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893A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893A
KR20220113893A KR1020220095950A KR20220095950A KR20220113893A KR 20220113893 A KR20220113893 A KR 20220113893A KR 1020220095950 A KR1020220095950 A KR 1020220095950A KR 20220095950 A KR20220095950 A KR 20220095950A KR 20220113893 A KR20220113893 A KR 2022011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information output
expre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권동수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453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29908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2009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893A/en
Publication of KR2022011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893A/en
Priority to KR1020240008215A priority patent/KR202400151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6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Disclosed i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which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unit including: a coil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disposed so that current flows; a base unit formed to accommodate the coil unit; an expression unit formed and arranged to be sensed by a user; and a driving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base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coil unit,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unit, is driven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unit, and performs angular or rotational movement to move the expression unit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and move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Users may perceiv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For this purpo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devices are used.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an apparatus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using printed material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through sound, etc. are being used.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modern times,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s and technology advances, information output devices including electronic technology are also widely used, and display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are commonly used as visual information output devices.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splay device, various circuits and the like are built-in,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ambiguity and inconvenient control.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formats are required.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output devices may be reque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each user has, and in particular, when a user with a specific sense is weakened, for example, visual ability is weak or absent, information output through tactile sense is required. When outputting information through tactile sen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it easily and stably drive it, so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improved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사용자가 감지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는 표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코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어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여 상기 표현부를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utput unit, wherei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includes a coil par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rranged to flow a current, and a base part formed to accommodate the coil part. , an expression unit formed and arranged to be detected by the user and disposed on the base unit, spaced apart from the coil uni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unit, driven by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unit, to perform an angular or rotational motion to express the expression Disclosed i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move the unit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oil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서로 극성이 상이한 영역을 갖는 자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magnetic force unit having regions having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를 중심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여 상기 표현부를 구동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trol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may drive the expression unit by angular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외측면에 구동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면을 통하여 상기 표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surface on at least an outer surface, and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expression unit through the driving surface, and the driving surface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수용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oil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driving par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구별하도록 형성된 경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boundar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distinguis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운동 시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disposed on the base part and supporting the driving part when the driving part move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외측면에 구동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면을 통하여 상기 표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surface on at least an outer surface,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expression unit through the driving surface, and the support uni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surf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은 서로 일 방향 또는 이와 다른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nd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mprove durability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베이스부의 일 영역을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 및 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부 및 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베이스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4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unit of FIG. 4 .
FIG. 8 is a front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of FIG. 7 .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gion of the base portion of FIG. 4 viewed from one direction.
10A and 10B are views illustrating a support par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and a modified example thereof.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presentation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and a modified example thereof.
FIG.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ase par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practic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도 1는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다. 즉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100)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일 수 있다.1 to 3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output unit, and FIG. 1 shows one information output unit. 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 of FIG. 1 may be one information output unit.

도 1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one information output unit is illustrated in FIG. 1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 may include two or thre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as an optional embodiment.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 may include various number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product, and the user characteristic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one information output unit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정보 출력 장치(100)은 코일부(120), 베이스부(130), 구동부(140) 및 표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may include a coil unit 120 , a base unit 130 , a driving unit 140 , and an expression unit 110 .

표현부(110)는 후술할 구동부(14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120)를 향하는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expression unit 110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move upward and downward based on at leas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ression unit 110 . For example, it can move in one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120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를 통하여 표현부(1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1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expression unit 110 can be mov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nd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tactilely or visually.

표현부(110)는 표현면(111), 지지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ression unit 110 may include an expression surface 111 and a support surface 112 .

지지면(112)은 표현부(110)의 영역 중 구동부(140)를 향하는 면으로서 표현부(1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구동부(140)와 접할 수 있고, 구동부(140)는 지지면(112)을 통하여 표현부(1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이 지지면(112)과 접하면서 지지면(112)을 제1 방향, 즉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112 is a surface facing the driving unit 140 among the regions of the expression unit 110 , and forms a lower region of the expression unit 11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140 , and the driving unit 140 is the supporting surface 112 . ) to transmit the force to the expression unit 110 . For example, while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12 , the support surface 112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

표현면(111)는 표현부(110)의 영역 중 가장 외측, 예를들면 코일부(120)와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ression surface 111 may include an area recognized by the user as the outermost area of the expression unit 110 , for example, the area farthest from the coil unit 120 .

예를들면 표현부(1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나, 표현면(111)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표현면(111)의 접촉을 통하여 표현부(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표현면(111)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 표현부(110)의 운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recognize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expression unit 110 , but may recognize only the expression surface 111 . For example,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through contact with the expression surface 111 , and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through visual sensing of the expression surface 111 . may detect it.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면(1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surface 111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표현부(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둥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ression unit 1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include an area in the form of a column, for example, may include an area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110)의 돌출된 영역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truding area of the expression unit 110 may have a curved surface, and the corner may have a curved surface.

표현부(11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ress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 light and durable material. For example, it may contain a resin-based organic material. Another example may includ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ceramic materials.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110)는 금속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glass.

코일부(12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2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1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il unit 12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When a current flows in the coil unit 120 , a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around the coil unit 120 .

코일부(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2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 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The coil unit 12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oil unit 1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it wires are wound, and the number of windings may be variously controlled.

코일부(1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을 통하여 구동부(140)가 운동할 수 있게 고, 구동부(140)의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표현부(110)의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can be mov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unit 120 ,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7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17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코일부(120)와 인접하도록 또는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170 may be further disposed,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support part 17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or support the coil part 120 .

예를들면 지지부(170)는 길게 연장된 영역을 포함하고, 코일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지지부(170)를 중심으로 코일부(120)의 복수의 코일들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unit 170 includes an elongated region and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coil unit 120 , and 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coils of the coil unit 120 are wound around the support unit 170 . may have a given form.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70)의 일단은 길게 연장되어 후술할 구동부(140)를 지지할 수 있고, 구동부(140)의 운동은 지지부(170)의 일단에 지지된 채 진행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70 may be extended to support the driv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may proceed while being supported by one end of the supporting unit 17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70)는 베이스부(130)의 관통부(130H)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7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portion 130H of the base portion 13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7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연장 부재(171)는 자성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코일부(120)를 통한 자기장 발생 시 자기장 크기를 증가할 수 있고, 자기장 발생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unit 17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extension member 171 may contain a magnetic material. Through this, when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rough the coil unit 120 ,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can be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can be reduced by efficiently generating the magnetic field.

베이스부(130)는 코일부(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130)는 제1 수용부(131) 및 제2 수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13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coil part 120 . For example, the base part 13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not overlap each oth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는 이격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may be spaced apart.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는 관통홀로 연결될 수도 있다.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제1 수용부(131)에 코일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지지부(170)는 제1 수용부(131)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17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관통홀을 통하여 제2 수용부(132)에까지 배치될 수 있다.The coil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131 .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support 17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 and an area of the support 170 may be extend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through a through hole. .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30)의 제2 수용부(132)에는 구동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홈(미도시)은 베이스부(130)의 제2 수용부(1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방향, 예를들면 코일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driv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ceiving part 132 of the base part 130 . For example, the driv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132 of the base part 130 facing each oth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il part ( 120)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it.

베이스부(130)는 코일부(120) 및 구동부(140)를 수용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코일부(120) 및 구동부(140)를 모두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unit 130 may have an elongated shape to accommodate the coil unit 120 and the driving unit 140 ,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both the coil unit 120 and the driving unit 140 as a whole.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30)는 제1 수용부(131)과 제2 수용부(132)의 사이에 경계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ase 130 may include a boundary 133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

경계부(133)를 통하여 제1 수용부(131)와 제2 수용부(132)는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boundary part 133 .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부(133)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지지부(170)의 일 영역이 연장되어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133 to extend and pass through one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170 .

또한, 베이스부(130)는 입구부(130a)를 포함하고, 입구부(130a)는 제2 수용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부(130a)를 통하여 표현부(110)는 베이스부(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Also, the base part 130 may include an inlet part 130a, and the inlet part 13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132 . Through the inlet portion 130a, the expression portion 110 may be move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base portion 130 protruding to the outside.

구동부(140)는 베이스부(1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2 수용부(132)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수용부(131)에 배치된 코일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unit 130 . The driving unit 1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unit 132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unit 120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131 .

구동부(140)는 상기 코일부(1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1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어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구동부(140)를 통하여 표현부(110)는 상하 운동, 예를들면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일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unit 120 and is driven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unit 120 to perform angular or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driving unit 140, the expression unit 110 may move up and down, for example, in one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에는, 예를들면 내측 공간에는 자력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15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magnetic force unit 150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140 , for example, in the inner space. For example, the magnetic element 150 may contain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permanent magnet.

자력부(150)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구동부(1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코일부(120)로부터 표현부(1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magnetic unit 150 may have a first region (eg, an N pole or an S pole) and a second region (eg, an S pole or an N pole) of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egion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he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coil unit 120 toward the expression unit 110 at one point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140 , for example, in the Z-axis direction.

예를들면 도 1을 기준으로 자력부(150)의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코일부(120)로부터 표현부(1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FIG. 1 ,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magnetic force unit 15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from the coil unit 120 toward the expression unit 110 , for example, in the Z-axis direction. can

구동부(140)는 적어도 외측면에 구동면(140a)을 포함하고, 구동면(140a)은 표현부(1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표현부(110)의 상하 운동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driving surface 140a on at least an outer surface, and the driving surface 140a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expression unit 11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은 외면으로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은 원과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as an outer surface. As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boundary line having a shape similar to a circle.

구동부(140)는 구동 제어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149 .

구동 제어부(149)를 통하여 구동부(140)의 구동의 위치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부(140)가 코일부(120)에 의하여 운동할 때 구동 제어부(149)를 중심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140 is moved by the coil unit 120 , it may perform an angular motion or a rotational motion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중심축과 구동 제어부(149)는 일치하지 않고 편심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14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may be eccentric.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150)는 구동부(140)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예를들면 구동 제어부(149)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unit 150 may not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140 , and may be disposed to overlap, for example, a reg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이를 통하여 구동부(140)에 대한 토크력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부(240)가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표현부(110)에 대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정보 출력 장치(100)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generate a torque force for the driving unit 140 , and to make the driving unit 240 angular or rotational to efficiently perform the movement for the expression unit 110 , and to perform a precis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 You can improve your expressive power. Also, power consump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may be reduced.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부(140)는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이격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a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may include a space (not shown) spaced therebetween.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외면은 적어도 일 면에 구동면(140a)을 포함하여 구동부(140)의 운동 시 표현부(110)를 지지하여 표현부(1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에 도시된 구동면(140a)을 포함하는 구동부(140)의 외측 경계선(예를들며 원)은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또는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경계선일 수 있다.External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include a driving surface 140a on at least one surface to support the expression unit 110 during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to support the expression unit ( 11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example, an outer boundary line (eg, a circle) of the driving unit 140 including the driving surface 140a shown in FIG. 1 is a boundary line of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or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can

선택적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외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면(140a)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External surfaces of the optional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for example, the driving surface 140a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다.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는 회전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각 디스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All.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rotating body,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disk, respectively.

이를 통하여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회전 또는 각 운동 시 표현부(110)의 지지면(112)에 자연스런 구동력을 제공하여 표현부(110)가 연속적이고 자연스런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a natural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upport surface 112 of the expression unit 110 during rotation or angular mo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so that the expression unit 110 is continuous and It can make natural exercise proceed efficiently.

구동 제어부(149)는 구동부(140)의 적어도 일 측면, 예를들면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149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140 , for example, both sides.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149)는 돌출된 형태, 즉 구동부(140)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1을 기준으로 도면에서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구동 제어부(149)의 돌출된 형태는 베이스부(130)가 구동홈(미도시)를 포함할 경우 구동홈(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may protrude in a protruding form,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driving unit 140 (a direction protruding in the drawing with reference to FIG. 1 ),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a driving control unit ( The protruding shape of the 149 may correspond to the driving groove (not shown) when the base part 130 includes a driving groove (not shown).

예를들면 구동부(140)는 코일부(120)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구동부(140)내의 자력부(150)에 대한 척력 및 인력 작용으로 인하여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제어부(149)를 중심으로 구동부(140)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하 운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40 may be moved by a magnetic field by the coil unit 120 ,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driving unit 140 may move up and down due to the repulsive force and attractive force applied to the magnetic unit 150 in the driving unit 140 .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140 may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구동 제어부(149)가 베이스부(130)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2 수용부(132)의 구동홈(미도시)에 배치된 채 구동부(140)가 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40 is operated while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of the driving unit 140 is disposed in a driving groove (not shown) of the base unit 130 , for example, in a driving groov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32 . can exercise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1 운동 영역(145) 및 제2 운동 영역(148)이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motion region 145 and a second motion region 148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제1 운동 영역(145) 및 제2 운동 영역(148)은 각각 구동부(140)의 운동 시 최저점 및 최고점의 기준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motion region 145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may be a reference region for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dur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 respectively.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운동 영역(145) 및 제2 운동 영역(148)의 사이에는 연결 영역(147)이 배치될 수 있고, 연결 영역(147)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14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vement region 145 and the second movement region 148 , and the connection region 147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예를들면 도 1과 같이 제1 운동 영역(145)이 최하부, 즉 코일부(120)와 가장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 때 구동부(120)는 최저점에 놓이고 이에 따라 표현부(110)도 최저점에 놓인 상태, 구체적으로 표현부(110)가 베이스부(130)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가장 작을 때일 수 있다. 이 때 제1 운동 영역(145)은 지지부(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when the first motion region 145 is disposed at the lowest point, that is, the region closest to the coil unit 120 , the driving unit 120 is placed at the lowest point, and accordingly, the expression unit 110 is also located at the lowest point. It may be in a laid state, specifically, when the height at which the expression unit 110 protrudes from the base unit 130 is the smallest. In this case, the first motion region 145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70 .

그리고 나서 도 2와 같이 코일부(12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면 구동부(140)가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140)에 배치된 자력부(150)에 척력이 작용하면 자력부(150)의 일단부(척력이 작용하는 극성쪽)이 자기장의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면서 연결 영역(147)이 지지부(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상승, 즉 구동부(120)의 최상면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표현부(110)도 약간 상승, 도 2를 참조하면 H1의 높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Then,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unit 120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as shown in FIG. 2 , the driving unit 140 can move, for example, when a repulsive force is applied to the magnetic force unit 150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140 . The connection region 147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70 while one end (the polarity side on which the repulsive force is applied) of the magnetic force unit 150 is disposed away from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Referring to FIG. 2 , the driving unit 120 rises, that is,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driving unit 120 rises, and accordingly, the expression unit 110 also slightly rises. Referring to FIG. 2 , the driving unit 120 may rise as much as the height of H1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149)를 중심으로 구동부(140)가 회전 운동하므로 구동 제어부(149)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unit 140 rotates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may maintain its position.

그리고 나서 도 3과 같이 도 2의 코일부(12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면 구동부(140)가 계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140)에 배치된 자력부(150)의 영역 중 발생한 자기장에 따라 인력이 작용하는 자력부(150)의 일단부가 코일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되면서 제2 운동 영역(148)이 지지부(17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상승, 즉 구동부(120)의 최상면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표현부(110)도 상승할 수 있고 도 3의 상태가 표현부(110)의 최상승점이 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3 ,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unit 120 of FIG. 2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formed, the driving unit 140 can continuously move, for example, a magnetic force unit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140 . One end of the magnetic force unit 150 on which an attractive force acts according to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in the region 150 is disposed clos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120 ,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is moved b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70 . can be supported Referring to FIG. 3 , the driving unit 120 rises, that is,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driving unit 120 rises, and accordingly, the expression unit 110 may also rise, and the state of FIG. 3 may be the highest poi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149)를 중심으로 구동부(140)가 회전 운동하므로 구동 제어부(149)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unit 140 rotates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may maintain its position.

선택적 실시에로서 도 1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의 이동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2의 상태는 하나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변하였을 때, 도 2의 상태에서 구동부(140) 및 표현부(110)가 멈추지 않고 계속 운동하여 도 3의 상태로 변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vement from the state of FIG. 1 to the state of FIG. 3 may be continuous. The state of Fig. 2 is for explaining one process, and when the state of Fig. 1 is changed to the state of Fig. 2, the driving unit 140 and the expression unit 110 in the state of Fig. 2 continue to move without stopping. It can change to state 3.

예를들면 도 1 및 도 3은 표현부(110)가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이고 도 2는 표현부(110)의 운동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FIGS. 1 and 3 may be a state in which the expression unit 110 can maintain a stationary state, and FIG. 2 may show a state in which the expression unit 110 is in mo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의 순차적인 운동 과정은 후술할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quential exercise process of FIGS. 1 to 3 may also be applied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구동부(140)의 회전 운동 시 지지부(170)는 제1 운동 영역(145)을 지지하다가 제2 운동 영역(148)을 지지하기 전에 연결 영역(147)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140)가 자연스럽게 운동하여 이에 따른 표현부(110)의 운동도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40 , the support unit 170 may support at least one area of the connection area 147 while supporting the first motion area 145 and before supporting the second motion area 148 , Through this, the driving unit 140 naturally moves,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11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구동면(140a)과 제1 운동 영역(145)간의 거리는 구동면(140a)과 제2 운동 영역(148)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면(140a)과 제1 운동 영역(145)간의 거리는 구동면(140a)과 제2 운동 영역(148)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140a and the first motion region 145 may be different from a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140a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140a and the first motion region 145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140a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형태상 중심축으로부터 제1 운동 영역(145)간의 거리는 구동부(140)의 형태상 중심축으로부터 제2 운동 영역(148)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ion region 145 from the central axis in the shape of the driving unit 14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from the central axis in the shape of the driving unit 14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149)로부터 제1 운동 영역(145)까지의 거리는 구동 제어부(149)로부터 제2 운동 영역(148)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149)로부터 연결 영역(147)까지의 거리도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to the first motion region 145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to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 and as a further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The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149 to the connection region 147 may be the same or similar.

예를들면 구동 제어부(149)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을 갖는 원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결 영역(147)이 대응될 수 있고, 제1 운동 영역(145) 및 제2 운동 은 각각 지름에 대응하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탄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region 147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region of the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around the center point of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and the first motion region 145 and the second motion each correspond to the diameter. It may have a shape of flat surfac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in areas facing each other.

이를 통하여 구동 제어부(149)를 중심으로 구동부(140)가 회전 운동 시 지지부(170)가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을 지지 시 구동 제어부(149)의 위치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driving unit 140 rotates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when the support unit 170 supports the first motion area 145, the second motion area 148, and the connection area 147, the drive control unit ( 149) may remain the same or similar.

또한, 지지부(170)에 의한 지지 시 지지부(170)가 지지하는 연결 영역(147)이 곡면 또는 원호에 가까운 면을 포함하여 구동부(140)의 원활하고 부드러운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70, the connection region 147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70 includes a curved surface or a surface close to a circular arc, so that smooth and smooth movement of the driving portion 14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부(130)의 제2 수용부(132)는 구동 제어부(149)를 수용하도록 적어도 구동 제어부(149)보다 큰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32 of the base part 130 may include a groove having a shape that is at least larger than that of the driving controller 149 to accommodate the driving controller 149 .

전술한 내용은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을 포함하는 영역,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및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이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또한,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a first motion region in an area including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 for example, in a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A case in which 145 , the second motion region 148 , and the connection region 147 are disposed has been described. In addition, this is also the same in the Examp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을 포함하는 영역,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또는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의 외측면에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이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a region including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for example, a first motion region ( 145 , a second movement area 148 , and a connection area 147 may be disposed.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140)의 구동면(140a)을 포함하는 영역,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또는 제2 구동 부재(미도시)이 하나 존재하고, 양측면에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이 배치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49)는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를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a region including the driving surface 140a of the driving unit 140, for example, on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or a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exists, and the first The movement area 145 , the second movement area 148 , and the connection area 147 may be disposed, and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 unit 149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ement area 145 , the second movement area 148 and the connection area. It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nstituting the region 147 .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선택적 실시예, 즉 구동면(140a)을 포함하는 영역,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미도시) 또는 제2 구동 부재(미도시)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형태의 외면에 제1 운동 영역(145), 제2 운동 영역(148) 및 연결 영역(147)을 갖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한 구조를 포함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se various optional embodiments, that is, a region including the driving surface 140a,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or the second driving member (not show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at of the first driving member (not shown). The structure including the movement area 145 , the second movement area 148 , and the connection area 147 may include a structure with various modifications. In addition, these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구동부는 적어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구동부의 운동에 따라서 표현부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and the driving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may move in at least a first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is,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 expression unit may als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same direction. B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user can be output.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 sensing th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through tactile sense when the expression unit protrudes.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t may be information output in the form of braille output.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a visual sensing type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sense when the expression unit protrudes. In particular, at this time, when a col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r light is generat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such a visual effect can be increased.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output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various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user.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코일부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1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상승할 수 있고, 구동 제어부에 의하여 일정 영역을 유지한 채 회전 운동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can easi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rise by the magnetic field by the coil unit, and ro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rea by the driving control unit.

예를들면 구동부의 내부에 배치된 자력부의 극성에 따라 코일부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척력이 발생하면 구동부는 회전 운동하면서 상승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unit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force unit disposed inside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may rotate and move upward.

이를 통하여 구동부의 상승과 하강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정밀한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현부의 상승과 하강시의 불규칙한 단속성을 감소하고 유연한 운동과 정밀한 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driving part is a smooth, natural and precise movement, thereby reducing the irregular intermittentness of the rising and descending of the expression part,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flexible and precise movements.

표현부가 상승 및 하강을 진행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An on or off state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e expression unit ascending and descending.

또한, 구동부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중에 지지, 예를들면 지지부를 통한 제1 운동 영역 및 제2 운동 영역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구동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어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s removed through support, for example, the first motion region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through the supporting unit during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s of the driving unit, the state may be maintained.

즉, 코일부의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부의 연장부에 제1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부터, 연장부에 제2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 상승한 후에는 코일부에 연결된 전원을 제거 또는 전류나 전압을 제거하여도 구동부는 연장부에 제2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first movement region is supported on the extension part of the driving part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part and rises from the state where the second movement zone is supported on the extension part, the power connected to the coil part is removed or a current or voltage is applied. Even if removed, the driving unit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tion region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또한, 코일부를 통한 반대 방향의 자기장에 의하여 연장부에 제2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부터, 연장부에 제1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 하강한 후에는 코일부에 연결된 전원을 제거 또는 전류나 전압을 제거하여도 구동부는 연장부에 제1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descending from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vement region is supported on the extension portion by a magnetic fiel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coil portion to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ement region is supported on the extension portion, the power connected to the coil portion is removed or current However, even when the voltage is removed, the driving unit ma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tion region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부의 온(On) 및 오프(Off)상태를 용이하게 전환 및 유지할 수 있고, 표현부의 운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expression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easily switched and maintained,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can be reduced, and the overall energy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improved. can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에 구비된 구동 제어부는 구동부의 중심축과는 편심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하여 구동부의 회전 운동을 통한 상승과 하강을 구현하여 표현부에 대한 정밀하고 부드럽고 자연스런 운동 제어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of this embodiment is eccentric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and through this, a torque is easily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to realize rising and falling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reby providing precise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expression unit. Smooth and natural movement control.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에 구비된 자력부는 구동 제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의 중심과 구동 제어부가 중첩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unit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magnetic force unit may overlap the driving control unit.

이를 통하여 구동 제어부를 기준으로 구동부가 회전 시에 자력부의 위치의 변화를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와 자력부간의 간격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일부를 통한 자기장의 영향이 자력부에 미치는 효과의 불균일성을 감소할 수 있고 구동부의 운동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force unit can be reduced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driving control unit, and,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unit and the magnetic force unit can be maintained the same or similar. As a result, the non-uniformity of the effect of the effect of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coil unit on the magnetic force unit may be reduced, and precise control of the motion of the driving unit may be facilitat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4 ,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4 .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도 4는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을 도시한다. 즉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200)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일 수 있다.4 to 9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output unit, and FIG. 4 shows one information output unit. 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0 of FIG. 4 may be one information output unit.

도 4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one information output unit is illustrated in FIG. 4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200 may include two or thre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as an optional embodiment.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2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200 may include various numbers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ccording to use, characteristics of applied products, and user characteristic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one information output unit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정보 출력 장치(200)은 코일부(220), 베이스부(230), 구동부(240) 및 표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0 may include a coil unit 220 , a base unit 230 , a driving unit 240 , and an expression unit 210 .

표현부(210)는 후술할 구동부(240)의 운동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표현부(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220)를 향하는 일 방향 및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expression unit 210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move upward and downward based on at leas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ression unit 210 . For example, it can move in one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220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를 통하여 표현부(210)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운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 또는 시각적으로 표현부(210)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expression unit 210 may move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nd the user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tactilely or visually.

표현부(210)는 표현면(211), 지지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ression unit 210 may include an expression surface 211 and a support surface 212 .

지지면(212)은 표현부(210)의 영역 중 구동부(240)를 향하는 면으로서 표현부(210)의 하부 영역을 이루고 구동부(240)와 접할 수 있고, 구동부(240)는 지지면(212)을 통하여 표현부(2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212 is a surface facing the driving unit 240 among the regions of the expression unit 210 , and forms a lower region of the expression unit 21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240 , and the driving unit 240 is the support surface 212 . ) through the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expression unit 210 .

표현면(211)는 표현부(210)의 영역 중 가장 외측, 예를들면 코일부(220)와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ression surface 211 may include an area recognized by the user as the outermost area of the expression unit 210 , for example, the area farthest from the coil unit 220 .

예를들면 표현부(2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나, 표현면(211)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표현면(211)의 접촉을 통하여 표현부(210)의 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고, 표현면(211)에 대한 시각적 감지를 통하여 표현부(210)의 운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recognize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expression unit 210 , but only the expression surface 211 may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through contact with the expression surface 211 , and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through visual sensing of the expression surface 211 . may detect it.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면(2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surface 211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표현부(2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둥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4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ression unit 2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y include an area in the form of a column, for example, may include an area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a column as shown in FIG. 4 .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210)의 돌출된 영역은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truding area of the expression unit 210 may have a curved surface, and the corner may have a curved surface.

표현부(210)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로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지 계열의 유기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라믹 재료와 같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ression unit 21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 light and durable material. For example, it may contain a resin-based organic material. Another example may includ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ceramic materials.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부(210)는 금속 또는 유리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unit 2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glass.

코일부(22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22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22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il unit 22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When a current flows in the coil unit 220 , a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around the coil unit 220 .

코일부(2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220)는 복수회로 전선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권선된 횟수 등을 다양하게 제어 수 있다.The coil unit 22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oil unit 2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it wires are wound, and the number of windings may be variously controlled.

코일부(2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을 통하여 구동부(240)가 운동할 수 있게 하고, 구동부(240)의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표현부(210)의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0 can be mov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unit 220 ,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4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7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27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코일부(220)와 인접하도록 또는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270 may be further disposed,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support part 27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or support the coil part 220 .

예를들면 지지부(270)는 연장부(271)를 포함하고, 연장부(271)에 대하여 코일부(2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연장부(271)를 중심으로 코일부(220)의 복수의 코일들이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270 includes an extension part 271 and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oil part 220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art 271 ,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coil part around the extension part 271 . A plurality of coils 220 may have a wound shap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71)의 일단은 길게 연장되어 후술할 구동부(240)를 지지할 수 있고, 구동부(240)의 운동은 연장부(271)의 일단에 지지된 채 진행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271 may be extended to support the driving part 2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ovement of the driving part 240 may be performed while being supported by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271 .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71)는 베이스부(230)의 관통홀(230H)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tension portion 27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230H of the base portion 23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70)는 본체부(272)를 포함하고, 본체부(272)는 연장부(271)와 연결되고 코일부(2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코일부(220)는 본체부(272)상에서 연장부(271)를 중심으로 권선된 형태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270 may include the body part 272 , and the body part 272 may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271 and may be disposed to support the coil part 220 . For example, the coil part 220 may include coils wound around the extension part 271 on the body part 272 .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70)의 본체부(272)와 연장부(271)는 서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ody portion 272 and the extension portion 271 of the support portion 270 may have an integrated shape with each other.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72)가 배치되도록 받침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support part 280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body part 272 is disposed.

받침부(280)는 본체부(272)의 바닥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8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272 .

선택적 실시예로서 받침부(280)는 일 영역에 돌출부(281)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281)의 일 영역은 베이스부(230)의 측면에 노출되어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part 280 may include the protrusion 281 in one area, and one area of the protrusion 281 may be ex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230 to facilitate handling.

베이스부(230)는 코일부(2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230)는 제1 수용부(231) 및 제2 수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art 23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coil part 220 . For example, the base part 23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

제1 수용부(231)와 제2 수용부(23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not overlap each oth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231)와 제2 수용부(232)는 이격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수용부(231)와 제2 수용부(232)는 관통홀(230H)로 연결될 수도 있다.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230H.

제1 수용부(231)에 코일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지지부(270) 또는 받침부(280)는 제1 수용부(231)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il unit 22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231 .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support 270 or support 28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230)의 제2 수용부(232)에는 구동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홈(234)은 베이스부(230)의 제2 수용부(232)의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방향, 예를들면 코일부(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driving groove 23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ceiving part 232 of the base part 230 . For example, the driving groove 23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232 of the base part 230 facing each oth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il part 220 . )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it.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홈(234)은 그루브 형태 또는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홈(234)이 베이스부(230)의 외부로 관통되지 않고 내부의 일 영역이 제거된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경우 베이스부(230)의 외부와 노출을 감소하여 구동부(240)에 대한 오염, 파손 등을 감소하여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groove 23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penetrating region penetrating to the outside. When the driving groove 234 does not penetrate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23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an inner region is removed, the exposure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230 is reduced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driving part 240, Precise control can be achieved by reducing damage, etc.

베이스부(230)는 코일부(220) 및 구동부(240)를 수용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코일부(220) 및 구동부(240)를 모두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art 230 may have an elongated shape to accommodate the coil part 220 and the driving part 240 ,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both the coil part 220 and the driving part 240 as a whole.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부(230)는 제1 수용부(231)과 제2 수용부(232)의 사이에 경계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base part 230 may include a boundary part 233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

경계부(233)를 통하여 제1 수용부(231)와 제2 수용부(232)는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32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boundary part 233 .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계부(233)에는 관통홀(230H)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through hole 230H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233 .

또한, 베이스부(230)는 입구부(230a)를 포함하고, 입구부(230a)는 제2 수용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부(230a)를 통하여 표현부(210)는 베이스부(23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Also, the base part 230 may include an inlet part 230a, and the inlet part 23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part 232 . Through the inlet portion 230a, the expression unit 210 may mov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base portion 230 protruding to the outside.

구동부(240)는 베이스부(2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제2 수용부(232)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수용부(231)에 배치된 코일부(220)와 이격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unit 230 . The driving unit 2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unit 232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unit 220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231 .

구동부(240)는 상기 코일부(2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2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어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구동부(240)를 통하여 표현부(210)는 상하 운동, 예를들면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일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unit 220 and is driven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unit 220 to perform angular or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driving unit 240, the expression unit 210 can move up and down, for example, in one direction toward the coil unit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40)에는, 예를들면 내측 공간에는 자력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력부(250)는 자력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 magnetic force unit 250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unit 240 , for example, in the inner space. For example, the magnetic element 250 may contain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permanent magnet.

자력부(250)는 각각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예를들면 N극 또는 S극) 및 제2 영역(예를들면 S극 또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구동부(240)의 회전 중 일 지점에서 코일부(220)로부터 표현부(2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magnetic unit 250 may have a first region (eg, N pole or S pole) and a second region (eg, S pole or N pole) of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egion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The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coil unit 220 toward the expression unit 210 at a point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240 , for example, in the Z-axis direction.

예를들면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자력부(250)의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코일부(220)로부터 표현부(210)를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FIGS. 5 and 6 ,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magnetic force unit 25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in the direction from the coil unit 220 toward the expression unit 210 , for example, the Z-axis direction. can be arranged as

구동부(240)는 적어도 외측면에 구동면(241a)을 포함하고, 구동면(241a)은 표현부(2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표현부(210)의 상하 운동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driving surface 241a on at least an outer surface, and the driving surface 241a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expression unit 21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40)의 구동면(241a)은 외면으로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구동부(240)의 구동면(241a)은 원과 유사한 형태의 경계선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surface 241a of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as an outer surface. As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 driving surface 241a of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boundary line having a shape similar to a circle.

구동부(240)는 구동 제어부(24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249 .

구동 제어부(249)를 통하여 구동부(240)의 구동의 위치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부(240)가 코일부(220)에 의하여 운동할 때 구동 제어부(249)를 중심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24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240 is moved by the coil unit 220 , it may perform an angular or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40)의 중심축과 구동 제어부(249)는 일치하지 않고 편심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24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may be eccentric.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력부(250)는 구동부(240)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예를들면 구동 제어부(249)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unit 250 may not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240 , and may be disposed to overlap, for example, a reg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

이를 통하여 구동부(240)에 대한 토크력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구동부(240)가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도록 하여 표현부(210)에 대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정보 출력 장치(200)의 정밀한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generate a torque force for the driving unit 240 , and to make the driving unit 240 perform angular or rotational motion, the movement for the expression unit 21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0 can be precisely You can improve your expressive power. Also, power consumption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0 may be reduced.

구동부(240)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In order to describe the driving unit 240 in more detail,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7 to 9 .

도 7은 도 4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베이스부의 일 영역을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unit of FIG. 4 , and FIG. 8 is a front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of FIG. 7 .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gion of the base portion of FIG. 4 viewed from one direc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240)는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이격 공간(SA)을 포함할 수 있다.7 and 8 ,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a second driving member 244 , and may include a space SA therebetween.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의 외면은 적어도 일 면에 구동면(241a)을 포함하여 구동부(240)의 운동 시 표현부(210)를 지지하여 표현부(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include the driving surface 241a on at least one surface to support the expression unit 210 dur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40 to form the expression unit 210 . can provide driving forc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의 외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은 회전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각 디스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outer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may include curved surfaces.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rotating body, and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disk, respectively.

이를 통하여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의 회전 또는 각 운동 시 표현부(210)의 지지면(212)에 자연스런 구동력을 제공하여 표현부(210)가 연속적이고 자연스런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a natural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upport surface 212 of the expression unit 210 during rotation or angular mo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so that the expression unit 210 moves continuously and naturally.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구동 제어부(249)는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의 적어도 일 측면, 예를들면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면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249 may include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 for example, side surfaces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facing each other. It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opposite surfaces.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249)는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돌출된 형태는 베이스부(230)의 구동홈(234)에 대응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may have a protruding shape, and this protruding shape may correspond to the driving groove 234 of the base part 230 .

예를들면 구동부(240)는 코일부(220)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구동부(240)내의 자력부(250)에 대한 척력 및 인력 작용으로 인하여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제어부(249)를 중심으로 구동부(240)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하 운동할 수 있는데, 구동부(240)의 구동 제어부(249)가 구동홈(234)내에 배치된 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홈(234)내에서 구동 제어부(249)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홈(234)내에서 구동 제어부(249)는 회전 운동하면서 약간의 상하 운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240 may be moved by a magnetic field by the coil unit 220 ,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driving unit 240 may move up and down due to the repulsive and attractive forces on the magnetic unit 250 in the driving unit 240 .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40 may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of the driving unit 240 may rotate while being disposed in the driving groove 234 . have. For example,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may rotate within the driving groove 234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 slight vertical movement may occur while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rotates within the driving groove 234 .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 사이의 이격 공간(SA)에는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이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motion area 245 and a second motion area 248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SA between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은 각각 구동부(240)의 운동 시 최저점 및 최고점의 기준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motion area 245 and the second motion area 248 may be a reference area for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dur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40 , respectively.

예를들면 제1 운동 영역(245)이 최하부, 즉 코일부(220)와 가장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 때 구동부(220)는 최저점에 놓이고 이에 따라 표현부(210)도 최저점에 놓인 상태, 구체적으로 표현부(210)가 베이스부(230)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가장 작을 때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motion region 245 is disposed at the lowest point, that is, the region closest to the coil unit 220, the driving unit 220 is placed at the lowest point, and accordingly, the expression unit 210 is also placed at the lowest point, specifically This may be when the height at which the expression unit 210 protrudes from the base unit 230 is the smallest.

또한 제2 운동 영역(248)이 최하부, 즉 코일부(220)와 가장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 때 구동부(220)는 최고점에 놓이고 이에 따라 표현부(210)도 최고점에 놓인 상태로서, 구체적으로 표현부(210)가 베이스부(230)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가장 클 때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is disposed at the lowest portion, that is, the region closest to the coil unit 220, the driving unit 220 is placed at the highest point, and accordingly, the expression unit 210 is also placed at the highest point. Specifically, The height at which the expression part 210 protrudes from the base part 230 may be the largest.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은 전술한 연장부(271)에 지지될 수 있다. 즉, 구동부(240)가 운동 시 연장부(271)는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 사이의 이격 공간(S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을 시간에 따라 지지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rst motion region 245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may be supported by the aforementioned extension portion 271 . That is, when the driving unit 240 is in motion, the extension 271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space SA between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 so that the first motion area 245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may be supported over tim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의 사이에는 연결 영역(247)이 배치될 수 있고, 연결 영역(247)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24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vement region 245 and the second movement region 248 , and the connection region 247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구동부(240)의 회전 운동 시 연장부(271)는 제1 운동 영역(245)을 지지하다가 제2 운동 영역(248)을 지지하기 전에 연결 영역(247)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240)가 자연스럽게 운동하여 이에 따른 표현부(210)의 운동도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40, the extension portion 271 may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region 247 while supporting the first movement region 245 before supporting the second movement region 248, Through this, the driving unit 240 naturally moves,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21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구동면(241a)과 제1 운동 영역(245)간의 거리는 구동면(241a)과 제2 운동 영역(248)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면(241a)과 제1 운동 영역(245)간의 거리는 구동면(241a)과 제2 운동 영역(248)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241a and the first motion region 245 may be different from a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241a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241a and the first motion region 245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surface 241a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40)의 형태상 중심축으로부터 제1 운동 영역(245)간의 거리는 구동부(240)의 형태상 중심축으로부터 제2 운동 영역(248)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ion region 245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hape of the driving unit 24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of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hape of the driving unit 240 .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249)로부터 제1 운동 영역(245)까지의 거리는 구동 제어부(249)로부터 제2 운동 영역(248)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어부(249)로부터 연결 영역(247)까지의 거리도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to the first motion region 245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to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and as a further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The distance from the controller 249 to the connection region 247 may be the same or similar.

예를들면 구동 제어부(249)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을 갖는 원주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결 영역(247)이 대응될 수 있고,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은 각각 지름에 대응하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평탄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region 247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region of a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around the center point of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 and the first motion region 245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are each It may have a shape of flat surfac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in areas facing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이를 통하여 구동 제어부(249)를 중심으로 구동부(240)가 회전 운동 시 지지부(270)가 제1 운동 영역(245), 제2 운동 영역(248) 및 연결 영역(247)을 지지 시 구동 제어부(249)의 위치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driving unit 240 rotates around the driving control unit 249, when the support unit 270 supports the first motion region 245, the second motion region 248, and the connection region 247, the driving control unit ( 249) may remain the same or similar.

또한, 지지부(270)에 의한 지지 시 연결 영역(247)이 곡면 또는 원호에 가까운 면을 포함하여 구동부(240)의 원활하고 부드러운 운동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70 , the connection area 247 includes a curved surface or a surface close to a circular arc, so that smooth and smooth motion of the driving part 24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의 제2 수용부(232)는 제1 홈(233c) 및 제2 홈(233d)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receiving part 232 of the base part 23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33c and a second groove 233d.

제1 홈(233c) 및 제2 홈(233d)은 코일부(220)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는 각각 제1 홈(233c) 및 제2 홈(233d)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240)에 코일부(220)를 통한 구동력이 전달 시 구동부(240)의 제1 구동 부재(243) 및 제2 구동 부재(244)가 제1 홈(233c) 및 제2 홈(233d)에 대응되어 배치된 채 구동부(240)는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 운동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240)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여 표현부(210)에 대한 정밀한 운동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groove 233c and the second groove 233d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oil unit 220 . The first driving member 243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244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ove 233c and the second groove 233d, respectively, and the coil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40 through this. When the driving force through can perform angular motion or rotational motion, and can also perform vertical motion, and through this, stable motion of the driving unit 240 is possible, thereby facilitating precise motion control for the expression unit 2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홈(233c) 및 제2 홈(233d)의 사이에 돌출 영역(PT)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돌출 영역(PT)에는 전술한 관통홀(230H)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trusion region PT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233c and the second groove 233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through hole 230H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region PT.

지지부(270)의 연장부(271)는 관통홀(230H)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271)는 관통홀(230H)로 돌출되어 돌출 영역(PT)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연장부(271)를 통하여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을 시간에 따라서 지지할 수 있다.The extension 271 of the support 270 may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230H. 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271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230H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protrusion region PT. In this case, the first movement region 245 and the second movement region ( 248) can be supported over tim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71)가 돌출 영역(PT)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돌출 영역(PT)을 통하여 제1 운동 영역(245) 및 제2 운동 영역(248)을 시간에 따라서 지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tension portion 271 may not protrude further than the protruding area PT.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areas 245 and 248 may be moved in time through the protruding area PT. So it can be support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부(271) 또는 돌출 영역(PT)가 구동부(240)를 지지하지 않거나 일시적으로만 지지할 수 있고, 이 경우 구동 제어부(249)가 베이스부(230)의 제2 공간(232)의 일 영역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일 예로서 구동홈(234)의 경계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tended part 271 or the protruding region PT may not support the driving part 240 or may only temporarily support the driving part 240 .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 part 249 is the second part of the base part 230 It may be supported by an area of the space 232 , and may be supported by, for example, a boundary surface of the driving groove 234 .

도 10a 및 도 10b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 및 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A and 10B are views illustrating a support par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and a modified example thereof.

도 10a를 참조하면 전술한 대로 본 실시예의 지지부(270)는 본체부(272)를 포함하고, 본체부(272)는 연장부(271)와 연결되고 코일부(2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27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272 , and the body part 272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271 and may be disposed to support the coil part 220 . have.

또한 변형예로서 도 10b를 참조하면 지지부(270')는 본체부(272')를 포함하고, 본체부(272')는 연장부(271')와 연결되어 코일부(2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71')의 일단에는 상단 부재(271b')가 형성될 수 있고, 상단 부재(271b')는 연장부(271')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0B as a modified example, the support part 270' includes the body part 272', and the body part 272'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271' to support the coil part 220. can be In addition, an upper member 271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71', and the upper member 271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tension portion 271'.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단 부재(271b')는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부(271')는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상단 부재(271b')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upper member 271b'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ceramic. For example, the extension portion 271'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and the upper member 271b' may include a plastic.

도 10b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모든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0B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1a 및 도 11b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부 및 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presentation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and a modified example thereof.

도 11a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실시예의 표현부(210)는 표현면(211) 및 지지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 the expression unit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expression surface 211 and a support surface 212 .

또한 변형예로서 도 11b를 참조하면 표현부(210')는 표현면(211') 및 지지면(212')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자성체(IMT)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부(210')의 자성체(IMT)를 통하여 구동부(240)를 통한 표현부(210')의 구동을 더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1B as a modified example, the expression unit 210 ′ may include an expression surface 211 ′ and a support surface 212 ′, and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IMT therein. The driving of the expression unit 210 ′ through the driving unit 240 through the magnetic material (IMT) of the expression unit 210 ′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11b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모든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1B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2는 도 4의 정보 출력 장치의 베이스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ase par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FIG. 4 .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230')는 탑 베이스 부재(230T') 및 바텀 베이스 부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30')를 상하 분리된 형태로 형성하고, 탑 베이스 부재(230T') 및 바텀 베이스 부재(230B')는 각각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base part 23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p base member 230T ′ and a bottom base member 230B ′. The base part 230' may be formed in a vertically separated shape, and the top base member 230T' and the bottom base member 230B'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respectively.

이를 통하여 탑 베이스 부재(230T') 및 바텀 베이스 부재(230B')의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의 각각에 각 부재들을 용이하게 배치, 즉 구동부, 코일부, 지지부 및 표현부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Through this, each member can be easily arrang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of the top base member 230T' and the bottom base member 230B', that is, the driving part, the coil part, the support part and the expression part can be easily arranged. can

선택적 실시예로서 탑 베이스 부재(230T')의 제2 수용부와 바텀 베이스 부재(230B')의 제1 수용부의 각각에 구동부, 코일부, 지지부 및 표현부를 배치한 후 탑 베이스 부재(230T') 및 바텀 베이스 부재(230B')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정보 출력 장치를 제조하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fter disposing a driving unit, a coil unit, a support unit, and an expression unit in each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of the top base member 230T'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of the bottom base member 230B', the top base member 230T' and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a manner of coupling the bottom base member 230B' to improve convenience.

도 12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모든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2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구동부는 적어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구동부의 운동에 따라서 표현부도 제1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on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and the driving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 may move in at least a first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is,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 expression unit may als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same direction. B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user can be output.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 sensing th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through tactile sense when the expression unit protrudes.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t may be information output in the form of braille output.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a visual sensing type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sense when the expression unit protrudes. In particular, at this time, when a col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r light is generat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such a visual effect can be increased.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output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various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user.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부는 코일부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1 방향으로 운동, 예를들면 상승할 수 있고, 구동 제어부에 의하여 일정 영역을 유지한 채 회전 운동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can easi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rise by the magnetic field by the coil unit, and rotat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rea by the driving control unit.

예를들면 구동부의 내부에 배치된 자력부의 극성에 따라 코일부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척력이 발생하면 구동부는 상승하고 제1 운동 영역 및 제2 운동 영역, 그리고 그 사이의 연결 영역에 대한 지지가 있은 채, 회전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unit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force unit disposed inside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rises and there is support for the first and second motion regions, and the connection region therebetween. You can proceed with a rotational movement.

이를 통하여 구동부의 상승과 하강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정밀한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현부의 상승과 하강시의 불규칙한 단속성을 감소하고 유연한 운동과 정밀한 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driving part is a smooth, natural and precise movement, thereby reducing the irregular intermittentness of the rising and descending of the expression part,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flexible and precise movements.

표현부가 상승 및 하강을 진행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An on or off state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e expression unit ascending and descending.

또한, 구동부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중에 지지, 예를들면 연장부를 통한 제1 운동 영역 및 제2 운동 영역에 대한 지지를 통하여 구동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어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s removed through support, for example, the first motion region and the second motion region through the extension unit, during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s of the driving unit, the state may be maintained.

즉, 코일부의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부의 연장부에 제1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에서 제2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 상승한 후에 코일부에 연결된 전원을 제거 또는 전류나 전압을 제거하여도 구동부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power connected to the coil unit is removed or current or voltage is removed after the first moving region is support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unit and the second moving region is raised to the supported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region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unit of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can keep it that way.

또한, 코일부를 통한 반대 방향의 자기장에 의하여 연장부에 제2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운동 영역이 지지된 상태로 하강한 후에 코일부에 연결된 전원을 제거 또는 전류나 전압을 제거하여도 구동부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removing the power connected to the coil unit or removing current or voltage after descending from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movement region is supported in the extension part to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ement region is supported by the magnetic fiel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coil part The road driving unit may maintain its state.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표현부의 온(On) 및 오프(Off)상태를 용이하게 전환 및 유지할 수 있고, 표현부의 운동을 위한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expression unit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easily switched and maintained,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can be reduced, and the overall energy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improved. can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에 구비된 구동 제어부는 구동부의 중심축과는 편심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구동부에 토크를 용이하게 발생하여 구동부의 회전 운동을 통한 상승과 하강을 구현하여 표현부에 대한 정밀하고 부드럽고 자연스런 운동 제어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of this embodiment is eccentric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unit, and through this, a torque is easily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to realize rising and falling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hereby providing precise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expression unit. Smooth and natural movement control.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에 구비된 자력부는 구동 제어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력부의 중심과 구동 제어부가 중첩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gnetic force unit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driving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magnetic force unit may overlap the driving control unit.

이를 통하여 구동 제어부를 기준으로 구동부가 회전 시에 자력부의 위치의 변화를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와 자력부간의 간격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일부를 통한 자기장의 영향이 자력부에 미치는 효과의 불균일성을 감소할 수 있고 구동부의 운동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force unit can be reduced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driving control unit, and,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unit and the magnetic force unit can be maintained the same or similar. As a result, the non-uniformity of the effect of the effect of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coil unit on the magnetic force unit may be reduced, and precise control of the motion of the driving unit may be facilitated.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IU1 , IU2 to IU9 .

도 13에는 9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9 information output units are illustrated in FIG. 13 ,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0 may include various numbers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s an optional embodiment.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1000 may include various number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product, and the user characteristics.

한편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을 보호하도록 하우징(1002)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1002)은 각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하는 비아홀(1002a)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0 may include a housing 1002 to protect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IU1, IU2 to IU9, and the housing 1002 includes a via hole 1002a corresponding to each information output unit. can be provided

각 정보 출력 유닛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A description of each information output unit is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부(130, 230)는 적어도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130, 230)는 복수의 전체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se units 130 and 23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have an elongated shape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Also, as another example, the base units 130 and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ll information output units.

또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베이스부(130, 230)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eparate base units 130 and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output units.

예를들면 각 정보 출력 유닛(IU1, IU2 내지 IU9)별로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수용부(131, 231) 및 제2 수용부(132, 23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information output units IU1, IU2 to IU9 may include the first accommodating units 131 and 2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units 132 and 23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1002)의 내부에 전술한 정보 출력 장치(100, 200)를 각각의 유닛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output devices 100 and 200 may be included as each unit in the housing 1002 shown in FIG. 13 .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유닛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formation information output units, each unit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각각의 유닛들에 포함된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여 각각의 표현부를 운동할 수 있게 하고, 표현부의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included in each unit to exercise each expression unit, and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detectable by a us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xpression unit.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표현부의 돌출 시 촉각을 통하여 표현부의 표면을 감지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 user sensing the surface of the expression part through tactile sense when the expression part protrudes.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t may be information output in the form of braille output.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는, 표현부의 돌출 시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이를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의 일면, 예를들면 상면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표현부의 일면에서 광을 발생하도록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a visual sensing type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sense when the expression unit protrudes. In particular, at this time, when a col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r light is generated on one surface of the expression unit, such a visual effect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only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in detail, and unless it is limited by the claims, the scope of the embodiment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inology.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200, 1000: 정보 출력 장치
110, 210: 표현부
120, 220: 코일부
130, 230: 베이스부
140, 240: 구동부
100, 200, 1000: information output device
110, 210: expression part
120, 220: coil unit
130, 230: base part
140, 240: drive unit

Claims (1)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사용자가 감지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는 표현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코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구동되어 각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여 상기 표현부를 상기 코일부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과 무관하게 적어도 일 시점에서 물리적 지지에 의하여 상승 위치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comprising:
The information output unit,
a coil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rranged to allow current to flow;
a base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coil portion;
an expression unit formed and arranged to be detected by a user; and
The base portion is disposed on the bas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il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il portion, and is driven by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ortion to angularly or rotationally move the expression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coil portion and vice versa. Including a driving unit formed to move in the direction,
and wherei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raised position by physical support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regardless of the supply of current flowing to the coil unit.
KR1020220095950A 2021-04-07 2022-08-02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2022011389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950A KR20220113893A (en) 2021-04-07 2022-08-02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40008215A KR20240015122A (en) 2021-04-07 2024-01-18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35A KR102429908B1 (en) 2018-05-24 2021-04-0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20095950A KR20220113893A (en) 2021-04-07 2022-08-02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35A Division KR102429908B1 (en) 2018-05-24 2021-04-0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8215A Division KR20240015122A (en) 2021-04-07 2024-01-18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893A true KR20220113893A (en) 2022-08-17

Family

ID=831102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950A KR20220113893A (en) 2021-04-07 2022-08-02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40008215A KR20240015122A (en) 2021-04-07 2024-01-18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8215A KR20240015122A (en) 2021-04-07 2024-01-18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13893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122A (en)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007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10424223B2 (en)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same
Xu et al. Modeling and swimming property characterizations of scaled-up helical microswimmers
KR101746151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101438221A (en) Image display that moves physical objects and causes tactile sensation
KR20160114613A (en) Direct drive motor for robotic finger
US11455910B2 (en) Braille cell and associated pin support and pin actuation assemblies
JP2010088298A (en) Magnetic levitation device
KR101902224B1 (en) Haptic glove
KR102429908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105666503A (en) Carrying tray for conveying robot and conveying robot
KR20220113893A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EP2996229A2 (en) Step motor and system for driving step motor
KR102506630B1 (en) Protruding feedback based smart tablet
US20210082314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102214584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466488B1 (en) Protruding based smart tablet
JP5898774B2 (en) Force display device
KR102180048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WO2012005297A1 (en) Operation input device
US20220230517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101959022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1952911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20210018385A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11586289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