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702A -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 Google Patents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702A
KR20220115702A KR1020210018367A KR20210018367A KR20220115702A KR 20220115702 A KR20220115702 A KR 20220115702A KR 1020210018367 A KR1020210018367 A KR 1020210018367A KR 20210018367 A KR20210018367 A KR 20210018367A KR 20220115702 A KR20220115702 A KR 2022011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output
vehicle
autonomous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원
김우진
장희승
권동현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5702A/en
Publication of KR2022011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7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2Type
    • B60W2554/4029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1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6Behavior, e.g. aggressive or err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G05D2201/02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in which an autonomous vehicle recognizes a pedestrian and promotes safety of the pedestrian.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tection unit recognizing a pedestrian;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a query in an area that the pedestrian is located. Th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pedestrian answers the query or not.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본 발명은 보행자 소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차량과 보행자 간 이루어지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between an autonomous vehicle and a pedestrian.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An automobile may be classified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obile, an ex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obile, a gas turbine automobile, an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according to a type of a prime mover used.

자율주행 차량은 인간의 운전 없이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동차이다. 무인자동차는 레이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GPS, 카메라로 주위의 환경을 인식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자율적으로 주행한다. 이미 실용화되고 있는 무인자동차로는 이스라엘 군에서 운용되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순찰하는 무인 차량과 국외 광산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운용되고 있는 덤프 트럭 등의 무인 운행 시스템 등이 있다.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drive automatically without human driving. Autonomous vehicles drive autonomously by recognizing their surroundings with ra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GPS, and cameras and specifying a destination. Unmanned vehicles that have already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clude unmanned vehicles that patrol preset routes operated by the Israeli military, and unmanned operation systems such as dump trucks operated in overseas mines and construction sites.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의 첫 번째 핵심기술은 무인자동차 시스템과 Actual System이다. 실험실 내의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실제로 무인자동차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이며 구동장치인 가속기, 감속기 및 조향장치 등을 무인화 운행에 맞도록 구현하고, 무인자동차에 장착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The first core technologies of these autonomous vehicles are the driverless vehicle system and the actual system. In addition to simulation in the laboratory, it is a technology that actually builds an unmanned vehicle system. It implements the accelerator, reducer, and steering device, which are driving devices, for unmanned operation, and enables control using the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installed in the unmanned vehicle. do.

두 번째 핵심기술은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시각정보를 입력받고 처리하는 것이다. 무인화 운행을 위한 자율 주행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영상정보를 받아들이고 이 영상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이다. 이것은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 및 레인지 필더 등의 센서를 사용하여 거리와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융합하여 분석 및 처리를 통해 장애물 회피와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core technology is to receive and process visual information using vision and sensors. As the basis of autonomous driving for unmanned driving, it is a technology that accepts image information and extrac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is image. It uses CCD (charge-coupled device) cameras as well as ultrasonic sensors and range filters to fuse information necessary for distance and driving, so that it can avoid obstacles and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through analysis and processing.

세 번째 핵심기술은 통합관제 시스템과 운행감시 고장진단체계 기술이다. 이 기술은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고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명령을 내리는 운행감시체계를 구축하고, 개별적 프로세서 및 센서에서 발생되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여 오퍼레이터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third core technology is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onitoring fault diagnosis system technology. This technology establishes a driving monitoring system that monitors vehicle operation and gives appropriate commands according to changing situations, and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operator by analyz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from individual processors and sensors to diagnose system failures. or to perform the function of notifying an alarm.

네 번째 핵심기술은 지능제어 및 지능운행 장치이다. 이 기술은 무인운행기법으로 실제 차량모델을 이용한 수학적인 해석에 근거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현재 무인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첫 번째 적용기술은 지능형 순향제어(ACC: Adaptive Cruise Control) 시스템이다. 지능형 순향제어는 레이더 가이드 기술에 기반을 두고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여 앞차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앞차와의 거리를 입력하면 자동차 전면에 부착된 장거리 레이더가 앞차의 위치를 탐지하여 일정속도를 유지하거나 감속, 가속하며 필요한 경우 완전히 정지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날씨에 유용하다.The fourth core technology is intelligent control and intelligent operation devices. This technology is an unmanned driving technique that generates control commands based on mathematical analysis using real vehicle models. Intelligent Forward Control is a system that maintains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in front or obstacles by adjusting the speed by itself without the driver operating the pedals based on radar guide technology. When the driver inputs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n front, the long-range rada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detec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front, maintains a constant speed, decelerates, accelerates, and stops completely if necessary, which is useful in weather where visibility is difficult.

다섯 번째 적용기술은 차선이탈방지 시스템이다. 이는 내부에 달린 카메라가 차선을 감지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탈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로 무인자동차에서는 도보와 중앙선을 구분하여 자동차가 차선을 따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fifth applied technology is th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This is a technology that notifies the driver of an unintentional departure situation by detecting a lane with a camera installed inside.

여섯 번째 적용기술은 주차보조 시스템이다. 이는 운전자가 어시스트 버튼을 탐색한 수 후진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자동차가 조향장치 조절하여 후진 일렬주차를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차량 장착형 센서뿐만 아니라 인프라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주차공간까지 차량을 자동으로 유도하여 주차 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해주어 소요비용과 환경오염을 최소화 해준다.The sixth application technology is the parking assist system. This is a system that helps the car park in reverse line by adjusting the steering system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after searching for the assist button and inserts the reverse gear. Based on infrastructure as well as vehicle-mounted sensors,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guided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parking space, saving unnecessary time and energy when parking, thereby minimizing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일곱 번째 적용기술은 자동주차 시스템이다. 이는 운전자가 주차장 앞에 차를 정지시킨 뒤 엔진을 끄고 내려서 리모콘 잠금 스위치를 2회 연속 누르면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가 차고의 반대편 벽에 미리 붙여놓은 반사경을 탐지해 적정한 접근 경로를 계산하여 스스로 주차를 하는 기술이다.The seventh application technology is the automatic parking system. This is a technology in which the driver stops the car in front of the parking lot, turns off the engine, gets off, and presses the remote control lock switch twice in succession. to be.

여덟 번째 적용 기술은 사각지대 정보 안내 시스템이다. 이는 자동차의 양측면에 장착된 센서가 사이드 미러로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다른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해주는 것으로 복잡한 도로 상황에서 양측의 장애물 및 차량을 확인하여 차선을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된다.The eighth application technology is a blind spot information guidance system. It is used to change lanes by checking obstacles and vehicles on both sides in complex road conditions, as sensor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ar determine whether there are other vehicles in the blind spot not seen by the side mirrors and warn the driver. .

무인자동차의 가장 큰 장점은 주행속도와 교통 관리 자료가 일치하기 때문에 조절장치를 더욱 고르게 하여 반복정지를 피해 연료 효율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노인, 아동, 장애인 등 운전을 할 수 없는 이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피로를 해결해주고, 교통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과 도로의 교통 흐름이 빨라지고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biggest advantage of driverless cars is that they help fuel efficiency by avoiding repeated stops by making the control device more even because the driving speed and traffic management data match. will b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s of solving fatigue caused by long-term driving,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speeding up road traffic flow, and reducing traffic congestion.

더욱 나아가, 자율주행 차량은 사람이 없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주차 장소를 차지하지 않아 주차와 관련된 수 많은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사고 발생 시 자율주행 차량이 스마트하게 이동하여 사고 대처를 용이하게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Furthermore, autonomous vehicles are expected to solve a number of parking-related problems by not occupying a parking space unnecessarily in the absence of a person. In particular, when an accident occurs, the autonomous vehicle may move smartly and play a role of easily assisting in handling an accident.

그러나,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부가적 사용자 경험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므로 보행자는 자율주행 차량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막연한 안전 공포심을 가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과 보행자와의 안전을 위한 소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destrians may have a vague fear of safety that the autonomous vehicle is not controlled because the discussion on the additional user experience using the autonomous vehicl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yet. Therefore, it is time for a detailed discussion on communication methods for safety between autonomous vehicles and pedestrians.

한국공개특허 제2019-0049221호(2019. 05. 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49221 (2019.05.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 차량이 보행자를 인식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recognizes a pedestrian and promotes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은 보행자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에 질의사항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의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 여부를 감지한다.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recognizing a pedestria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question to an area in which the pedestrian is located, wherein the sensing unit answers the pedestrian's question to detect

이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의 정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지 위치에 질의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may detect whether the pedestrian is stopped, and the output unit may output a query to the stopping position.

또한, 상기 질의사항은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에 출력되되 보행자의 향후 이동에 대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ry may be output to the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and to select any one of the pedestrian's future movement.

또한, 상기 감지부는 질의사항에 대한 보행자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Also, the sensing unit may detect a pedestrian's selection for the query.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질의사항에 대하여 보행자의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에 보행자의 전면에 행동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output unit may output an action guide to the front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s selection is sensed in response to the query.

또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통신부는 인접한 차량에 보행자에게 질의사항을 출력했다는 것 또는 보행자가 답변한 것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utonomous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outputting a question to a pedestrian to an adjacent vehicle or an answer from the pedestrian.

또한, 상기 정보를 수신받은 인접 차량은 행동 가이드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acent vehicle receiving the information may output an action guide by itself.

또한, 상기 출력부는 또 다른 보행자의 선택을 위한 유지 버튼을 출력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유지 버튼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output a holding button for selecting another pedestrian, and the sensing unit may detect an input of the holding button.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이 보행자를 인식하고 보행자가 할 행위를 질의하여 답변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이 보행자를 배려하도록 하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pedestrian safety because the autonomous vehicle recognizes the pedestrian and asks a question about the pedestrian's action so that the autonomous vehicle considers the pedestrian according to the answer.

또한,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이 보행자의 행동 가이드를 도로에 출력하도록 하므로 보행자는 예측 가능성이 담보된 안전한 상태에서 소정의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tonomous vehicle to output the pedestrian's behavior guide to the road, the pedestrian can perform a predetermined action in a safe state with predictability guarant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출력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ing unit of FIG. 1 in more detail.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unit of FIG. 1 in more detail.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in FIG. 1 in more detail.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출력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Hereinafter,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1000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ing unit in FIG. 1 in more detail,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unit in FIG. 1 more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in detail,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in FIG. 1 in more detail.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1000)은 자율주행 차량(100)과 경로 관리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1000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nomous vehicle 100 and a server 200 that manages routes and performs remote control.

이때 자율주행 차량(100)은 입력부(110), 감지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구동부(160)로 이루어진다. In this case, the autonomous vehicle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sensing unit 120 , an output unit 130 , a control unit 140 , a communication unit 150 , and a driving unit 160 .

입력부(11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자율주행 차량(100)은 입력부의 조향 입력 장치(미도시),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자율주행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고 입력된 목적지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경로를 연속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The input unit 11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driving. In the manual mo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device (not shown) of the input unit, an acceleration input device, and a brake input device.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serves to input the destin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input destination, and continuously sets a route.

감지부(120)는 레이더(121) 및 라이다(122)를 포함하고, 카메라(1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더(121), 라이다(122) 및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주요 오브젝트인 보행자 및 보행자의 이동,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a radar 121 and a lidar 122 , and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123 . In this embodiment, using the radar 121, the lidar 122, and the camera 123, the movement and direction of movement and movement of pedestrians and pedestrians, which are main objects, are detected.

우선, 레이더(121)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전자파 송신부, 전자파 수신부 및 전자파 송신부 및 전자파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radar 121 may generate information on an object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using radio waves. The radar 121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an electromagnetic wave receiver, and an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and an electromagnetic wave receiver, processes a received signal, and generates data for an object based on the processed signal. have.

레이더(121)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레이더(121)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radar 121 may be implemented in a pulse radar method or a continuous wave radar method in view of a radio wave emission principle. The radar 121 may be implemented in a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method or a frequency shift keyong (FSK) method according to a signal waveform among continuous wave radar methods. The radar 121 detects an object based on a time of flight (TOF) method or a phase-shift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wave as a medium, and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the distance from the detected object, and the relative speed.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radar 121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in order to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라이다(122)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122)는 광 송신부(미도시), 광 수신부(미도시) 및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lidar 122 may generate information on an object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using laser light. The lidar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transmitter (not shown), the light receiver (not shown), and the light transmitter and the light receiver, processes the received signal, and generates data for the object based on the processed sign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라이다(12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122)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122)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자율주행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122)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자율주행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122)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라이다(122)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dar 122 may be implemented in a time of flight (TOF) method or a phase-shift method. The lidar 122 may be implemented as a driving type or a non-driven type. When the lidar 122 is implemented as a driving type, the lidar 122 is rotated by a motor and may detect an object around the autonomous vehicle 100 . When implemented as a non-driven type, the lidar 122 may detect an objec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y light steering. The autonomous vehic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n-driven lidar. The lidar 122 detects an object based on a time of flight (TOF) method or a phase-shift method using a laser light medium, and calculates a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a distance from the detected object, and a relative speed.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lidar 122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in order to detect an object located i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vehicle.

한편, 카메라(123)는 영상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123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by using the image. The camera 123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at least one image sensor, and at least one process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to process a received signal, and generate data about the object based on the processed signal. can

카메라(123)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123)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123 may be at least one of a mono camera, a stereo camera, and an Around View Monitoring (AVM) camera. The camera 123 may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distance information from an object, or relative speed information with an object by using various image processing algorithms.

예를 들어, 카메라(123)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3)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3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and relative velocity information from an object based on a change in the size of the object over time in the acquired image. Also, the camera 123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and relative spee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n object through a pinhole model, road surface profiling, or the like.

또한, 카메라(123)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차량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차량에서 FOV(field of view)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Also, the camera 123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and relative velocity information from an object based on disparity information in a stereo image obtained from the stereo camera. The camera 123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where a field of view (FOV) can be secured in the vehicle to photograph the outside of the vehicle.

카메라(123)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123)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3)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3)가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23)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amera 12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windshiel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Furthermore, the camera 123 may be disposed around the front bumper or radiator grill. The camera 12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glas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camera 123 may be disposed around the rear bumper, the trunk, or the tailgate. In order for the camera 123 to acquire an image of the side of the vehicle,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side window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camera 123 may be disposed around a side mirror, a fender, or a door.

또한, 감지부(120)는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활용해야 되므로 GPS(124)를 필수적으로 더 포함한다. GPS(124)는 자율주행 차량(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일반적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GPS 및 D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자율주행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unit 120 needs to utiliz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t essentially further includes a GPS 124 . The GPS 12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ne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to generate location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100 . Position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ignal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GPS and DGPS.

이때, GPS(124)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및 감지부(120)의 카메라(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GPS(124)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PS 124 may correct the location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and the camera 123 of the sensing unit 120 . Also, the GPS 124 may be referred to a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한편, 감지부(120)는 탑승자가 조향 작동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음성 등으로 보호자 이외에 탑승객도 자율주행에 개입하기 위해 마이크(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생체정보센서(126)은 탑승객의 심박, 협압, 뇌파 등을 센싱하여 위급상황에 대비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차량의 입출입 시 지문, 홍채 정보를 센싱하여 오류 탑승을 막는 기능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센서(126)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은 탑승객이 탑승하거나 하차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125 in order for the passenger to intervene in the autonomous driving in addition to the guardian by voice or the like even if the passenger does not perform the steering operation. Furthermore,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126 not only prepares for an emergency by sensing the passenger's heartbeat, pressure, brain waves, etc., but additionally senses fingerprint and iris information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to prevent erroneous boarding. can By utiliz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126 , the autonomous vehicle 100 may detect that a passenger has boarded or alighted.

이상과 같은 레이더(121), 라이더(122) 및 카메라(123)는 주요 오브젝트인 보행자와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보행자와 자율주행 차량(100)의 거리,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나아가, 카메라(123)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보행자가 출력된 질의사항에 대하여 어느 영역을 선택했는지 감지하고 또 다른 보행자가 유지 버튼을 입력했는지 감지하는 역할도 별도로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adar 121 , the rider 122 , and the camera 123 detect the positions of pedestrians and pedestrians, which are main objects, and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autonomous vehicle 100 and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Furtherm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mera 123 also performs a separate role of detecting which area the pedestrian ha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query and detecting whether another pedestrian has inputted the hold button.

출력부(130)는 평상시에 자율주행 차량(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주행 관련 상황을 표시한다. 나아가 차량의 외부에 형상, 모양 및 색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차량의 소유자 및 주위의 사람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 is normally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to display driving-related situations. Furthermore, any one of a shape, a shape, and a color may be display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o provide predictability to the vehicle owner and surrounding people.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질의사항출력모듈(131), 가이드출력모듈(132), 및 유지버튼출력모듈(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owever, the output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query output module 131 , a guide output module 132 , and a maintenance button output module 133 .

질의사항출력모듈(131)은 전술한 감지부(120)가 인식한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에 질의사항을 출력한다. 이때, 질의사항은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에서 정지한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의 앞 방향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의사항은 보행자의 향후 이동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단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query output module 131 outputs a query to the area where the pedestrian recognized by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120 is locat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query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area where the pedestrian stopped in front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located. It is desirable that the questions be in a short-answer format as they can predict the future movement of pedestrians.

예를 들어, 질의사항출력모듈(131)은 자율주행 차량(100)의 전면에 보행자가 지나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나아가 보행자의 앞 도로에 "예" 또는 "아니오"의 형태가 이미지로 출사되도록 한다. 보행자는 "예" 또는 "아니오" 중 어느 하나를 동작으로 가르켜 질의사항에 대하여 답변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20)의 카메라(123)는 보행자의 동작이 "예" 또는 "아니오" 중 어디에 있는지 감지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query output module 131 displays an inquiry as to whether a pedestrian passes in front of the autonomous vehicle 100, and furthermore, the form of "yes" or "no" is displayed on the road in front of the pedestrian. to be output as an image. The pedestrian may answer a question by pointing either "yes" or "no" as an action. 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123 of the sensing unit 120 detects whether the pedestrian's motion is “yes” or “no”.

한편, 질의사항출력모듈(131)은 보행자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질의 사항을 보행자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보행자의 전방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is detected, the query output module 131 may output the query to the front of the pedestria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speed of the pedestrian.

가이드출력모듈(132)은 질의사항에 대한 보행자의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에 보행자의 전면에 행동 가이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행동 가이드는 위의 예에서 보행자의 선택이 "예"인 경우에 보행자 전방 또는 도로의 횡단 방향으로 횡단보도 이미지를 도로 상에 출력할 수 있다. The guide output module 132 serves to output an action guide to the front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s selection for the question is sensed. As an example, the behavior guide may output a crosswalk image on the road in front of the pedestrian or in the cross direction of the road when the selection of the pedestrian in the above example is “Yes”.

유지버튼출력모듈(133)은 또 다른 보행자가 있는 경우를 상정하려 마련된 구성이다. 유지버튼출력모듈(133)은 당초의 보행자 외에 또 다른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에 그 또 다른 보행자가 위치된 영역 상에 유지 버튼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그 또 다른 보행자가 마찬가지 방법으로 유지 버튼을 행동으로 선택하는 경우에 감지부(120)는 그 입력을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가이드출력모듈(132)은 출력된 행동 가이드의 출력 시간을 늘리거나 출력된 행동 가이드의 출력 영역을 확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초 보행자의 선택 이후에 또 다른 보행자가 유지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횡단보도 이미지의 출력시간이 증가하거나 횡단보도 이미지의 길이나 폭이 커지도록 한다. The maintenance button output module 133 is configured to assume that there is another pedestrian. When another pedestrian is detecte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edestrian, the maintenance button output module 133 outputs a maintenance button image on the area where the other pedestrian is located. At this time, when the other pedestrian selects the hold button as an action in the same manner, the sensing unit 120 detects the input. In this case, the guide output module 132 increases the output time of the output action guide or expands the output area of the output action guide. For example, when another pedestrian selects the hold button after the first pedestrian is selected, the output time of the crosswalk image is increased or the length or width of the crosswalk image is increased.

한편, 제어부(140)는 메인 ECU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자율주행 차량(100)의 구동부(160)를 제어하게 된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main ECU,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160 of the autonomous vehicle 100 .

특히, 제어부(140)는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 샤시 구동 제어 장치, 도어/윈도우 구동 제어 장치,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 램프 구동 제어 장치 및 공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는 동력원 구동 제어 장치 및 변속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구동 제어 장치는, 조향 구동 제어 장치, 브레이크 구동 제어 장치 및 서스펜션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는 안전 벨트 제어를 위한 안전 벨트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40 may include a power train drive control device, a chassis drive control device, a door/window drive control device, a safety device drive control device, a lamp drive control device, and an air conditioning drive control device. The power train driv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ower source drive control device and a transmission drive control device. The chassis driv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steering drive control device, a brake drive control device, and a suspension drive control device. Meanwhile, the safety device driv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safety belt drive control device for seat belt control.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적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특히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 트레인, 조향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control device (eg, a control ECU (Electronic Control Unit)).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ig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drive uni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a power train, a steering device, and a brake device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은 이 외에도 보행자판단모듈(141), 답변확인모듈(142), 출력가이드제어모듈(143), 및 통신제어모듈(14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rian determination module 141 , an answer confirmation module 142 , an output guide control module 143 , and a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144 .

보행자판단모듈(141)은 레이더(121) 및 라이더(122)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정보를 구분하고 상기 카메라(123)는 영상으로 입력된 컬러 정보를 흑백으로 변환한다. 이때, 라이다(122)는 수신된 정보를 좌표평면으로 변환하고 카메라(123)는 변환된 정보에서 히스토그램(도수분포표)을 정규화 한다. The pedestrian determination module 141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radar 121 and the rider 122 to classify the information, and the camera 123 converts the color information input as an image into black and white. At this time, the lidar 122 converts the received information into a coordinate plane, and the camera 123 normalizes the histogram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from the converted information.

또한, 라이다(122)에서 변환된 좌표계와 카메라에서 얻은 히스토그램을 통해 ROI(관심영역)를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 단계에서 얻은 ROI를 HOG 변환을 하여 보행자 인식 정보를 얻으며 라이다(122)는 RF신호로 송신된 정보에서 거리 값을 구한다. 이후 관심 영역과 거리값 측정에 의해 얻은 두 가지의 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정보에서 SVM분류를 통해 보행자/비 보행자를 구분하게 된다. In addition, an ROI (region of interest) is set through the coordinate system converted by the lidar 122 and the histogram obtained from the camera. Then, the ROI obtained in the setting step is converted to HOG to obtain pedestrian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lidar 122 obtains a distance value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s an RF signal. Thereafter, two pieces of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distance value are combined, and pedestrian/non-pedestrians are distinguished from the combined information through SVM classification.

이러한 구분 단계의 분류를 통해 보행자를 구분하고 보행자일 경우에는 정보를 저장하고, 보행자 구분을 할 수 있을 경우 추가적으로 상기 정규화 단계로 회귀하고, 없을 경우 알고리즘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은 서행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주행차량의 속력을 줄이거나 보행자 또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을 피할 수 있다. Pedestrians are classifi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tep, an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ase of pedestrians. If pedestrians can be classified, the normalization step is additionally returned. If not, the algorithm is terminated. Accordingly, the autonomous vehicle may slow down or apply the brake to reduce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or avoid pedestrians or cyclists.

답변확인모듈(142)는 전술한 질의사항에 대한 보행자의 답변을 확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행자가 도로 상에 출력된 질의사항의 이미지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므로 카메라(123)로부터 전달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카메라의 영상에 따라 전술한 "예" 또는 "아니오"이미지에서 사용자의 발이 위치한 영역을 판단하거나 "예"또는 "아니오" 이미지의 일부가 촬상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판단하게 된다. The answer confirmation module 142 serves to confirm the pedestrian's answer to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n this embodiment, since it is checked whether the pedestrian has selected the image of the query output on the roa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sens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23 . At this time, the user's sel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portion of the "yes" or "no" image is not captured or the region where the user's foot is located in the above-mentioned "yes" or "no"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camera.

이때, 답변이 확정되지 않는 경우에 답변확인모듈(142)은 질의사항출력모듈(131)을 제어하여 질의사항을 재차 보행자의 위치에 출력시키도록 제어하여 정확한 보행자의 선택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he answer is not confi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swer confirmation module 142 controls the question output module 131 to output the question again to the location of the pedestrian to determine the correct selection of the pedestrian.

출력가이드제어모듈(143)은 가이드출력모듈(132)를 제어하는데 행동 가이드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행동 가이드로 출력된 가상의 횡단보도의 유지 시간, 출력의 폭 등을 결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에도 출력가이드제어모듈(143)은 또 다른 보행자가 전술한 유지 버튼을 선택한 경우 횡단보도 이미지의 출력시간이 증가하거나 횡단보도 이미지의 길이나 폭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output guide control module 143 controls the output state of the action guide to control the guide output module 132 . For example, the duration of the virtual crosswalk output as an action guide, the width of the output, and the like ar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nother pedestrian is detected, the output guide control module 143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output time of the crosswalk image or increase the length or width of the crosswalk image when another pedestrian selects the aforementioned hold button. can be controlled

통신제어모듈(144)은 통신부(150)를 제어하는데 통신부(150)는 인접한 차량에게 보행자에게 질의사항을 출력했다는 것 또는 보행자가 선택사항을 답변했다는 것을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받은 인접 차량은 전술한 행동 가이드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144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to an adjacent vehicle that a question has been output to the pedestrian or that the pedestrian has answered the choice. In this case, the adjacent vehicle receiving such information may output the above-described action guide by itself.

예를 들어, 당초 자율주행 차량이 횡단 보도 이미지를 행동 가이드로 출력한 경우 이러한 정보를 수신받은 뒤 따르던 차량은 역시 행동 가이드를 보행자의 이동 경로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행동 가이드인 횡단보도의 색 또는 크기가 변경되거나 황단보도가 더욱 또렷하게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전방 모든 차량에 대하여 안심하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or example, when an autonomous vehicle initially outputs a crosswalk image as a behavior guide, the vehicle following receiving this information can also display the behavior guide on the pedestrian's movement path. At this time, the color or size of the crosswalk, which is the action guide, is changed or the crosswalk is displayed more clear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pedestrians to move safely with respect to all vehicles in front.

한편, 통신부(150)는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데 인프라(예를 들면, 서버, 방송국), 타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C-V2X(Cellular V2X)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IEEE 802.11p PHY/MAC 계층 기술과 IEEE 1609 Network/Transport 계층 기술 기반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기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exchange signals with devices located outside the autonomous vehicle 100 , and may exchange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n infrastructure (eg, a server, a broadcasting station), another vehicle, and a terminal. hav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t antenna, a receive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may exchange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based on C-V2X (Cellular V2X) technology.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based on the IEEE 802.11p PHY / MAC layer technology and the IEEE 1609 Network / Transport layer technology based on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technology or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standard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and signal can be exchanged for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보행자를 인식한 자율주행 차량은 보행자의 전방 도로 상에 질의 사항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질의 사항은 차량에 출력되는 질문사항과 도로 상에 출력되는 선택사항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autonomous vehicle that recognizes the pedestrian outputs a query on the road in front of the pedestrian. In this case, the questions may be divided into a question output on the vehicle and an option output on the road.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보행자는 선택사항 중에서 YES 부분을 선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선택사항에 대하여 자율주행 차량은 인식하게 되고 보행자가 도로를 지나갈 것을 확인하게 된다. Next, referring to FIG. 6 , it is shown that the pedestrian selects a YES part among the options. The autonomous vehicle will be aware of these options and will confirm that pedestrians will cross the road.

마지막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자율주행 차량은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행동 가이드인 횡단 보도 이미지를 출력하게 되고 보행자는 횡단 보도 이미지가 유지되는 한 안전감을 느끼면서 이동하게 된다. Finally, referring to FIG. 7 , the autonomous vehicle outputs a crosswalk image as an action gu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edestrian, and the pedestrian moves while feeling a sense of safety as long as the crosswalk image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isclos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100: 자율주행 차량
110: 입력부
120: 감지부
130: 출력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구동부
200: 서버
1000: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100: autonomous vehicle
110: input unit
120: detection unit
130: output unit
140: control unit
150: communication department
160: driving unit
200: server

Claims (8)

보행자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에 질의사항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보행자의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a sensing unit for recognizing a pedestrian;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query to an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including,
The sensing unit is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whether an answer to the pedestrian's question is ans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행자의 정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지 위치에 질의사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pedestrian is stopped,
and the output unit outputs a query to the stop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사항은 보행자가 위치한 영역에 출력되되 보행자의 향후 이동에 대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query is output to the area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and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s output to select any one of the pedestrian's future mov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질의사항에 대한 보행자의 선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unit is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pedestrian's selection for the que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질의사항에 대하여 보행자의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에 보행자의 전면에 행동 가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put unit outputs an action guide to the front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s selection is detected in response to the quer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통신부는 인접한 차량에 보행자에게 질의사항을 출력했다는 것 또는 보행자가 답변한 것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utonomous vehicl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outputting a question to a pedestrian to an adjacent vehicle or a response from the pedestrian to an adjacent vehicl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받은 인접 차량은 행동 가이드를 자체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소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A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vehicle receiving the information outputs a behavior guide by itsel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또 다른 보행자의 선택을 위한 유지 버튼을 출력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유지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소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unit outputs a holding button for selecting another pedestrian, and the sensing unit detects an input of the holding button.
KR1020210018367A 2021-02-09 2021-02-09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7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67A KR20220115702A (en) 2021-02-09 2021-02-09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67A KR20220115702A (en) 2021-02-09 2021-02-09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02A true KR20220115702A (en) 2022-08-18

Family

ID=8311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67A KR20220115702A (en) 2021-02-09 2021-02-09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570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21A (en)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이노베스트 an Autonomous Vehicle of pedestrians facial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21A (en)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이노베스트 an Autonomous Vehicle of pedestrians facial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1749A (en) Track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033160A (en) Retaliatory driving reporting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568270B1 (en)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102568288B1 (en) Traffic safety system by communication with self driving cars
KR20220115702A (en)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102658906B1 (en) Emergency control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102568283B1 (en) 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689A (en) Pedestrian safety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703A (en) Pedestrian alert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02670A (en) Pedestrian alert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695A (en) Accident predic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690A (en) Pedestrian safety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033144A (en) Blind Spot Warn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5696A (en) Pedestrian advertis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2879A (en) Temporory driving control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033162A (en) Collision Prediction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KR20220115693A (en) Emergency route generation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033145A (en) Pedestrian warn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114773A (en) Information entry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2871A (en) Dock driving method for self driving cars
KR20220112872A (en) Rescue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114772A (en) Information output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KR20230114779A (en) Lane change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KR20230115353A (en) Autonomous Driving Multimedia System
KR20230033148A (en) Parking and exit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