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080A -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 Google Patents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080A
KR20220114080A KR1020227025553A KR20227025553A KR20220114080A KR 20220114080 A KR20220114080 A KR 20220114080A KR 1020227025553 A KR1020227025553 A KR 1020227025553A KR 20227025553 A KR20227025553 A KR 20227025553A KR 20220114080 A KR20220114080 A KR 20220114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shaft
mo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884B1 (ko
Inventor
스치앙 추이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헤드 쉐이킹 장치(100) 및 선풍기(1000)에 있어서,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관통홀(11)이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10);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 전달축(20); 및 고정 베이스(10)에 장착되고, 출력축(31)이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출력축(31)의 축선이 동력 전달축(20)의 축선과 공선적이며, 동력 전달축(20)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3일에 제출하고 발명의 명칭이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인 제201911346046.8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출원은 가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 기술에 있어서, 헤드 쉐이킹 장치는 일반적으로 헤드 쉐이킹 모터, 헤드 쉐이킹 축, 및 맞물림 동력 전달하는 소형 기어와 대형 기어를 포함하되, 소형 기어는 헤드 쉐이킹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고, 대형 기어는 헤드 쉐이킹 축에 장착되며, 헤드 쉐이킹 모터는 소형 기어와 대형 기어의 맞물림 동력 전달을 통해 헤드 쉐이킹 축의 회전을 구동시켜 헤드 쉐이킹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상의 헤드 쉐이킹 장치의 횡 방향(즉, 헤드 쉐이킹 축의 회전 동력 전달 축선에 수직되는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점용하는 공간이 크게 되어, 헤드 쉐이킹 장치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본 출원의 주요한 목적으로서, 예시적 기술에서 헤드 쉐이킹 장치의 횡 방향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헤드 쉐이킹 장치를 제출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헤드 쉐이킹 장치를 제출하며,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 전달축; 및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고, 출력축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의 축선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선과 공선적이며,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이형홀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단면 형상이 이형이고 상기 이형홀에 삽입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축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축 장착홀 내에는 내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외주면에는 외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스플라인은 상기 외부 스플라인과 맞춤되거나, 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축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은 상기 축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축 장착홀 사이는 핀을 통해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홀 내에는 스토퍼 링 돌출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 방향에서 이격되게 설치된 2개의 서브 베어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은 계단식 축이고,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계단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방향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축이 왕복 회전하는 기정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홀 소자 및 자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 소자와 상기 자성 소자 중의 하나는 상기 동력 전달축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고, 및/또는,
상기 기정의 회전 각도는 최저로 50도이고, 및/또는,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다수의 단을 구비하고, 각 단은 하나의 상기 기정의 회전 각도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동력 전달축 외부에 고정되게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자성 소자는 상기 슬리브에 장착되고, 상기 홀 소자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은 계단식 축이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계단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에는 배선을 위한 배선홀이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선홀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 방향 구간 및 상기 축 방향 구간과 연통된 반경 방향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축 방향 구간은 상기 모터를 멀리한 상기 동력 전달축의 단부면을 관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0보다 크고 25 rpm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출원은 선풍기를 더 제출하며, 상기 선풍기는,
팬박스, 및
상기 팬박스 내에 장착되는 헤드 쉐이킹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 전달축' 및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고, 출력축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출력축의 축선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선과 공선적이며,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팬박스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팬박스는 분립형 구조이며,
여기서, 상기 팬박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팬박스의 단부에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팬박스 내에 슬라이딩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는, 모터와 동력 전달축을 헤드 쉐이킹 축의 축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분포시키고, 동력 전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서 모터로 동력 전달축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모터가 점용하는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헤드 쉐이킹 장치의 횡 방향(즉, 동력 전달축의 축선에 수직된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헤드 쉐이킹 장치의 소형화 설계를 실현하고, 생산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고, 헤드 쉐이킹 장치의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력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는 부피가 작고, 동력 전달 효과가 높으며, 생산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가능성이 우수한 등의 장점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진보성 노동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첨부된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명확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 중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한 헤드 쉐이킹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 중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헤드 쉐이킹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선풍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 중의 헤드 쉐이킹 장치와 팬박스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5 중의 선풍기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목적의 실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정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을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노동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의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해당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1", "제2" 등에 관련된 설명이 존재할 경우, 해당 "제1", "제2" 등의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그의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로써, "제1", "제2"가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나타난 "및/또는"의 의미는 세개의 병렬된 방안을 포함하며, "A 및/또는 B"를 예로 들면, A 방안, B 방안, 또는 A와 B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헤드 쉐이킹 장치를 제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선풍기 등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 선풍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나,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풍기에 사용될 경우, 해당 헤드 쉐이킹 장치는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의 헤드 쉐이킹을 실현하기에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관통홀(11)이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10);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 전달축(20); 및
고정 베이스(10)에 장착되고, 출력축(31)이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출력축(31)의 축선이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축선과 공선적이며, 동력 전달축(20)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타단부는 선풍기의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30)와 동력 전달축(20)은 동력 전달축(20)의 축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분포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축선은 모터(30)의 출력축(31)의 축선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는 동력 전달축(20)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작동될 경우, 모터(30)는 구동축을 통해 동력 전달축(20)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키고, 동력 전달축(20)은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의 좌우 헤드 쉐이킹을 구동시켜, 선풍기의 좌위 헤드 쉐이킹 송풍을 실현한다.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모터(30)와 동력 전달축(20)을 헤드 쉐이킹 축의 축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분포시키고, 동력 전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서 모터(30)로 동력 전달축(20)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모터(30)가 점용하는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횡 방향(즉, 동력 전달축(20)의 축선에 수직된 방향)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소형화 설계를 실현하고, 생산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고,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제조 가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력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부피가 작고, 동력 전달 효과가 높으며, 생산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가능성이 우수한 등의 장점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베이스(10)는 관통홀(11)을 구비한 축 장착부(미표기) 및 축 장착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축 장착부를 멀리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된 모터 장착부(미표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30)는 모터 장착부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열 발산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에는 축 장착홀(21)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30)의 출력축(31)은 상기 축 장착홀(21) 내에 장착된다. 이로써, 모터(30)의 축을 동력 전달축(20)과 연결시키기에 편리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 장착홀(21)의 구조 형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예컨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 장착홀(21)은 이형홀이고, 상기 모터(30)의 출력축(31)의 (말단의) 단면 형상이 이형이고 이형홀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예컨대 상기 축 장착홀(21)은 허리 모양 구멍이거나, 또는, 상기 축 장착홀(21)은 한 구간의 허리 모양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30)의 출력축(31)의 말단의 단면은 허리 모양이고, 상기 출력축(31)의 말단은 허리 모양 구멍 내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예컨대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 장착홀(21) 내에는 내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30)의 출력축(31)의 외주면에는 외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스플라인은 상기 외부 스플라인과 맞춤된다. 또한 예컨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30)의 출력축(31)과 상기 축 장착홀(21) 사이는 핀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써, 모터(30)의 출력축(31)과 동력 전달축(20)의 동력 전달이 편리하게 되어, 동력 전달축(20)의 회전을 구동시키기에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베어링을 통해 상기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홀(11) 내에 동력 전달축(20)과 회전 가능하게 맞춤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동력 전달축(20)을 상기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실현하여, 회전 저항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아래에 동력 전달축(20)의 기타 구조를 결부하여 각각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계단축이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이 기타의 구조와 협력하기가 편리하게 되어, 동력 전달축(20)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제한에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작은 헤드 단부는 모터(30)의 출력축(31)과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큰 헤드 단부는 선풍기의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1) 내에는 스토퍼 링 돌출부(11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1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이 회전하는 과정에, 스토퍼 링 돌출부(111)가 동력 전달축(20)과 슬라이딩되게 밀착되어, 동력 전달축(20)이 회전 과정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축(20)이 회전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 링 돌출부(111)가 동력 전달축(20)과 슬라이딩되게 밀착되어, 동력 전달축(20)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회전 저항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생산 비용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111)는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계단에 장착된다. 이로써, 장착할 경우, 동력 전달축(20)에 대해 위치 결정 및 위치 제한을 진행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111)는 동력 전달축(20)의 제1 계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축(20)의 제1 계단은 동력 전달축(20) 중의 하나의 계단을 가리키고, 여기서 제1 계단을 정의하는 것은 설명의 편리를 위해서 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 돌출부와 제1 계단의 연결 위치에는 윤활유 등과 같은 윤활제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방향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축(20)이 왕복 회전하는 기정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이 기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여,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를 기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홀 소자(41) 및 자성 소자(42)를 포함하고, 상기 홀 소자(41)와 상기 자성 소자(42) 중의 하나는 동력 전달축(20)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 베이스(1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 소자(42)는 동력 전달축(20)에 장착되고, 상기 홀 소자(41)는 고정 베이스(10)에 장착되고, 상기 홀 소자(41)는 자성 소자(42)의 회전 경로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 소자(41)는 제품 내부에 설치된 제어 소자(예컨대 전기 제어 보드 등)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헤드 쉐이킹 장치(100)가 작동될 경우, 모터(30)는 동력 전달축(20) 및 그 위의 자성 소자(42)의 회전을 구동시키고, 자성 소자(42)가 홀 소자(41)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될 경우, 자성 소자(42)는 홀 소자(41)를 트리거하게 되고, 홀 소자(41)는 트리거 신호를 제어 소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소자는 해당 트리거 신호에 따라 자성 소자(42)의 회전 위치를 확정하고, 자성 소자(42)의 위치에 따라 모터(30)를 제어하여 동력 전달축(20)이 기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자성 소자(42)는 자석이고, 상기 홀 소자(41)는 홀 플레이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 소자(41)와 자성 소자(42)를 방향 전환 부재의 검출 부재로서 선택하고, 홀 소자(41)와 자성 소자(42)의 구매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제품의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제품 최적화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며, 물론, 본 출원의 목적을 실현할 수만 있다면, 예컨대 감광성 소자 등과 같은 기타의 소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자성 소자(42)는 기정의 회전 각도의 중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검출된 자성 소자(42)의 위치에 따라 동력 전달축(20)이 일 방향을 향해 제1 기정 각도 회전한 후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어서 자성 소자(42)의 위치가 검출될 때 계속하여 동력 전달축(20)을 제어하여 다시 제2 기정 각도 회전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정 각도는 제2 기정 각도와 동일하고, 제1 기정 각도와 제2 기정 각도의 합은 즉 기정의 회전 각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정의 회전 각도는 최저로 50도이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와 선풍기가 일정한 송풍 범위를 가지도록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정의 회전 각도는 최대로 150도이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와 선풍기의 송풍 범위가 너무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정의 회전 각도는 최저로 60도이고, 최대로 120도일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다수의 단을 구비하고, 각 단은 하나의 기정의 회전 각도에 대응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요에 따라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동력 전달축(20)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여, 선풍기의 송풍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 및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3개의 단을 구비하고, 3개의 단에 대응되는 기정의 회전 각도는 각각 60도, 90도 및 120 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 또는 선풍기는 리모콘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콘에는 방향 전환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방향 전환 버튼은 누름 횟수에 따라 방향 전환 부재의 단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슬리브(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50)는 동력 전달축(20) 외부에 고정되게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자성 소자(42)는 슬리브(50)에 장착된다. 이로써, 슬리브(50)의 설치를 통해, 자성 소자(42)가 동력 전달축(20)에 장착되어, 동력 전달축(20)의 좌우 회전의 한계 위치를 제한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50)는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계단에 장착된다. 이로써, 장착할 경우, 슬리브(50)에 대해 위치 결정 및 위치 제한을 진행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50)는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제2 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계단은 상기 제2 계단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50)는 스토퍼 링 돌출부(111)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구조 콤팩트성을 향상시켜,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소형화를 실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계단은 제1 계단과 모터(30) 사이에 설치된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1) 내에는 지지 돌출부(112)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50)는 스토퍼 돌출부와 지지 돌출부(112) 사이에 설치되고, 스토퍼 돌출부를 멀리한 상기 슬리브(50)의 일단부는 지지 돌출부(112)와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슬리브(50)에 대한 위치 제한을 실현하여, 동력 전달축(20)을 관통홀(11) 내에 위치 제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4개 구간을 포함하고,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각각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 및 제4 구간이며,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 및 제4 구간의 직경은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모터(30)를 멀리한 동력 전달축(20)의 제1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간은 관통홀(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와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간에는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와 연결되는 맞춤 구조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구간과 제3 구간 사이에는 제1 계단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구간과 제4 구간은 제2 계단을 형성한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축(20)에는 배선을 위한 배선홀(22)이 구비된다. 이로써, 전기 연결 라인(a)을 동력 전달축(20) 상의 배선홀(22) 내에 설치함으로써, 동력 전달축(20) 내에서 배선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배선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 연결 라인(a)이 동력 전달축(20)에서 회전할 때 선이 흔들려 끊어지거나 당겨져 끊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어, 헤드 쉐이킹 장치(100)와 선풍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홀(22)은 동력 전달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 방향 구간 및 축 방향 구간과 연통된 반경 방향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축 방향 구간은 모터(30)를 멀리한 동력 전달축(20)의 단부면을 관통한다. 이로써, 배선홀(22)이 L형 형상 또는 대체적으로 L형 형상을 나타내게 되어, 배선에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경 방향 구간은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제4 구간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중공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일체형 구조이며,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 강도를 구비하게 되고, 신뢰도가 양호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50)에는 반경 방향 구간에 대응되게 배선 비아홀(51)이 구비된다.
물론, 기타의 방식을 이용하여 배선홀(22)을 설계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배선홀(22)의 양단부를 각각 동력 전달축(20)의 양 단부면을 관통시키며, 이때 동력 전달축(20)과 모터(30) 본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구비하여, 배선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배선홀(22)이 Z형 형상을 나타내고, 즉, 동력 전달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 방향 구간 및 축 방향 구간과 연통된 2개의 반경 방향 구간을 포함하고, 2개의 반경 방향 구간은 이격되게 분포되고, 그중의 하나의 반경 방향 구간은 모터(30)를 멀리한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반경 방향 구간은 모터(30)에 인접한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개구 리테이닝 링(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 리테이닝 링(70)은 상기 모터(30)에 인접한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 리테이닝 링(70)은 동력 전달축(20) 외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동력 전달축(20)의 주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 리테이닝 링(70)은 모터(30)를 향한 지지 돌출부(112)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을 위로 들어올릴 때(예컨대,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를 들어올릴 때), 개구 리테이닝 링(70)은 지지 돌출부(112) 등의 부재와 밀착되어, 동력 전달축(20)의 축 방향 운동에 대해 위치 제한을 진행하여, 동력 전달축(20)이 관통홀(11) 내에서 그의 축 방향을 따라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주변에는 고리형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 리테이닝 링(70)은 고리형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30)를 아래를 향해 설치할 수 있으며, 즉, 모터(30)가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30)를 위로 향해 설치할 수도 있으며, 즉, 모터(30)를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30)는 스텝 모터(30)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30)의 회전 속도는 0보다 크고 25 rpm (r/min)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이 너무 빠르게 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30)의 회전 속도는 2 rpm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이 너무 늦어지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30)의 회전 속도가 3 rp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5 rpm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선풍기의 헤드 쉐이킹 속도가 상대적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30)의 회전 속도는 3 rp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0 rpm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플라스틱 부품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출부를 설치하지 않고서, 베어링을 이용하여 동력 전달축(20)이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축(20)은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관통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의 회전 저항력을 저감시키고, 동력 전달축(20)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은 동력 전달축(20)의 축 방향에서 이격되게 설치된 2개의 서브 베어링을 포함하고, 각각 제1 서브 베어링(61)과 제2 서브 베어링(62)이다. 이로써, 동력 전달축(20)에 이격되게 분포된 2개의 서브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동력 전달축(20)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베어링(61)은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계단에 장착된다. 이로써, 제1 서브 베어링(61)을 동력 전달축(20)의 계단에 장착함으로써, 조립할 경우, 제1 서브 베어링(61)과 동력 전달축(20)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제한에 편리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전달축(20)의 계단에 장착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 베어링(61)은 동력 전달축(20) 상의 제2 계단과 인접한 제1 계단에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50)는 제1 서브 베어링(61)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구조 콤팩트성을 향상시켜,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소형화를 실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1) 내에는 위치 제한 돌출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서브 베어링(61)은 위치 제한 돌출부와 동력 전달축(20)의 제2 구간 사이에 설치된다. 이로써, 조립할 경우, 제1 서브 베어링(61)과 동력 전달축(20)과 관통홀(11)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제한에 편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브 베어링(61)은 슬리브(50)와 밀착되기도 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출부(112)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서브 베어링(62)은 모터(30)에 인접한 동력 전달축(2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50)는 제1 서브 베어링(61)과 제2 서브 베어링(62) 사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 베어링(61)을 멀리한 상기 슬리브(50)의 일단부는 제2 서브 베어링(62)과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구조 콤팩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서브 베어링(62)은 플라스틱 부품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조립 과정은 대체적으로, 1) 제1 서브 베어링(61)을 동력 전달축(20)에 장착하고, 2) 이어서 고정 베이스(10), 슬리브(50), 자성 소자(42), 홀 소자(41), 제2 서브 베어링(62) 및 개구 리테이닝 링(70) 등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3) 마지막으로 모터(30)를 고정한다. 물론, 기타의 순서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선풍기를 더 제출하며, 해당 선풍기는 헤드 쉐이킹 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헤드 쉐이킹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며, 본 출원의 선풍기가 상술한 모든 실시예의 모든 기술적 방안을 이용하므로, 적어도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으로 실현하는 모든 장점을 구비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풍기(1000)는 팬박스(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팬박스(200) 내에 장착된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에 대해 보호 및 지지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박스(200)는 일체형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팬박스(200)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팬박스(200)의 단부에는 개구(201)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100)는 상기 개구(201)를 통해 상기 팬박스(200) 내에 슬라이딩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헤드 쉐이킹 장치(100)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박스(200)는 분립형 구조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풍기(1000)는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박스(200)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는 팬박스(20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헤드 쉐이킹 장치(100)의 동력 전달축(20)과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풍기(1000)는 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박스(200)의 타단부는 베이스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풍기(1000)는 제어부(미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헤드 쉐이킹 장치(100)와 서로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발명 구상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한 균등한 구조 변환, 또는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기타의 관련된 기술분야에 운용되는 것은 모두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면부호 명칭 도면부호 명칭
100 헤드 쉐이킹 장치 42 자성 소자
10 고정 베이스 50 슬리브
11 관통홀 51 배선 비아홀
111 스토퍼 링 돌출부 61 제1 서브 베어링
112 지지 돌출부 62 제2 서브 베어링
20 동력 전달축 70 개구 리테이닝 링
21 축 장착홀 a 전기 연결 라인
22 배선홀 1000 선풍기
30 모터 200 팬박스
31 출력축 201 개구
41 홀 소자 300 선풍기 헤드 어셈블리

Claims (10)

  1. 선풍기에 배치되는 헤드 쉐이킹 장치에 있어서,
    관통홀이 구비되는 고정 베이스;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력 전달축;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고, 출력축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의 축선이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선과 공선적이며,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이형홀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단면 형상이 이형이고 상기 이형홀에 삽입하기에 적합하거나, 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축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축 장착홀 내에는 내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외주면에는 외부 스플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스플라인은 상기 외부 스플라인과 맞춤되거나, 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에는 축 장착홀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은 상기 축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축 장착홀 사이는 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홀 내에는 스토퍼 링 돌출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 방향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의 서브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은 계단식 축이고,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계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방향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축이 왕복 회전하는 기정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홀 소자 및 자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 소자와 상기 자성 소자 중의 하나는 상기 동력 전달축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는 상기 동력 전달축 외부에 고정되게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자성 소자는 상기 슬리브에 장착되고, 상기 홀 소자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은 계단식 축이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계단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어링 또는 상기 스토퍼 링 돌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10. 선풍기에 있어서,
    팬박스와,
    헤드 쉐이킹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상기 팬박스 내에 장착되고, 상기 헤드 쉐이킹 장치는 고정 베이스, 동력 전달축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에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 전달축은 상기 관통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은 상기 동력 전달축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축의 축선과 상기 동력 전달축의 축선은 공선적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동력 전달축의 회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쉐이킹 장치.
KR1020227025553A 2019-12-23 2020-01-08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KR102643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46046.8 2019-12-23
CN201911346046.8A CN113090569B (zh) 2019-12-23 2019-12-23 摇头装置和风扇
PCT/CN2020/071006 WO2021128485A1 (zh) 2019-12-23 2020-01-08 摇头装置和风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080A true KR20220114080A (ko) 2022-08-17
KR102643884B1 KR102643884B1 (ko) 2024-03-07

Family

ID=7657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553A KR102643884B1 (ko) 2019-12-23 2020-01-08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2986A1 (ko)
JP (1) JP7483877B2 (ko)
KR (1) KR102643884B1 (ko)
CN (1) CN113090569B (ko)
WO (1) WO2021128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1633A (zh) * 2022-07-04 2022-08-26 深圳市艾斯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两侧固定中间往复旋转的摇头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81B1 (ko) * 2013-03-06 2013-05-14 조요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엠에프지 엘티디 360도 회전 전기 선풍기
CN103671178A (zh) * 2013-12-06 2014-03-2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摇头装置和电风扇
CN206360911U (zh) * 2016-11-10 2017-07-28 岑代郁 风扇的360度手动分角度转动通电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539A (en) * 1986-02-14 1988-03-22 Holmes Products Corp. Oscillating fan
CN201225301Y (zh) * 2008-07-28 2009-04-22 吕荣焕 一种电风扇
CN104047873B (zh) * 2013-03-13 2016-12-28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风扇头及具有它的电风扇
CN203500082U (zh) 2013-06-17 2014-03-26 李文钦 缓冲阻窒的电风扇构造
CN103967818A (zh) * 2014-04-18 2014-08-06 吴卓进 一种风扇摆头机构
KR101649119B1 (ko) * 2014-09-19 2016-08-3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방향 회전 선풍기
JP3202959U (ja) 2015-12-18 2016-03-03 広東又一電器科技有限公司Guangdong YouYi Electrical Technology Co.,Ltd. 360度首振り式扇風機導電装置及び360度首振り式扇風機
CN209340190U (zh) * 2018-11-06 2019-09-03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风扇摇头机构及使用该机构的风扇
CN109737084A (zh) * 2019-01-27 2019-05-10 深圳市再玩科技有限公司 摇头风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581B1 (ko) * 2013-03-06 2013-05-14 조요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엠에프지 엘티디 360도 회전 전기 선풍기
CN103671178A (zh) * 2013-12-06 2014-03-2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摇头装置和电风扇
CN206360911U (zh) * 2016-11-10 2017-07-28 岑代郁 风扇的360度手动分角度转动通电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8485A1 (zh) 2021-07-01
JP2023505936A (ja) 2023-02-14
US20220372986A1 (en) 2022-11-24
CN113090569A (zh) 2021-07-09
KR102643884B1 (ko) 2024-03-07
CN113090569B (zh) 2023-01-24
JP7483877B2 (ja)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987B1 (ko) Bldc 모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용 구동장치
WO2021062636A1 (zh) 机器人及其集成关节
KR20220114080A (ko) 헤드 쉐이킹 장치 및 선풍기
US20180207796A1 (en) Speed reduction device, join servo and robot
KR101789138B1 (ko) 전달토크 특성 개선을 위한 폴 피스를 갖는 마그네틱 기어
KR20220092407A (ko) Bldc 모터를 구비한 구동모터 및 이를 이용한 스위블 액추에이터
US20170317567A1 (en)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US20070231163A1 (en) Motor assembly structure
JP2017011975A (ja) ギヤドモータ
JP2018113787A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並びに換気扇
KR20190114622A (ko) 소형 구동 모터, 이를 이용한 에어 벤트 시스템용 액추에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369112B (zh) 驱动装置
KR101694541B1 (ko) 리니어 스텝 모터
US20140102231A1 (en) Threaded rod reciprocation inner rotor direct drive mechanism
KR102459397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07257171A (zh) 一种具有感应磁体与驱动磁体的一体式转子组件
KR101020796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1743886B1 (ko) 리니어 스텝 모터
US10236746B2 (en) Electric machine, lock and associated method
US20200200168A1 (en) Oil pump
TWI668944B (zh) 絕緣套管、及使用其之定子單元結構和伺服馬達結構
US20190301524A1 (en) Module bearing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same
CN205265444U (zh) 驱动机构及使用该驱动机构的车辆
CN214850699U (zh) 双轴电机
TWM575216U (zh) 馬達定子裝置與馬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