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540A -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 - Google Patents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540A
KR20220115540A KR1020220017499A KR20220017499A KR20220115540A KR 20220115540 A KR20220115540 A KR 20220115540A KR 1020220017499 A KR1020220017499 A KR 1020220017499A KR 20220017499 A KR20220017499 A KR 20220017499A KR 20220115540 A KR20220115540 A KR 20220115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ircraft
axis
pilo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923B1 (ko
Inventor
케이라스 니콜라스
헬리오 패트릭
Original Assignee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filed Critical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Publication of KR2022011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38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 B64C13/50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 B64C13/503Fly-by-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6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initiating means, e.g. manu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64C13/042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64C13/042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hand
    • B64C13/0421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hand control sticks for primary fligh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18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using automatic pi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22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readily revertible to person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6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initiating means, e.g. manually actuated
    • B64C27/57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initiating means, e.g. manually actuated automatic or condition responsive, e.g. responsive to rotor speed, torque or th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2)의 조종사가 공기역학적 수단(3)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2)용 제어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시스템(1)은 제어 오더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오더는, 상기 공기역학적 수단(3)의 위치를 수정하고, 피치 제어축, 롤 제어축, 요 운동 제어축 및 리프트 제어축을 갖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를 조종하기 위해 제어 디바이스(4)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1)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처리 유닛(7)에 전송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오더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장치(1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4)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Description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AIRCRAFT CONTROL SYSTEM AND ASSOCIATED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고정익 항공기 또는 회전익 항공기, 특히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기의 조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조종사는 여러 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버, 스틱, 페달 또는 스티어링 휠과 같은 여러가지 개별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서로 독립적인 여러 개별 장치는 특히 피치(pitch) 제어축, 롤(roll) 제어축, 요(yaw) 운동 제어축 및 리프트(lift) 제어축을 갖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항공기가 헬리콥터인 경우, 이러한 리프트 제어축은, 예를 들어, 해수면에 대한 항공기의 고도를 수정하거나, 반대로 이 고도를 변함없이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항공기가 비행기인 경우, 이러한 리프트 제어축은 또한 추력을 변경하게 할 수 있어서 지면에 대한 항공기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문헌 FR 2 479 1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비행 제어를 통해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때때로 영어로 "플라이 바이 와이어"라 일컬어지며, 특히 조종석의 인체 공학을 개선하고, 특히 막대, 봉 또는 케이블과 같은 특정 기계적 연결 부품을 조종석에서 제거함으로써 더 나은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문헌은 조종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특별한 제어 레버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 레버는 환형 리니어식 연결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조종사가 앉아 있는 항공기의 좌석에 대해 3개의 회전 자유도와 1개의 병진 자유도를 갖는다. 여러가지 이동, 즉 상향 및 하향 수직 이동, 전방 및 후방을 향한 종방향 이동, 우측 및 좌측으로의 횡방향 이동 및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 주위에서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힘 피드백 시스템이 제어 레버에 작용하여 제어 레버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응하며 제어 레버가 중앙의 휴지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제어 레버의 조작은 이러한 유형의 항공기에 대한 특별한 교육 및 조종 자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레버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은 조작에 있어 조종사에게 상대적으로 큰 힘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장기간 사용에 의해 조종사에게 피로를 일으키는 반복적인 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문헌 EP 2 759 473호는 리프트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집합적 피치 레버 및 요 운동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핸들이 제공되어 있는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장치는 두 개의 제어축만을 따라 항공기의 제어를 통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어 장치는 피치 제어축 및 롤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사이클릭 피치 스틱 또는 미니 스틱과 결합되어야 한다.
문헌 FR 3 038 2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 조종사와 부조종사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별개의 제어 장치를 2개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특히 항공기의 피치 및 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미니 스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요 운동을 제어하고 항공기의 리프트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문헌 US10683100호는 지상 또는 공중에서 항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버튼(208)을 갖는 항공기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버튼(208)은 좌석의 우측 팔걸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버튼(208)의 4가지 이동도, 즉 한편으로 3개의 직교축을 따른 3개의 병진이동과 다른 한편으로 수직축을 따른 회전이 개시되어 있고, 2개의 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평면 및 수직 축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버튼(208)은 항공기를 모든 방향으로, 따라서 지면에 대해 6가지 이동도에 따라 조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튼(208)은 항공기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핸들을 형성한다.
이 버튼(208)의 변위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조종사가 그의 손목, 팔뚝, 팔의 회전 또는 심지어 어깨의 회전 운동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문헌 US 2014/027565호는 헬리콥터의 로터 블레이드의 피치를 주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스틱(14)을 연장하는 핸들(18)을 개시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스틱(14)은 항공기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이 핸들(18)은 특히 자동 조종의 개시/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문헌 EP 3 366575호는 제어 규칙을 생성하는 정보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회전익기용 전기 조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규칙은 조종 제어 어셈블리의 스위치(402)에 의해 롤 또는 요 운동의 제어를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롤 제어를 위한 롤 각도(또는 요 제어를 위한 요율)는 회전익기의 전진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스위치(402)는 집합적 피치 제어 레버의 핸들(264a)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402)는 또한 "호출기" 유형이다.
문헌 US 2015/375850호, FR 3 097527호, EP 2 927784호 및 US 2020/079507호는 사이클릭 피치 스틱의 핸들에 장착된 또는 대시보드와 통합된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이한 제어 버튼들을 갖는 다른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대안적인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이 간단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이 직관적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공기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시스템은 항공기의 조종사가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오더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오더는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공기역학적 수단의 위치를 수정하고, 피치 제어축, 롤 제어축, 요 운동 제어축 및 리프트 제어축을 갖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오더를 생성하는 상기 처리 유닛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가 적어도:
- 한편으로는 제1 제어축을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2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상기 제1 제어축 및 상기 제2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제어축 중에서 선택됨),
- 상기 제1 제어축 및 상기 제2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3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1 양방향 제어 버튼(상기 제3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축 중에서 선택됨),
- 상기 제1 제어축, 상기 제2 제어축 및 상기 제3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4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상기 제4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축 중에서 선택됨), 및
- 조종사가 손으로 잡도록 구성된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상기 핸들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의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제로 자유도의 박아 넣기식 연결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지지대와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동일한 제어 장치에 구비된다. 또한,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각각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핸들의 외면에 서로 나란히 병치될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핸들의 외면에 덧붙여져 있어 이들을 수용하는 핸들과 모놀리식 어셈블리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가 손에 쥐는 이러한 핸들은 항공기의 지지대에 대해 병진 이동 또는 회전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힘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지지대에 대해 손, 손목, 팔뚝, 팔 또는 심지어 어깨를 움직일 필요가 없다.
이렇게, 제어 장치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서로간 인체공학적 결합 없이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공기를 조종하는 것은 실행이 더 간단하고 작은 진폭의 한 손가락 또는 두 손가락의 제스처를 필요로 하며 조종사의 움직임 연계가 한정적이다.
따라서 조종사는 제어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움직이지 않고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사는 제어 레버를 움직이기 위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원력에 대항하기 위해 손, 손목, 팔뚝, 팔 또는 심지어 어깨로 제어 레버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종사는 4개의 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만을 작동시킨다. 또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는 구슬, 공, 슬래브 또는 터치 패드,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는 조종사의 손바닥 또는 조종사의 한 손의 한 손가락 또는 여러 손가락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항공기 조종사는 오른손 엄지와 같이 한 손의 손가락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동시에 작동될 수 없고,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의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차례로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임펄스형 접촉의 실행 후 자동으로 중앙의 정지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작동된다. 따라서, 힘 피드백 또는 복원 수단을 사용하여,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을 각각의 중앙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제어 인터페이스에서의 다방향 제어 버튼과 양방향 제어 버튼의 선택 위치에 따라, 항공기 조종사는 또한 한 손의 여러 손가락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오른속의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사용하여, 동시에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다. 이 경우, 임펄스형 접촉의 실행 후 자동으로 중앙의 정지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동시에, 다방향 제어 버튼은 엄지로, 제1 양방향 버튼은 검지로, 제2 양방향 버튼은 중지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예는 "처리 유닛"이라는 표현에 주어지는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또한 약어 CPU로 알려진 중앙 처리 유닛, 그래픽 처리 유닛 GPU, 약어 DSP로 알려진 디지털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피치 및 롤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어 명령은 처리 유닛에 의해 처리되어 출력으로 제어 오더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 오더는 예를 들어 항공기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입력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일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는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통해 조종사가 예를 들어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지면에 대한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들 종방향 및 횡방향은 유리하게는 서로 수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중력과 연관된 수직 방향으로 지상의 정규 직교 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 및 처리 유닛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공기에 대하여 및/또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또는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휠,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양방향 제어 버튼은 추가로 항공기의 좌측을 향하는 좌측 방향 및 항공기의 우측을 향하는 우측 방향으로 조종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은 항공기의 꼬리로부터 항공기의 기수 쪽으로 연장되는 전후면에 내접하는 전후 방향에 대해 정의된다.
한편,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항공기의 상측 또는 전방을 향하는 높은 방향 및 항공기의 하측 또는 후방을 향하는 낮은 방향으로 조종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또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고 항공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항공기를 다르게 조종하도록 처리 유닛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지상 기준 좌표계의 수직 방향을 따라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의 현재 경로의 기준 또는 목표 기울기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의 이동 속도가 무엇이든, 제1 양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의 방위 기준 또는 목표 요율을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축은 피치 제어축일 수 있고, 제2 제어축은 롤 제어축일 수 있고, 제3 제어축은 요 제어축일 수 있고, 제4 제어축은 리프트 제어축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이 통합되어 다방향 제어 버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방향 제어 버튼은,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와 같이, 구슬, 공, 슬래브 또는 터치 패드,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다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가 한 손의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동시에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변형예는 항공기 조종석에서의 핸들의 배치에 따라 구상된다.
앞의 변형예들과 양립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활성화 위치와 휴지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선택 제어 명령은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해 처리 유닛으로 전송되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고 일반적으로 그에 상응하여 처리 유닛의 출력으로 제어 오더를 수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유리하게는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 개별적으로 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안정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접근 모드"라 불리는 제1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게 할 수 있으며, 이 접근 모드는 착륙 구역을 향한 소정 하강 경로를 따라 항공기를 자동으로 조종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러한 접근 모드에서, 처리 유닛은 또한 예를 들어 항공기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변하는 제어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이 접근 모드는 조종사가 다방향 또는 양방향 제어 버튼의 위치와 관계없이 지상 좌표계의 수직 방향을 따라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기본값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표 속도는 예를 들어 분당 500피트(ft/min) 또는 분당 152.4미터(m/min)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접근 모드는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의 기준 또는 목표 기울기를 기본값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표 기울기는 예를 들어 -4도와 같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양방향 제어 버튼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은 다방향 제어 버튼을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는 다방향 제어 버튼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 제어 명령은 조종사가 다방향 제어 버튼에 압력을 가할 때 생성된다.
즉, 다방향 제어 버튼은, 조종사가 요 운동 제어축을 따라, 리프트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고 착륙 단계를 수행하고자 할 때 접근 모드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정지 비행 모드"라고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정지 비행 모드는 항공기의 이동 속도 감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러한 정지 비행 모드에서, 처리 유닛은 또한 예를 들어 항공기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변하는 제어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정지 비행 모드는 조종사가 지면에 대한 항공기의 이동 속도를 0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정지 비행 모드는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에 대해 최적 상승 속도일 수 있는 또다른 소정 임계 속도까지 항공기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수평 비행 모드"라고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수평 비행 모드는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항공기의 이동 속도의 취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수평 비행 모드에서, 처리 유닛은 또한 예를 들어 항공기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변하는 제어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수평 비행 모드는 조종사가 지면에 대한 항공기의 수직 이동 속도를 0으로 명령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평 비행 모드는 조종사가 항공기의 현재 이동 경로에 대해 제로 기울기를 명령할 수 있게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복행(Go Around) 모드"라고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복행 모드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 단계의 중단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한 복행 모드에서, 처리 유닛은 회피 거동을 자동으로 명령하고 예를 들어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오더 또는 접근 실패시의 제어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항공기가 자동으로 고도를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이 자동 조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이 "인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인수 모드는, 한편으로는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초기에 활성화된 자동 조종 장치를 비활성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타적으로 상기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활성화함으로써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수 모드는 예를 들어 자동 조종 장치에 결함이 있거나 또는 장애물 또는 다른 항공기가 항공기의 현재 경로에 존재하는 비상 상황에서 항공기의 조종사가 선택할 수 있다. 조종사에 의해 인수 모드가 선택되면, 추후 조종사가 다시 요청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자동 조종 장치는 더 이상 항공기를 조종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이 여러 다른 제어 장치의 세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이 "인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인수 모드는, 한편으로는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초기에 활성화된 여러 다른 제어 장치의 세트를 비활성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타적으로 상기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활성화함으로써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러한 인수 모드는 예를 들어 조종사가 몸이 좋지 않거나 더 이상 항공기를 조종할 수 없는 비상 상황에서 항공기의 부조종사가 선택할 수 있다. 부조종사에 의해 인수 모드가 선택되면, 조종사는 더 이상 항공기를 조종할 수 없다.
유리하게는, 여러 다른 제어 장치는, 한편으로는 피치 제어축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롤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피치 및 롤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첫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스틱, 리프트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리프트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두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레버, 및 요 운동 제어 축을 따라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요 운동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의 발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방향타를 포함하며, 인수 모드는 항공기의 부조종사에 의해 선택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은 부조종사를 위한 단순화된 조종석을 장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종사를 위한 보다 통상적이고 보다 완전한 조종석과 연계될 수 있다.
인수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부조종사는 항공기의 항행, 비행 매개변수의 모니터링, 조종사와의 협조 또는 외부 환경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부조종사는 항공기 조종 기능으로부터는 해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에서 개시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를 발명 대상으로서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는 예를 들어 비행기와 같은 고정익 항공기, 하나 또는 복수의 추진 및/또는 양력 로터를 갖는 회전익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핸들의 제2 단부가 항공기의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대는 대시보드, 좌석, 팔걸이, 도어 및 파일론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 장치는 대시보드, 좌석, 팔걸이, 항공기 외부로부터 조종사가 조종석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도어 또는 조종석 바닥에 고정된 파일론과 같은 항공기 조종석의 부재에 대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제공되는 실시예로 이하의 설명 부분에서 더 상세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변형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변형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개개의 복수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에는 하나의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기 제어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2)는 특히 공기역학적 수단(3)을 조작함으로써 조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역학적 수단(3)은 예를 들어 항공기(2)가 회전익기와 같이 회전익을 가질 경우 로터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공기(2)는 또한 처리 유닛(7)에 전송된 전기 신호 또는 광학 신호에 의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10)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조종된다.
처리 유닛(7)은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오더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장치(10)는 공기역학적 수단(3)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4)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들 제어 디바이스(4)는 예를 들어 잭, 모터 또는 서보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4)는 1인 이상의 조종사가 피치 제어축, 롤 제어축, 요 운동 제어축 및 리프트 제어축을 갖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시스템(1)은 조종사가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구성된 단일 제어 장치(1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어 유닛(10)은 처리 유닛(7)에 전송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를 포함한다. 그래서, 처리 유닛(7)은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오더를 생성하여 조종사가 제1 제어축 및 제2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제어축은 예를 들어 피치 제어축일 수 있고 제2 제어축은 롤 제어축일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는 구슬, 공, 슬래브 또는 터치 패드,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는 조종사의 손바닥에 의해 또는 조종사의 한 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7)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항공기(2)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및 처리 유닛(7)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지면에 대한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및 처리 유닛(7)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공기에 대한 항공기(2)의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는 또한 예를 들어 요 운동 제어축에 상응하는 제3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으로 작동가능한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10)는 또한 예를 들어 리프트 제어축에 상응하는 제4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측 및 하측으로 작동가능한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변형예에 따라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휠,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제1 양방향 제어 버튼(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23)이 통합되어 다방향 제어 버튼(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방향 제어 버튼(24)은,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와 같이, 구슬, 공, 슬래브 또는 터치 패드, 방향 패드, 아날로그 스틱 또는 심지어 중국 모자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경우에 따라 처리 유닛(7)을 통해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2)의 이동 속도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항공기(2)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항공기(2)의 이동 속도가 소정 임계 속도 미만인 경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지상 기준 좌표계의 수직 방향을 따라 기준 또는 목표 이동 속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공기(2)의 이동 속도가 이 소정 임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 및 처리 유닛(7)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2)의 현재 경로의 기준 또는 목표 기울기를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2)의 이동 속도가 무엇이든,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처리 유닛(7)은 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2)의 방위 기준 또는 목표 요율을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10, 20)는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가 손에 쥐도록 구성된 핸들(15, 25)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핸들(15, 25)의 제1 단부(16, 26)에 배치된다.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예를 들어 나란히 배치되는 식으로 핸들(15, 25)의 외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핸들을 잡고 있는 항공기(2)의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의 손의 동일한 손가락에 의해, 예를 들어 엄지에 의해 차례로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또한 나란히 배치되는 식으로 핸들(15, 25)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핸들을 잡고 있는 항공기(2)의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의 손의 2개의 손가락에 의해, 예를 들어 엄지와 검지에 의해 차례로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핸들(15, 25)은 또한 대시보드, 좌석, 팔걸이, 도어 또는 심지어 항공기의 조종석 바닥에 고정되는 파일론과 같은 항공기의 지지대(5)에 제로 자유도의 박아 넣기식 연결로 고정되는 제2 단부(17, 2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변형예가 무엇이든, 제어 장치(10, 20)는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가 예를 들어 항공기(2)의 조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자동 조종 모드를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단안정 스위치(50, 51, 52, 53, 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안정 스위치(50, 51, 52, 53, 54)는 또한 각각 휴지 위치와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안정 스위치(50, 51)는 "접근 모드"라 불리는 제1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접근 모드는 착륙 구역을 향한 소정 하강 경로를 따라 항공기(2)를 자동으로 조종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7)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양방향 제어 버튼(22) 및 제2 양방향 제어 버튼(23)이 다방향 제어 버튼(24)을 형성하는 경우, 단안정 스위치(51)는 다방향 제어 버튼(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안정 스위치(51)는 다방향 제어 버튼(24)의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XX')을 따라 압력을 가함으로써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단안정 스위치(52)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정지 비행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정지 비행 모드는 항공기(2)의 이동 속도의 감소를, 경우에 따라 지면에 대한 속도를 실질적으로 제로까지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7)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단안정 스위치(53)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수평 비행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수평 비행 모드는 수직 방향으로 항공기(2)의 이동 속도의 취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7)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단안정 스위치(54)에 의해 생성되는 선택 제어 명령은 "복행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복행 모드는 항공기(2)의 착륙 단계의 중단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처리 유닛(7)에 의해 구현된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어 시스템(1)은 또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조종사의 특정 동작 없이 이러한 항공기(2)를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자동 조종 장치(5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안정 스위치(55)가 조종사에 의해 작동되면 이것은 "인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이 인수 모드는 한편으로는 항공기(2)를 조종하기 위해 초기에 활성화된 자동 조종 장치(56)를 비활성화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타적으로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2)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장치(10)를 활성화함으로써 처리 유닛(7)에 의해 구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61)은 여러 제어 장치(63-65)의 세트(60)를 포함하는 항공기(62)에 장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유닛(30)은 부조종사가 "인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다른 단안정 스위치(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인수 모드가 처리 유닛(67)에 의해 구현되어, 항공기(62)의 부조종사가 한편으로는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해 초기에 활성화된 여러 다른 제어 장치 세트(63-65)를 비활성화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조종사가 배타적으로 4개의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62)를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3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다른 제어 장치(63-65)는 특히 피치 제어축 및 롤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피치 및 롤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첫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스틱(6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제어 장치는 또한 리프트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리프트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두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레버(64) 및 요 운동 제어축을 따라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요 운동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의 발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방향타(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수 모드는 예를 들어 조종사가 몸이 좋지 않거나 더 이상 항공기(62)를 조종할 수 없는 비상 상황에서 항공기(62)의 부조종사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인수 모드는 또한 예를 들어 호버링, 전진 속도의 감속, 수직 이동 속도의 취소, 복행 등을 자동으로 조종하기 위한 항공기(62) 자동 조종의 여러 법규와 연관될 수 있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62)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로터(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아암들은 로터(3)를 지지하고 이들 로터를 조종석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61)은 도 1에 도시된 항공기(2)에도 장비될 수 있으며, 역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 장치(10, 20)의 두 실시 변형예는 제어 시스템(61)과 호환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많은 변형을 거칠 수 있다. 여러 실시양태가 개시되었지만, 모든 가능한 양태를 철저하게 확인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이해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수단을 동등한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은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4)

  1. 항공기(2, 62)용 제어 시스템(1, 61)으로서,
    상기 제어 시스템(1, 61)은 상기 항공기(2, 62)의 조종사가 항공기(2, 62)의 공기역학적 수단(3)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1, 61)은 제어 오더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7, 6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오더는 제어 디바이스(4)로 전송되어, 상기 공기역학적 수단(3)의 위치를 수정하고, 피치 제어축, 롤 제어축, 요 운동 제어축 및 리프트 제어축을 갖는 4개의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 62)를 조종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1, 61)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10, 20, 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오더를 생성하는 상기 처리 유닛(7, 67)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 장치(10, 20, 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4)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10, 20, 30)는 적어도:
    - 한편으로는 제1 제어축을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2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 62)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상기 제1 제어축 및 상기 제2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제어축 중에서 선택됨),
    - 상기 제1 제어축 및 상기 제2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3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 62)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상기 제3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축 중에서 선택됨),
    - 상기 제1 제어축, 상기 제2 제어축 및 상기 제3 제어축과는 별개의 제4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 62)를 조종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상기 제4 제어축은 상기 4개의 축 중에서 선택됨), 및
    - 조종사가 손으로 잡도록 구성된 핸들(15, 25)
    을 포함하고, 상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상기 핸들(15, 25)의 제1 단부(16, 26)에 배치되고, 상기 다방향 제어 인터페이스(11, 21),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12, 22) 및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13, 23)은 조종사의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15, 25)은 제로 자유도의 박아 넣기식 연결에 따라 상기 항공기(2, 62)의 지지대(5)와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17, 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축은 상기 피치 제어축이고, 상기 제2 제어축은 상기 롤 제어축이며, 상기 제3 제어축은 상기 요 윤동 제어축이고, 상기 제4 제어축은 상기 리프트 제어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22)과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23)이 통합되어 다방향 제어 버튼(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 20, 30)는 선택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활성화 위치와 휴지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0-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0, 51)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접근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접근 모드는 착륙 구역을 향한 소정 하강 경로를 따라 상기 항공기(2, 62)를 자동으로 조종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7, 6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방향 제어 버튼(22) 및 상기 제2 양방향 제어 버튼(23)은 다방향 제어 버튼(24)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1)는 상기 다방향 제어 버튼(2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조종사가 상기 다방향 제어 버튼(24)에 압력을 가할 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2)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정지 비행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정지 비행 모드는 상기 항공기(2, 62)의 이동 속도 감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7, 6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스위치(53)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수평 비행 모드"라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수평 비행 모드는 수직 방향을 따른 상기 항공기(2, 62)의 이동 속도의 취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7, 6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4)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복행(Go Around) 모드"라고 불리는 자동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복행 모드는 상기 항공기(2, 62)의 착륙 단계의 중단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더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7, 6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은 자동 조종 장치(56)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5)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인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인수 모드는, 한편으로는 상기 항공기(2)를 조종하도록 초기에 활성화된 상기 자동 조종 장치(56)를 비활성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타적으로 상기 4개의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2)를 조종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10)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61)은 여러 다른 제어 장치(63, 64, 65)의 세트(6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안정 스위치(55)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선택 제어 명령은 "인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인수 모드는, 한편으로는 상기 항공기(62)를 조종하도록 초기에 활성화된 상기 여러 다른 제어 장치(63-65)의 세트(60)를 비활성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타적으로 상기 4개의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62)를 조종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30)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67)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다른 제어 장치는
    한편으로는 상기 피치 제어 축을 따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롤 제어 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피치 및 롤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첫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스틱(63),
    상기 리프트 제어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리프트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에 의해 두 번째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레버(64), 및
    상기 요 운동 제어 축을 따라 상기 항공기(62)를 조종하기 위한 요 운동 제어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조종사의 발에 의해 작동되도록 의도된 방향타(65)
    를 포함하고, 상기 인수 모드는 상기 항공기(62)의 부조종사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시스템(1, 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2, 62).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6, 26)의 상기 제2 단부(17, 27)는 상기 항공기(2, 62)의 지지대(5)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5)는 대시보드, 좌석, 팔걸이, 도어 및 파일론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2, 62).
KR1020220017499A 2021-02-10 2022-02-10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 KR102651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1253 2021-02-10
FR2101253A FR3119601A1 (fr) 2021-02-10 2021-02-10 Système de commande d’un aéronef et aéronef associ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540A true KR20220115540A (ko) 2022-08-17
KR102651923B1 KR102651923B1 (ko) 2024-03-26

Family

ID=7487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99A KR102651923B1 (ko) 2021-02-10 2022-02-10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0491B2 (ko)
EP (1) EP4043341B1 (ko)
KR (1) KR102651923B1 (ko)
CN (1) CN114940259A (ko)
CA (1) CA3146994C (ko)
FR (1) FR3119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6272A (sl) * 2022-11-18 2023-05-31 DEA Motorsport technologies d.o.o. Vozni sistem zrakoplova in postopek njegove uporabe
CN116022326B (zh) * 2023-02-13 2023-06-16 飞联智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飞行器单手操纵手柄及其操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3100B2 (en) * 2017-03-06 2020-06-16 Bell Helicopter Textron Inc. Pilot and passenger sea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8219A (en) 1980-04-01 1983-12-06 Edmond D. Diamond Multi-axis force stick, self-trimmed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
EP2812763B1 (en) * 2012-02-10 2019-12-11 Merlin Technology Inc. Autopilot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s
FR3001439B1 (fr) 2013-01-29 2015-02-27 Eurocopter France Organe de commande muni d'un levier de pas collectif de pales et d'un moyen de commande en lacet, et aeronef
FR3019661B1 (fr) * 2014-04-04 2017-07-14 Thales Sa Amelioration de l'ergonomie d'un dispositif d'entree de donnees
FR3023017B1 (fr) * 2014-06-30 2016-06-10 Airbus Helicopters Systeme et procede de commande de vol d'un aeronef a voilure tournante en tenue de trajectoire ou tenue de cap selon sa vitesse d'avancement
FR3038294B1 (fr) 2015-06-30 2018-04-06 Airbus Helicopters Procede de commande des moyen aerodynamiques d'un aeronef, systeme de commande associe et aeronef equipe d'un tel systeme de commande
US10647414B2 (en) 2017-02-27 2020-05-12 Textron Innovations Inc. Rotorcraft fly-by-wire standard rate turn
WO2018232616A1 (en) * 2017-06-21 2018-12-27 SZ DJI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FORMABLE REMOTE CONTROL DEVICES
FR3097527B1 (fr) 2019-06-20 2021-06-18 Airbus Helicopters Procédé d’aide au pilotage d’un giravion hybride muni d’un rotor de sustentation et d’au moins un rotor propulsif à hélice générant une poussé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3100B2 (en) * 2017-03-06 2020-06-16 Bell Helicopter Textron Inc. Pilot and passenge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9601A1 (fr) 2022-08-12
KR102651923B1 (ko) 2024-03-26
CA3146994A1 (fr) 2022-03-25
EP4043341B1 (fr) 2024-03-06
CN114940259A (zh) 2022-08-26
US20220250738A1 (en) 2022-08-11
CA3146994C (fr) 2023-07-18
US11820491B2 (en) 2023-11-21
EP4043341A1 (fr)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3065B1 (en) Integrated seat mounted inceptor
KR102651923B1 (ko) 항공기 제어 시스템 및 관련 항공기
US4420808A (en) Multi-axis force stick, self-trimmed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
EP3224136B1 (en) System and method to interchange flight control inceptors in an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 and cockpit
US9908614B2 (en) Crew seat integral inceptor system for aircraft
JPH0725355B2 (ja) 航空機の操縦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制御入力を入力するための入力装置
WO2017178790A1 (en) An aircraft
US20200216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loting an aircraft
CN106314763B (zh) 控制飞行器的空气动力学装置的方法、相关联的控制系统以及设有该控制系统的飞行器
US20140097300A1 (en) Electronic flight controls with parallel processed torque & positioning for pilot or astronaut touch feedback
US20170291690A1 (en) High trim demand relieft
EP3998198A1 (en) Aircraft inceptor apparatus and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
US12006023B2 (en) Aircraft inceptor apparatus and aircraft flight control system
US20220326727A1 (en) Four-axis mechanical controller
US20230286645A1 (en) Aircraft control input device and comm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EP35759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descend-to-hover flight mode
KR20230083211A (ko) 항공기의 조종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WO2009008012A1 (en) Simplified helicopter drive system
WO2024076800A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on of a vehicle
WO20131417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 полиджойстик для гиперманевр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