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197A -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197A
KR20220115197A KR1020210018873A KR20210018873A KR20220115197A KR 20220115197 A KR20220115197 A KR 20220115197A KR 1020210018873 A KR1020210018873 A KR 1020210018873A KR 20210018873 A KR20210018873 A KR 20210018873A KR 20220115197 A KR20220115197 A KR 20220115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s content
information
user
news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634B1 (ko
Inventor
이동희
이미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픤디
주식회사 ?g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픤디, 주식회사 ?g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픤디
Priority to KR102021001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별 금융 정보 및 경제/금융 뉴스 컨텐츠의 구동 정보를 토대로, 언론사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 별 지적 관심사가 반영된 최적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개인 별로 최적화 된 금융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NEWS CONTENT USING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 별 금융 정보 및 경제/금융 뉴스 컨텐츠의 구동 정보를 토대로, 언론사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 별 지적 관심사가 반영된 최적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개인 별로 최적화 된 금융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뉴스 제공 플랫폼은 언론사 별로 서로 다른 기사를 제공하고 있고, 각 카테고리 별(예를 들어, 경제, 사회, 스포츠 등)로 기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정 기준(예를 들어, 댓글 많은 순, 조회순 등)에 따라 순위에 따른 기사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구독한 특정 언론사에 대한 기사에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제한된 카테고리나 편향된 논조의 기사만을 접하게 되고, 본인의 세분화된 관심사 별 기사를 접하는 것이 아닌,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정해진 기사만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기사들이 흥미 위주의 연예/스포츠 기사를 노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 정보와 같이 개인 별로 정작 필요한 지적정보를 얻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언론사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에게 필요한 지적정보에 대응하는 최적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961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개인 별 금융 정보 및 경제/금융 뉴스 컨텐츠의 구동 정보를 토대로, 언론사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 별 지적 관심사가 반영된 최적의 맞춤형 뉴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개인 별로 최적화 된 금융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뉴스 컨텐츠 분류부, 금융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기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각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금융 정보 및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관심 키워드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관심 키워드를 토대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뉴스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는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는 각 사용자 별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직업 정보, 거주지 정보, 여수신 정보, 보험 정보, 카드 정보, 금융투자 정보 및 전자금융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 중에서,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작성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조회 빈도, 뉴스 페이지 체류 시간을 토대로 관심 기자를 추출한 후,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기자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되, 기 제공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조회 및 분석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 및 비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 후, 분류된 뉴스 컨텐츠를 상기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를 선별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은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를 통해, 금융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기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각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관심 키워드 추출부를 통해, 상기 금융 정보 및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뉴스 컨텐츠 제공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관심 키워드를 토대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에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 중에서,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작성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조회 빈도, 뉴스 페이지 체류 시간을 토대로 관심 기자를 추출한 후,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기자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에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되, 기 제공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조회 및 분석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 및 비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 후, 분류된 뉴스 컨텐츠를 상기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를 선별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 별 금융 정보 및 경제/금융 뉴스 컨텐츠의 구동 정보를 토대로, 각 개인 별로 최적화 된 금융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언론사에 구애받지 않고 전체 언론사의 모든 뉴스 컨텐츠를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에 맞게 분류하기 때문에 습득되는 정보들이 편향되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분별한 흥미 위주의 연예/스포츠 뉴스 컨텐츠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관심있는 지적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양질의 정보 습득이 이루질 수 있으며, 고객의 실제 금융 정보를 기반으로 뉴스 컨텐츠를 선별하기 때문에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금융 관련 뉴스(예를 들어, 주식 동향, 부동산 정책, 예적금 정보, 조세 정보, 정부지원 정책 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이를 저장(아카이빙)하여 추후에 확인할 수도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맞춤형 뉴스 컨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되는 맞춤형 뉴스 컨텐츠 중에서 키워드 별로 분류 및 제공된 뉴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되는 맞춤형 뉴스 컨텐츠 중에서 기자 별로 분류 및 제공된 뉴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크게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 정보 수집부(120),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 및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는 하나 이상의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뉴스 제공 서버는 각 언론사 별로 존재하는데, 기존의 언론매체 전달방식의 경우 선호하는 언론사 위주의 구독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지만, 언론사 별 편향된 논조의 기사만을 지속적으로 접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접속(연결) 가능한 모든 언론사 별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한 후 이를 분류하게 된다.
예를 들어, A, B, C, D의 각 언론사 별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예를 들어, 사회, 정치, 경제, 국제, IT 등)에 따른 모든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한 후 이를 다시 키워드 별로 분류하게 된다.
이때,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는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는 전체 뉴스 서버를 대상으로 키워드 별 뉴스 컨텐츠를 수집하되,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신에게 노출되기 원하는 키워드를 직접 선택하거나 혹은 수정,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는 사용자 계정 별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정, 편집된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전체 언론사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편향되지 않고 중립적인 정보 습득이 가능하다는 이점과, 그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만을 습득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정보 수집부(120)는 각 금융 서버로부터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각 언론사 별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금융 정보라 함은 사용자 별로 거래하는 금융사의 금융 서버와 연계된 기본정보(예를 들어, 연령, 성별, 직업, 거주지 등), 여수신 정보(예를 들어, 계좌 정보, 투자상품 정보, 대출 정보), 보험 정보(예를 들어, 개인보험 정보, 자동차보험 정보, 보험대출 정보), 카드 정보(예를 들어, 카드 기본 정보, 포인트 정보, 기간 별 카드이용 정보, 카드대출 정보), 금융투자 정보(예를 들어, 투자 계좌 정보, 거래 정보, 상품 정보), 전자금융 정보(예를 들어, 선불발행 정보, 거래 정보) 등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각 언론사 별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사용자 별 계정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뉴스 컨텐츠 구독 데이터로써, 예를 들어 많이 읽은 뉴스의 키워드(뉴스 태그, 많이 쓰인 단어, 기사 카테고리 포함), 많이 읽은 뉴스의 언론사, 많이 읽은 뉴스의 기자, 많이 읽은 뉴스의 논조(정부 우호적인지, 정부 비판적인지 등) 등을 모두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렇게 수집된 사용자 별 금융 정보 및 계정 정보는 후술되는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 및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에서 이용될 수 있다.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는 앞서 추출된 금융 정보 및 계정 정보를 통해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증권 계좌를 보유하고 있고 B 주식을 구매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A 증권' 및 'B 주식'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보유한 'B 주식'의 산업이 IT 관련 분야(혹은 바이오 관련 분야)에 관한 주식일 경우,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는 해당 분야와 관련된 주식 뉴스 컨텐츠를 검색하여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택 청약저축 계좌를 보유하고 있고, 무주택자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부동산 정책', '청약',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만약 해당 사용자의 거주지가 예를 들어 '서울시 동대문구'일 경우,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대한 아파트 청약 관련 정보 및 이를 포함하는 뉴스 컨텐츠를 검색하여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5천만원 이상의 대출이 있는 자영업자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소상공인 지원 정부 정책', '소상공인용 저금리 대출'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년 이상된 노후 차량을 보유중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신차', '차량구매 세제혜택'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적금 만기가 2달남은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재테크', '예적금 특판'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로나 19 관련 뉴스를 주로 접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코로나 19', '코로나 19 감염 증상'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전달함으로써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로 하여금 해당 관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뉴스 컨텐츠를 분류 및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는 수집하는 뉴스 컨텐츠 중 최근에 이슈되고 있는 키워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금융 정보(예를 들어, 계좌나 주식 보유 정보 등)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에게 관련된 경제 뉴스 컨텐츠의 확인, 구독이 필요하다는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별도의 푸시 메시지 혹은 알람 등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이나 제조업 관련 주식의 경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등의 안내가 될 수 있고, '코로나 19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이오 주식이나 IT 주식을 예의주시 하라', 혹은 '달러나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하라' 등의 안내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예들은 사용자의 금융 정보, 계정 정보를 바탕으로 한 예시들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는 얼마든지 다양한 상황에 따른 관심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앞서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를 통해 추출된 관심 키워드를 바탕으로,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를 통해 수집된 뉴스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에서 언급한 각 상황들을 예로 들어보면,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A 증권' 및 'B 주식'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증권 뉴스 컨텐츠 혹은 주식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부동산 정책', '청약', '주택담보대출'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정부 부동산정책 관련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소상공인 지원 정부 정책', '소상공인용 저금리 대출'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정부 지원정책 관련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신차', '차량구매 세제혜택'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차량 관련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재테크', '예적금 특판'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재테크 관련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가 '코로나 19', '코로나 19 감염 증상'인 경우, 해당 관심 키워드와 관련된 의료 관련 뉴스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앞서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조회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조회 빈도 및 해당 뉴스 컨텐츠 페이지의 체류 시간을 토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혹은 관심이 있는 관심 기자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해당 관심 기자가 작성한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조회한 뉴스 컨텐츠 중에서 특히 가장 최신의 기간(예를 들어, 1주일 혹은 3일 내)에 작성된 뉴스 컨텐츠를 기준으로 관심 기자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신의 뉴스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과거에 조회한 뉴스 컨텐츠 보다 최근에 조회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우선순위를 더 높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점은, 가장 최근에 조회한 뉴스 컨텐츠일수록 해당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것이고, 최근에서 멀어질수록 해당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과거에 자주 봤던 뉴스 컨텐츠를 최근에는 보지 않는다고 할 경우,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해당 뉴스 컨텐츠가 해당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만약 특정 기자가 작성한 특정 카테고리(예를 들어, IT 등)에 대한 뉴스 컨텐츠를 자주 보았을 경우, 해당 특정 카테고리를 전문으로 하는 IT 기자를 검색한 후 해당 IT 기자를 관심 기자 리스트에 추가시키고, 해당 IT 기자가 작성하는 뉴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앞서 제공되었던 다수의 뉴스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내린 평가 정보(예를 들어, 좋아요/별로에요 등)를 조회 및 분석함으로써, 각 사용자가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와 비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를 통해 분류된 뉴스 컨텐츠들을 재분류한 후 사용자 단말에 제공 및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조회한 뉴스 컨텐츠, 해당 뉴스 컨텐츠의 조회 빈도, 체류 시간, 관심 기자, 평가 정보, 해당 사용자의 금융 정보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될 뉴스 컨텐츠의 추천 방식을 고도화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2를 통해 이러한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개인 별 맞춤형 뉴스 컨텐츠의 제공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맞춤형 뉴스 컨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먼저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에서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한다(S201). 이 과정에서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는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보 수집부(120)에서는 금융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기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각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S202).
다음으로, 관심 키워드 추출부(130)에서는 앞서 수집된 금융 정보 및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게 되고(S203), 추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뉴스 컨텐츠 제공부(140)에서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상에 노출되도록 한다(S204).
한편, 사용자 단말 상에 노출되는 화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되는 맞춤형 뉴스 컨텐츠 중에서 키워드 별로 분류 및 제공된 뉴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되는 맞춤형 뉴스 컨텐츠 중에서 기자 별로 분류 및 제공된 뉴스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함께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측에는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에 따라 선별된 카테고리(경제, IT, 투자)가 출력되며, 이때 '+'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관심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고 이는 뉴스 컨텐츠 분류부(110)에 반영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는, 제공된 뉴스 컨텐츠를 키워드 기준으로 볼 것인지, 기자 별로 볼 것인지, 언론사 별로 볼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선택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별로 보기' 영역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들과 함께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들이 하측으로 리스트로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고, '기자 별로 보기' 영역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의 관심 기자가 작성한 뉴스 컨텐츠들이 하측으로 리스트로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0: 뉴스 컨텐츠 분류부
120: 정보 수집부
130: 관심 키워드 추출부
140: 뉴스 컨텐츠 제공부

Claims (10)

  1.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뉴스 컨텐츠 분류부;
    금융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기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각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금융 정보 및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관심 키워드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관심 키워드를 토대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뉴스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는,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는,
    각 사용자 별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직업 정보, 거주지 정보, 여수신 정보, 보험 정보, 카드 정보, 금융투자 정보 및 전자금융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 중에서,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에 대한 조회 빈도, 뉴스 페이지 체류 시간을 토대로 관심 기자를 추출하되,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를 작성 시간 별로 분류하여 작성 시간이 가장 최신 시간에 해당하는 뉴스 컨텐츠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 내에 해당하는 뉴스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관심 기자를 추출하고,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기자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는,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되, 기 제공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조회 및 분석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 및 비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 후, 분류된 뉴스 컨텐츠를 상기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를 선별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를 통해, 금융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기 뉴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각 사용자 별 계정 정보로부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관심 키워드 추출부를 통해, 상기 금융 정보 및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 별 관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뉴스 컨텐츠 제공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관심 키워드를 토대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전체 뉴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를 통합하여 수집하되 각 사용자 별로 수집을 위한 키워드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선택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전체 뉴스 컨텐츠를 수집 및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각 사용자 별 금융 정보는,
    각 사용자 별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직업 정보, 거주지 정보, 여수신 정보, 보험 정보, 카드 정보, 금융투자 정보 및 전자금융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에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뉴스 컨텐츠 구독 정보 중에 대한 조회 빈도, 뉴스 페이지 체류 시간을 토대로 관심 기자를 추출하되, 사용자 별 뉴스 컨텐츠를 작성 시간 별로 분류하여 작성 시간이 가장 최신 시간에 해당하는 뉴스 컨텐츠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간 내에 해당하는 뉴스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관심 기자를 추출한 후, 상기 뉴스 컨텐츠 분류부를 통해 제공되는 키워드 별 전체 뉴스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심 기자에 상응하는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컨텐츠 제공부에서, 각 사용자 별로 제공될 뉴스 컨텐츠를 분류하되, 기 제공된 뉴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조회 및 분석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 및 비선호하는 뉴스 컨텐츠에 대한 기준을 설정한 후, 분류된 뉴스 컨텐츠를 상기 기준에 따라 재분류하여 각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뉴스 컨텐츠를 선별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18873A 2021-02-10 2021-02-10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48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73A KR102489634B1 (ko) 2021-02-10 2021-02-10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73A KR102489634B1 (ko) 2021-02-10 2021-02-10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97A true KR20220115197A (ko) 2022-08-17
KR102489634B1 KR102489634B1 (ko) 2023-01-18

Family

ID=8311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873A KR102489634B1 (ko) 2021-02-10 2021-02-10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233A (ko) * 2011-12-01 2013-06-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화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뉴스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101869618B1 (ko) 2016-12-29 2018-06-20 (주) 쓰리웨어 맞춤형 뉴스컨텐츠 제공시스템
KR20190109628A (ko) * 2018-02-27 2019-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된 기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26563A (ko) * 2018-05-02 2019-11-12 권용훈 Sns 서버, 이를 이용한 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1171A (ko) * 2018-11-05 2020-05-13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의 sns 활동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 뉴스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233A (ko) * 2011-12-01 2013-06-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화된 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뉴스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101869618B1 (ko) 2016-12-29 2018-06-20 (주) 쓰리웨어 맞춤형 뉴스컨텐츠 제공시스템
KR20190109628A (ko) * 2018-02-27 2019-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된 기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26563A (ko) * 2018-05-02 2019-11-12 권용훈 Sns 서버, 이를 이용한 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1171A (ko) * 2018-11-05 2020-05-13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의 sns 활동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 뉴스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34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1973C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standardiz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for target marketing
US9928522B2 (en) Audience matching network with performance factoring and revenue allocation
US84127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US7716228B2 (en) Content qualit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020184107A1 (en) Merchandise management method, merchandise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US20070192279A1 (en) Advertising in a Database of Documents
CN101359393A (zh) 用于交易的自动识别和分类的方法和系统
KR102089666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판매자 신용 등급 자동집계 및 평가 방법 및 ai 자동 분류 서버
Yan et al. How does the adoption of ad blockers affect news consumption?
Forcht et al. Using data mining and datawarehousing techniques
Shabankareh et al. A stacking-based data mining solution to customer churn prediction
KR20220083183A (ko) 개인화 기반 사업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한 입찰 전략 수립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8614A (ko) 인플루언서 마케팅 서비스 방법
Mastrogiacomo et al. Enabling factors of manufacturing servitization: Empirical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strategic positioning
WO2010087882A1 (en) Personalization engine for building a user profile
KR101813003B1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89634B1 (ko) 개인 별 금융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뉴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14925261A (zh) 关键词确定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JPH0934873A (ja) 顧客分類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Ban et al. A Probe Survey of Bitcoin Transactions Through Analysis of Advertising in an On-Line Discussion
US20210256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validating customized investment portfolios
KR20090106375A (ko) 상품 콘텐츠 제공 방법과 상품을 위한 기여도에 따라 발생된 가치를 배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77762A (ko)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0513A (ko)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