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712A -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712A
KR20220114712A KR1020210018044A KR20210018044A KR20220114712A KR 20220114712 A KR20220114712 A KR 20220114712A KR 1020210018044 A KR1020210018044 A KR 1020210018044A KR 20210018044 A KR20210018044 A KR 20210018044A KR 20220114712 A KR20220114712 A KR 2022011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
combustion gas
fly ash
discharged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엽
원남희
Original Assignee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강대엽
원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강대엽, 원남희 filed Critical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712A/ko
Publication of KR2022011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30Incineration a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소각로의 바닥재를 저장하는 바닥재 저장장치(10)와; 소각로의 비산재를 저장하는 비산재 저장장치(20)와; 바닥재 저장장치(10)로부터 바닥재를 공급받아 기준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순물 선별기(30)와; 분순물 선별기(30)를 통과한 바닥재를 제공받아 기준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40)와; 파쇄기(40)에서 배출된 바닥재를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키는 1차 건조기(50)와;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기(60)와;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키는 2차 건조기(70)와; 내부에 가열되면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하고 있으며 2차 건조기(70)에서 유입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제공받아 원적외선으로 처리하는 원적외선 소성장치(80)와;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처리된 바닥재와 비산재의 혼합물을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저장장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Bottom ash and fly ash recycling treatment system of incinerator}
본 발명은 바닥재, 비산재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각로에서 폐기물 소각 후 발생하는 최종 부산물인 바닥재는 바닥에 남아있는 바닥재와 폐가스와 함께 배츨되는 비산재로 구성되는데, 바닥재는 소각되지 않은 철분, 콘크리트 덩어리 등이 포함되어 있고, 비산재는 중금속 성분들과 함께 많은 무기물들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처리 방법으로 바닥재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저장소로 배출시켜 매립의 방법으로 최종 처분되기도 하며 회수가능한 금속성 성분을 회수한 후 비산재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고형화 및 안정화처리를 하여 골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최근의 바닥재 처리방법에는 철강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용융기술을 도입하여 바닥재를 슬래그화시켜 재활용하는 공정이 개발되고 있다. 바닥재는 용융로에서 1300℃이상의 고온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무기물들은 용융 슬래그화하여 처리된다.
그리고, 비산재를 매립 처리하기 위하여, 고화재와 바닥재를 혼합기에 넣고 물과 함께 혼합하여 고형화시키는 고형화법과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바닥재내 중금속을 안정화시켜 용출량을 감소시키는 화화적 안정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형화법은 고화재 첨가에 따라 오히려 감량효과는 적어지고, pH가 강알카리거나 약산성 이하로 낮아지면 다시 중금속이 용출될 가능성이 높으면서 고화처리 비용도 높게 된다. 한편, 화학적 안정화법은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화학약품(주로 킬레이트제)이 고가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00106호(2001.06.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재, 비산재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소각로에서 발생된 바닥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바닥재 저장장치(10)와; 소각로에서 발생된 비산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비산재 저장장치(20)와; 바닥재 저장장치(10)로부터 바닥재를 공급받아 기준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순물 선별기(30)와; 분순물 선별기(30)를 통과한 바닥재를 제공받아 기준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40)와; 파쇄기(40)에서 배출된 바닥재를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키는 1차 건조기(50)와;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기(60)와;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키는 2차 건조기(70)와; 내부에 가열되면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하고 있으며 2차 건조기(70)에서 유입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제공받아 원적외선으로 처리하는 원적외선 소성장치(80)와;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처리된 바닥재와 비산재의 혼합물을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저장장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순물 선별기(30)는 바닥재에 포함된 철분성분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자선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파쇄기(40)는 상부에 바닥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를 파쇄하는 파쇄부(42)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바닥재가 배출되는 배출구(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1차 건조기(50), 2차 건조기(70)에는 바닥재에 함유된 수분을 화학반응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촉매제 또는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쇄기(60)는 상부에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6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부(62)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소성장치(8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81)와,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82)와, 몸체(81)의 내면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물질(83)과, 몸체(81)의 하부에서 내부를 가열하는 버너(84)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85)와, 몸체(8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버너(84)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부(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원적외선 방사물질(82)은 몸체의 내면에 장착된 알루미나,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준온도범위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와;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필터를 통과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분쇄기(60)로 제공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배가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가스 필터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는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를 가열하여 연소가스를 기준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연소가스 가열부(101)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냉매와 열교환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기준범위 이내로 냉각시키는 연소가스 냉각기(102)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확인하는 연소가스 온도확인부(103)와,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 가열부(101)를 작동시키고,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연소가스 냉각기(10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로 등에서 배출되는 바닥재, 비산재에 포함된 이물질 , 중금속 등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재를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시킨 후에 첨가재 또는 촉매재와 함께 1차 건조시키고, 미세하게 분쇄한 후에 첨가재 또는 촉매재와 함께 2차 건조시켜 이용하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재, 비산재에 포함된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도록 사용되는 원적외선방사물질을 가열한 후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열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40)의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60)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소성장치(80)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은 바닥재 저장장치(10), 비산재 저장장치(20), 분순물 선별기(30), 파쇄기(40), 1차 건조기(50), 분쇄기(60), 2차 건조기(70), 원적외선 소성장치(80), 저장장치(90),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 연소가스 필터부(110)를 포함한다.
바닥재 저장장치(10)는 생활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바닥재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바닥재는 소각로에서 폐기물을 소각한 후에 남은 잔여물로써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게 된다. 바닥재는 소각한 다음 남은 철조각 등의 고철 및 콘크리트 덩어리 등의 불연소물이 포함될 수 있고, 비산먼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물이 첨가된다.
비산재 저장장치(20)는 생활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비산재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비산재는 소각로에서 폐기물을 소각한 후에 소각로의 열기를 따라 상승하여 굴뚝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가벼운 물질을 포집한 것이다. 비산재에는 재비산을 막기 위하여 일정부분의 물이 첨가되어 있다.
분순물 선별기(30)는 바닥재 저장장치(10)로부터 바닥재를 공급받아 바닥재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분리한다. 분순물 선별기(30)에 의해 철조각, 콘크리트 덩어리 등의 불순물을 분리한다. 이때, 분순물 선별기(30)에는 바닥재에 포함된 철분성분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자선기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분순물 선별기(30)는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다.
파쇄기(40)는 분순물 선별기(30)를 통과한 바닥재를 제공받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한다. 파쇄기(40)에 의해 바닥재에 포함된 고형의 이물질을 운반, 사용 등이 용이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쇄기(40)에는 바닥재에 포함된 철분성분을 2차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자석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쇄기(40)는 상부에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된 바닥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를 파쇄하는 파쇄부(42)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바닥재가 배출되는 배출구(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건조기(50)는 파쇄기(40)에서 배출된 바닥재를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킨다. 1차 건조기(50)에 의해서 파쇄된 바닥재는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약 250℃의 연소가스로 가열되면서 함수율이 6% 이하가 되도록 건조되고 연소가스는 온도가 저하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1차 건조기(50)는 로터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차 건조기(50)에는 바닥재에 함유된 수분을 화학반응으로 빠르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산화철, 산화칼륨 등의 촉매제 또는 이산화규소, 탄산나트륨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60)는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미세하게 분쇄한다. 이때, 분쇄기(60)에는 연소가스 필터부(110)에서 분리된 이물질도 함께 제공받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에 남아 있는 크기가 작은 철분성분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자석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쇄기(60)는 상부에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6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와 비산재의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부(62)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바닥재와 비산재의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건조기(70)는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열교환시킨다. 2차 건조기(70)에 의해서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은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약 400℃의 연소가스로 가열되면서 함수율이 약 3%~5%가 되도록 건조되고 연소가스는 약 250℃로 낮아진 상태로 배출된다. 이러한 1차 건조기(50)는 로터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2차 건조기(70)에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을 화학반응으로 빠르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산화철, 산화칼륨 등의 촉매제 또는 이산화규소, 탄산나트륨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 소성장치(80)는 내부에 버너에 의해 가열되면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하고 있으며 2차 건조기(70)에서 유입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제공받아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도록 원적외선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원적외선 소성장치(8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81)와, 몸체(81)의 상단 일측에서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82)와, 몸체(81)의 내면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물질(83)과, 몸체(81)의 하부에서 내부를 가열하는 버너(84)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85)와, 몸체(8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버너(84)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부(86)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적외선 소성장치(80)는 저산소 분위기에서 원적외선에 의한 전자파의 영향으로 바닥재와 비산재의 분자 결합이 느슨해지고 환원되어 다이옥신은 제거하고 촉매반응으로 중금속은 안정화되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물질(83)은 몸체(81)의 내면에 장착된 알루미나, 백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84)에서 약 450℃로 가열된 연소가스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원적외선 방사물질(83)을 가열하고 연소가스 배출부(86)에서 약 400℃로 배출되어 2차 건조기(70)로 제공되어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저장장치(90)는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처리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은 고온으로 인한 유리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냉 컨베이어밸트를 이용하여 저장장치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는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준온도범위가 되도록 유지시킨다. 이때, 기준온도범위는 약 180℃ㅁ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는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를 가열하여 연소가스를 기준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연소가스 가열부(101)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냉매와 열교환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기준범위 이내로 냉각시키는 연소가스 냉각기(102)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확인하는 연소가스 온도확인부(103)와,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 가열부(101)를 작동시키고,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연소가스 냉각기(10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104)를 포함한다. 이때, 연소가스 가열부와 연소가스 냉각기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지만,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에 의해서 약 180℃ 이상의 연소가스가 연소가스 필터부(110)로 유입되는 경우에 화재가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소가스 필터부(110)는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필터(111)를 통과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분리된 이물질 또는 연소가스에서 액화된 액체를 분쇄기(60)로 제공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배가가스는 방지시설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처리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생활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등을 소각하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바닥재는 바닥재 저장장치(10)에 저장되고, 비산재는 비산재 저장장치(20)에 저장된다.
바닥재 저장장치(10)에 저장된 바닥재는 분순물 선별기(30)를 거치면서 바닥재에 포함된 철조각, 콘크리트 덩어리 등의 불순물을 분리된 후에 파쇄기(40)를 통과하면서 운반이 용이한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다. 파쇄기(40)에 의해 바닥재에 포함된 고형의 이물질을 운반, 사용 등이 용이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쇄기(40)에 자선기가 설치되어 바닥재에 포함된 철분성분을 추가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기(40)에서 파쇄된 바닥재는 1차 건조기(50)를 통과하면서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로 가열되어 낮은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된 후에 배출된다. 이에 따라 1차 건조기(50)로 유입된 후에 배출되는 파쇄된 바닥재는 약 6% 이하의 함유율을 갖도록 건조되고 1차 건조기(50)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약 250℃에서 약 150℃~180℃로 배출되게 된다.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된 바닥재는 분쇄기(60)로 제공되고 비산재 저장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비산재와 연소가스 필터부(110)에서 분리된 이물질과 함께 혼합되면서 가루형태로 분쇄된 후에 2차 건조기(70)로 공급된다.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등의 혼합물은 2차 건조기(70)를 통과하면서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로 가열되어 더욱 낮은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된 후에 배출된다. 이에 따라 2차 건조기(70)로 유입된 후에 배출되는 분쇄된 바닥재는 약 3%~5%의 함유율을 갖도록 건조되고 1차 건조기(50)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약 250℃에서 약 150℃~180℃로 배출되게 된다.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된 건조된 바닥재와 비산재 등의 혼합물은 원적외선 소성장치(80)로 공급되고,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면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중금속 등이 용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처리된 바닥재와 비산재 등의 혼합물은 저장장치(90)에 저장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는 2차 건조기(70)와 1차 건조기(50)의 가열가스로 사용되며,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된 후에 연소가스 가열부와 연소가스 냉각부로 이루어진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를 통과하면서 액화가 방지되는 약 180℃ㅁ10℃의 기준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연소가스 필터부(110)를 통과하면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소가스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분쇄기(60)로 공급되어 바닥재와 비산재와 함께 혼합된다.
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바닥재 저장장치 20 : 비산재 저장장치
30 : 분순물 선별기 40 : 파쇄기
50 : 1차 건조기 60 : 분쇄기
70 : 2차 건조기 80 : 원적외선 소성장치
90 : 저장장치 100 : 연소가스 액화방지부
110 : 연소가스 필터부

Claims (9)

  1. 소각로에서 발생된 바닥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바닥재 저장장치(10)와;
    소각로에서 발생된 비산재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비산재 저장장치(20)와;
    바닥재 저장장치(10)로부터 바닥재를 공급받아 바닥재에 포함된 기준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순물 선별기(30)와;
    분순물 선별기(30)를 통과한 바닥재를 제공받아 기준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40)와;
    파쇄기(40)에서 배출된 바닥재를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바닥재를 건조시키는 1차 건조기(50)와;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기(60)와;
    분쇄기(60)에서 배출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일단으로 유입시켜 타단으로 이송시키고,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타단으로 유입시켜 일단으로 배출시키면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2차 건조기(70)와;
    내부에 가열되면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하고 있으며 2차 건조기(70)에서 유입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제공받아 원적외선으로 처리하는 원적외선 소성장치(80)와;
    원적외선 소성장치(80)에서 처리된 바닥재와 비산재의 혼합물을 저장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저장장치(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순물 선별기(30)는 바닥재에 포함된 철분성분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자선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쇄기(40)는 상부에 바닥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를 파쇄하는 파쇄부(42)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바닥재가 배출되는 배출구(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1차 건조기(50), 2차 건조기(70)에는 바닥재에 함유된 수분을 화학반응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촉매제 또는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쇄기(60)는 상부에 1차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저장장치(20)의 비산재를 제공받아 낙하시키는 유입구(6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낙하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부(62)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6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적외선 소성장치(8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몸체(81)와,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82)와, 몸체(81)의 내면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물질(83)과, 몸체(81)의 하부에서 내부를 가열하는 버너(84)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와 비산재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85)와, 몸체(8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버너(84)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부(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물질(82)은 몸체의 내면에 장착된 알루미나,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준온도범위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와;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필터를 통과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분쇄기(60)로 제공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배가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가스 필터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소가스 액화방지부(100)는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를 가열하여 연소가스를 기준범위 이내로 가열하는 연소가스 가열부(101)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냉매와 열교환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기준범위 이내로 냉각시키는 연소가스 냉각기(102)와, 2차 건조기(7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확인하는 연소가스 온도확인부(103)와,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하이면 연소가스 가열부(101)를 작동시키고, 연소가스의 온도가 기준범위 이상이면 연소가스 냉각기(10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20210018044A 2021-02-09 2021-02-09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KR20220114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44A KR20220114712A (ko) 2021-02-09 2021-02-09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44A KR20220114712A (ko) 2021-02-09 2021-02-09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12A true KR20220114712A (ko) 2022-08-17

Family

ID=8311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44A KR20220114712A (ko) 2021-02-09 2021-02-09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7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06B1 (ko) 1998-07-24 2001-10-27 김징완 소각재 용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06B1 (ko) 1998-07-24 2001-10-27 김징완 소각재 용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8329B2 (ja) 有機物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
EP3350353B1 (en) Plant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treating residues from crushing ferrous scrap
WO2016041039A1 (pt) Processo e sistema para a eliminacao da expansibilidade da escoria de aciaria ld e le
KR101339554B1 (ko) 잉곳절삭용 재생슬러리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부산물 내의 유효성분을 재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48974B1 (ko) 시멘트 제조장치
KR102308485B1 (ko) 폐기물 종합 재활용 처리시스템
JP5107226B2 (ja) Eafにおける鉄冶金製造において耐火物破片物および取鍋スラグをプロセススラグとして回収するための、およびプロセススラグの形成のための炉に対する関連計量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796251B2 (en) Process for treating incineration residues from an incineration plant
KR20220114712A (ko) 소각로의 바닥재, 비산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US5154128A (en) Process for salvaging waste and device for preparing said waste
SK280428B6 (sk) Spôsob spracovania a ekologicky prijateľného využi
KR20010029437A (ko) 환원철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4432047B2 (ja) 塵芥と汚泥とを合わせて処理する廃棄物処理炉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JP3551960B2 (ja) 有機物汚染土壌の処理方法
KR20010045615A (ko) 슬러지 소각용융 처리장치
JP4071887B2 (ja) 廃棄物溶融スラグ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4777025B2 (ja) 硫酸含有油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581509B1 (ko) 연소 플랜트에서 생성된 연소잔사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및 그 잔사의 처리방법
JP2006043672A (ja) 石綿含有無機質系廃材の処理方法
JP4443031B2 (ja) 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287411B1 (ko) 냉동 분쇄기를 이용한 분말식 소각 설비 및 소각 방법
JP4133352B2 (ja) 廃棄物、廃棄物を焼却した灰、あるいは汚泥の溶融処理方法
KR20000023550A (ko) 고로용 소결광의 제조방법
JP2003247707A (ja) 汚泥乾燥機能を備えた焼却炉の排ガス処理システム
JPH04158866A (ja) 産業廃棄物殺菌熱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