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431A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431A
KR20220114431A KR1020210017918A KR20210017918A KR20220114431A KR 20220114431 A KR20220114431 A KR 20220114431A KR 1020210017918 A KR1020210017918 A KR 1020210017918A KR 20210017918 A KR20210017918 A KR 20210017918A KR 20220114431 A KR20220114431 A KR 2022011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tray
tray
making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1001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431A/ko
Publication of KR2022011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모체에 장착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기 본체,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빙 트레이 일측에 밀착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레진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제2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여 상온에서의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식품과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빙 모터에 의해 이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 및 상기 아시스 뱅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얼음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빙 트레이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빙 트레이 자체를 상술한 이빙 모터를 이용하여 트위스팅시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트위스트 타입과, 금속 재질로 구비된 제빙 트레이에 이빙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빙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별도의 이빙 이젝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얼음을 제빙 트레이의 일측으로 밀어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히터 타입이 그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9243호(2001.06.07. 공고일)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를 특정 구조로 개선하여 냉각 및 이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냉각모체에 장착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기 본체;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빙 트레이 일측에 밀착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레진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제2 제빙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와 제2 제빙 트레이는 인서트 사출형성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와 제2 제빙 트레이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와 상기 냉매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의 일면에는 상기 냉매 파이프가 밀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안착홈에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는 박형의 알루미늄 다이 케스팅(die cast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냉매로 냉각하고, 핫가스로 가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는 실리콘, 케프론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부가 구비된 제어박스; 및 상기 제어박스 일측면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제빙 트레이는 상기 제어박스와 상기 커버 프레임이 이루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기는, 예를 들어, 냉장고 본체, 도어 또는 포터블(PORTABLE) 냉장고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를 특정 구조로 개선하여 냉각 및 이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사시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저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가 설치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된 본체(7)와, 본체(7)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8A, 8B, 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일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어(8A, 8B,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A, 8B)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장실 도어(8A, 8B)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냉장실 도어(8A)와,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를 개폐하는 제2 냉장실 도어(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장실 도어(8A)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상기 냉장실의 우측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1 냉장실 도어(8A)는 제2 냉장실 도어(8B)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제1 내장실 도어(8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내부의 우측방 상부에는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이 구비되지 않고 냉동실만 구비된 냉동고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냉장실만 구비된 냉장고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되지 않고 두 개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어느 하나를 제1 컴파트먼트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컴파트먼트로 정의할 시, 제빙기(100)는 상기 제1 컴파트먼트 또는 상기 제2 컴파트먼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컴파트먼트가 형성된 본체(7)와, 상기 컴파트먼트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빙기(100)는 상기 컴파트먼트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제어박스(10), 제어박스(10) 일측으로 배치되는 하이브리드형 제빙 트레이(30), 커버 프레임(20), 제빙 트레이(30), 얼음배출 가이더(40) 및 이젝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박스(10)는 대략 육면체의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10)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내부공간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빙기(1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하이브리드형으로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제빙 트레이(100) 및 제1 제빙 트레이(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 제빙 트레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빙 트레이(200)의 저면에는 냉매 파이프(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 트레이(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 프레임(20)은 제어박스(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20)은 도면상 제어박스(10)의 우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어박스(10)의 우측면은 제어박스(10)의 일측면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좌측면은 개구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개구된 좌측면은 제어박스 커버(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20)은 도면상 제어박스(10)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20)은 제어박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커버 프레임(20)은 제어박스(10)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프레임(20)은 제어박스(10)의 우측면과 함께 트레이 설치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트레이 설치공간(25)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가 트레이 설치공간(25)에 설치된 상태일 때, 제빙 트레이(30)의 좌측은 제어박스(10)의 우측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제빙 트레이(30)의 우측은 커버 프레임(20)의 우측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제빙 트레이(30)의 후방측은 커버 프레임(20)의 후방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제빙 트레이(30)의 하측은 커버 프레임(20)의 하측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 트레이(30)의 상측부의 후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빙 트레이(30)의 상측부의 전방부와, 제빙 트레이(30)의 전방부는 얼음배출 가이더(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의 상면에는 제빙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31)은 제빙 트레이(3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빙홈(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20)의 우측부에는 제빙홈(31)으로 제빙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부(20A)가 급수하는 제빙수는 복수개의 제빙홈(31) 중 가장 우측에 형성된 제빙홈(3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빙홈(31) 내에 수용된 제빙수는 냉각된 후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박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2mm 이내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는 두께가 얇은 박막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빠르게 되어서 제빙홈(31) 내의 제빙수를 신속하게 제빙시킬 수 있다.
얼음배출 가이더(40)는 제빙홈(31)에서 취출되는 얼음의 배출을 가이드할 수 있다. 얼음배출 가이더(4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41)와, 수직부(41)의 상단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41)는 제빙 트레이(3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경사부(42)는 제빙 트레이(30)의 상측부의 전방부를 커버할 수 있다.
후술하는 이젝터(50)에 의해 제빙홈(31)에서 취출되는 얼음은, 제빙 트레이(30)의 상측부의 후방부를 통해 경사부(42)의 상면으로 이동된 후, 경사부(42)의 상면을 타고 아래로 미끄러져 배출될 수 있다.
얼음배출 가이더(40)는 경사부(42)를 포함하여서, 경사부(42)의 상면으로 취출된 얼음이 제빙홈(31)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젝터(50)는 제빙 트레이(30)로부터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50)는 좌우방향으로 긴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50)의 좌측단은 제어박스(10)의 우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어박스(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이빙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내부로 삽입된 이젝터(50)의 좌측단은 상기 이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서, 상기 이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젝터(50)는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젝터(50)의 둘레면에는 이젝트핀(5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핀(51)은 이젝터(5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핀(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핀(51)은 복수개의 제빙홈(31)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빙홈(31)에서 제빙이 완료된 얼음은, 이젝터(50)가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젝트핀(51)에 의해 취출될 수 있다.
얼음배출 가이더(40)의 경사부(42)에는 이젝터(50)가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시 이젝트핀(51)이 통과하는 이젝트핀 통과홀(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핀 통과홀(42A)은 얼음배출 가이더(4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핀 통과홀(42A)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핀 통과홀(42A)은 복수개의 이젝트핀(5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20)은 리어 프레임부(21), 사이드 프레임부(22), 로워 프레임부(23) 및 연결 프레임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커버 프레임(20)은 리어 프레임부(21) 및 사이드 프레임부(2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20)은 리어 프레임부(21), 사이드 프레임부(22) 및 로워 프레임부(23)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리어 프레임부(21)는 커버 프레임(2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부(22)는 커버 프레임(20)의 우측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로워 프레임부(23)는 커버 프레임(20)의 하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부(21)는 트레이 설치공간(2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부(22)는 제어박스(10)의 우측면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부(22)는 트레이 설치공간(2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부(22)는 도면상 트레이 설치공간(25)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 프레임부(23)는 트레이 설치공간(2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우측면은 트레이 설치공간(25)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부(24)는 리어 프레임부(21)의 하단과 로워 프레임부(23)의 후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부(24)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부(21) 및 로워 프레임부(23)에는 공기유동홀(21A, 23A, 23B)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부(21)에 형성된 공기유동홀(21A)은 리어 프레임부(21)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유동홀(21A)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프레임부(23)에 형성되는 공기유동홀(23A, 23B)은 프론트 공기유동홀(23A) 및 리어 공기유동홀(23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공기유동홀(23A) 및 리어 공기유동홀(23B)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공기유동홀(23A)은 로워 프레임부(23)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프론트 공기유동홀(23A)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공기유동홀(23B)은 로워 프레임부(23)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리어 공기유동홀(23B)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 동작되는 팬(fan;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10)에는 상기 팬의 회전 동작시 공기가 배출되거나 흡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빙기(100) 주변의 공기는 공기유동홀(21A, 23A, 23B)을 통해 제빙 트레이(30)로 유동되어, 제빙홈(31) 내에 수용된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되도록 할 수 있다. 제빙홈(31) 내에 수용된 제빙수가 신속하게 제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빙 트레이(30)는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제빙기(100)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사시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제빙 트레이의 저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제어박스(10), 제어박스(10)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1 제빙 트레이(200)과 제2 제빙 트레이(300)로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30), 커버 프레임(20), 제빙 트레이(30), 얼음배출 가이더(40) 및 이젝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빙 트레이(30)는 하이브리드형으로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제빙 트레이(200)과 제2 제빙 트레이(300)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의 제1 제빙 트레이(100)는 상기 제빙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빙홈(31)이 형성되고, 고분자 레진으로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빙 트레이(100)는 실리콘, 케프론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빙 트레이(30)의 제2 제빙 트레이(300)는 금속 소재가 프레스(press)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30)의 제1 제빙 트레이(2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제빙 트레이(300)의 저면에는 냉매 파이프(60)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제2 제빙 트레이(300)의 저면에는 냉매 파이프(60)가 밀착되어 접촉 면적을 늘어나도록 형상 방향으로 안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 파이프(60)는 선택적으로 냉매로 냉각하고 핫 가스로 가열하는 기능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빙 트레이(3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310)은 안착되는 냉매 파이프(60)의 형상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파이프(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다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안착홈(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30)의 제1 제빙 트레이(200)와 제2 제빙 트레이(300)는 스크류 체결부재(B)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제빙 트레이(300)에는 상향 돌출되는 체결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가이드부(미도시)에 스크류 체결부재(B)가 제1 제빙 트레이(300)의 하면으로부터 제2 제빙 트레이(200)와 회전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제빙 트레이(30)의 제1 제빙 트레이(200)와 제2 제빙 트레이(300)는 상호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30)는 레진으로 사출 성형되는 제1 제빙 트레이(200)의 하부면에 냉매 파이프(60)가 일체로 접착된 상태로 금속 소재의 제2 제빙 트레이(200)가 상호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빙 트레이(30)에 대한 추가 표면처리 과정, 파손, 히터 이탈 또는 이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냉각과 히팅 효율 및 제빙 속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냉장고 8, 9: 도어
10 : 제어박스 10H, 21H, 22H, 40H : 조립홈
20 : 커버 프레임 21 : 리어 프레임부
21A, 23A, 23B : 공기유동홀 22 : 사이드 프레임부
23 : 로워 프레임부 23C : 고정돌기
24 : 연결 프레임부 24A : 제2 지지돌기
25 : 트레이 설치공간 30 : 제빙 트레이
31 : 제빙홈 33 : 센서 수용부 삽입홈
35 : 볼록부 40 : 얼음배출 가이더
50 : 이젝터 51 : 이젝트핀
60: 냉매 파이프 100 : 제빙기
200: 제1 제빙 트레이 300: 제2 제빙 트레이
310: 안착홈 B: 스크류 체결부재

Claims (10)

  1. 냉각모체에 장착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기 본체;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빙 트레이 일측에 밀착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레진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제2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와 제2 제빙 트레이는 인서트 사출형성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와 제2 제빙 트레이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와 상기 냉매 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의 일면에는 상기 냉매 파이프가 밀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안착홈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제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빙 트레이는 박형의 알루미늄 다이 케스팅(die casting) 방식으로 제조되는 제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냉매로 냉각하고, 핫가스로 가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빙 트레이는 실리콘, 케프론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제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부가 구비된 제어박스; 및 상기 제어박스 일측면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제빙 트레이는 상기 제어박스와 상기 커버 프레임이 이루는 공간에 배치되는 제빙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017918A 2021-02-08 2021-02-08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20114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18A KR20220114431A (ko) 2021-02-08 2021-02-08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18A KR20220114431A (ko) 2021-02-08 2021-02-08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31A true KR20220114431A (ko) 2022-08-17

Family

ID=8311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18A KR20220114431A (ko) 2021-02-08 2021-02-08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4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243B1 (ko) 1998-12-23 2001-11-22 구자홍 냉장고자동제빙기의급수량조절장치및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243B1 (ko) 1998-12-23 2001-11-22 구자홍 냉장고자동제빙기의급수량조절장치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6714B2 (en) Refrigerator
EP3062048B1 (en) Refrigerator
EP1684036B1 (e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EP3059526A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20100050681A1 (en)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CN103185447A (zh) 冰箱
EP3441701B1 (en) Refrigerator
KR2022011443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09402B1 (ko)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KR2020008564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179732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060096533A (ko) 냉장실도어
KR2021011247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6568708B2 (ja) 冷蔵庫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2023005501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32248B1 (ko) 냉장고
KR2023005310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50100134A (ko) 탑 마운트 타입 냉장고
KR10023976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230053104A (ko) 히터,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08921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0117034Y1 (ko) 냉장고의 냉기분포장치
KR2021011689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116892A (ko)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