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416A - 전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416A
KR20220115416A KR1020210019403A KR20210019403A KR20220115416A KR 20220115416 A KR20220115416 A KR 20220115416A KR 1020210019403 A KR1020210019403 A KR 1020210019403A KR 20210019403 A KR20210019403 A KR 20210019403A KR 20220115416 A KR20220115416 A KR 2022011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control
control device
connec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635B1 (ko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01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커넥터의 조립만으로 전자 제어 장치 내,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압력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압력보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ECU 등의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된다.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는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류 또는 스위치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다. 전자 제어 장치는 이렇게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을 제어하거나, 차량의 승차감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 또는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ECU와 같이 차량의 엔진이나 자동변속기, ABS(Anti-Lock Brake System)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는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하여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이러한 ECU 등과 같은 전자 제어 장치는 상부의 커버와 하부의 베이스로 구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외부의 소켓 연결을 위해 PCB의 전단에 결합되는 커넥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자 제어 장치의 경우, 고도의 집적 제어회로수단을 갖는 관계로 내부로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을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실링 구조를 필요로 하며, 보통 커버 및 베이스와 커넥터 간의 결속부위에 실링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커넥터와 함께 커버와 베이스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내부의 PCB 등을 보호하는 실링 구조를 적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 제어 장치는, 실링 구조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경우 제어 장치 내·외부의 압력이 차이가 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경우,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PCE(압력보정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하여 내·외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압력보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 또는 부품을 사용하게 되면 생산 단가가 증가하며 제조 공정상 비효율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07099호
본 발명은, 커넥터의 조립만으로 전자 제어 장치 내,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압력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 1 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커넥터 핀 및 상기 바디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보정부재는 제 1 면이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통기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프레임의 제 2 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과 수직되는 양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기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간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보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압력보정부재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된 실링부재의 일측은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하로 결합되는 커버 및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보정부재가 결합된 커넥터의 조립으로 전자 제어 장치 내,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하우징과 커넥터 사이의 방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압력보정부재가 결합된 커넥터의 조립만으로 전자 제어 장치 제조시 별도의 압력보정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커넥터에 결합되는 압력보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도 2의 A-A' 단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홈부에 실링부재를 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커넥터(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는, 내부에 인쇄 회로 기판(PCB, 미도시)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개구에 결합되는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이 때 하우징(10)은 일체형의 하우징으로 사출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결합되는 커버(10a) 및 베이스(10b)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개구에 결합되는 바디(32)와, 바디(32)의 제 1 면에 결합되고, 하우징(10) 내에 위치되는 커넥터 핀(34) 및 바디(32)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바디(32)의 제 2 면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챔버(36)를 포함한다.
이 때, 커넥터 핀(34)의 일단은 인쇄 회로 기판에 결합되며, 커넥터 핀(34)의 타단은 상기 바디(32)를 관통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챔버(36)는 바디(32)를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된 커넥터 핀(34)의 타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커넥터(3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 핀(34)을 통해 연결되어 전자 제어 장치(100)가 다양한 전자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에는 압력보정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력보정부재(40)는 커넥터(30)의 바디(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디(32)에 레이저 융착 공법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커넥터(30)에 결합되는 압력보정부재(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커넥터(30)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커넥터(30)의 측단면도이다(도 2의 A-A' 단면).
여기서, 도 3 중 도 3(a)는 압력보정부재(40)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 및 도 3(c)는 압력보정부재(40)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 중 도 4(a)는 압력보정부재(40)를 커넥터(30)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압력보정부재(40)가 커넥터(3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보정부재(40)는 제 1 면이 커넥터(30)에 결합되는 프레임(42) 및 프레임(42) 내에 수용되는 통기성 부재(44)를 포함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프레임(42)의 제 1 면(프레임(42)의 하부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의 바디(3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42)은 플라스틱 합성 수지로서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기성 부재(44)는 하우징(10) 내부와 외부 간 공기가 유통(流通)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노 기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Membran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필름은 소수성을 가지는 박막필름으로서 AC(Acrylic Copolymer), PES(Poly Ether Sulfone),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계열의 수지 등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소수성의 통기성 부재(44)는 공기는 통과시키되,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통과는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42)은, 프레임(42)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프레임(42)의 제 2 면(프레임(42)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22) 및 프레임(42)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42)의 제 1 면 및 제 2 면과 수직되는 양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424)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424)는 프레임(42)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기성 부재(44)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2)과 통기성 부재(44)는 이종 소재로서 형성되며, 통기성 부재(44)는 이중 사출 공법을 통해 프레임(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홈부(12)에 실링부재(50)를 배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도 7 중 도 7(a)는 홈부(12)에 실링부재(50)가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홈부(12)에 실링부재(50)가 배치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0)의 조립 과정은 아래와 같다.
도 6 중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하우징(10)을 사출 등의 공법으로 제조한다.
이 때, 하우징(10)의 일측(하우징(10)의 상부)에는 홈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12)는 하우징(10)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0)은 일체형의 하우징으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결합되는 커버(10a)와 베이스(10b)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부(12)는 커버(10a)의 일측(커버(10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에 커넥터(30)를 결합한다.
이 때, 하우징(10)을 상하로 결합되는 커버(10a)와 베이스(10b)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커버(10a)의 타측(커버(10a)의 하부)에 베이스(10b)를 결합하고, 커버(10a)의 개구 및 베이스(10b)의 일측에 커넥터(3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가 하우징(10)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력보정부재(40)는 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보정부재(40)의 돌출부(422)가 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2)에 실링부재(50)를 배치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2)에 배치된 실링부재(50)는 하우징(10)과 압력보정부재(40)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방수성이 좋은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치된 실링부재(50)의 일측은 압력보정부재(40)의 돌출부(422)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링부재(50)의 일측은 돌출부(442)와 대응되는 면으로서 돌출부(4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하우징(10)과 압력보정부재(40) 사이의 방수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50)의 일측이 압력보정부재(40)의 돌출부(422)에 고정됨으로써 실링부재(50)가 홈부(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홈부(12)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상의 실리콘 등이 홈부(12) 내에 도포된 후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압력보정부재(40)는 하우징(10)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벽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보정부재(40)와 실링부재(50)에 의해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가 밀폐된 경우에도 하우징(10)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공기 유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보정부재(40)가 결합된 커넥터(30)의 조립으로 전자 제어 장치(100) 내,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방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압력보정부재(40)가 결합된 커넥터(30)의 조립만으로 전자 제어 장치(100) 제조시 별도의 압력보정장치를 하우징(10)에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자 제어 장치
10 : 하우징
30 : 커넥터
40 : 압력보정부재
50 : 실링부재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압력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 1 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커넥터 핀 및
    상기 바디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정부재는,
    제 1 면이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통기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프레임의 제 2 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과 수직되는 양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기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간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압력보정부재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된 실링부재의 일측은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로 결합되는 커버 및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1020210019403A 2021-02-10 2021-02-10 전자 제어 장치 KR10246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403A KR102464635B1 (ko) 2021-02-10 2021-02-10 전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403A KR102464635B1 (ko) 2021-02-10 2021-02-10 전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416A true KR20220115416A (ko) 2022-08-17
KR102464635B1 KR102464635B1 (ko) 2022-11-07

Family

ID=8311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403A KR102464635B1 (ko) 2021-02-10 2021-02-10 전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099A (ko) 2011-06-29 2013-01-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압 보정장치 일체형 커넥터
KR101619860B1 (ko) * 2014-11-27 2016-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압력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모듈
KR20210014393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099A (ko) 2011-06-29 2013-01-1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압 보정장치 일체형 커넥터
KR101619860B1 (ko) * 2014-11-27 2016-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압력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모듈
KR20210014393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635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0999B1 (ja) 防水型電子機器および防水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20110247952A1 (en) Pressure-relief valve of a housing for an electrical/electronic unit
US9190766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KR101619860B1 (ko) 압력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모듈
US9474170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CN107026358B (zh) 防水型控制装置
JP6015581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KR20160040546A (ko) 통기 구조 및 통기 부재
KR102217875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KR101610892B1 (ko) 포팅층을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4635B1 (ko) 전자 제어 장치
WO2014068902A1 (ja) 通気部材
CN112118998B (zh) 电动动力转向装置
KR101701469B1 (ko) 자동차용 통기 캡
CN109479381B (zh) 电子控制装置及其组装方法
KR102458252B1 (ko) 전자 제어 장치
KR101836970B1 (ko) 전자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JP7301071B2 (ja) 電子デバイスの保護用ハウジング
JP5790580B2 (ja) 電子部品収容ケース
KR101846199B1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2154281B1 (ko)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2019379B1 (ko) 일체형 전자 제어 장치
JP2019041559A (ja) 電子制御ユニット
KR101481137B1 (ko) 브래킷을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KR101927120B1 (ko)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