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892A -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892A
KR20210116892A KR1020200033027A KR20200033027A KR20210116892A KR 20210116892 A KR20210116892 A KR 20210116892A KR 1020200033027 A KR1020200033027 A KR 1020200033027A KR 20200033027 A KR20200033027 A KR 20200033027A KR 20210116892 A KR20210116892 A KR 2021011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er
making
partition wall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0003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892A/ko
Publication of KR2021011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실에 장착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상기 냉각실과 상기 제빙기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제빙실 격벽, 상기 제빙실 격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얼음 이송 구동부, 상기 얼음 이송 구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기 서포트 및 상기 제빙기 서포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여 상온에서의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식품과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빙 모터에 의해 이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 및 상기 아시스 뱅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얼음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빙 트레이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빙 트레이 자체를 상술한 이빙 모터를 이용하여 트위스팅시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트위스트 타입과, 금속 재질로 구비된 제빙 트레이에 이빙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빙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별도의 이빙 이젝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얼음을 제빙 트레이의 일측으로 밀어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히터 타입이 그것이다.
한편,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제빙실 외부의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이송덕트를 통해 제빙실로 안내하여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간냉식과, 제빙실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제빙실 내부에서 생성된 냉기로써 직접 제빙기를 냉각시키는 직냉식이 있다. 특히, 직냉식에는 냉매관이 제빙기의 제빙트레이에 접촉하여 별도의 열과환기 없이 제빙트레이 자체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냉매관이 접촉하여 자체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는 직냉식 제빙기를 이용한 제빙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냉각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얼음을 이송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므로 부피 증가 및 이에 따른 전력손실, 내부 구성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의 증가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345호(2006.05.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얼음 이송 구동부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제빙기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빙 장치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얼음 이송 구동부의 고정부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치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얼음 이송 구동부의 고정부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 모터의 구동 시 얼음 이송 구동부와 제빙실 격벽 간에는 상호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빙 장치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빙기의 구성 중 급수컵, 히터 커버, 및 제빙기 제어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급수컵, 히터 커버, 및 제빙기 제어 박스를 제빙실 격벽에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빙기 서포트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빙 장치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냉각실에 장착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부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냉각실과 상기 제빙기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제빙실 격벽;
상기 제빙실 격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얼음 이송 구동부;
상기 얼음 이송 구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기 서포트; 및
상기 제빙기 서포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는,
회전에 의해 전진 운동을 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 내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 이송부; 및
상기 얼음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배출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얼음 이송 구동부는,
상기 제빙실 격벽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 배출부로 배출되는 얼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기 서포트는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빙기 서포트를 중심으로 상부, 하부 및 측면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냉각실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대면하는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 장치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장치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일체형 박스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장치의 적어도 일측에는 이슬방지 히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냉각실에 결합되기 위한 선반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실 케이스에는 이빙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얼음 이송 구동부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제빙기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빙 장치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얼음 이송 구동부의 고정부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치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얼음 이송 구동부의 고정부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 모터의 구동 시 얼음 이송 구동부와 제빙실 격벽 간에는 상호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빙 장치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본 발명은 제빙기의 구성 중 급수컵, 히터 커버, 및 제빙기 제어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급수컵, 히터 커버, 및 제빙기 제어 박스를 제빙실 격벽에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빙기 서포트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빙 장치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서포트가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서포트가 아이스 트레이 및 제빙기 제어 박스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된 얼음을 이빙 시키는 종류에 따라 히터 타입(heater type) 및 트위스트 타입(twis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히터 타입의 제빙기는, 전장 부품 및 구동 부품이 내장되는 구동박스(미도시)와, 상기 구동박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이 상측에 형성된 제빙 트레이(101)와, 제빙 트레이(101)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빙된 얼음을 이젝팅 시키는 이젝터(20) 및 이젝트 핀(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동일한 구동박스(200), 구동박스(2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 및 케이스(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이 상측에 형성되며 기결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빙 트레이(101)를 포함한다.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이빙 히터(미도시)의 유무 및 제빙 트레이(101)가 트위스트 되도록 회동되는지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히터 타입 또는 트위스트 타입인지에 따라 구동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 및 상기 기어 세트의 설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히터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01)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 트레이(101)에 소정의 열을 가하는 상기 이빙 히터에 의하여 이빙된 후 다수의 이젝터 핀(미도시)이 구비된 이젝터 봉(미도시)을 구동박스(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구동 모터 및 상기 기어 세트의 연동 동작에 의하여 회동시키면서 상기 이젝터 핀을 회동시켜 이빙된 얼음을 그 하부의 얼음 저장 그릇(미도시)으로 저장하도록 구동된다.
또,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01)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서 상기 기어 세트가 연동 구동되고, 상기 기어 세트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축과 직결된 제빙 트레이(101)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일단부가 간섭되는 동작으로 트위스팅되고, 이러한 트위스팅 동작에 의하여 제빙홈(15)에 제빙된 얼음이 이빙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상기 얼음 저장 그릇으로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서포트가 아이스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빙 장치(100)는 제빙실 격벽(102) 및 얼음 이송 구동부(104)를 포함한다. 제빙실 격벽(102)은 제빙 장치(100)가 설치되는 냉장고 내부에 형성된다. 제빙실 격벽(102)은 냉장실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실 격벽(102)은 냉장실 내에서 냉장실과 구별되는 별도의 공간을 이루며, 제빙실 격벽(102) 내의 공간이 제빙실을 이루게 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빙실 격벽(102)의 전면부와 측면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빙실 격벽(102)은 냉장실 내에서 밀폐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빙실 격벽(102)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 장치(100)는 제빙실 격벽(102)을 통해 냉장실과 단열되게 된다. 제빙실 격벽(102) 내의 공간은 얼음을 얼리고 얼린 얼음이 녹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반면, 냉장실은 냉장실 내에 수납된 식품들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식품들이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빙실 격벽(102)을 통해 제빙실 격벽(102) 내의 공간과 냉장실을 단열시켜 준다.
얼음 이송 구동부(104)는 고정부(111),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얼음 이송구동부(104)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으며, 고정부(111)를 통해 제빙실 격벽(102) 내에서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가 형성될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 내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 제조 시 제빙실 격벽(102)과 함께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11)와 제빙실 격벽(102)은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 상에서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 내에서 제빙실 격벽(102)의 폭 방향으로 제빙실 격벽(102)을 가로 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11)는 제빙실 격벽(102) 내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부(111)의 일측(예를 들어, 고정부(111)의 좌측)에 존재하는 공간에는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를 포함하는 얼음 이송 구동부(104)가 형성되고, 고정부(111)의 타측(예를 들어, 고정부(111)의 우측)에 존재하는 공간에는 아이스 뱅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스 뱅크(미도시)의 상부에는 제빙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뱅크(미도시)는 제빙기(미도시)에서 형성된 얼음을 저장하며, 저장된 얼음을 제빙 장치(100) 외부(예를 들어, 냉장고의 아이스 슈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스 뱅크(미도시)는 아이스 뱅크(미도시) 내에서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 이송부, 얼음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얼음 분쇄부, 및 얼음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제빙 장치(100)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얼음 이송부(151)만 도시하였다. 얼음 이송부(151)는 회전에 의해 전진 운동을 하여 아이스 뱅크(미도시) 내의 얼음을 이송시킨다.
고정부(111)에는 레버 구동부(117)와 레버(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레버 연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1)에는 이송 모터(114)의 회전축(115)과 얼음 이송부(151)의 일단이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 모터(114)의 회전축(115)은 결합 보조 부재(129)를 통해 얼음 이송부(151)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1)에는 이송 모터(114)를 고정부(111)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27)에는 나사와 같은 결합 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이송 모터(114)를 고정부(111)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송 모터(114)는 고정부(111)에 고정 결합된다. 이송 모터(114)는 얼음 이송부(151)의 일단과 결합되며, 얼음 이송부(15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 모터(114)를 구동시키면, 얼음 이송부(151)가 회전하면서 아이스 뱅크(미도시) 내의 얼음을 얼음 배출부(미도시)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레버 구동부(117)는 고정부(111)의 좌측 공간에 형성된다. 이때, 레버 구동부(117)는 제빙실 격벽(102) 상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고정부(111)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레버 구동부(117)는 레버(미도시)를 상하로 조작하여 얼음 배출부(미도시)에서 배출되는 얼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레버 구동부(117)를 통해 레버(미도시)를 위로 조작하면, 얼음 이송부(151)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얼음 분쇄부(미도시)를 거치지 않고 얼음 배출부(미도시)로 바로 배출되어 크기가 큰 얼음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레버 구동부(117)를 통해 레버(미도시)를 아래로 조작하면, 얼음 이송부(151)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얼음 분쇄부(미도시)를 거쳐 얼음 배출부(미도시)로 배출되어 크기가 작은 얼음이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 이송 구동부(104)는 고정부(111)를 제빙실 격벽(102)과 일체로 형성하고 고정부(111)로 인해 제빙실 격벽(102) 상에 마련된 공간에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를 형성함으로써, 이송 모터(114) 및 레버 구동부(117)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얼음 이송 구동부(104)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며, 제빙 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제빙 장치(100)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얼음 이송 구동부(104)의 고정부(111)가 제빙실 격벽(102)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치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한 번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빙실 격벽(102)과 고정부(11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얼음 이송 구동부(104)와 제빙실 격벽(102)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얼음 이송 구동부(104)의 고정부(111)가 제빙실 격벽(102)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 모터(114)의 구동 시 얼음 이송 구동부(104)와 제빙실 격벽(102) 간에는 상호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빙 장치(100)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얼음 이송 구동부(104)의 고정부(111)가 제빙실 격벽(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11)는 아이스 뱅크(미도시)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빙기(미도시)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히터 커버 또는 제빙기 제어 박스 등)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빙기는 제빙기 서포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빙기 서포트(371)는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의 상부에서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와 결합될 수 있다. 제빙기 서포트(371)는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빙실 격벽(102)과 결합함으로써, 제빙기를 제빙실 격벽(102)에 고정 시키고, 제빙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빙기 서포트(371)에는 송풍팬(372)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72)은 제빙기 서포트(371)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송풍팬(372)은 제빙기 서포트(371)를 포함하는 상기 제빙기가 설치되는 위치 및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송풍팬(372)을 통하여 제빙 장치(100) 내의 냉기가 제빙실 내에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372)은 유동하는 냉기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송풍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제빙기 서포트(371)는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기 서포트(371)는 제빙실 격벽과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 장치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서포트가 아이스 트레이와 제어박스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빙실 격벽(202)에는 얼음 이송 구동부(204)의 고정부(211)뿐만 아니라 제빙기의 일부 구성들이 제빙실 격벽(2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기의 구성 중 급수컵(257), 히터 커버(259), 및 제빙기 제어 박스(261) 중 적어도 하나가 제빙실 격벽(2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컵(257), 히터 커버(259), 및 제빙기 제어 박스(261)와 제빙실 격벽(202)은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히터 커버(259) 및 제빙기 제어 박스(261)가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컵(257)은 아이스 트레이(251)의 상부에서 제빙수를 아이스 트레이(251)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스 트레이(251)에는 복수 개의 격벽(253)이 형성되어 아이스 트레이(251) 내부를 복수 개의 제빙 공간으로 구분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스 트레이(251)의 하부면에는 히터(255)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255)는 아이스 트레이(251)의 내벽에 얼어붙은 얼음을 살짝 녹여주어 얼음이 용이하게 이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251)의 하부에는 히터(255)를 보호하는 히터 커버(25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251)의 일측에는 제빙기 제어 박스(2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 제어 박스(261) 내에는 제빙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아이스 트레이(251)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이젝터 구동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기의 구성 중 급수컵(257), 히터 커버(259), 및 제빙기 제어 박스(261) 중 적어도 하나를 제빙실 격벽(202)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급수컵(257), 히터 커버(259), 및 제빙기 제어 박스(261)를 제빙실 격벽(202)에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제빙기는 제빙기 서포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빙기 서포트(371)는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의 상부에서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와 결합될 수 있다. 제빙기 서포트(371)는 아이스 트레이(351) 및 제빙기 제어 박스(36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빙실 격벽과 결합함으로써, 제빙기를 제빙실 격벽에 고정 시키고, 제빙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빙기 서포트(371)에는 송풍팬(372)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372)은 제빙기 서포트(371)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송풍팬(372)은 제빙기 서포트(371)를 포함하는 상기 제빙기가 설치되는 위치 및 환경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송풍팬(372)을 통하여 제빙 장치(100) 내의 냉기가 제빙실 내에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팬(372)은 유동하는 냉기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송풍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제빙기 서포트(371)는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기 서포트(371)는 제빙실 격벽과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 장치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 제빙 장치 102 : 제빙실 격벽
104 : 얼음 이송 구동부 111 : 고정부
114 : 이송 모터 115 : 모터 회전축
117 : 레버 구동부 121 : 레버 연결홀
124 : 제1 결합홀 127 : 제2 결합홀
129 : 결합 보조 부재 151 : 얼음 이송부
202 : 제빙실 격벽 204 : 얼음 이송 구동부
251 : 아이스 트레이 253 : 격벽

Claims (9)

  1. 냉각실에 장착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부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냉각실에 결합되는 냉각실 연결부;
    상기 제빙 장치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이슬방지 히터;
    상기 냉각실과 상기 제빙기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제빙실 격벽;
    상기 제빙실 격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얼음 이송 구동부;
    상기 얼음 이송 구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아이스 뱅크;
    상기 제빙 장치에는 이빙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구;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기 서포트; 및
    상기 제빙기 서포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는,
    회전에 의해 전진 운동을 하여 상기 아이스 뱅크 내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 이송부; 및
    상기 얼음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배출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이송 구동부는,
    상기 제빙실 격벽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 배출부로 배출되는 얼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레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서포트는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빙기 서포트를 중심으로 상부, 하부 및 측면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제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냉각실에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대면하는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단열부가 형성되는 제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장치는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일체형 박스형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033027A 2020-03-18 2020-03-18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116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27A KR20210116892A (ko) 2020-03-18 2020-03-18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27A KR20210116892A (ko) 2020-03-18 2020-03-18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892A true KR20210116892A (ko) 2021-09-28

Family

ID=7792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27A KR20210116892A (ko) 2020-03-18 2020-03-18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8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45B1 (ko) 2006-03-02 2006-05-25 주식회사 박전자 제빙기 구동장치의 구조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45B1 (ko) 2006-03-02 2006-05-25 주식회사 박전자 제빙기 구동장치의 구조 및 그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33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US9212841B2 (en) Refrigerator
EP2520878B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3185447A (zh) 冰箱
US20100050681A1 (en)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US20080034779A1 (en) Refrigerator
KR20130028324A (ko) 냉장고
EP2808627B1 (en) Refrigerator
US20160370052A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and method for collecting defrost water of the same
US9423166B2 (en) Refrigerator
KR20080022466A (ko) 냉장고
KR20080014553A (ko) 냉장고
KR100709402B1 (ko)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KR20210116892A (ko)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217125B1 (en) Refrigerator
KR101917184B1 (ko) 제빙 장치
KR20230053108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20130140384A (ko) 제빙 장치
CN111164361B (zh) 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