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102A -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102A
KR20220115102A KR1020227024996A KR20227024996A KR20220115102A KR 20220115102 A KR20220115102 A KR 20220115102A KR 1020227024996 A KR1020227024996 A KR 1020227024996A KR 20227024996 A KR20227024996 A KR 20227024996A KR 20220115102 A KR20220115102 A KR 2022011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interface
target appl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루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5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포함되거나,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6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364993.X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전자 기기의 기능이 점점 풍부해지고, 서로 다른 전자 기기 간의 기능 공유에 대한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그 일반적인 공유 요구의 예로는 애플리케이션 공유이다.
현재, 전자 기기 간의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파일을 공유하는 것이다. 수신단은 소스 파일을 수신받은 후 장착해서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에서, 먼저 전자 기기에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파일을 찾아내고 수신단으로 공유해야 하는데, 통상 소스 파일의 크기가 크므로, 이를 수신단으로 공유할 때 전송 시간이 길고, 공유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에서 기기 이용률이 떨어지는 기존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ID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는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제5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전자 기기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는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유 과정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애플리케이션 ID일 수 있고, 또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일 수도 있는데, 즉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정한 후, 소스 파일의 전송 없이 이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기만 하면 됨으로써,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속도를 향상시키고, 공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들을 통해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5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6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7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8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9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도 10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모식도 1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백하며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 노력을 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획득한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된다.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애플리케이션 공유하는 과정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후, 제1 전자 기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인터페이스의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102):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이다. 사용자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있으면,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한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면 되고, 즉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없으면,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해본 적이 없는 것을 의미하며, 제1 인터페이스에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하고, 즉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 전자 기기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103):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다.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기 전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데, 즉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먼저 프론트엔드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기기가 가상 스크린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가상 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녹화하고,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여전히 제1 전자 기기에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에서, 제1 전자 기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제1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며, 제2 전자 기기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유 과정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공유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애플리케이션 ID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일 수 있는데, 즉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정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면 되고, 소스 파일을 전송할 필요가 없어,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속도를 향상시켜, 공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유 과정에서, 제1 전자 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면 되고, 다른 전자 기기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사용자가 여전히 제1 전자 기기에서 다른 작업,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작업 및 다른 기능 작업 등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에서의 작업은 목표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 제1 전자 기기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는 모두 휴대폰, 태블릿(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기 전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제1 전자 기기가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작동되지 않고, 이와 같이, 제1 전자 기기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먼저 작동해야 하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한 후,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를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입력창에 입력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1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고, 제1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력창을 통해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없으면, 사용자가 제1 입력창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애플리케이션 ID 수량이 많아, 사용자가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이때 제1 입력창에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 즉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여, 추후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만 있고, 나머지의 ID를 숨기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찾고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2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와 이미 연결됐던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단계; 및 제2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의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 전자 기기가 제1 입력을 수신받은 경우에만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 제2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 대해 제2 입력을 하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가 표시된 제2 인터페이스에 먼저 들어가고, 이번에는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서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선택하고,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에 들어가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 중 기기 ID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전자 기기와 관련된 제1 인터페이스에 들어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단계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한 제1 조작을 수신하며,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 중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해 제1 조작을 할 수 있는데, 즉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고,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제1 입력창에 입력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고,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1 애플리케이션 ID는 이미 숨기고, 표시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해 제1 조작을 하며, 제1 조작에 응답하여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3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는 단계;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제3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인 단계; 및 제2 전자 기기가 공유 요청에 따라 송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수신단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받으며,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이번 제2 전자 기기로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제2 인터페이스에 이번 제2 전자 기기로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할 수 있어, 이번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제1 전자 기기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기재되어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고, 제1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에서 수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기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를 제외한 임의의 전자 기기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번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있으면, 사용자가 제3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즉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면 되며,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없으면, 제3 인터페이스에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 즉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는 주동적으로 제2 전자 기기로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요청하고, 제2 전자 기기가 공유 요청을 받은 경우에 피동적으로 공유한다. 공유 요청은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분기 요청이며, 즉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를 요청한다.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받은 후,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1 전자 기기로 공유한다. 이와 같이,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가 공유 요청에 따라 송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표시한다. 즉 제1 전자 기기가 수신받은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는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가 송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수신받은 후, 공유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전자 기기로 공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터페이스에 제2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2 입력창에 입력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는 단계; 제3 인터페이스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2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며,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단계; 및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2 입력창을 통해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고,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여,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지 않으면, 즉 사용자가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없으면, 사용자가 제2 입력창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여,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애플리케이션 ID 수량이 많아, 사용자가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이때 제2 입력창에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 즉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하고, 추후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만 표시하며, 나머지의 ID를 숨기고, 이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찾으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 전자 기기가 제3 입력을 수신받은 경우에만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며, 제2 인터페이스는 제1 입력을 수신받은 경우에만 표시되고, 제1 인터페이스는 제2 입력을 수신받은 경우에 표시되며, 이와 같이, 제3 인터페이스는 제1 인터페이스와 따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전에, 또는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알림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은 제1 알림창에 대한 제1 입력이고, 제2 입력은 제1 알림창에 대한 제2 입력이다.
제1 알림창에 제1 입력을 하면, 제1 전자 기기가 공유단이며, 즉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고,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2 인터페이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 중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선택하여, 제1 인터페이스에 들어가고, 제1 인터페이스에서의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선택하며, 또는 제1 인터페이스에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알림창에 제3 입력을 하면, 제1 전자 기기가 수신단이고, 즉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받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요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3 인터페이스에서의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선택하고, 또는 제3 인터페이스에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해 제4 입력을 할 수 있는데, 즉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택하고,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입력창에 입력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며, 제3 인터페이스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이미 숨기며, 표시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해 제4 입력을 하고,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자 기기를 기기(A)로 하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1)으로 하고, 제2 전자 기기를 기기(B)로 하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a1)으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전자 기기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에 대응되고, 전자 기기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 ID를 상기 전자 기기의 기기 ID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은 계정(A)일 수 있으며, 제2 전자 기기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은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1)일 수 있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에 계정명(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 ID로 할 수 있음),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식별 코드(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주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은 전자 기기를 수신단으로 수신받은 애플리케이션의 ID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자주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입구를 클릭하여 들어갈 수 있음) 및 이미 매칭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 리스트(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은 전자 기기를 공유단으로 기기(A)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한 계정이고, 일대다일 수 있는데, 즉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이 전자 기기에서 기기(A)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이미 매칭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계정 리스트 입구를 클릭하여 들어갈 수 있음)가 포함될 수 있다. 자주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기기(A)가 수신단으로 다른 기기에서 수신받은 애플리케이션의 ID가 포함된다.
먼저, 기기(A)와 기기(B)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스위치를 켜고, 근처의 전자 기기를 검색한다. 기기(A)는 기기(B)와 연결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기기(A)와 기기(B)는 팝업(즉 제1 알림창)을 띄우며 해당 전자 기기가 공유 전자 기기로 할지 여부를 문의한다. 기기(A)에서 예로 선택하면, 기기(A)는 공유단으로 하고, 기기(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로 넘어간다. 그 다음에, 도 4에서 기기(B)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정 ID를 선택하며, 제1 인터페이스에 들어가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를 포함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즉 기기(A)가 이미 기기(B)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을 공유하려면, 애플리케이션(1)을 클릭하면 된다.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없으면, 제1 인터페이스에서 작업할 수 있고, 제1 입력창을 호출하며, 즉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입력창을 표시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창에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기기(A)가 공유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없으면, 이에 대해 공유한 후, 기기(B)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기재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추가할 수 있다.
도 5에서 아니오로 선택하면, 기기(A)는 수신단으로 하고, 기기(A)는 제3 인터페이스로 넘어가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를 포함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즉 도면에 나타낸 자주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a1)을 공유하려면, 애플리케이션(a1)을 클릭하면 되고, 그 다음에 기기(B)로 애플리케이션(a1)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한다.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가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없으면, 제2 인터페이스에서 작업할 수 있으며, 제2 입력창을 호출하고, 즉 제2 인터페이스에 제2 입력창을 표시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창에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기기(A)가 공유 요청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없으면, 이에 대해 공유 요청하여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 공유에 대한 수신을 구현한 후, 기기(A)의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추가할 수 있다.
기기(A)는 선착순으로 공유할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즉 제1 인터페이스) 및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즉 제3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고, 취소를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 공유 작업을 중지하며, 확인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 공유 작업을 실행한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기 전에, 인터페이스 상단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공유하거나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또는 입력창에 공유하거나 공유 요청할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입력한다. 확인 버튼을 클릭한 후, 기기(A)와 기기(B)는 블루투스, wifi, 근거리 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공유하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또한,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는 공유 횟수가 적어지는 순서로 정렬한 리스트이고,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공유 요청 횟수가 적어지는 순서로 정렬한 리스트이며, 이와 같이, 공유 횟수가 많고 공유 요청 횟수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 중의 제3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삭제할 수도 있으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예컨대 애플리케이션(1))의 표시 위치를 길게 눌러, 삭제 알림창을 띄우고, 예로 선택하면, 삭제하며, 제3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삭제하고, 아니오로 선택하면, 삭제하는 것을 취소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는 제3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표시 위치에 슬라이딩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을 호출하고, 삭제 버튼에 대해 작업하며, 예를 들어 클릭하면, 제3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삭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 중 애플리케이션 ID의 수량을 수시로 조정하여, 수량이 많은 경우에 사용자가 찾기가 어려운 경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201);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인 ID 획득 모듈(1202); 및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기 위한 공유 모듈(1203);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기기(1200)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ID 획득 모듈은 제1 입력창에 입력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전자 기기는
ID 획득 모듈이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1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고, 제1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숨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 수신 모듈;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2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와 이미 연결됐던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 및
제2 인터페이스에서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의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3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제3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인 요청 송신 모듈; 및
제2 전자 기기가 공유 요청에 따라 송신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터페이스에 제2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요청 송신 모듈은
제2 입력창에 입력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기 위한 ID 수신 모듈;
제3 인터페이스에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2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며,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2 숨김 모듈; 및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공유 요청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제2 전자 기기에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기술적 특징과 대응되고, 전자 기기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전자 기기(1300)는 RF 유닛(1301), 네트워크 모듈(1302), 음성 출력 유닛(1303), 입력 유닛(1304), 센서(1305), 디스플레이 유닛(1306), 사용자 입력 유닛(1307), 인터페이스 유닛(1308), 메모리(1309), 프로세서(1310), 및 전원(1311) 등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자 기기가 도 13에 나타낸 전자 기기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부재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일부 부재를 조합하거나 부재를 다르게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팜톱 컴퓨터, 차량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및 만보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유닛(1306)은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인터페이스에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며; 프로세서(1310)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RF 유닛(1301)은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이다.
공유하는 과정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1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며, 제2 전자 기기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유 과정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공유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애플리케이션 ID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ID일 수 있고, 즉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선정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제2 전자 기기로 송신하면 되며, 소스 파일을 전송할 필요가 없어,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의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속도를 향상시켜, 공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 유닛(1301)은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 또는 통화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프로세서(1310)를 통해 처리하고;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RF 유닛(13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결합기, 저잡음 증폭기, 다이플렉서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RF 유닛(130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모듈(1302)을 통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메일을 발수신하며, 웹 서핑하고, 스트림 미디어에 접속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음성 출력 유닛(1303)은 RF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이 수신받거나 메모리(1309)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전환하며 소리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출력 유닛(1303)은 전자 기기(500)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소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소리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음성 출력 유닛(13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304)은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3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3041)와 마이크(13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장치(13041)는 영상 포착 모드 또는 화상 포착 모드에서 화상 포착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영상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13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장치(1304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309)(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RF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13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RF 유닛(1301)에 의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되며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6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5)를 더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광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는 환경 광센서 및 접근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경 광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접근 감지 센서는 전자 기기(600)가 귓가에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3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소등시킬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하나로서,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 방향)의 가속도 크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정지 시에는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자세(예컨대 스크린 방향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컨대 만보계, 두드림)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센서(13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3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306)은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입력하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며,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터치 패널(13071) 및 다른 입력 기기(13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는데, 그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그 근처의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3071) 또는 터치 패널(13071) 근처에서 수행한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한 후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며, 이 터치 정보를 접촉점 좌표로 전환한 후 프로세서(1310)로 보내고, 프로세서(1310)가 송신한 명령을 수신받으며 실행한다. 또한, 저항형 터치 패널,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적외선 터치 패널 및 표면 탄성파 터치 패널 등 다양한 터치 패널(13071)을 채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터치 패널(13071) 외에 다른 입력 기기(13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기기(13072)는 구체적으로 물리 키보드, 기능 버튼(예컨대,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액션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나아가, 터치 패널(13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3061)에 커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이 그에 대한 터치 조작 또는 그 근처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게 되면, 프로세서(13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인하며, 프로세서(13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에서 해당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3에서, 터치 패널(13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은 독립적인 두개의 부재로서 전자 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3071)과 디스플레이 패널(13061)을 집적화하여 전자 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전자 기기와 전자 기기(500)를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 음성 입력/출력(I/O) 포트, 영상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기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받은 입력을 전자 기기(5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소자로 전송할 수 있거나, 전자 기기(500)와 외부 전자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3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화상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한 데이터(예컨대, 음성 데이터, 연락처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저장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고체 저장장치이다.
프로세서(1310)는 전자 기기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통해 전자 기기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3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수행하며, 메모리(13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자 기기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31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3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310)와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 기기(500)는 각 부재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원(1311; 예컨대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3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310)와 로직 연결되고,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600)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는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1310) 및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309)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포괄” 등 용어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전자 기기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하지 않은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전자 기기의 고유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별도의 제한이 없는 한, 문구 “하나의 …를 포함”으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체 또는 전자 기기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소프트웨어 및 필수의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많은 경우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인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디스크, 광디스크)에 저장되며, 전자 기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다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는데, 설명의 간편을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의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조합에 대해 설명을 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이 모순되지 않은 한, 모두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범위로 간주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제1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는 제1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창에 입력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에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1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이미 연결됐던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는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가 포함되거나,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송신한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는 제2 입력창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창에 입력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2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는 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제1 애플리케이션 ID 리스트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하는 ID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하는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는 제1 입력창이 더 포함되고;
    상기 ID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입력창에 입력한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ID 획득 모듈이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1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는 제1 숨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공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상기 제1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1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 수신 모듈;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와 이미 연결됐던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자 기기의 기기 ID는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의 기기 ID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전자 기기와 이번 연결되기 전에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에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입력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요청 송신 모듈;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송신한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1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는 제2 입력창이 더 포함되고;
    상기 요청 송신 모듈은,
    상기 제2 입력창에 입력한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수신하기 위한 ID 수신 모듈;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제2 애플리케이션 ID를 숨기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ID는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이미 공유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ID 중의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를 제외한 애플리케이션 ID인 제2 숨김 모듈; 및
    상기 제2 전자 기기로 상기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유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공유 요청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전자 기기.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전자 기기.
KR1020227024996A 2019-12-26 2020-12-25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20115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64993.X 2019-12-26
CN201911364993.XA CN111163449B (zh) 2019-12-26 2019-12-26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20/139195 WO2021129771A1 (zh) 2019-12-26 2020-12-25 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02A true KR20220115102A (ko) 2022-08-17

Family

ID=7055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96A KR20220115102A (ko) 2019-12-26 2020-12-25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8076A1 (ko)
EP (1) EP4084511A4 (ko)
JP (1) JP7324949B2 (ko)
KR (1) KR20220115102A (ko)
CN (1) CN111163449B (ko)
WO (1) WO2021129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3449B (zh) * 2019-12-26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4837B (zh) * 2020-05-25 2021-10-29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跨应用的数据调用方法及电子设备
CN115038042B (zh) * 2021-10-22 2023-04-14 荣耀终端有限公司 无线连接方法、电子设备及图形界面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3593T2 (de) * 1994-06-17 2002-09-26 Intel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teilung der anwendung in einer graph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S8346847B2 (en) 2009-06-03 2013-01-01 Apple Inc. Installing applications based on a seed application from a separate device
CA2780064A1 (en) *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shar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US9503683B2 (en) * 2012-03-27 2016-11-22 Google Inc. Providing users access to applications during video communications
US8887044B1 (en) * 2012-06-27 2014-11-11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ly distinguishing portions of content
US10200464B2 (en) * 2012-10-02 2019-02-05 Razer (Asia-Pacific) Pte. Ltd. In-app application casting
JP6097679B2 (ja) * 2013-02-28 2017-03-15 エルジー ア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KR102107404B1 (ko) * 2013-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39343B2 (en) * 2014-08-29 2017-05-02 Nxp Usa, Inc. Method for altering execution of a program, debugg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4850463B (zh) * 2015-06-08 2019-11-1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应用程序共享方法及装置
WO2016200018A1 (en) * 2015-06-08 2016-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CN106227567A (zh) * 2016-07-27 2016-12-14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分享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073679A1 (en) * 2018-08-28 2020-03-05 Ca, Inc. Objectively measuring and changing visual aesthetic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n application
US10852915B1 (en) * 2019-05-06 2020-12-0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nt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CN111163449B (zh) * 2019-12-26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63449A (zh) 2020-05-15
CN111163449B (zh) 2021-10-12
US20220318076A1 (en) 2022-10-06
EP4084511A4 (en) 2023-01-25
EP4084511A1 (en) 2022-11-02
WO2021129771A1 (zh) 2021-07-01
JP7324949B2 (ja) 2023-08-10
JP2023508185A (ja)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49979B (zh)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71606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first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129762A1 (zh) 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300302A1 (en) Applic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837327B (zh) 一种消息查看方法及终端
KR20220115102A (ko)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제1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19120192A1 (zh) 文本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09451141B (zh) 一种操作控制方法及相关终端
WO2020220893A1 (zh) 截图方法及移动终端
CN109710130B (zh) 一种显示方法和终端
US20210320995A1 (en) Conversation crea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1115220A1 (zh) 信息共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24706A (zh) 一种应用程序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0941469B (zh) 一种应用分身的创建方法及其终端设备
CN111061404A (zh) 一种控制方法及第一电子设备
WO2020199764A1 (zh) 发送图像的方法及终端设备
CN111061446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8366106B (zh) 通信信息的更新方法、管理方法、修改方法和相关设备
KR2021003466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단말
WO2021031844A1 (zh) 图标显示方法及终端
CN111130995B (zh) 图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026482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178306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928616A (zh) 快捷图标管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142998A (zh) 后台应用的分享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