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365A -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365A
KR20220115365A KR1020210019285A KR20210019285A KR20220115365A KR 20220115365 A KR20220115365 A KR 20220115365A KR 1020210019285 A KR1020210019285 A KR 1020210019285A KR 20210019285 A KR20210019285 A KR 20210019285A KR 20220115365 A KR20220115365 A KR 2022011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switching element
container
driven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록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5365A/ko
Priority to US17/667,963 priority patent/US20220256657A1/en
Priority to EP22155946.1A priority patent/EP4044769A1/en
Publication of KR2022011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458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 rectifier with controlled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기는 가열 영역에 대하여 설정되는 파워 레벨을 기초로 가열 영역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하고,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고,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고,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고,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용기의 크기나 가열 영역의 파워 레벨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 값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명세서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재질의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킴으로써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유도 가열 장치가 구동되면 교류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 주변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 자계의 자력선이 워킹 코일의 상부에 놓인 금속 성분을 포함한 용기의 바닥을 통과하면, 용기 바닥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와전류가 용기에 흐르면 용기 자체가 가열된다.
유도 가열 장치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영역이 형성되고, 가열 영역의 하부에는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이 배치된다. 워킹 코일의 구동이 제어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가열 영역의 파워 레벨 및 용기의 크기가 각각 고려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232호)에는 화구(가열 영역)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전기 레인지가 개시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개시된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 바디(100), 히터 장치(250, 290), 상부 패널부(500), 키입력부(600), 거리센서부(7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바디(100)는 전기 레인지의 구성 부품이 수납될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스 바디(100)는 상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패널부(500)는 히터 장치(250, 290) 상부에 배치되며, 케이스 바디(100)와 결합된다. 상부 패널부(500)는 히터 장치(250, 290)에서 발생된 열을 투과시킨다.
히터 장치(250, 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 유닛을 포함한다. 각 히팅 유닛은 복수개의 단위 히터 모듈로 구성되며, 각 단위 히터 모듈은 독립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히터 장치(250, 290)는 2개의 히터 유닛 즉, 제1 히터 유닛(250)과 제2 히터 유닛(290)을 포함한다.
제1 히터 유닛(250)은 4개의 단위 히터 모듈을 포함하며, 제2 히터 유닛(290)은 3개의 단위 히터 모듈을 포함한다. 제1 히터 유닛(250)은 제1 단위 히터 모듈(210), 제2 단위 히터 모듈(220), 제3 단위 히터 모듈(230) 및 제4 단위 히터 모듈(240)을 포함하고, 제2 히터 유닛(290)은 제5 단위 히터 모듈(260), 제6 단위 히터 모듈(270) 및 제7 단위 히터 모듈(280)을 포함한다.
키입력부(600)는 상부 패널부(500)에 설치되며, 전기 레인지의 온/오프, 화력 조절, 타이머 설정 등과 같이 전기 레인지를 작동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리센서부(700)는 상부 패널부(500)에 설치되며, 상부 패널부(500)상에 놓여지는 용기까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용기 크기 산정부(800)로 전송한다. 거리센서부(700)는 적외선 거리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센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선행기술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제어부(미도시)는 적외선 거리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센서와 같은 거리센서부(700)를 이용하여 추정되는 용기의 크기를 기초로 각 히터 유닛(250, 290)에 포함되는 단위 히터 모듈을 온/오프하여 가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다.
예컨대 선행기술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제어부(미도시)는 용기의 크기가 제3 단위 히터 모듈(230)의 직경에 상응할 경우, 제1 내지 제3 단위 히터 모듈(210, 220, 230)은 온(on)시키고, 용기가 접촉하지 않는 제4 단위 히터 모듈(240)은 오프(off)시킴으로써 가열 영역의 크기를 용기에 맞게 적응적으로 가변시킨다.
그런데 선행기술에 따르면 적외선 거리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센서와 같은 물리적인 센서를 이용하여 용기의 크기가 검출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센서가 구비될 경우 유도 가열 장치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거리센서부(700)와 용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용기의 크기가 추정되므로, 히터 유닛과 용기의 실제 중첩 영역의 크기가 반영되지 않아 워킹 코일의 정확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추정된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단순히 단위 히터 모듈이 온/오프되는 제어 방법만을 개시한다. 즉, 선행기술에는 용기의 크기나 가열 영역의 파워 레벨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 값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개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물리적인 센서 없이 용기의 크기를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워킹 코일을 가변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용기의 크기나 가열 영역의 파워 레벨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 값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너 워킹 코일, 상기 이너 워킹 코일과 중심을 공유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워킹 코일,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 각각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 상기 구동 회로에 상기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 영역에 대하여 설정되는 파워 레벨을 기초로 상기 가열 영역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고,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요구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제4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5 스위칭 소자 및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이 연결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5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6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4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센싱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센싱 전류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공진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고, 상기 구형파의 수에 기초하여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가열 영역에 대한 파워 레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파워 레벨을 기초로 상기 가열 영역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하는 단계,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인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제4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5 스위칭 소자 및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이 연결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5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6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4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센싱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전류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공진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형파의 수에 기초하여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물리적인 센서 없이 용기의 크기를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워킹 코일을 가변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용기의 크기나 가열 영역의 파워 레벨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 값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 공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7은 공진 신호 변환 회로가 도 6에 도시된 공진 신호를 변환할 때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할 때 공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9는 공진 신호 변환 회로가 도 8에 도시된 공진 신호를 변환할 때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는 유도 가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부(10) 및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케이스(12)는 미리 정해진 부피를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유도 가열 장치(1)의 부품들이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가 모서리가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스(12)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품들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12)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풍구(12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의 일측면에만 통풍구(12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통풍구(120)의 위치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판부(10)는 케이스(12)의 개방된 면, 즉 상면과 결합되어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을 밀폐한다. 상판부(10)는 케이스(12)의 상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전기 절연성 및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예컨대, 유리 또는 세라믹)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부(10)의 상부 표면에는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영역(14)이 형성된다. 가열 영역(14)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열 영역(14)을 나타내는 도형이나 심볼이 상판부(10)의 상부 표면에 표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가열 영역(14)이 십자(+)로 표시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원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심볼이나 도형이 가열 영역(14)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판부(10)의 상부 표면에는 유도 가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영역(130)이 형성된다. 조작 영역(130)은 다수의 버튼 및 표시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타이머 버튼(101a, 101b)을 터치하여 조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표시부(101h)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화력 조절 버튼(101c, 101d)을 터치하여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용기에 가해지는 열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부(101g)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잠금 버튼(101e)을 터치하여 유도 가열 장치(1)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잠금 버튼(101e) 이외에 다른 버튼을 터치하더라도 유도 가열 장치(1)가 동작하지 않는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잠금 버튼(101e) 이외에 다른 버튼을 터치하여 유도 가열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원 버튼(101f)을 터치하여 유도 가열 장치(1)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 가열 장치(1)의 내부 공간, 즉 상판부(10)와 케이스(12)에 의해서 밀폐되는 공간 내에는 제1 회로 기판(42), 제2 회로 기판(44), 송풍 팬(46), 제3 회로 기판(48), 워킹 코일(402, 404), 온도 센서(406)가 배치된다.
제1 회로 기판(42)은 전원 케이블(450)을 통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필터링하여 제2 회로 기판(42)에 공급한다. 제1 회로 기판(42)에는 전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44)은 제1 회로 기판(42)을 통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워킹 코일(402, 404)에 공급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2 회로 기판(44)에는 후술하는 정류 회로, 평활화 회로, 인버터 회로, 제어기, 구동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송풍 팬(46)은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될 때 구동되어 케이스(12) 내부의 공기를 통풍구(1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3 회로 기판(48)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센서(401a, 401b, 401c, 401e, 401f) 및 표시부(412, 414, 416)가 실장된다. 터치 센서(401a, 401b, 401c, 401e, 401f)를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된다. 또한 표시부(412, 414, 416)에는 터치 센서(401a, 401b, 401c, 401e, 401f)를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른 정보(예컨대, 조리 시간 또는 파워 레벨 등)가 표시된다.
워킹 코일(402, 404)은 상판부(10)에 형성되는 가열 영역(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워킹 코일(402, 404)의 중심은 가열 영역(14)의 중심과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402, 404)은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은 2개의 워킹 코일, 즉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포함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은 3개 이상의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은 중심을 서로 공유한다. 다시 말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의 중심은 아우터 워킹 코일(404)의 중심과 동일하다. 아우터 워킹 코일(404)의 직경은 이너 워킹 코일(402)의 직경보다 크다. 아우터 워킹 코일(404)은 이너 워킹 코일(402)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이너 워킹 코일(40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가열 시작 명령을 입력할 때, 이너 워킹 코일(402)만이 단독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아우터 워킹 코일(404)만이 단독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이 동시에 함께 구동될 수도 있다.
온도 센서(404)는 워킹 코일(402, 404)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다. 온도 센서(404)는 조리 중 용기의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온도를 제어기(미도시)에 전달한다. 제어기(미도시)는 온도 센서(404)에 의해서 센싱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크면 워킹 코일(402, 404)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프로텍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정류 회로(202), 평활화 회로(203), 인버터 회로(204),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 제어기(2), 구동 회로(22)를 포함한다.
정류 회로(202)는 다수의 다이오드 소자(D1, D2, D3, D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회로(202)는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다른 회로일 수 있다. 정류 회로(202)는 외부 전원 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입력 전압을 정류하여 맥동 파형을 갖는 전압을 출력한다.
평활화 회로(203)는 정류 회로(202)에 의해서 정류된 전압을 평활화하여 직류 링크 전압을 출력한다. 평활화 회로(203)는 제1 인덕터(L1) 및 직류 링크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인버터 회로(204)는 평활화 회로(204)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를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에 각각 공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인버터 회로(204)는 제1 스위칭 소자(SW1), 제2 스위칭 소자(SW2), 제3 스위칭 소자(SW3), 제4 스위칭 소자(SW4), 제5 스위칭 소자(SW5), 제6 스위칭 소자(SW6)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5 스위칭 소자(SW5) 및 제6 스위칭 소자(SW6)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5 스위칭 소자(SW5) 및 제6 스위칭 소자(SW6)는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연결점과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의 연결점 사이에는 이너 워킹 코일(402)이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의 연결점과 제5 스위칭 소자(SW5) 및 제6 스위칭 소자(SW6)의 연결점 사이에는 아우터 워킹 코일(404)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의 인버터 회로(204)에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이너 워킹 코일(402)에도 연결되고, 아우터 워킹 코일(404)에도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은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를 공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는 제1 암(arm)으로 지칭되고, 제5 스위칭 소자(SW5) 및 제6 스위칭 소자(SW6)는 제2 암(arm) 지칭된다. 또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공유 암(arm)으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3 스위칭 소자(SW3)는 제4 스위칭 소자(SW4)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5 스위칭 소자(SW5)는 제6 스위칭 소자(SW6)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인버터 회로(204)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SW1, SW2, SW3, SW4, SW5, SW6)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 즉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인버터 회로(204)에 입력되는 직류 링크 전압이 교류 전류로 변환된다. 인버터 회로(204)에 의해서 변환되는 교류 전류는 이너 워킹 코일(402) 및/또는 아우터 워킹 코일(404)로 각각 공급된다.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이너 워킹 코일(402) 및/또는 아우터 워킹 코일(404)에 공진 현상이 발생하면서 용기에 와전류가 흘러 용기가 가열된다.
또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에는 각각 제1 용기 감지 회로(52) 및 제2 용기 감지 회로(54)가 연결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기(2)의 제어에 의해서 용기 감지 회로(52, 54)로부터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에 각각 센싱 전류가 공급되어 용기 감지가 수행된다.
제어기(2)는 구동 회로(2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22)는 제어기(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204)에 포함되는 각 스위칭 소자(SW1, SW2, SW3, SW4, SW5, SW6)에 스위칭 신호(S1, S2, S3, S4, S5, S6)를 공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스위칭 신호(S1), 제2 스위칭 신호(S2), 제3 스위칭 신호(S3), 제4 스위칭 신호(S4), 제5 스위칭 신호(S5), 제6 스위칭 신호(S6)는 각각 미리 정해진 듀티 사이클(duty cycle)를 갖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다.
인버터 회로(204)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류가 워킹 코일(402, 404)에 공급되면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된다.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되면 워킹 코일(402, 404)의 상부에 놓인 용기에 와전류가 흐르면서 용기가 가열된다.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될 때 워킹 코일의 구동에 의하여 실제로 발생하는 전력의 크기, 즉 워킹 코일의 실제 출력 전력값에 따라서 용기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진다.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1)의 조작 영역(130)을 통해서 유도 가열 장치(1)를 전원 온(Power On) 상태로 변경하면, 외부 전원 장치(20)로부터 유도 가열 장치(1)에 전력이 공급되면서 유도 가열 장치(1)는 구동 대기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유도 가열 장치(1)의 가열 영역(14)에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 영역(14)에 대한 파워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가열 시작 명령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가열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기(2)는 사용자가 설정한 파워 레벨에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한다.
가열 시작 명령을 수신한 제어기(2)는 워킹 코일(402, 404)의 요구 전력값에 대응되는 주파수, 즉 가열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열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구동 회로(22)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서 구동 회로(22)로부터 스위칭 신호(S1, S2, S3, S4, S5, S6)가 출력되고, 스위칭 신호(S1, S2, S3, S4, S5, S6)가 각각 스위칭 소자(SW1, SW2, SW3, SW4, SW5, SW6)에 입력되면서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된다. 워킹 코일(402, 404)이 구동되면 용기에 와전류가 흐르면서 용기가 가열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사용자가 설정한 파워 레벨에 대응되는 주파수인 가열 주파수를 결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가열 영역에 대한 파워 레벨을 설정하면 제어기(2)는 인버터 회로(204)의 구동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로 설정된 상태에서 워킹 코일(402, 404)의 출력 전력 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과 일치할 때까지 인버터 회로(204)의 구동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다. 제어기(2)는 워킹 코일(402, 404)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전력값과 일치할 때의 주파수를 가열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2)는 결정된 가열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구동 회로(22)에 공급한다. 구동 회로(22)는 제어기(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기(2)에 의해서 결정된 가열 주파수에 대응되는 듀티 비를 갖는 스위칭 신호(S1, S2, S3, S4, S5, S6)를 출력한다. 스위칭 신호(S1, S2, S3, S4, S5, S6)의 입력에 의해서 스위칭 소자(SW1, SW2, SW3, SW4, SW5, SW6)가 각각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면서 워킹 코일(402, 404)에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가열 영역(14)에 놓인 용기가 가열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가열 영역(14)에 놓인 용기의 크기와 가열 영역(14)에 대해서 설정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열 영역(14)에 놓인 용기의 크기와 가열 영역(14)에 대해서 설정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제어기(2)가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사용자가 가열 영역(14)에 대한 파워 레벨을 설정하여 가열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기(2)는 사용자가 설정한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한다. 예컨대 파워 레벨이 2이면 요구 전력 값은 600W로 결정되고, 파워 레벨이 9이면 요구 전력 값은 3000W로 결정될 수 있다.
요구 전력 값이 결정되면 제어기(2)는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제1 용기 감지 회로(52)를 이용하여 이너 워킹 코일(402) 상부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2 용기 감지 회로(54)를 이용하여 아우터 워킹 코일(404) 상부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감지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에는 제1 용기 감지 회로(52)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용기 감지 회로(54), 제3 용기 감지 회로(56), 제4 용기 감지 회로(58) 또한 도 5에 도시된 회로도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 감지 회로(52)는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 및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를 포함한다.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는 이너 워킹 코일(402)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11)를 포함한다.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는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V1)과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와 접지 단자 사이에는 스위칭 소자(SWD)가 연결된다.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한 용기 감지 동작이 시작되면, 스위칭 소자(SWD)가 스위칭 신호(PS)에 의해서 턴 온되어 미리 정해진 진폭 및 위상을 갖는 전류가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를 통해 흐른다. 용기 감지 수행 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에는 매우 짧은 시간(예컨대, 0.1초 이하) 동안 순간적인 전류가 공급된다.
스위칭 소자(SWD)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제1 전원(V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에 전류가 흐르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는 자율 공진 현상(LC 공진)을 일으킨다. 이러한 공진 현상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 감쇠하는 공진 신호가 발생하며, 발생된 공진 신호는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에 포함된 비교기(CP)에 입력된다.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는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구형파를 생성한다.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는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진 신호 및 제2 전원(V2)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CP)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기(CP)는 제2 전원(V2)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와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 크기를 갖는 출력 신호(구형파)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 이상이면 비교기(CP)는 제1 레벨(예컨대, 5V)의 전압 크기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고,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 미만이면 비교기(CP)는 제2 레벨(예컨대, 0V)의 전압 크기를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전원(V2)에 의해서 생성되는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는 분압 저항(R2, R3)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2)는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형파의 파형 수에 기초하여 이너 워킹 코일(402)과 대응되는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 수를 '센싱값'으로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워킹 코일 주변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와 존재할 때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진 신호 및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에 의해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 공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공진 신호 변환 회로가 도 6에 도시된 공진 신호를 변환할 때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너 워킹 코일(402) 주변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기(2)에 의한 용기 감지 동작이 시작되면, 스위칭 소자(SWD)가 턴 온되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전류 공급에 의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는 자율 공진 현상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서 공진 신호 생성부(7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에 따라서 감쇠하는 공진 신호를 출력한다.
이너 워킹 코일(402) 주변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 회로의 임피던스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신호 생성부(702)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감쇠되다가 시간(T1)에 이르러 소멸된다.
도 6과 같은 공진 신호를 입력받은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의 비교기(CP)는 입력된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를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예컨대, 5V)와 비교한다. 이에 따라서 비교기(CP)는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 이상일 경우에만 제1 레벨(예컨대, 5V)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레벨(예컨대, 0V)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비교기(CP)의 출력 신호 출력에 따른 파형은 도 12와 같은 구형파로 나타나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1 용기 감지 동작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1)에 이를 때까지 총 16개의 구형파가 생성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할 때 공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공진 신호 변환 회로가 도 8에 도시된 공진 신호를 변환할 때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너 워킹 코일(402) 주변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1 용기 감지 동작이 시작되면, 스위칭 소자(SWD)가 턴 온되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전류가 공급된다. 이러한 전류 공급에 의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는 자율 공진 현상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서 공진 신호 생성 회로(5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에 따라서 감쇠하는 공진 신호를 출력한다.
이너 워킹 코일(402) 주변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커패시터(C11) 회로의 임피던스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신호 생성부(702)에 의해서 출력되는 공진 신호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감쇠되다가 시간(T2)에 이르러 소멸된다.
도 8과 같은 공진 신호를 입력받은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의 비교기(CP)는 입력된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를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예컨대, 5V)와 비교한다. 이에 따라서 비교기(CP)는 공진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신호의 전압 크기 이상일 경우에만 제1 레벨(예컨대, 5V)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레벨(예컨대, 0V)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비교기(CP)의 출력 신호 출력에 따른 파형은 도 9와 같은 구형파로 나타나게 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1 용기 감지 동작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2)에 이를 때까지 총 7개의 구형파가 생성된다.
결국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 영역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에 의해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 수, 즉 센싱값은 가열 영역에 사용 가능 용기가 존재할 경우에 공진 신호 변환 회로(524)에 의해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 수보다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기(2)는 제1 용기 감지 회로(52)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의 파형 수, 즉 센싱값에 기초하여 이너 워킹 코일(402)과 대응되는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용기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2)는 카운트된 구형파의 파형 수, 즉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이면 이너 워킹 코일(402)과 대응되는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면 이너 워킹 코일(402)과 대응되는 가열 영역에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용기 감지 회로(54)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제1 용기 감지 회로(5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2 용기 감지 회로(54)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법 또한 전술한 제1 용기 감지 회로(52) 및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서 제어기(2)는 이너 워킹 코일(402) 상부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어서 아우터 워킹 코일(404) 상부에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너 워킹 코일(402)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한다.
구동될 워킹 코일이 결정되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종류 및 앞서 결정된 요구 전력 값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2)는 요구 전력 값이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술한 용기 감지 수행 결과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로 결정되고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예컨대, 600W) 이하이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스위칭 신호들(S1, S2, S3, S4, S5, S6)이 출력되도록 구동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이고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4 스위칭 소자(SW4)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며, 제3 스위칭 소자(SW3), 제5 스위칭 소자(SW5), 제6 스위칭 소자(SW6)는 각각 턴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술한 용기 감지 수행 결과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로 결정되고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예컨대, 600W) 이하이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스위칭 신호들(S1, S2, S3, S4, S5, S6)이 출력되도록 구동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이고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일 때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5 스위칭 소자(SW5)는 제6 스위칭 소자(SW6)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4 스위칭 소자(SW4)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며, 제3 스위칭 소자(SW3)는 턴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술한 용기 감지 수행 결과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로 결정되고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예컨대, 600W)을 초과하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스위칭 신호들(S1, S2, S3, S4, S5, S6)이 출력되도록 구동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이고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3 스위칭 소자(SW3)는 제4 스위칭 소자(SW4)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서로 동일한 타이밍에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SW2) 및 제3 스위칭 소자(SW3)는 서로 동일한 타이밍에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5 스위칭 소자(SW5) 및 제6 스위칭 소자(SW6)는 턴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이고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인버터 회로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술한 용기 감지 수행 결과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로 결정되고 가열 영역(14)의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예컨대, 600W)을 초과하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스위칭 신호들(S1, S2, S3, S4, S5, S6)이 출력되도록 구동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이고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일 때 제1 스위칭 소자(SW1)는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3 스위칭 소자(SW3)는 제4 스위칭 소자(SW4)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5 스위칭 소자(SW5)는 제6 스위칭 소자(SW6)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SW1), 제4 스위칭 소자(SW4), 제5 스위칭 소자(SW5)는 서로 동일한 타이밍에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SW2), 제3 스위칭 소자(SW3), 제6 스위칭 소자(SW6)는 서로 동일한 타이밍에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용기 감지 회로를 통해서 수행되는 용기 감지를 통해서 용기의 크기가 감지되고,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결정된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거리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센서와 같은 물리적인 센서 없이 용기의 크기가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구동될 워킹 코일이 결정되므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과정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요구 전력 값에 따라서 2개의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각각 하프 브릿지 모드 또는 풀 브릿지 모드로 가변될 수 있다. 워킹 코일이 풀 브릿지 모드로 구동되면 하프 브릿지 모드에 비해서 워킹 코일의 최대 출력 전력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이 요구될 때에는 워킹 코일이 하프 브릿지 모드로 구동되고, 상대적으로 큰 출력이 요구될 때에는 워킹 코일이 풀 브릿지 모드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의 전력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2개의 워킹 코일을 각각 풀 브릿지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워킹 코일마다 4개의 스위칭 소자가 필요하므로, 총 8개의 스위칭 소자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스위칭 소자만을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를 통해서 2개의 워킹 코일을 풀 브릿지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소자의 수가 감소하므로 유도 가열 장치의 제조 비용 및 고장 가능성이 감소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의 제어기(2)는 조작 영역(130)을 통해서 입력되는 가열 영역(14)에 대한 파워 레벨을 입력받는다(1402).
파워 레벨이 입력되면 제어기(2)는 파워 레벨과 대응되는 가열 영역(14)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한다(1404).
이어서 제어기(2)는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한다(1406). 제어기(2)는 용기 감지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 중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한다(1408).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1406)는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너 워킹 코일(402)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1406)는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1406)는 이너 워킹 코일(402)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이너 워킹 코일(402) 및 아우터 워킹 코일(404)을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141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1410)는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1410)는 요구 전력 값이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동될 워킹 코일 및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기(2)는 구동될 워킹 코일 및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구동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서 구동 회로(22)로부터 인버터 회로(204)에 스위칭 신호가 공급된다. 구동 회로(22)는 구동될 워킹 코일 및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에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3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스위칭 신호를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너 워킹 코일;
    상기 이너 워킹 코일과 중심을 공유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워킹 코일;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며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
    각각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
    상기 구동 회로에 상기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열 영역에 대하여 설정되는 파워 레벨을 기초로 상기 가열 영역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고,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고,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고,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요구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제4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5 스위칭 소자 및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이 연결되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5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6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4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센싱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센싱 전류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공진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고, 상기 구형파의 수에 기초하여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가열 영역에 대한 파워 레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파워 레벨을 기초로 상기 가열 영역의 요구 전력 값을 결정하는 단계;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인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될 워킹 코일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할 때에도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을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전력 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전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력 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하프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 전력 값이 상기 기준 전력 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될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를 풀 브릿지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칭 소자 및 제4 스위칭 소자;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5 스위칭 소자 및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의 연결점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이 연결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하프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5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턴 온 상태로 유지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4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고,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의 구동 모드가 풀 브릿지 모드이면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6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4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와 서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및 아우터 워킹 코일을 이용하여 용기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너 워킹 코일 또는 상기 아우터 워킹 코일에 미리 정해진 진폭 및 크기를 갖는 센싱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전류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공진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형파의 수에 기초하여 용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019285A 2021-02-10 2021-02-10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1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85A KR20220115365A (ko) 2021-02-10 2021-02-10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17/667,963 US20220256657A1 (en) 2021-02-10 2022-02-09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2155946.1A EP4044769A1 (en) 2021-02-10 2022-02-09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285A KR20220115365A (ko) 2021-02-10 2021-02-10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65A true KR20220115365A (ko) 2022-08-17

Family

ID=8044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285A KR20220115365A (ko) 2021-02-10 2021-02-10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56657A1 (ko)
EP (1) EP4044769A1 (ko)
KR (1) KR20220115365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2525B2 (ja) * 2005-07-01 2010-07-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11324079B2 (en) * 2017-03-24 2022-05-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cooker
JP7154321B2 (ja) * 2019-02-15 202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4769A1 (en) 2022-08-17
US20220256657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389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EP3618568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US20090139986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00560B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CN107272479B (zh) 基于超声波的触摸感测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烹饪设备和家用电器
KR20210123708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15365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EP4037433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20210105871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EP4044770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EP4044768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20210120660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EP4033858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027756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75639B1 (ko) 가열 장치 및 이의 출력 제어 방법
EP4048026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117165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US20220256659A1 (en) Induction cooking hob including three induction coils
KR20220105601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14906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90005142U (ko) 유도가열 조리기
KR20220128885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59126A (ko) 유도 가열 장치
WO2023211910A1 (en) Induction cooking hob including three induction c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