중족골 관절(MPT 또는 MPJ 관절로 지칭될 수 있음)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중족 구역(22)은 일반적으로 발(18)의 아치 영역 및 발등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힐 구역(24)은 종골 뼈를 포함하는 발(18)의 후방부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구역(26)은 발목에 대응한다. 전족 구역(20), 중족 구역(22), 힐 구역(24) 및 발목 구역(26)은 신발류(10)의 정확한 영역들을 구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그 대신에 다음 논의를 돕기 위해 신발류(10)의 일반적인 영역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신발류(10)는 내측(30)(도 1에 도시됨) 및 외측(32)(도 2에 도시됨)을 갖는다. 내측(30) 및 외측(32)은 전족 구역(20), 중족 구역(22), 힐 구역(24) 및 발목 구역(26)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10)의 반대 측면들에 대응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종방향 중간선(LM)의 반대 측에 각각 해당한다. 따라서, 내측(30)은 외측(32)에 반대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갑피(14)는 가죽, 직물, 중합체, 면, 폼, 복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 재료일 수 있고, 편조 구조, 니트(예를 들어, 날실-니트) 구조, 또는 직조 구조일 수 있다. 갑피(14)의 하부 범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 구조체(12)의 주변부에 고정된다. 솔 구조체(12)의 발 대면 표면(34)(도 5에 도시됨)은 갑피(14)의 하부 구역에 고정된 스트로벨(도시 생략)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갑피(14)는 발 아래로 그리고 발 대면 표면(34) 위로 연장되는 360도 양말 형상의 갑피일 수 있다. 안창(insole)(도시 생략)은 발 대면 표면(34) 상의 발 수용 공동(16)에 놓일 수 있다.
솔 구조체(12)는 솔 플레이트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42)를 포함하고, 도 5 내지 도 11 및 도 14 내지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0, 42)는 플레이트들(40, 42)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가해지고 이로부터 복귀되는 힘을 조절하도록 고유하게 구성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0) 및 플레이트(42)에서와 같은 용어 "플레이트"는, 두께보다 폭이 더 크고 두께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이고 폭이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이도록 솔 구조체가 평평한 지표면에 놓인 상태로 신발류 물품에 조립될 때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솔 구조체의 부재를 지칭한다. 각각의 플레이트(40, 42)가 단일의 통합된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플레이트는 단일 구성요소일 필요는 없고, 그 대신에 상호 연결된 다중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플레이트의 부분들은 편평할 수 있고, 부분들은 예를 들어 원하는 영역에서 보강을 위해 성형된 풋베드(footbed) 및/또는 증가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성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때 약간의 곡률 및 두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42) 사이에 배치된 유체 충전 블래더(44)[그리고, 도 18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각각]는 유체 충전 블래더이고, 때로는 유체 충전 챔버, 블래더 요소 또는 에어백으로도 지칭되며, 본 설명에서 명확성을 위해 이와 같이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 44A, 44B)는 유체 충전 블래더보다는 폼 구조, 또는 다른 탄성 재료일 수 있다.
플레이트(40, 42)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추가하여, 솔 구조체(1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전방에 있는 전족 중창 유닛(46),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에 있는 후방부 중창 유닛(48), 및 솔 구조체의 접지면(G)을 확립하는 겉창 구성요소(50A, 50B)를 포함한다. 솔 구조체(12)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나타나는 여러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제1 플레이트(40)는 도 10a 및 도 11a에서 분리되어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제1 플레이트는 비교적 강도를 갖는 재료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40)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복합재(예를 들어,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 사출된 섬유 강화 나일론일 수 있는 섬유 유리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강철, 또는 다른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 재료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1 플레이트(40)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킹 오브 프러시아에 있는 Arkema Inc.에서 시판하는 RILSAN® BZM 7 0 TL과 같은 사출된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11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40)는 ISO 868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쇼어 D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75의 경도, ISO 178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약 1500 ㎫의 굴곡 탄성률, 및 약 1.07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0)는 중앙 부분(49), 중앙 부분(49)의 전방에 있는 분기된 부분(52)[또한 분기된 전방 부분(52)이라고도 지칭됨], 및 중앙 부분(49)의 후방에 있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부분(52)은 분기될 필요가 없고 및/또는 뒤쪽 부분(54)은 테이퍼질 필요가 없다.
제1 플레이트(40)의 근위 측(56)은 리세스(58)를 한정한다. 예를 들어, 폐쇄된 형상을 갖는 돌출부(60)는 돌출부(60)에 의해 둘러싸인 리세스(58)를 한정하기 위해 중앙 부분(49)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플레이트(40)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솔 구조체(12)에 조립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원위 측(61)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58)에서 제1 플레이트(40)의 근위 측(56)에 안착된다. 그러나,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제1 플레이트(40) 및 리세스(58) 둘 모두보다 넓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 구성요소(50A) 상으로 연장된다. 겉창 구성요소(50A)는 또한,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0)뿐만 아니라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내측 및 외측 말단도 수용하고 지지하는 리세스(63)를 형성한다.
도 10a 및 도 11a를 참조해 보면, 제1 플레이트(40)는 근위 측(56)에 횡방향 리지(62)를 가지며, 제1 플레이트(40)의 원위 측(66)에 횡방향 홈(64)을 갖는다. 원위 측(66)은 근위 측(56)의 반대편이고, 제1 플레이트(40)가 솔 구조체(12)에 조립될 때 근위 측보다 솔 구조체(12)의 접지면(G)에 더 가깝고 발(18)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횡방향 홈(64)은 횡방향 리지(62)와 정렬되는데, 이는 제1 플레이트(40)의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홈(64) 바로 아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횡방향 리지(62)를 제1 플레이트(40)의 내측 에지(68)로부터 제1 플레이트(40)의 외측 에지(70)까지 추적한다. 따라서,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은 제1 플레이트(40)의 전체 폭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은 적어도 제1 플레이트(40)가 도 10a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즉, 압축력 또는 굽힘력에 관계없이, 인가된 변형력을 받지 않는 경우) 존재하고, 제1 플레이트(40)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편향된다.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은 일반적으로 MTP 관절의 굽힘 축 아래에 배치되고, 발등 굽힘 동안 제1 플레이트(40)의 종방향 굽힘 강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횡방향 홈(64)은 굴곡 홈(flex groove)으로서 기능하고, 예컨대 발등 굽힘 동안 횡방향 홈(64)의 위치에서 솔 구조체(12)의 종방향 휨이 발생하도록 촉진한다. 도 1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 구성요소(50A)는 또한,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의 아래에 놓여 이들을 추적하고 신발류 물품(10)의 내측(30)으로부터 외측(32)까지 겉창 구성요소(50A)의 전체 폭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리지(51) 및 횡방향 홈(53)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40)는 횡방향 리지 또는 횡방향 홈을 갖지 않는다. 예컨대, 도 22는, 도 23 및 도 24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0)가 횡방향 리지(62) 또는 횡방향 홈(64)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플레이트(640)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신발류 물품(10)과 모든 양태에서 유사한 신발류 물품(610)을 도시한다. 횡방향 리지 또는 횡방향 홈이 없기 때문에, 전방 겉창 구성요소(50A)는 횡방향 리지(51) 또는 횡방향 홈(53)을 갖지 않는 겉창 구성요소(650A)로 대체된다. 제1 플레이트(640)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솔 구조체 중 임의의 것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솔 구조체 중 임의의 것에 사용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5 및 도 26과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6에서, 제1 플레이트(740)는, 제1 플레이트(740)의 전방 부분이 분할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양태에서 제1 플레이트(640)와 유사하다. 다르게 말하면, 제1 플레이트(740)의 전방 부분은 분기되지 않고, 그 대신에 최전방 범위에[즉, 전방 에지(80)에] 슬롯(72)이 없는 통합된 견고한 구성이다. 따라서, 솔 구조체(12)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솔 구조체에서 사용될 때, 제1 플레이트(740)는 유체 충전 블래더(44) 또는 블래더(44A, 44B)의 전방에서 분할되지 않을 것이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84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840)는, 제1 플레이트(840)가 제1 플레이트(640)의 전방 에지(80)로부터 후방으로 내측 및 외측 레일(54A, 54B)까지 분기되어, 슬롯(72)이 개구(74)까지 계속되어 이와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양태에서 제1 플레이트(640)와 유사하다. 분기된 부분(852)은 레일(54A, 54B)까지 연장된다.
도 10a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40)의 분기된 부분(52)은 제1 플레이트(40)의 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횡방향 리지(62)까지 연장되는 슬롯(72)에 의해 서로 분리된 내측 돌출부(52A) 및 외측 돌출부(52B)를 포함한다. 분기된 부분(52)은 동일한 두께 및 재료를 갖지만 그러나 연속적이고, 슬롯이 없는 전방 부분을 갖는 플레이트보다 솔 구조체(12)의 전족 구역(20)에서 더 큰 내측-외측 가요성을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돌출부(52A, 52B)는 슬롯이 없는 플레이트보다 폭이 각각 더 좁고 서로 개별적으로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구부러지고 굴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52A) 및 외측 돌출부(52B)는 각각 제1 플레이트(40)의 근위 측(56)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2C)를 갖는다.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2C)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리지(52C)에 수직으로 취해질 때 돌출부(52A, 52B)가 리지(52C)에서 가장 두꺼워지도록 돌출부(52A, 52B)를 두껍게 한다. 따라서, 리지(52C)는 돌출부(52A, 52B)가 리지(52C)를 갖지 않는 구성에 비해 돌출부(52A, 52B)를 강화시키고, 돌출부(52A, 52B)의 종방향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제1 플레이트(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중앙 부분(49)의 바로 후방에서 시작하여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의 전방에서 끝나는 세장형 개구(7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을 포함하여,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은 개구(74)의 바로 후방에서 수렴한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중앙 부분(49)으로부터 말단 단부(76)까지 폭이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테이퍼진 것"으로 지칭된다. 다르게 말하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이 중앙 부분(49)으로부터 말단 단부(76)까지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40)의 내측 에지(68) 및 외측 에지(70)는 서로 더 가까이 이동한다. 도 1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은 각각 제1 플레이트(40)의 원위 측(66)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4C)를 갖는다. 종방향 연장 리지(54C)는 레일(54A, 54B)을 두껍게 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레일(54A, 54B)에 수직으로 취해질 때, 레일(54A, 54B)은 리지(54C)에서 가장 두껍다.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4C)는 레일(54A, 54B)이 리지(54C)를 갖지 않는 구성에 비해 레일(54A, 54B)을 강화시키고, 그 종방향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솔 구조체(12)에 조립될 때, 전족 중창 유닛(46)의 원위 측(82)은 내측 및 외측 돌출부(52A, 52B)의 근위 측(56)에 놓인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46)의 후방부 에지(84)는 횡방향 리지(62)의 유사하게 호를 이룬 전방 측에 맞닿도록 전방 방향으로 호를 이룬다.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0)는 제1 플레이트(40)가 편향되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즉, 종방향의 프로파일이) 일반적으로 스푼 형상이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40)의 근위 측(56)은 전방 부분(52)의 전방 에지(80)로부터, 레일(54A, 54B)의 길이를 따라 대략 중간에 있는 변곡점(I)까지 종방향으로 오목하다. 원위 측(66)은 전방 에지(80)로부터 변곡점(I)까지 종방향 중간선(LM)을 따라 볼록하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52)의 내측 및 외측 돌출부(52A, 52B)는 횡방향 리지(62)의 바로 전방으로부터 이들의 팁[예컨대, 돌출부(52A)의 팁은 돌출부(52A)의 전방 에지(80)에 있음]까지 상향으로 경사진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4A, 54B)은 일반적으로 개구(74)의 중앙 부분(49)으로부터 후방부 단부(79)까지 상향으로 경사진다. 도 6~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개구(74)의 후방부 단부(79)로부터 말단 단부(76)까지, 제1 플레이트(40)는 일반적으로 그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평평하다. 발등 굽힘 동안 종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40)를 구부리는 것은 제1 플레이트(40)를 구부리기 위해 착용자가 입력한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텐셜 에너지로서 저장하게 될 것이며, 상기 포텐셜 에너지는 그 후 토우-오프(toe off) 직전에 보행 주기의 추진 단계에서 솔 구조체(12)가 지면을 밀어낼 때 방출되고, 제1 플레이트(40)는 토우-오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운동 방향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스푼 형상으로 펴진다.
발등 굽힘 동안, 전족 구역(20)이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힐 구역(24)이 리프팅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40)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위치(77)에 있는 중족골 지골 관절(MTP)의 굽힘 축 아래에서 일반적으로 구부러지고, 전족 구역(20)에서 근위 측(56)의 오목함이 증가한다. 굽힘 축은 일반적으로 솔 구조체(12)에 대해 횡방향이고, 발(18)의 뼈에 따라 외측(32)에 대해 내측(30)에서 약간 전방으로 각을 이룰 수 있다. 발(18)의 다른 MTP 관절은 약간 다른 굽힘 축을 가질 수 있고, 굽힘 축이 배치되는 위치(77)는 특정 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위치(77)는 엄지 발가락의 MTP 관절의 굽힘 축을 나타낼 수 있다. 토우-오프 시, 발(18)이 솔 구조체(12)를 지면으로부터 리프팅할 때, 제1 플레이트(40)의 중립 축 위의[즉, 근위 측(56)을 향한] 제1 플레이트(40)의 압축력, 및 중립 축 아래의[즉, 원위 측(66)을 향한] 인장력이 완화되어, 제1 플레이트(40)를 증가된 전족 오목함의 발등 굽힘 상태로부터 도 10a 및 도 11a에 도시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복귀시킨다. 착용자가 제1 플레이트(40)를 구부리는 것으로 인한 제1 플레이트(40) 내의 내부 압축력 및 인장력이 제1 플레이트(40)가 펴짐에 따라 방출되므로, 착용자 자신의 에너지 입력의 적어도 일부가 복귀될 수 있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방향으로 순 힘을 생성한다. 제1 플레이트(40)의 스푼 형상은 또한 편평한 측면 프로파일을 갖는 플레이트에 비해 적은 노력으로 발등 굽힘 동안 발(18)의 전방 롤링이 발생하도록 돕는다.
제2 플레이트(42)는 도 14 및 도 15에서 분리되어 도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42)의 굽힘 강성 및 압축 강성은 제1 플레이트(40)보다 낮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2 플레이트(42)는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소재의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에서 시판하는 ESTANE® SKYTHANE™ S395A와 같은 사출된 폴리에스테르 기반 TPU일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2 플레이트(42)는 ASTM D2240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쇼어 A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95의 경도, ASTM D792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약 1.22 g/㎤의 비중, 및 ASTM D412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약 140 kgf/㎠의 100% 연신율에서의 인장 응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는 중앙 부분(86),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을 갖는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모두 중앙 부분(86)의 후방에 있다.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중앙 부분(86)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트레일링"으로 지칭되며, 따라서 솔 구조체(12)의 종방향으로 중앙 부분(86)을 "트레일링"한다.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후방부 방향으로 중앙 부분(86)로부터 멀리 하향으로 경사진다.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42)의 근위 측(87)에서 오목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42)의 원위 측(90)에서 볼록하다.
도 6은 솔 구조체(12)가 조립될 때 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유체 충전 블래더(44), 제1 플레이트(40) 및 제2 플레이트(42)만을 도시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 제1 플레이트(40) 및 제2 플레이트(42)를 가장 잘 볼 수 있게 하도록, 전족 중창 유닛(46), 후방부 중창 유닛(48) 및 겉창 구성요소(50A, 50B)는 도시되지 않는다.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제1 플레이트(40)의 중앙 부분(49)의 근위 측(56)에서 그리고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4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플레이트(42)의 중앙 부분(86)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근위 측(104)에서 그리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사이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으로 상승한다[즉, 솔 구조체(12)의 횡방향으로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내향으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으로 하강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와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말단 단부(89A, 89B) 사이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제1 플레이트(40) 위의 위치에 있는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테이퍼진 뒤쪽 부분(54)[개구(74)의 후방에 있는 전체 부분을 포함하여, 변곡점(I)의 후방에 있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적어도 그 일부]보다 낮은(즉, 아래의) 위치에 있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말단 단부(89A, 89B)로 각각 하강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와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 사이에서, 레일(54A, 54B)은 레일(54A, 54B)의 전방 부분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아래의 위치로부터,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위의 위치로 상승한다. 제1 플레이트(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는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말단 단부(89A, 89B)의 후방에 있다. 제1 플레이트(40)는 전족 구역(20)으로부터, 중족 구역(22)을 통해, 힐 구역(24)으로 연장되고, 제2 플레이트(42)는 전족 구역(20) 및 중족 구역(22)에서만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퍼진 뒤쪽 부분 대신에, 제1 플레이트(40)의 뒤쪽 부분은 상승하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또는 외측 트레일링 아암 대신에,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테이퍼질 수 있고 테이퍼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1 플레이트(40)의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여 하강하는 뒤쪽 부분을 포함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42)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으로부터 그리고 제2 플레이트(42)의 전방 범위(94) 주위로 연장되는 중앙 부분(86)에 주변 벽(92)을 포함한다. 주변 벽(92)은 제2 플레이트(42)의 내측(96)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의 전방 부분을 따라 그리고 제2 플레이트(42)의 외측(98)에서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 부분을 따라 계속된다. 주변 벽(92)에 의해, 제2 플레이트(42)는 일반적으로 근위 측(87)에서 리세스되고(recessed) 오목하여, 후방부 중창 유닛(48)과 풋베드를 생성한다. 솔 구조체(12)가 갑피(14)에 고정되면, 발(18)은 중앙 부분(86)의 근위 측(87)에서 발 대면 표면(34)(도 4에 도시됨) 상에 지지되고, 발(18)의 바닥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발(18)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변 벽(92)의 상부 범위보다 약간 아래에 놓인다. 따라서 주변 벽(92)은 전족의 내측 및 외측에 지지를 제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42)의 원위 측(90)은 중앙 부분(86)에서 리세스(100)를 한정한다. 예컨대, 폐쇄된 형상을 갖는 돌출부(102)는 중앙 부분(86)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리세스(100)는 돌출부(102)에 의해 한정되고 둘러싸인다. 제2 플레이트(42)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솔 구조체(12)로 조립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근위 측(104)은 리세스(100)에서 제2 플레이트(42)의 원위 측(90)에 안착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00) 내에 네스팅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제2 플레이트(42)의 리세스(100) 및 제1 플레이트(40)의 리세스(58) 모두에 네스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제1 플레이트(40)의 돌출부(60)보다 더 넓고, 도 5, 도 7 및 도 1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돌출부(60)를 넘어 외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리세스(100)는 리세스(58)보다 넓고,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플레이트들(40, 42) 사이에 네스팅될 때, 제2 플레이트(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측벽의 외측 바깥쪽에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42)는 중앙 부분(86)의 전방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조립된 솔 구조체(12)의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전방에서 관통 구멍(107)을 한정한다. 관통 구멍(107)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46)의 근위 측(105) 위에 배치된다. 전족 중창 유닛(46)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폼 또는 제2 플레이트(42)보다 낮은 압축 강성을 갖는 다른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발(18)의 지골이, 토우-오프 직전에, 보행 주기의 추진 단계에서 발등 굽힘 동안 전족 중창 유닛(46)을 압축함으로써 더 강성인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용이하게 전족 중창 유닛(46)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도 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솔 구조체(1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48)을 포함한다. 그러나, 후방부 중창 유닛(48)은 전체가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에 있는 것은 아니다.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전방 범위(48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를 오버레이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범위(48A)의 전방 에지(48B)는 제2 플레이트(42)의 중앙 부분(86)의 후방부 범위(59)(도 7에 표시됨) 위에 끼워지고, 같은 높이의 발 대면 표면(34)을 제공한다. 전족 중창 유닛(46), 제2 플레이트(42) 및 후방부 중창 유닛(48)은 함께 솔 구조체(12)의 전체 발 대면 표면(34)을 제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원위 측(110)은 내측 숄더(55A) 및 외측 숄더(55B)를 가지며, 내측 숄더(55A)와 외측 숄더(55B) 사이에 리세스(112)를 한정한다. 내측 숄더(55A) 및 외측 숄더(55B)는 각각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약간의 리세스(57A, 57B) 내에 있는 볼록한 표면(67A, 67B)을 갖는다. 내측 숄더(55A) 및 외측 숄더(55B)는 하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진다. 내측 숄더(55A)는 제2 플레이트(42)의 근위 측(87)에서 하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진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같은 높이로 접하고 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의 근위 표면(91A)은 내측 숄더(55A)의 볼록 표면(67A)에 고정되고 리세스(57A) 내에 네스팅된다. 외측 숄더(55B)는 하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진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과 같은 높이로 접하고 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근위 표면(91B)은 외측 숄더(55B)의 볼록한 표면(67B)에 고정되고 리세스(57B) 내에 네스팅된다. 제2 플레이트(42)의 돌출부(85A)는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작은 리세스(85B)에 안착되고, 솔 구조체(12)의 조립 동안 후방부 중창 유닛(48)에 대해 제2 플레이트(42)를 고정하고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리세스(112)는 상승 레일(54A, 54B)이 중앙 부분(49)로부터 말단 단부(76)까지 리세스(112)에서 상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40)의 상승 레일(54A, 54B)을 수용한다. 제1 플레이트(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근위 표면만이,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하부 표면(114)에 대해 안착되고 이에 고정된다. 레일(54A, 54B)의 상승 부분은 후방부 중창 유닛(48)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큰 굽힘 각도에서 레일(54A, 54B)의 근위 표면이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원위 표면과 접촉할 수 있을 때까지,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간섭 없이 솔 구조체(12)의 발등 굽힘 동안 구부러질 수 있다. 리세스(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방향으로 폭이 테이퍼지므로, 말단 단부(76) 근처의 제1 플레이트(40)의 후방부 범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2)에 그리고 리세스(112)의 후방부 벽(116)에 대해 꼭 맞게 끼워진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솔 구조체(12)가 구부러지는 동안, 발(18)에 발등 굽힘이 발생함에 따라, 솔 구조체(12)에는, 그 위에서는 솔 구조체(12)가 압축 상태에 있고 그 아래에서는 솔 구조체(12)가 인장 상태에 있는 중립 평면(반드시 평면인 것은 아님) 또는 중립 축으로 지칭되는 위치가 존재한다. 합성 솔 구조체(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부러질 수 없는 상이한 재료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됨)의 경우, 중립 축의 배치는 부분적으로 각 재료의 강성에 따라 달라진다. 제1 플레이트(40), 제2 플레이트(42) 및 후방부 중창 유닛(48)의 재료는 제2 플레이트(42)의 압축 강성 및 굽힘 강성이 후방부 중창 유닛(48)보다 크고 제1 플레이트(40)보다는 작도록 선택된다. 제1 플레이트(40)는 제2 플레이트(42)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즉, 더 강성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0)는 제1 굽힘 강성 및 제1 압축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플레이트(42)는 제1 굽힘 강성보다 작은 제2 굽힘 강성, 및 제1 압축 강성보다 작은 제2 압축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들의 재료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가 플레이트들(40, 42)의 중앙 부분(49, 86)에서 더 강성인 제1 플레이트(40) 위에 있기 때문에, 중립 굽힘 평면은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배치되는 솔 구조체(12)의 구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제1 플레이트(40)에 가깝다]. 도 4에 도시된 종방향 위치(99) 근처에서, 제1 플레이트(40)의 레일(54A, 54B), 후방부 중창 유닛(48), 및 트레일링 아암(88A, 88B)만이 솔 구조체(12)의 굽힘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왜냐하면 이들 구성요소들만이 종방향 위치(99)에서 솔 구조체(12)를 통해 수직 평면[즉, 도 3의 종방향 중간선(LM)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내측-외측으로 연장되는 관상 평면]에 의해 교차되기 때문이다. 레일(54A, 54B)은 솔 구조체(12)의 임의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지 않고 이 영역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솔 구조체(12)의 중립 굽힘 평면은 이 구역에서 발에 더 가까울 것이고, 솔 구조체(12)의 종방향 굽힘 강성은 레일의 전방보다 레일(54A, 54B)에서 더 작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측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중립 굽힘 축 아래에 있고 이에 따라 더 큰 인장력을 받게 될 것이며, 중앙 부분(86)은 중립 굽힘 축 위에 있고 이에 따라 종방향 굽힘 동안 더 큰 압축력을 받게 될 것이다. 인장 상태에 있는 제2 플레이트(42)의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발등 굽힘으로 인한 종방향 굽힘 동안 중앙 부분(86)의 후방부에 하향 및 후향 힘을 제공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44) 위의 중앙 부분(86)에 대한 힘을 분산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에서, 상승 레일(54A, 54B)이 하강 트레일링 아암(88A, 88B)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종방향 위치(99)에서, 상승 레일(54A, 54B)은 후방부 중창 유닛(48)으로부터 이격되고, 비교적 얇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솔 구조체(12)가 MTP 관절의 굽힘 축의 위치(77)에서보다 종방향 위치(99)에서 더 낮은 굽힘 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류 물품(10)이 발에 있지 않고, 전족 구역(20) 및 힐 구역(24)에 상향 및 내향 굽힘력이 동시에 가해질 때, 신발류 물품(10)은 종방향 위치(99) 근처에서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신발류 물품(10)이 발(18)에 착용될 때, 종방향 위치(99)는 일반적으로 발(18)의 아치 또는 발등과 정렬된다. 발(18)은 종방향 위치(99)보다는, MTP 관절의 굽힘 축, 즉, 위치(77)에서 발등 굽힘 시 구부러진다(아치는 발등 굽힘 중에 구부러지는 경향이 없기 때문에, 적어도 MTP 관절만큼 중요하지는 않음). 착용 중에, 이에 따라 신발류 물품(10)은 [종방향 위치(99)에 있는] 더 낮은 강성 영역보다는 [중앙 부분(49, 86)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에서, 일반적으로 MTP 관절 바로 아래의] 더 큰 강성 영역에서 구부러질 것이다.
발등 굽힘 동안과 같이 굽힘 강성의 변화에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치는 솔 구조체(12)의 다른 구조적 요인은 솔 구조체(12)의 상이한 부분들의 두께, 종방향 길이, 및 내측-외측(즉, 횡방향) 폭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40)의 굽힘 강성은 더 넓은 중앙 부분(49)에서보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에서 더 작다.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0) 및 제2 플레이트(42)는 모두 후방부 중창 유닛(48)에 고정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40)가 제2 플레이트(42)보다 더 높은(더 근위) 위치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48)에 고정되기 때문에[즉,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후방부 중창 유닛(48)과 접하는 트레일링 아암(88A, 88B)보다 더 높음], 솔 구조체(12)의 중립 굽힘 축은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구역에서 발(18)에 더 가깝고(더 근위임), 중앙 부분(49)의 구역에서 발(18)로부터 더 멀 수 있다(더 원위임).
내측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A, 88B)이 후방부 중창 유닛(48)보다 더 큰 압축 강성 및 더 큰 굽힘 강성을 갖는 재료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압축 하중 하에 후방부 중창 유닛(48)이 숄더(55A, 55B)에서 변형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42)의 내측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예를 들어 절단 이동 중에[즉, 신발류(10)가 농구 경기 또는 다른 활동 중에 옆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측방향 발 움직임에 따라 지면에 접촉할 때] 내측-외측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보유하는 밀봉된 내부 공동(126)을 생성하기 위해 주변 플랜지(124)에서 서로 본딩된 상부 중합체 시트(120)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2)를 포함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근위 측(104)은 상부 중합체 시트(120)의 상부 표면이고, 리세스(100)에서 제2 플레이트(42)의 중앙 부분(86)의 원위 측(90)에 결합된다. 상부 중합체 시트(120)와 제2 플레이트(42)의 본딩은 열 본딩 또는 접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원위 측(61)은 하부 중합체 시트(122)의 하부 표면이고, 리세스(58)에서 제1 플레이트(40)의 근위 측(56)에 본딩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원위 측(61)은 또한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중앙 부분(49)의 폭을 넘어 연장되는 겉창 구성요소(50A)에 본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부 공동(126)을 채우는 "유체"는 공기, 질소, 다른 가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가스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는 질소, 공기, 또는 다른 가스와 같은 유체를 탄력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다양한 중합체 재료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를 위한 중합체 재료들의 예는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는 각각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상이한 재료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스 장벽 재료와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대 층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미세 층 멤브레인과 같이 내부에 포함된 가압 유체에 불투과성인 에틸렌과 비닐 알코올(EVOH)의 공중합체의 하나 이상의 장벽 층과 함께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을 갖는 박막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층들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재분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에 대한 추가적인 적절한 재료들은 Rudy의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된다.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에 적합한 추가 재료는 Rudy의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정질 재료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필름, 및 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이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를 위한 재료를 선택할 때, 인장 강도, 신장 특성, 피로 특성, 동적 계수 및 손실 탄젠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특성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유체 충전 블래더(4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의 두께는 이러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내부 공동(126)에 배치된 인장 구성요소(130)를 포함한다. 인장 구성요소(130)는 제1 인장 층(132), 제2 인장 층(134), 및 제1 인장 층(132)으로부터 제2 인장 층(134)까지 내부 공동(126)에 걸쳐있는 복수의 테더(136)를 포함한다. 테더(136)는 제1 인장 층(132)을 제2 인장 층(134)에 연결한다. 테더(136) 중 일부만이 도 17에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테더(136)는 또한 직물 인장 부재 또는 스레드(threads)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인장 층(132) 및 제2 인장 층(134)을 연결하는 드롭 스레드의 형태일 수 있다. 인장 구성요소(130)는 스페이서 니트 직물을 갖는 통합된, 일체형 직물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즉, 인장 층(132, 134) 및 테더(136)가 일체형으로 니트됨]. 제1 인장 층(132)은 상부 중합체 시트(120)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상부 내부 표면에 본딩되고, 제2 인장 층(134)은 하부 중합체 시트(122)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하부 내부 표면에 본딩된다.
테더(136)는 내부 공동(126) 내의 가스의 주어진 팽창 압력 하에서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의 분리를 도 17에 도시된 최대 분리된 위치로 제한한다. 내부 공동(126)에서 가압된 가스의 외향 힘은 테더(136)를 인장 상태로 배치하고, 테더(136)는 인장 층(132, 134) 및 중합체 시트(120, 122)가 도 17 및 도 18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테더(136)는 압축 부하 하에서 압축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지 않는다. 예컨대 런닝 또는 다른 움직임 동안 또는 솔 구조체(12)의 종방향 굽힘 동안 착용자의 동적 충격의 힘으로 인해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압력이 가해질 때, 유체 충전 블래더(44)는 압축되고, 중합체 시트(120, 122)는 함께 더 가깝게 이동하고, 특정 테더(136)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중합체 시트(120, 122)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테더(136)는 접힌다(즉, 느슨해진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40, 42)의 중앙 부분(49, 86)은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솔 구조체(12)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17에 도시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의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중앙 부분(49, 86)에 대한 국부적인 충격력조차도 플레이트(40, 42)에 의해 분산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44) 위에 더 균일하게 작용한다. 예컨대, 발(18)의 중족골 헤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중앙 부분(49)에 대한 국부적인 힘이 중앙 부분(49) 위로 분산되고, 이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국부적인 부분을 압축하기 보다는, 그 폭에 걸쳐 유닛으로서 유체 충전 블래더(44)를 압축한다. 이것은, 유체 충전 블래더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위 및 아래에 플레이트가 없이 발에 의해 하중을 받아 압축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국부적인 테더 그룹이 주변 테더들과 다르게 느슨해지고 인장되게 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모든 테더(136)가 느슨해져서 한꺼번에 이들의 인장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18은, 2개의 나란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가 단일 유체 충전 블래더(44) 대신에 사용되고 플레이트(40, 42)가 각각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수용하기 위해 플레이트(240, 242)로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솔 구조체(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기능하는 솔 구조체(212)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솔 구조체(212)는 솔 구조체(12) 대신에 갑피(14)에 고정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각각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체 충전 블래더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44A)는 내측 유체 충전 블래더이고, 유체 충전 블래더(44B)는 외측 유체 충전 블래더이다. 내측 유체 충전 블래더(44A)는 외측 유체 충전 블래더(44B)보다 신발류 물품(10)의 내측 측(30)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외측 유체 충전 블래더(44B)는 내측 유체 충전 블래더(44A)로부터 이격되고, 내측 유체 충전 블래더보다 신발류 물품(10)의 외측 측(32)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내측 유체 충전 블래더(44A) 및 외측 유체 충전 블래더(44B)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의 종방향 중간선(LM)을 따라 동일한 종방향 위치에서 플레이트들(240, 242)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종방향 중간선(LM)에 수직으로 취해진 횡방향 선은 두 개의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와 교차할 것이다. 플레이트(240, 242)는 각각 플레이트(40, 42)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리세스(100) 대신에,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각각에 대해 하나씩, 2개의 개별 리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40)는 하나의 리세스(58) 대신에,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각각에 대해 하나씩, 2개의 개별 리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40, 2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향해 내향으로 플레이트(240 및/또는 242) 상의 어느 곳에서나 가해지는 압축력이 플레이트(240 또는 242)와 접촉하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및 44B)의 전체 상부 및 하부 측면에 걸쳐 플레이트(240 및/또는 242)에 의해 분산될 수 있게 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내측 및 외측 측에서 상이한 압축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팽창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46)의 후방부 범위(106)는 후방부 에지(84)로부터 근위 측(105)으로 전방으로 경사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솔 구조체(12)에서, 후방부 범위(106)는 (은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40)로부터 제2 플레이트(42)까지 유체 충전 블래더(44)로부터 멀리 상향으로 경사진다. 이것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와, 신발류(10)의 내측(30)으로부터 외측(32)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족 중창 유닛(46) 사이에 갭(108)을 생성한다. 갭(108)은 하중을 받는 동안 압축될 때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전방으로 확장할 공간을 제공하고, 후방부 범위(106)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전방 벽에 대한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하여, 그 압축을 완화한다. 도 1은 또한 하중을 받는 동안 압축될 때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후방으로 확장하도록 허용하는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후방에 있는 추가적인 갭(11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17은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내측 및 외측(30, 32)에서 노출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44)가 또한 압축 하에 있을 때 측방으로 외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예를 들어, 내측 및 외측 레일(54A, 54B)],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솔 구조체(12)의 중족 구역(22)에서 노출된다. 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는 이러한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솔 구조체(12)의 내측 측면도(도 1 참조), 외측 측면도(도 2 참조), 및/또는 저면도(도 3 참조)로부터 노출되고 보여질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전방 겉창 구성요소가 유체 충전 블래더(44) 또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측방 외향 확장을 억제하도록 수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솔 구조체(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기능하는 신발류 물품 및 솔 구조체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에서는, 도 22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설명된 제1 플레이트(640)가 사용되고[즉, 제1 플레이트(640)는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을 갖지 않음], 도 1의 전방 겉창 구성요소(50A)가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로 대체되고 여기서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의 내측 측벽(463A) 및 외측 측벽(465A)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내측 표면(464) 및 외측 표면(468) 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고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신발류 물품(410) 및 솔 구조체(412)는 신발류(10) 및 솔 구조체(12)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는 또한 제1 플레이트(640)가 대응하는 횡방향 리지(62) 및 횡방향 홈(64)을 갖지 않기 때문에 횡방향 리지(51) 또는 횡방향 홈(53)을 갖지 않는다.
측벽(463A 및 465A)은 도 1의 겉창 구성요소(50A)보다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측면을 따라 더 상향으로 연장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측벽(463A, 465A)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측면의 하부 절반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대한 더 큰 지지를 제공하고, 압축 하에 있을 때 횡방향으로(즉, 측방 외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테더(136)를 갖는 유체 충전 블래더에서, 인장 층(132, 134)에 고정되지 않은 중합체 시트(120, 122)의 부분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압축 하에서 더 용이하게 확장되어, 유체 충전 블래더(44)의 외주가 외향으로(즉, 위 및 아래로부터 압축 하에 있을 때, 측방 외향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더 큰 측벽(463A 및 465A)은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를 유체 충전 블래더(44)에 본딩하기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 구조체(12)가 지표면에 대해 측벽들(463A, 465A) 중 하나에 의해 위치 결정될 때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는 추가로 상향으로 감쌀 수 있고, 도 19에서 제1 내측 측벽(463A)의 전방에 배치된 제2 내측 측벽(463B)에 의해 가장 잘 표시된 바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46)의 내측 및 외측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외측 측벽(도시 생략)이 전족 중창 유닛(46)의 외측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측벽(463A, 465A)과 같이, 제2 내측 측벽(463B) 및,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 제2 외측 측벽은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를 전족 중창 유닛(46)에 본딩하기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고, 솔 구조체(12)가 제2 측벽들 중 하나 상에 위치 결정될 때 견인력을 제공한다.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는 하향으로 내려가고, 제1 내측 측벽(463A)과 제2 내측 측벽(463B) 사이에 노치(470)를 한정하여, 전방 겉창 구성요소(450A)의 가요성을 제공한다.
도 21은, 2개의 나란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수용하기 위해 겉창 구성요소(50A)가 겉창 구성요소(550A)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솔 구조체(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기능하는 솔 구조체(512)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솔 구조체(41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측벽(463A, 465A, 463B) 및 전족 중창 유닛(46)의 외측 상의 추가적인 측벽이 사용된다. 함께, 측벽들(463A 및 465A)은 압축 하에 있을 때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횡방향(즉, 측방 외향) 확장을 안정화시키고 억제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해 보면, 제2 플레이트(842)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2 플레이트(42)의 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842)는 도 31의 솔 구조체(812)에 조립될 때 전족 중창 유닛(846)의 최전방 에지의 후방에 있는 전방 에지(843)에서 끝난다. 다르게 말하면, 전족 중창 유닛(846)은 제2 플레이트(842)의 최전방 에지(843)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2 플레이트(842)는 제2 플레이트(42)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846) 위에 관통 구멍을 갖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제2 플레이트(842)는 제2 플레이트(42)와 같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주변 벽을 갖지 않는다. 관통 구멍 및 주변 벽을 제공하는 제2 플레이트(842) 대신에, 후방부 중창 유닛(848)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주변 벽(892)을 가지며, 관통 구멍(807)을 한정한다. 제2 플레이트(842),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제1 플레이트(840), 전족 중창 유닛(846), 및 후방부 중창 유닛(848)이 도 31 및 도 32의 솔 구조체(812)에서 전방 및 후방 겉창 구성요소(850A, 850B)로 조립될 때, 주변 벽(892)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도 31에서만 볼 수 있는 블래더(44A)]의 전방으로, 그리고 제2 플레이트(842)로부터 멀리 상향으로 연장된다. 주변 벽(892)은 전체 후방부 중창 유닛(848) 주위로 연장된다. 관통 구멍(80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44A) 위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전족 중창 유닛(846) 위로 연장된다. 제2 플레이트(842)는 도 2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8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후방부 중창 유닛(848)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위의 제2 플레이트(842)의 근위 측의 후방부 부분에 오버레이되고 이에 고정된다.
제2 플레이트(42)와 마찬가지로, 제2 플레이트(842)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842)의 후방부(888C)에서 수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과 같이 구성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을 각각 갖는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8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에 있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개구(889)를 한정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중창 유닛(848)은 내측 숄더(55A)를 가지며, 외측 숄더(55B)는 각각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과 같은 높이로 접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고정된다. 사실, 내측 숄더(55A)는 리세스(57A)를 갖고, 외측 숄더(55B)는 트레일링 아암(888A, 888B)이 각각 네스팅되는 리세스(57B)를 갖는다. 리세스(57A, 57B)는 계속되어, 제2 플레이트(842)의 후방부(888C)가 네스팅되는 후방부 리세스된 섹션(57C)에서 결합된다.
도 27, 도 29 및 도 3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842)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으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후방부(888C) 주위에서 연장되는 연속 벽(853)을 갖는다. 도 38은 후방부 중창 유닛(848)이, 후방부 중창 유닛(48)과 같이, 내측 숄더(55A)와 외측 숄더(55B) 사이에 리세스(112)를 갖는 원위 측(110)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연속 벽(853)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8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8B)으로부터 리세스(112) 내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848)과 같은 높이로 접한다. 추가적으로, 제1 플레이트(8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도 3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848)에 대해 안착되어 이에 고정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충전 블래더(44A)는 제1 플레이트(840)의 분기된 부분(852)의 내측 돌출부(852A) 상에 배치되고, 제2 유체 충전 블래더(44B)는 분기된 부분의 외측 돌출부(852B) 상에 배치되고, 슬롯(72)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사이에서 그리고 그 아래로 연장된다.
도 31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중창 유닛(846)의 후방부 범위(806)는 제1 플레이트(840)로부터 제2 플레이트(842)까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고, 충격 하중 하에 있지 않을 때 후방부 범위(806)와 블래더(44A, 44B) 사이에 갭(808)이 있다.
도 32는 겉창 구성요소(850A 및 850B)가 후방부 중창 유닛(848)의 원위 측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다. 겉창 구성요소(850B)는, 후방부 중창 유닛(848)의 내측 측면(849) 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고정되는 제1 내측 측벽(863)을 가짐으로써, 후방부 겉창 구성요소(850B)를 후방부 중창 유닛(848)에 본딩하기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솔 구조체(812)가 지표면에 대해 측벽(863)에 의해 위치 결정될 때 견인력을 제공한다. 겉창 구성요소(850B)는 후방부 중창 유닛(848)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유사한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은 본 교시들의 범위 내에서 솔 구조체(1012)의 다른 실시예를 갖는 신발류 물품(1010)을 도시한다. 솔 구조체(1012)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지칭되는 솔 구조체(12)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많이 갖는다. 솔 구조체(1012)는 제1 플레이트(1040), 제2 플레이트(1042) 및 제3 플레이트(1043)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도 40에서 부분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솔 구조체(1012)는 또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1040, 1042)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들(1040, 1042, 1043)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외에도, 솔 구조체(1012)는 전장 중창 유닛(1047),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에 있는 후방부 중창 유닛(1048), 및 솔 구조체(1012)의 접지면(G)을 확립하는 겉창 구성요소(1050A, 1050B)를 포함한다. 솔 구조체(1012)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나타나는 여러 도면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논의된다.
제1 플레이트(1040)는 도 44 및 도 45에서 분리되어 도시된다. 제1 플레이트(40)와 유사하게, 제1 플레이트(1040)는 비교적 강도를 갖는 재료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040)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복합재(예를 들어,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 사출될 수 있는 유리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강철, 또는 다른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40)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재료일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제1 플레이트(1040)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킹 오브 프러시아에 있는 Arkema Inc.에서 시판하는 RILSAN® BZM 7 0 TL과 같은 사출된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11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040)는 ISO 868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쇼어 D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75의 경도, ISO 178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약 1500 ㎫의 굴곡 탄성률, 및 약 1.07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0)와 마찬가지로, 제1 플레이트(1040)는 중앙 부분(49), 중앙 부분(49)의 전방에 있는 분기된 부분(52)[또한 분기된 전방 부분(52)이라고도 지칭됨], 및 중앙 부분(49)의 후방에 있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을 갖는다. 제1 플레이트(1040)는 제1 플레이트(1040)의 내측 에지(68)에 있는 내측 플랜지(69), 및 제1 플레이트(1040)의 외측 에지(70)에 있는 외측 플랜지(71)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040)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가 솔 구조체(1012)로 조립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원위 측(61)은 제1 플레이트(1040)의 근위 측(56)에 안착되고, 도 4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부분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전방에 있고,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전방에 있다. 근위 측(56)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가 안착되는 리세스(58)와 유사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창 구성요소(1050A) 상으로 연장된다. 겉창 구성요소(1050A)는 또한, 각각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각각의 내측 및 외측 말단뿐만 아니라, 제1 플레이트(1040)도 수용하고 지지하는 리세스(63)를 형성한다.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40)의 분기된 부분(52)은, 슬롯(72)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각각 제1 플레이트(1040)의 근위 측(56)에서 상향 연장되는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2C)를 갖는 내측 돌출부(52A) 및 외측 돌출부(52B)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04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분기된 부분(52)은 동일한 두께 및 재료를 갖지만, 연속적이고, 슬롯이 없는 전방 부분을 갖는 플레이트보다 솔 구조체(1012)의 전족 구역(20)에서 더 큰 내측-외측 가요성을 제공하고, 리지(52C)는, 돌출부(52A, 52B)가 리지(52C)를 갖지 않는 구성에 비해 돌출부(52A, 52B)를 강화시키고, 돌출부(52A, 52B)의 종방향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제1 플레이트(40)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중앙 부분(49)의 바로 후방에서 시작하여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의 전방에서 끝나는 세장형 개구(7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을 포함하므로,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은 개구(74)의 바로 후방으로 수렴한다. 도 4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레일(54A) 및 외측 레일(54B)은 각각 제1 플레이트(40)의 원위 측(66)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종방향 연장 리지(54C)를 가지므로, 레일(54A, 54B)을 강화시키고, 레일(54A, 54B)이 리지(54C)를 갖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그 종방향 굽힘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 4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40)는 제1 플레이트(1040)가 편향되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스푼 형상(즉, 종방향의 프로파일)이다. 그러나, 제1 플레이트(1040)의 말단 단부(76)는 제1 플레이트(1040)의 말단 단부만큼 후방에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3 플레이트(1043)는 말단 단부(76)에서 제1 플레이트(1040)에 끼워지고, 스푼 형상을 계속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10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 플레이트(40)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발등 굽힘 동안 종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1040)를 구부리는 것은 제1 플레이트(1040)를 구부리기 위해 착용자에 의해 입력된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텐셜 에너지로서 저장할 것이다. 그 다음, 토우-오프 직전에 보행 주기의 추진 단계에서 솔 구조체(1012)가 지면으로부터 밀어낼 때, 포텐셜 에너지가 방출되고, 제1 플레이트(1040)는 토우-오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전방 운동 방향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스푼 형상으로 펴진다.
제2 플레이트(1042)는 도 50 및 도 51에서 분리되어 도시된다. 제2 플레이트(1042)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을 가지며,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유체 충전 블래더는, 도 4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에 있다.
제2 플레이트(1042)는 중앙 부분(86),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을 갖는다. 제2 플레이트(4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모두 중앙 부분(86)의 후방에 있고, 따라서 솔 구조체(1012)의 종방향으로 중앙 부분(86)을 "트레일링"한다.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후방 방향으로 중앙 부분(86)로부터 멀리 하향으로 경사진다. 트레일링 아암(88A, 88B)은 도 43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42)의 근위 측(87)에서 오목하고, 도 43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42)의 원위 측(90)에서 볼록하다.
제2 플레이트(1042)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사이의 중앙 부분(86) 후방에 관통 구멍(1065)을 한정한다. 제2 플레이트(1042)는 또한 관통 구멍(1065)의 후방부 주위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1067)을 포함한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42)의 원위 측(90)은 중앙 부분(86)에서 한 쌍의 약간의 리세스(100)를 한정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042)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가 솔 구조체(1012)로 조립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근위 측(104)은 리세스(100)에서 제2 플레이트(1042)의 원위 측(90)에 안착되어, 도 4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리세스(100) 내에 네스팅된다. 솔 구조체(1012)가 갑피(14)에 고정될 때, 발(18)은 중앙 부분(86)의 근위 측(87)의 발 대면 표면(34)(도 42 및 도 43에 도시됨) 상에 지지된다.
제1 플레이트(1040)는 플레이트(40)에 대해 설명된 재료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 제2 플레이트(1042)는 플레이트(42)에 대해 설명된 재료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40)는 제2 플레이트(1042)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솔 구조체(1012)는 또한 도 46 및 도 47에 분리되어 도시된 제3 플레이트(1043)를 포함한다. 제3 플레이트(1043)는 노치(1049)를 한정하는 전방 에지(1045)를 갖는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노치(1049)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3 플레이트(1043)는 제1 플레이트(10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노치(1049)에서 제3 플레이트(1043)에 압입 끼워 맞춤되고, 열 본딩되고, 및/또는 접착될 수 있으며, 말단 단부(76)가 전방 에지(1045)에 대항하고,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노치(1049)를 완전히 채운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말단 단부(76)에서 두꺼워지고, 측면(76A)에 증가된 면적을 제공하여 제3 플레이트(1043)에 더 잘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3 플레이트(1040, 1043)를 함께 끼움으로써, 단일의 통합된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복잡한 형상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3 플레이트(1040, 1043)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043)는 도 46 내지 도 49 및 도 56에 가장 잘 도시된 관통 구멍(1055)을 갖는다. 제3 플레이트(1043)가 솔 구조체(1012)로 조립되면, 관통 구멍(1055)은 도 43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 구조체(1012)의 힐 구역(24)에 있다. 제3 플레이트(1043)는 제3 플레이트(1043)의 후방부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만곡되는 세장형 테일부(105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장형 테일부(1057)는 발(18)로부터 신발류 물품(1010)을 제거하기 위해 반대쪽 발이 밀어내는 레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3은 솔 구조체(1012)가 조립될 때 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제1 플레이트(1040), 제2 플레이트(1042) 및 제3 플레이트(1043)만을 도시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제1 플레이트(1040), 제2 플레이트(1042) 및 제3 플레이트(1043)를 가장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장 중창 유닛(1047), 후방부 중창 유닛(1048) 및 겉창 구성요소(1050A, 1050B)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사이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으로 하강한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바로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1040) 위에 배치되고,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후방에서 테이퍼진 뒤쪽 부분(54) 아래로 하강한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와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 사이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아래로부터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위로 상승한다. 제2 플레이트(1042)는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도 5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042)의 관통 구멍(1065)을 통해 후방으로 상승한다. 제3 플레이트(1043)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위에서 제1 플레이트(1040)로부터 후방으로 상승한다.
도 40 및 도 4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뒤쪽 부분(54),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솔 구조체(1012)의 중족 구역(22)에서 노출된다. 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솔 구조체(1012)의 내측 측면도(도 40 참조), 외측 측면도(도 41 참조) 및/또는 저면도(도 52 참조)로부터 노출되고 볼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제1 플레이트(1040)의 중앙 부분(49)의 근위 측(56)에서 그리고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104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플레이트(1042)의 중앙 부분(86)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근위 측(104)에서 그리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제2 플레이트(1042)의 관통 구멍(1065)을 통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사이에서 상승한다[즉, 솔 구조체(1012)의 횡방향으로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내향으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으로 하강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와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말단 단부(89A, 89B) 사이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제1 플레이트(1040) 위의 위치에 있는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적어도 후방부 부분보다 낮은(즉, 아래의) 위치에 있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말단 단부(89A, 89B)로 각각 하강한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와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 사이에서, 레일(54A, 54B)은 레일(54A, 54B)의 전방 부분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아래의 위치로부터,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위의 위치로 상승한다.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의 말단 단부(76)는 트레일링 아암(88A, 88B)의 말단 단부(89A, 89B)의 전방에 있다. 제1 플레이트(1040)는 힐 구역(24)이 아닌 전족 구역(20)으로부터 중족 구역(22)으로 연장되고, 제3 플레이트는 전족 구역(20)이 아닌 중족 구역(22)으로부터 힐 구역(24)으로 연장되고, 제2 플레이트(1042)는 전족 구역(20), 중족 구역(22) 및 힐 구역(24)의 일부에서 연장된다.
전장 중창 유닛(1047) 및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일반적으로 플레이트(1040, 1042, 1043)보다 더 유연한 재료이고, 완충 및 에너지 복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장 중창 유닛(1047) 및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폼, 다른 폼, 또는 플레이트(1040, 1042, 1043)보다 낮은 압축 강성을 갖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발(18)의 지골이, 토우-오프 직전에 보행 주기의 추진 단계에서 발등 굽힘 동안 전장 중창 유닛(1047)의 전족 부분을 압축함으로써 더 강성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용이하게 전장 중창 유닛(1047)의 전족 부분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0 및 도 4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도 53 참조)과 접하고 이에 고정되는 내측 숄더(55A)(도 54 참조),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도 53 참조)과 접하고 이에 고정되는 외측 숄더(55B)(도 54 참조)를 갖는다. 내측 숄더(55A)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같은 높이로 접할 수 있고, 외측 숄더(55B)는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과 같은 높이로 접할 수 있다.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은 내측 숄더(55A)의 리세스(57A) 내에 네스팅될 수 있고,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은 외측 숄더(55B)의 리세스(57B) 내에 네스팅될 수 있다. 리세스(57A, 57B)는 계속되고, 제2 플레이트(1042)의 후방부(88C)(도 55 참조)가 네스팅되는 후방 리세스된 섹션(57C)(도 54 참조)에서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1042)의 벽(1067)은 후방부(88C) 주위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과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 사이에서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 54는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이 원위 측(110)을 가지며, 후방부 중창 유닛(48)과 같이, 내측 숄더(55A)와 외측 숄더(55B) 사이에 리세스(112)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연속 벽(1067)은 리세스(112) 내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1048)과 같은 높이로 접한다. 추가적으로, 제1 플레이트(10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54)은 리세스(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1048)에 대해 안착되고 이에 고정된다.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043)의 원위 측(93)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043)의 관통 구멍(1055)에서 제3 플레이트(1043)의 근위 측(95)에서 노출된다.
전장 중창 유닛(1047)은, 도 40, 도 42 및 도 5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 구역(20)으로부터 솔 구조체(1012)의 힐 구역(24)으로 연장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중창 유닛(1047)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전방에서 그리고 제2 플레이트(1042)의 전방 에지(843) 전방에서 전족 구역(20)에서 제1 플레이트(1040)의 근위 측(56)에 지지되고 이와 접한다. 전장 중창 유닛(1047)은 또한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에 있는 제2 플레이트(1042)의 근위 측(87)과 접한다. 전장 중창 유닛(1047)은 제3 플레이트(1043)의 근위 측(95)과 접한다.
도 40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중창 유닛(1047)은 제3 플레이트(1043)의 관통 구멍(1055) 위로 연장되고, 제3 플레이트(1043)의 관통 구멍(1055)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의 근위 측과 접한다. 도 54, 도 55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중창 유닛(1047)은 관통 구멍(1097)을 갖는다. 도 57로부터, 관통 구멍(1097)은 제2 플레이트(1042) 위에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1042)의 근위 측은 전장 중창 유닛(1047)의 관통 구멍(1097)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97) 아래의 제2 플레이트(1042)의 원위 측(90)에 배치된다.
관통 구멍(1055, 1097)은 발에 의한 솔 구조체(1012)의 구성요소들의 원하는 하중에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발(18)의 뒤꿈치는 관통 구멍(1097)에서 스택된 중창 유닛(1047, 1048) 상에 직접 지지될 것이다. 중창 유닛(1047, 1048)이 제3 플레이트(1043)보다 강성이 낮기 때문에, 중창 유닛(1047, 1048)의 완충 특성은, 관통 구멍(1097)의 영역에 더 강성인 제3 플레이트(1043)가 개입되지 않고, 뒤꿈치에 의해 직접 경험될 것이다. 발(18)의 볼은, 덜 강성인 전장 중창 유닛(1047)이 제2 플레이트(1042)와 발(18)의 볼 사이에 개입하지 않고, 관통 구멍(1097)에서 제2 플레이트(1042) 상에 직접 지지될 것이다. 따라서, 관통 구멍(1097)에서 발(18)의 볼에서 전달되는 부하는, 덜 강성인 중창 유닛(1047)을 통해 전달되지 않고,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위에서 제2 플레이트(1042)에 의해 직접 분배될 것이다.
도 40 및 도 5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중창 유닛(1047)은,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전방에 있고 제1 플레이트(1040)로부터 제2 플레이트(1042)까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085)을 갖는다. 벽(1085)의 표면은 제1 플레이트(1040)와 제2 플레이트(1042) 사이에서 전방으로 만곡된다. 벽(1085)은 솔 구조체(1012)가 정상 상태 하중 하에 있을 때 블래더(44A, 44B)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솔 구조체(1012)가 동적 하중 하에 있을 때 블래더(44A, 44B)의 전방 변형을 제한하는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내측 플랜지(69) 및 외측 플랜지(71)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전방의 전족 구역(20)에서 전장 중창 유닛(1047)의 하향 연장 부분의 후방부 면(1071)에 대해 배치된다. 플랜지(69, 71) 및 후방부 면(1071)은 전장 중창 유닛(1047)을 제1 플레이트(1040)와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위치 결정되는 위치 설정 특징부이다.
도 58 및 도 59는 본 교시들의 범위 내에서 솔 구조체(1112)의 다른 실시예를 갖는 신발류 물품(1110)을 도시한다. 솔 구조체(1112)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칭되는 솔 구조체(101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많이 갖는다. 솔 구조체(111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플레이트(1140), 제2 플레이트(1042) 및 제3 플레이트(1143)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도 58에서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솔 구조체(1112)는 또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1140, 1042)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유체 충전 블래더[44A(도 58에 도시됨), 44B(도 59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40, 1042, 1143)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 이외에, 솔 구조체(1112)는 전장 중창 유닛(1147),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후방에 있는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음), 및 솔 구조체(1112)의 접지면(G)을 확립하는 겉창 구성요소[1050A, 1050B(이전에 설명됨)]를 포함한다. 솔 구조체(1112)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나타나는 여러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논의된다.
도 58 및 도 5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장 중창 유닛(1147)은 전장 중창 유닛(1047)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된다. 중창 유닛(1047)과 같이, 전장 중창 유닛(1147)은 전족 구역(20)으로부터 솔 구조체(1112)의 힐 구역(24)까지 연장되며, 제2 플레이트(1042)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20)에서 제1 플레이트(1140)의 근위 측 위로 연장되고 이에 지지되며 이와 접하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88A)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88B)의 전방에서 제2 플레이트(1042)의 근위 측 위로 연장되고 이에 지지되며 이와 접하고, 그리고 힐 구역(24)에서 제3 플레이트(1143)의 근위 측 위로 연장되고 이에 지지되며 이와 접한다. 전방 벽(1085A)은 블래더(44A, 44B)에 더 가깝고, 중창 유닛(1047)의 전방 벽(1085)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다. 도 6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97)의 전방 에지에는, 전방 관통 구멍으로 지칭될 수 있는 노치(1187)가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전장 중창 유닛(1147)은 또한, 힐 구역(24)에 더 가깝고 조립된 솔 구조체(1112)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1048) 위에 배치된 관통 구멍(1188)을 갖는다. 관통 구멍(1188)은 후방부 관통 구멍으로 지칭될 수 있다. 중창 유닛(1147)의 발 대면 표면(34)의 리세스(1189)는 관통 구멍(1188)의 바로 후방에 있고, 이와 연통한다. 관통 구멍(1188)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유닛(1147)에서 관통 구멍(1188)을 통해 연장되고 중창 유닛(1147)의 발 대면 표면(34)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1140)의 테이퍼진 뒤쪽 부분(1154)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도 61은 내측 레일(54A)을 통한 단면에서 취해진다. 도 62 및 도 63은 제1 플레이트(1040)와 동일한 많은 특징을 갖는 제1 플레이트(1140)를 도시한다. 제1 플레이트(1140)는 제1 플레이트(1040)의 플랜지(69, 71)와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그러나 전후 길이가 감소된 플랜지(1169, 1171)를 포함한다.
테이퍼진 뒤쪽 부분(1154)은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 및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얇은 레그(1176B)를 갖는 계단식 후방부(1177)를 포함한다. 도 6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솔 구조체(1112)가 조립될 때,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는 관통 구멍(1188)을 통해 연장되고, 비교적 얇은 레그(1176B)는 중창 유닛(1147) 위로 연장되고, 중창 유닛(1147)의 발 대면 표면(34) 상의 리세스(1189)에 안착된다. 도 64는 명확성을 위해 솔 구조체(1112)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거된 상태로 중창 유닛(1147)에 조립된 제1 플레이트(1140)를 도시한다. 비교적 얇은 레그(1176B)는 접착제, 열 본딩 또는 다른 방법으로 리세스(1189) 내의 발 대면 표면(34)에 본딩된다. 계단식 후방부(1177)의 발 대면 표면(1191)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유닛(1147)의 발 대면 표면(34)과 같은 높이이다. 스트로벨(도시 생략)은, 계단식 후방부(1177)의 발 대면 표면(1191)을 포함하는, 중창 유닛(1147)의 발 대면 표면(34)에 본딩될 수 있다.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의 측면(1176C)(도 62에 도시됨)은 관통 구멍(1188)을 경계로 하는 중창 유닛(1147)의 표면에 본딩될 수 있다. 레그(1176A)의 비교적 두꺼움은, 중창 유닛(1147)에 대한 더 나은 고정을 위해, 더 얇은 레그보다 더 많은 표면적을 측면(1176C)에 제공한다. 이러한 비교적 두꺼움으로 인해, 계단식 후방부에서 테이퍼진 뒤쪽 부분(1154)의 발 대면 표면(1191)은 테이퍼진 뒤쪽 부분의 발 대면 표면에 복수의 리세스(1192)를 포함한다. 리세스(1192)는 제1 플레이트(1140)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추가적으로, 리세스(1192)는 발 대면 표면(1191)에서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의 두께를 감소시켜, 리세스(1192)를 둘러싸는 얇은 벽의 매트릭스를 효과적으로 생성한다. 제1 플레이트(1140)가 사출 성형되는 실시예들에서, 더 얇은 벽은 더 두꺼운 성형된 섹션보다 더 양호한 재료 흐름 및 더 적은 전체 수축을 허용한다.
도 65 및 도 66은 제3 플레이트(1043)와 동일한 특징을 많이 갖는 제3 플레이트(1143)를 도시한다. 개구(1155)는 더 곧은 전방 에지(1156)를 갖고, 제3 플레이트(1143)의 전방 에지(1145)는 제3 플레이트(1043)의 노치(1049)보다 더 얕은 노치(1149)를 갖는다. 명확성을 위해 후방부 중창 유닛 겉창 구성요소(1050A, 1050B)가 제거된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레그(1176A)의 후방부(1178)는 노치(1149)에서 제3 플레이트(1143)에 맞닿는다. 다시 도 61을 참조하면, 제3 플레이트(1143)는 제1 플레이트(1140)의 비교적 얇은 레그(1176B) 아래에 있고, 중창 유닛(1147)의 일부는 제1 플레이트(1140)와 제3 플레이트(1143)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은 제3 플레이트(1143) 아래에 있다[예를 들어, 구성요소들은 상단으로부터 바닥으로 제1 플레이트(1140), 중창 유닛(1147), 제3 플레이트(1143) 및 후방부 중창 유닛(1048)의 순서로 수직으로 스택된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솔 중창 유닛(1048)은 솔 구조체(101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플레이트(1042) 및 제1 플레이트(1140)과 서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여, 솔 구조체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유체 충전 블래더의 팽창 압력이 신발류 크기와 상관될 때, 지지 및 완충의 가장 바람직한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9는 3개의 신발류 물품(1010A, 1010B, 1010C)을 도시하며, 각각은 여기에 설명된 신발류 물품(101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지만 신발류 크기가 상이하다. 신발류 물품(1010A, 1010B, 1010C) 각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 구조체(1012)와 동일하게 구성된 대응하는 솔 구조체(1012A, 1012B, 1012C)를 가지며, 제1 플레이트(1040), 제2 플레이트(1042) 및 블래더(44A, 44B)와 같은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제1 플레이트(1040)의 근위 측에 지지된다. 제2 플레이트(1042)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근위 측에 지지된다.
신발류 물품(1010A, 1010B, 1010C) 각각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범위 A로 지칭될 수 있고, 남성용 미국(U.S.) 신발류 크기 6 내지 9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10A)은 남성용 미국 크기 8로서 측정된 발(18A)에 대응하는 남성용 미국 크기 8이고, 따라서 범위 A에 포함된다.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범위 B로 지칭될 수 있고, 남성용 미국 신발류 크기 9.5 내지 12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10B)은 남성용 미국 크기 11로서 측정된 발(18B)에 대응하는 남성용 미국 크기 11이고, 따라서 범위 B에 포함된다.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범위 C로 지칭될 수 있고, 남성용 미국 신발류 크기 12.5 내지 15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10C)은 남성용 미국 크기 14로서 측정된 발(18C)에 대응하는 남성용 미국 크기 14이고, 따라서 범위 C에 포함된다. 복수의 크기 범위 및 "남성용" 신발류로서의 신발의 사양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여성용 신발류, 남녀 공용 신발류, 아동용 또는 청소년용 신발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방법 하의 크기의 범위의 개수는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와 같이 3개의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류 물품(1010A, 1010B, 1010C)은 신발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플레이트(1040, 1042, 1043) 및/또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와 같은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40, 1042, 1043) 및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는 신발류 물품(1010B)보다 신발류 물품(1010A)에 대해 더 작다.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 내에 있는 신발류 크기를 갖는 발(18A)을 가진 착용자는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 내에 있는 신발류 크기를 갖는 발(18B)을 가진 착용자보다 중량이 더 낮을 가능성이 있다. 범위 A 또는 B의 신발류 크기를 가진 착용자는 둘 모두 제3 범위(범위 C)의 신발류 크기 내의 신발류 크기를 갖는 발(18C)을 가진 착용자보다 중량이 더 낮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솔 구조체(1012A)에 의해 지탱되는 압축 부하는 솔 구조체(1012B)에 의해 지탱되는 압축 부하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고, 솔 구조체(1012B)에 의해 지탱되는 압축 부하는 솔 구조체(1012C)에 의해 지탱되는 압축 부하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다.
블래더(44A, 44B)의 완충 반응은 부분적으로 블래더(44A, 44B)의 팽창 압력의 함수이다. 일반적으로, 블래더(44A)는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될 때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팽창되면 더 강성의 반응을 가질 것이다. 다른 압축 부하의 착용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동일한 완충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블래더(44A, 44B)의 팽창 압력은 일반적으로 압축 부하의 크기에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신발류 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소정의 팽창 압력을 갖는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사용하는 솔 구조체(1012A, 1012B, 1012C)와 같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에 대한 솔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팽창 압력은 신발류 크기의 범위 중 적어도 2개에 대해 상이하다. 일 예에서,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에 대한 신발류(1010A)의 솔 구조체(1012A)로 조립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신발류(1010B)의 솔 구조체(1012B)로 조립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작고,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신발류(1010B)의 솔 구조체(1012B)로 조립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C]에 대한 신발류(1010C)의 솔 구조체(1012C)로 조립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의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작다. 예를 들면,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C]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10 psi 더 클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클 수 있고,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C]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클 수 있다.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최대 약 18 psi일 수 있고,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18 psi 내지 약 22 psi일 수 있으며,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C]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22 psi 내지 약 25 ps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A]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15 psi일 수 있고, 제2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B]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20 psi일 수 있으며, 제3 범위의 신발류 크기[범위 C]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25 psi일 수 있다.
본 방법은 블래더(44A, 44B)가 조립될 솔 구조체의 신발류 크기 범위에 대응하는 소정의 팽창 압력으로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소정의 팽창 압력이 부분적으로 블래더(44A, 44B)의 재료에 의존할 수 있는 가능한 범위로 유지되도록 유체 충전 블래더(44A, 44B)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이 신발류 물품(1010) 및 솔 구조체(1012)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방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발류 물품 및 솔 구조체 중 임의의 것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 항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로서,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유체 충전 블래더;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 -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됨 - ;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 항 1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두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 항 2에 있어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및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두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 항 2 또는 항 3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을 모두 포함하고,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의 후방부에서 수렴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 항 4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6: 항 2 내지 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의 전방으로 수렴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7: 항 6에 있어서,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은 각각 제1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를 갖는 것인 솔 구조체.
항 8: 항 2 내지 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 단부(들)의 후방에 있는 것인 솔 구조체.
항 9: 항 2 내지 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은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의 후방부에서 수렴하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을 모두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0: 항 9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중앙 부분을 갖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개구를 한정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1: 항 9 또는 항 10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속 벽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2: 항 2 내지 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의 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제1 플레이트의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이 수렴하는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의 후방부 범위로 분기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3: 항 2 내지 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서 주변 벽을 한정하며, 주변 벽은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멀리 그리고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의 전방부 주위로 연장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4: 항 13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후방부 중창 유닛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같은 높이로 접하고 이에 고정된 내측 숄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과 같은 높이로 접하고 이에 고정된 외측 숄더를 가지며; 후방부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그리고 제2 플레이트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멀리 연장되는 주변 벽을 한정하고, 후방부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한정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5: 항 14에 있어서, 후방부 중창 유닛은 내측 숄더와 외측 숄더 사이에 리세스를 구비하는 원위 측을 가지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리세스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에 대해 안착되고 이에 고정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6: 항 15에 있어서, 후방부 중창 유닛의 원위 측에 고정된 겉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겉창 구성요소의 제1 내측 측벽은 상향으로 연장되고, 후방부 중창 유닛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7: 항 2 내지 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과 접하고 이에 고정되는 내측 숄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과 접하고 이에 고정되는 외측 숄더를 포함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8: 항 17에 있어서, 내측 트레일링 아암은 내측 숄더의 리세스에 네스팅되고, 외측 트레일링 아암은 외측 숄더의 리세스에 네스팅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19: 항 18에 있어서, 후방부 중창 유닛은 내측 숄더와 외측 숄더 사이에 리세스를 가지며; 제2 플레이트는 리세스 내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 내의 후방부 중창 유닛과 접하는 벽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0: 항 2 내지 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서 연장되는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중창 유닛은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가지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 상에 안착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1: 항 20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비교적 두꺼운 레그 및 중창 유닛 위의 비교적 두꺼운 레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얇은 레그를 갖는 계단식 후방부를 포함하고; 비교적 얇은 레그는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 상의 리세스에 안착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2: 항 20 또는 항 21에 있어서, 노치를 한정하는 전방 에지를 갖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3 플레이트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위에서 제1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노치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중창 유닛은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으로 연장되는 전장 중창 유닛이고;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서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그리고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3: 항 1 내지 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치를 한정하는 전방 에지를 갖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3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노치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4: 항 23에 있어서, 제3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한정하고; 솔 구조체는, 제3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노출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5: 항 23 또는 항 24에 있어서, 제3 플레이트는 제3 플레이트의 후방부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만곡되는 세장형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6: 항 23 내지 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까지 연장되는 전장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며, 그리고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이와 접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7: 항 26에 있어서,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 위에 배치된 관통 구멍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은 전장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8: 항 27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전장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 아래에서 제2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29: 항 26 내지 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장 중창 유닛은,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2 플레이트로 연장되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방으로 만곡되는 벽을 갖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0: 항 24 내지 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의 내측 에지에 있는 내측 플랜지 및 제1 플레이트의 외측 에지에 있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내측 플랜지 및 외측 플랜지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전장 중창 유닛의 하향 연장 부분의 후방부 면에 대해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1: 항 26에 있어서, 제3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한정하고, 솔 구조체는: 제3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노출되는 후방부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전장 중창 유닛은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 위로 연장되고, 제3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후방부 중창 유닛과 접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2: 항 1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 상에 지지되는 중앙 부분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는 중앙 부분의 후방에서 관통 구멍을 한정하고;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을 통해 후방으로 상승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3: 항 32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의 후방부 주위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4: 항 1 내지 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분기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5: 항 34에 있어서, 분기된 부분은 내측 돌출부 및 외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측 돌출부 및 외측 돌출부 각각은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를 갖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6: 항 1 내지 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은 리세스를 한정하고, 유체 충전 블래더의 원위 측은 리세스에 안착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7: 항 1 내지 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원위 측은 리세스를 한정하고, 유체 충전 블래더의 근위 측은 리세스에 네스팅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8: 항 1 내지 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상부 내부 표면과 유체 충전 블래더의 하부 내부 표면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39: 항 1 내지 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제1 유체 충전 블래더이고,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1 유체 충전 블래더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유체 충전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0: 항 39에 있어서, 제2 유체 충전 블래더는 제2 유체 충전 블래더의 상부 내부 표면과 제2 유체 충전 블래더의 하부 내부 표면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테더를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1: 항 39 또는 항 40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분기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유체 충전 블래더는 분기된 부분의 내측 돌출부 상에 배치되고; 제2 유체 충전 블래더는 분기된 부분의 외측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2: 항 1 내지 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보다 더 강성인 것인 솔 구조체.
항 43: 항 1 내지 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 탄소 섬유 복합재, 탄소 섬유 충전 나일론, 유리 섬유 강화 나일론, 섬유 스트랜드-레인 복합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또는 강철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4: 항 43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쇼어 D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75의 경도를 갖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11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5: 항 43 또는 항 44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6: 항 45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쇼어 A 경도계 스케일에서 약 95의 경도를 갖는 사출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7: 항 1 내지 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으로 분할되지 않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8: 항 1 내지 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의 횡방향 리지, 및 횡방향 리지와 정렬된 제1 플레이트의 원위 측의 횡방향 홈을 갖는 것인 솔 구조체.
항 49: 항 1 내지 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배치된 전족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0: 항 49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관통 구멍을 한정하고, 전족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1: 항 49 또는 항 50에 있어서,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부 범위는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2 플레이트로 유체 충전된 블래더로부터 상향으로 멀리 경사지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2: 항 49 내지 항 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족 중창 유닛의 후방부 범위는 제1 플레이트에서 제2 플레이트로 유체 충전 블래더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3: 항 49 내지 항 5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족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최전방 에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4: 항 1 내지 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 제1 내측 측벽을 갖는 겉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5: 항 54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유체 충전 블래더의 전방에 배치된 전족 중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겉창 구성요소는, 상향으로 감싸고 제1 내측 측벽의 전방으로 전족 중창 유닛의 내측 표면에 고정되는 제2 내측 측벽을 포함하고, 겉창 구성요소는 제1 내측 측벽과 제2 내측 측벽 사이에 노치를 한정하는 것인 솔 구조체.
항 56: 신발류 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에 대한 솔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솔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는 유체 충전 블래더를 포함하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근위 측에 지지되고; 유체 충전 블래더는 소정의 팽창 압력을 가지며; 소정의 팽창 압력은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 중 적어도 2개에 대해 상이한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57: 항 56에 있어서,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제1 범위 및 제2 범위를 포함하고; 제1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는 제2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보다 작고;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작은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58: 항 57에 있어서, 복수의 범위의 신발류 크기는 제3 범위를 더 포함하고; 제3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는 제2 범위에 포함된 신발류 크기보다 크며;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큰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59: 항 58에 있어서,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10 psi 더 큰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0: 항 58 또는 항 59에 있어서, 제1 범위는 남성용 미국(U.S.) 크기 6 내지 9를 포함하고, 제2 범위에는 남성용 미국 크기 9.5 내지 12를 포함하고, 제3 범위에는 남성용 미국 크기 12.5 내지 15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1: 항 58 내지 항 6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크고;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보다 약 2 psi 내지 약 5 psi 더 큰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2: 항 58 내지 항 6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최대 약 18 psi이고; 제2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18 psi 내지 약 22 psi이고; 제3 범위에 대한 소정의 팽창 압력은 약 22 psi 내지 약 25 psi인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3: 항 56 내지 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충전 블래더를 소정의 팽창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단계; 및 유체 충전 블래더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4: 항 56 내지 항 6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는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5: 항 64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첫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중 두 번째 것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항 66: 항 65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유체 충전 블래더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아래로 하강하는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솔 구조체 제조 방법.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돕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들이 여기에서 정의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다음 정의들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적용된다(청구범위를 포함함). 추가적으로, 언급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여기에 포함된다.
"신발류 물품", "신발류 제조 물품" 및 "신발류"는 기계 및 제조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된, 레디 투 웨어(ready to wear) 신발류 물품(예를 들어, 슈즈, 샌들, 부츠 등)뿐만 아니라, 레디 투 웨어 신발류 물품으로 최종 조립되기 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구성요소(예를 들어, 중창, 겉창, 갑피 구성요소 등)도 본 명세서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신발류 물품(들)"으로서 간주되고 대안적으로 지칭된다.
"부정관사", "정관사",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이러한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문맥의 관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또는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를 들어, 수량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 값들은 "약"이 실제로 수치 값 앞에 나타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 값이 일부 약간의 부정확성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값의 정확성에 대한 일부 접근을 가짐; 값에 거의 또는 합리적으로 근접함; 거의). "약"에 의해 제공된 부정확성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여기서 사용된 "약"은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어도 변화를 나타낸다.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값이 언급된 값보다 5% 초과만큼 더 크지 않고 5% 초과만큼 더 작지 않은 경우, 값은 언급된 값과 "대략"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범위의 개시는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추가로 분할된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인 것이며, 따라서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그러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관련된 열거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 임의의 것"은 언급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언급된 항목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 임의의 것"은 언급된 청구항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첨부된 청구항들 중 언급된 청구항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 상세한 설명의 전반에 걸쳐 방향 형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위", "아래", "상향", "하향", "상단", "바닥" 등과 같은 용어들이,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고,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용어 "종방향"은 구성요소의 길이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슈즈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구역과 힐 구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용어 "전방" 또는 "앞쪽"은 힐 구역으로부터 전족 구역으로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후방" 또는 "뒤쪽"은 반대 방향, 즉 전족 구역으로부터 힐 구역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 구성요소는 종방향 축뿐만 아니라 그 축을 따라 전방 및 후방 종방향으로도 식별될 수 있다. 종방향의 방향 또는 축은 또한 앞-뒤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용어 "횡방향"은 구성요소의 폭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슈즈의 횡방향은 슈즈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의 방향 또는 축은 또한 측방향의 방향 또는 내측 외측의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용어 "수직"은 측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솔이 지표면 상에 편평하게 위치된 경우,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형용사 각각은 솔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용어 "상향으로" 또는 "위쪽으로"는 갑피의 발등, 체결 구역 및/또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하향으로" 또는 "아래쪽으로"는 구성요소의 바닥을 향하는 상향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고,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솔 구조체의 바닥을 향할 수 있다.
슈즈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슈즈를 신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의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부 측"은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구성요소 또는 신발류 물품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또는 배항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부 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슈즈에서 슈즈의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일부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내부 측면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내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외부 측면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외부 공간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용어 "내향" 및 "안쪽"은 슈즈와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용어 "외향" 및 "바깥쪽"은 슈즈와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근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에 더 가까운 방향 또는 사용자가 착용할 때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되는 경우 발에 더 가까운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원위"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착용할 때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되는 경우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거나 또는 발로부터 더 먼 상대적 위치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설명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들 및 구현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특징 또는 요소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이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을 고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교시의 많은 양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모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교시들이 관련된 기술에 익숙한 사람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들을 인식할 것이다. 위의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일반적으로 숙련된 당업자가 포함된 내용에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것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된 내용에 기초하여 명백한 것에 의해 포함된 것으로 인식하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전체 범위를 설명하고 예시하며, 명시적으로 도시되고 및/또는 설명된 그러한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sole structure)로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탄성 재료; 및
    상기 탄성 재료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로서, 상기 탄성 재료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상기 탄성 재료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이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medial-side)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lateral-side)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솔 구조체의 횡방향으로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 안쪽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보다 더 강성인 것인, 솔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 복합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목재 또는 강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에 맞춰지는 전방 에지를 구비한 제3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인, 제3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솔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힐 구역으로 연장되는 중창 유닛으로서, 상기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상기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며 그에 접하고,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에서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접하며,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접하는 것인, 중창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솔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의 내측 에지에 있는 내측 플랜지 및 제1 플레이트의 외측 에지에 있는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 및 외측 플랜지는 탄성 재료의 전방에서 전족 구역에서 중창 유닛의 하향 연장 부분의 후방부 면에 대해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3 플레이트의 후방부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만곡되는 세장형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탄성 재료의 전방에서 분기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된 부분은 내측 돌출부 및 외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외측 돌출부 각각은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를 갖는 것인, 솔 구조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분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재료는 상기 분기된 부분 상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의 말단 단부의 전방으로 수렴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을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은 각각 제1 플레이트의 원위 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리지를 갖는 것인, 솔 구조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는 폼 구조체인 것인, 솔 구조체.
  15.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로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탄성 재료;
    상기 탄성 재료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로서, 상기 탄성 재료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2 플레이트; 및
    솔 구조체의 힐 구역에서 연장되는 중창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상기 탄성 재료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이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고,
    상기 중창 유닛은 힐 구역에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중창 유닛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비교적 두꺼운 레그 및 중창 유닛 위에서 비교적 두꺼운 레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얇은 레그를 갖는 계단식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적 얇은 레그는 중창 유닛의 발 대면 표면 상의 리세스에 안착되고, 상기 비교적 두꺼운 레그의 측면은 중창 유닛에 본딩되는 것인, 솔 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후방부에서 뒤쪽 부분의 발 대면 표면은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솔 구조체.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솔 구조체의 횡방향으로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18. 신발류 물품을 위한 솔 구조체로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탄성 재료;
    상기 탄성 재료 상에 지지되는 제2 플레이트로서, 상기 탄성 재료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맞춰지는 제3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인, 제3 플레이트; 및
    솔 구조체의 전족 구역으로부터 솔 구조체의 힐 구역으로 연장되는 전장 중창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상승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탄성 재료의 후방으로 하강하며, 상기 탄성 재료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이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위에 있고,
    상기 전장 중창 유닛은 제2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상기 전족 구역에서 제1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지지되며 그에 접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접하며, 상기 제3 플레이트의 근위 측에 접하는 것인, 솔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은 솔 구조체의 횡 방향으로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 안쪽에 배치되는 것인, 솔 구조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뒤쪽 부분, 및 상기 내측 트레일링 아암 및 상기 외측 트레일링 아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솔 구조체의 중족 구역에서 노출되는 것인, 솔 구조체.
KR1020227027493A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KR102614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0547P 2018-04-20 2018-04-20
US62/660,547 2018-04-20
US201862715056P 2018-08-06 2018-08-06
US62/715,056 2018-08-06
KR1020207031361A KR102432499B1 (ko)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PCT/US2019/026470 WO2019204077A1 (en) 2018-04-20 2019-04-09 Sole structure with plates and intervening fluid-filled blad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61A Division KR102432499B1 (ko)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823A true KR20220115823A (ko) 2022-08-18
KR102614471B1 KR102614471B1 (ko) 2023-12-14

Family

ID=662487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493A KR102614471B1 (ko)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KR1020207031361A KR102432499B1 (ko)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61A KR102432499B1 (ko) 2018-04-20 2019-04-09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945489B2 (ko)
EP (2) EP4226804A1 (ko)
JP (2) JP7136923B2 (ko)
KR (2) KR102614471B1 (ko)
CN (2) CN111989007B (ko)
WO (1) WO2019204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6443B2 (en) 2018-02-09 2021-08-24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14471B1 (ko) * 2018-04-20 2023-12-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ES2867578T3 (es) * 2018-05-03 2021-10-20 Lotto Sport Italia Spa Suela para calzado deportivo
USD885729S1 (en) * 2018-06-01 2020-06-02 Cole Haan Llc Shoe sole
USD892481S1 (en) * 2018-06-04 2020-08-11 Cole Haan Llc Shoe sole
USD893151S1 (en) * 2018-06-04 2020-08-18 Cole Haan Llc Shoe sole
USD903253S1 (en) * 2019-01-17 2020-12-01 Puma SE Shoe
USD903252S1 (en) * 2019-01-17 2020-12-01 Puma SE Shoe
USD907348S1 (en) 2019-02-05 2021-01-12 Puma SE Shoe
USD896485S1 (en) 2019-02-05 2020-09-22 Puma SE Shoe
USD876769S1 (en) * 2019-04-19 2020-03-03 Nike, Inc. Shoe
USD877469S1 (en) * 2019-05-17 2020-03-10 Nike, Inc. Shoe
USD905392S1 (en) * 2019-08-02 2020-12-22 Nike, Inc. Shoe
USD905391S1 (en) * 2019-08-02 2020-12-22 Nike, Inc. Shoe
USD905394S1 (en) 2019-08-16 2020-12-22 Nike, Inc. Shoe
USD901146S1 (en) 2019-08-16 2020-11-10 Nike, Inc. Shoe
USD917855S1 (en) 2019-08-27 2021-05-04 Puma SE Shoe
USD913656S1 (en) 2019-08-30 2021-03-23 Puma SE Shoe
USD916445S1 (en) 2019-09-05 2021-04-20 Puma SE Shoe
USD936944S1 (en) * 2019-09-06 2021-11-30 Nike, Inc. Shoe
CN113015458B (zh) * 2019-10-18 2022-09-06 株式会社爱世克私
USD918550S1 (en) * 2019-11-22 2021-05-11 Nike, Inc. Shoe
US11737509B2 (en) 2019-12-09 2023-08-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SD958502S1 (en) 2019-12-17 2022-07-26 Nike, Inc. Shoe
USD938702S1 (en) 2019-12-17 2021-12-21 Nike, Inc. Shoe
USD932150S1 (en) * 2019-12-17 2021-10-05 Nike, Inc. Shoe
USD927156S1 (en) * 2020-01-09 2021-08-10 Nike, Inc. Shoe
USD927155S1 (en) * 2020-01-09 2021-08-10 Nike, Inc. Shoe
USD923299S1 (en) * 2020-01-10 2021-06-29 Nike, Inc. Shoe
USD929089S1 (en) * 2020-03-13 2021-08-31 Nike, Inc. Shoe
CN115334925A (zh) 2020-04-07 2022-11-1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嵌套的泡沫芯的鞋类鞋底结构
USD909721S1 (en) * 2020-04-24 2021-02-09 Nike, Inc. Shoe
USD995071S1 (en) * 2020-07-24 2023-08-15 Nike, Inc. Shoe
JP2022042694A (ja) * 2020-09-03 2022-03-1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およびこれを備えた靴
US20220087362A1 (en) * 2020-09-18 2022-03-24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and upper with an embedded plate
USD936945S1 (en) * 2020-09-30 2021-11-30 Nike, Inc. Shoe
USD934540S1 (en) * 2020-09-30 2021-11-02 Nike, Inc. Shoe
USD935150S1 (en) * 2020-09-30 2021-11-09 Nike, Inc. Shoe
USD959810S1 (en) * 2020-10-22 2022-08-09 Brooks Sports, Inc. Shoe
US20220125158A1 (en) * 2020-10-28 2022-04-28 Puma SE Articles of footwear with support structures
USD932158S1 (en) * 2020-10-29 2021-10-05 Nike, Inc. Shoe
USD934541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34545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54409S1 (en) * 2021-01-06 2022-06-14 Nike, Inc. Shoe
US20220225729A1 (en) * 2021-01-20 2022-07-2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plate
US20220232929A1 (en) * 2021-01-22 2022-07-28 Hann Athletic, Llc Shoe
JP2024506168A (ja) * 2021-02-08 2024-02-09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履物製品のソール構造
US11986045B2 (en) 2021-02-26 2024-05-2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ole including closed loop support member
USD942747S1 (en) * 2021-03-03 2022-02-08 Nike, Inc. Shoe
USD949540S1 (en) 2021-03-04 2022-04-26 Nike, Inc. Shoe
USD948190S1 (en) 2021-03-04 2022-04-12 Nike, Inc. Shoe
USD948191S1 (en) 2021-03-08 2022-04-12 Nike, Inc. Shoe
USD949544S1 (en) 2021-03-31 2022-04-26 Nike, Inc. Shoe
CN117202817A (zh) 2021-04-12 2023-12-0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囊和拉伸部件的铰接式鞋类中底布
USD945756S1 (en) * 2021-04-14 2022-03-15 Nike, Inc. Shoe
EP4098139A1 (en) 2021-05-31 2022-12-07 adidas AG Sole comprising a reinforcing structure, shoe with such a sol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items
CN117440763A (zh) 2021-06-09 2024-01-2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制品的在加固罩架中具有中足空隙和前足囊的鞋底结构
USD949529S1 (en) * 2021-06-09 2022-04-26 Nike, Inc. Shoe
USD950909S1 (en) * 2021-06-09 2022-05-10 Nike, Inc. Shoe
USD949533S1 (en) * 2021-06-09 2022-04-26 Nike, Inc. Shoe
US20220395056A1 (en) * 2021-06-11 2022-12-1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US20230000208A1 (en) * 2021-06-30 2023-01-0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70167S1 (en) * 2021-09-17 2022-11-22 Nike, Inc. Shoe
USD972822S1 (en) * 2021-09-30 2022-12-20 Nike, Inc. Shoe
USD972820S1 (en) * 2021-09-30 2022-12-20 Nike, Inc. Shoe
USD976550S1 (en) 2021-09-30 2023-01-31 Nike, Inc. Shoe
USD970168S1 (en) * 2021-12-09 2022-11-22 Nike, Inc. Shoe
US20230270208A1 (en) * 2022-02-28 2023-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plate with spikes
USD990853S1 (en) * 2022-08-23 2023-07-04 Nike, Inc. Shoe
USD998305S1 (en) 2022-12-02 2023-09-12 Nike, Inc. Shoe
USD1004929S1 (en) * 2023-03-22 2023-11-21 Nike, Inc. Shoe
USD1004928S1 (en) * 2023-03-22 2023-11-21 Nike, Inc. Shoe
JP7315134B1 (ja) * 2023-05-15 2023-07-26 俊宏 伴 履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7000A1 (en) * 2003-06-25 2005-02-03 Reed John C. Methods and compounds useful to induce apoptosis in cancer cells
US20050102857A1 (en) * 2003-11-14 2005-05-19 Yen Chao H. Shoe sole having heel cushioning device
US20050102859A1 (en) * 2003-11-14 2005-05-19 Yen Chao H. Shoe sole having cushioning heel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US4592153A (en) 1984-06-25 1986-06-03 Jacinto Jose Maria Heel construction
US4771554A (en) 1987-04-17 1988-09-20 Foot-Joy, Inc. Heel shoe construction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528842A (en) 1989-02-08 1996-06-25 The Rockport Company, Inc. Insert for a shoe sole
EP0884960B1 (en) 1995-06-07 2004-08-18 Nike International Ltd Inflated closed containers made of polyesterurethane based membran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JP4076704B2 (ja) * 2000-05-09 2008-04-16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US6964120B2 (en) 2001-11-02 2005-11-15 Nike, Inc. 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KR20020007262A (ko) * 2001-11-23 2002-01-26 윤종원 샌들 밑창
US6898870B1 (en) 2002-03-20 2005-05-31 Nike, Inc. Footwear sole having support elements with compressible apertures
US6775930B2 (en) * 2003-01-28 2004-08-17 Rofu Design Key hole midsole
US7096605B1 (en) * 2003-10-08 2006-08-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mbedded plate structure
US20050102858A1 (en) * 2003-11-14 2005-05-19 Yen Chao H. Shoe sole having heel cushioning member
US7100308B2 (en) * 2003-11-21 2006-09-05 Nike, Inc. Footwear with a heel plate assembly
US20060010715A1 (en) 2004-07-19 2006-01-19 Yu-Lin Tseng Footwear with resilient heel
US20060130362A1 (en) 2004-12-20 2006-06-22 Edward Juan Support and buffer structure for shoe body
US7360324B2 (en) 2005-08-15 2008-04-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pherical support elements
US7971372B2 (en) 2007-10-19 2011-07-05 Nike, Inc. Sole structure having support elements and plate
US8256145B2 (en) * 2008-09-26 2012-09-04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943709B2 (en) 2008-11-06 2015-02-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columns having fluid-filled bladders
US9521877B2 (en) * 2013-02-21 2016-12-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8782924B2 (en) * 2010-05-11 2014-07-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US8584377B2 (en) 2010-09-14 2013-11-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9149087B2 (en) 2011-08-05 2015-10-06 Newton Running Company, Inc. Shoe soles for shock absorption and energy return
US20130061494A1 (en) * 2011-09-13 2013-03-14 Danner, Inc. Footwear with sole assembly having midsole plate and heel insert and associated methods
US9661893B2 (en) 2011-11-23 2017-05-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ternal and external midsole structure
US9456658B2 (en) * 2012-09-20 2016-10-04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9241535B2 (en) * 2013-03-14 2016-01-26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US9451805B2 (en) * 2013-07-26 2016-09-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CN107072349B (zh) 2014-10-31 2020-06-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包含周界囊状元件的鞋类物品、用于其的制造方法
US9833038B2 (en) * 2015-03-19 2017-12-05 Nike, Inc. Multi-density midsole and plate system
CN204969714U (zh) * 2015-06-08 2016-01-20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单体变形结构的轻量鞋底
US9615625B1 (en) * 2015-09-17 2017-04-11 Wolverine Outdoors,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US10448704B2 (en) 2015-10-02 2019-10-22 Nike, Inc.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US10842224B2 (en) 2015-10-02 2020-11-24 Nike, Inc. Plate for footwear
KR101726729B1 (ko) * 2016-07-08 2017-04-13 (주)케이엠상사 자세교정 기능을 구비한 아웃솔
KR102206247B1 (ko) 2017-02-01 2021-01-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CN113598471B (zh) 2017-05-23 2022-08-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级响应的鞋底夹层系统
US10149513B1 (en) 2018-01-31 2018-12-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14471B1 (ko) * 2018-04-20 2023-12-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7000A1 (en) * 2003-06-25 2005-02-03 Reed John C. Methods and compounds useful to induce apoptosis in cancer cells
US20050102857A1 (en) * 2003-11-14 2005-05-19 Yen Chao H. Shoe sole having heel cushioning device
US20050102859A1 (en) * 2003-11-14 2005-05-19 Yen Chao H. Shoe sole having cushioning heel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1923A (ja) 2021-08-30
JP7136923B2 (ja) 2022-09-13
CN111989007A (zh) 2020-11-24
US11452335B2 (en) 2022-09-27
WO2019204077A1 (en) 2019-10-24
CN115281419A (zh) 2022-11-04
EP4226804A1 (en) 2023-08-16
KR102614471B1 (ko) 2023-12-14
US20210161250A1 (en) 2021-06-03
US10945489B2 (en) 2021-03-16
KR20200138360A (ko) 2020-12-09
JP7444937B2 (ja) 2024-03-06
EP3780986B1 (en) 2023-06-21
JP2022172267A (ja) 2022-11-15
EP3780986A1 (en) 2021-02-24
US20190320759A1 (en) 2019-10-24
KR102432499B1 (ko) 2022-08-12
CN111989007B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499B1 (ko) 플레이트들 및 개재된 유체 충전 블래더를 구비하는 솔 구조체 및 제조 방법
US11969050B2 (en) Sole structure with tiered plat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143264B2 (en) Shoe and sole
CN109068798B (zh) 具有自适应配合的鞋类物品
US9289030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KR102222081B1 (ko) 유체 충전된 플렉시블 챔버를 갖는 신발 제품
EP1824351B1 (en) Footwear with bridged decoupling
MX2010010602A (es) Dispositivo para caminar.
TWI834339B (zh) 具有用於腳尖離地的延伸板的鞋類物品
US2023017230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nded plate for toe-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