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371A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371A
KR20220113371A KR1020227018253A KR20227018253A KR20220113371A KR 20220113371 A KR20220113371 A KR 20220113371A KR 1020227018253 A KR1020227018253 A KR 1020227018253A KR 20227018253 A KR20227018253 A KR 20227018253A KR 20220113371 A KR20220113371 A KR 2022011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ment
data line
group
display
ramp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부미 토요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01L27/32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9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with use of an analog or digital ramp generator in the column driver or in the pixel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영상 신호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본 개시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소자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등이 주지이다. 통상, 이들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행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주사선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예를 들어 열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사선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표시 소자에 데이터선을 통하여 영상 신호 전압이 공급됨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데이터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영상 신호 전압은 아날로그 신호 전압이다. 그렇지만, 근래에는, 디지털 신호의 영상 신호가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일이 많다. 이 경우,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는 디지털 신호로 주어지는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아날로그 신호 전압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소정의 기간에 걸쳐 전압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램프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한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개2011-53644호 공보
램프 신호를 이용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은, 디지털 신호로 주어지는 영상 신호의 값에 응하여, 데이터선에 램프 신호의 전압을 샘플 홀드 한다는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디지털 신호로 주어지는 계조치에 달할 때까지, 데이터선에 램프 신호가 공급된다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 상태는 표시 화상에 응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표시되는 화상에 크로스토크(crosstalk) 등이 생긴다는 과제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 상태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이러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러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표시 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소자의 구동 방법은,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을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4는, 도 3에 이어서,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6A는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의 차에 의해 생기는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파형도.
도 6B는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했을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8은, 도 7에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9A는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가 평균화된 것에 의한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파형도.
도 9B는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했을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가 경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11은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12는, 도 11에 이어서,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
도 13은 렌즈 교환 1안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도로서, 도 13A에 그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4B에 그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도.
도 15는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형태에서의 여러 가지 수치나 재료는 예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전반에 관한 설명
2. 제1 실시 형태
3. 제1 변형례
4. 전자 기기의 설명, 기타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전반에 관한 설명]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 및 본 개시에 관한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단지 [본 개시의 표시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본 개시의 실시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한, 표시 소자행에서의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의 배치는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행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좌측에 제1 군이 배치되고, 우측에 제2 군이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이라도 좋다. 배치 상태의 균일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는,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각종의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마다 마련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1 주사선 및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2 주사선 및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스캐너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각종의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소자의 구성은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평면형의 표시 장치를 구성한다는 관점에서는, 표시 소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는, 전류 구동형의 발광부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를 갖는 표시 소자로서, 발광부와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 전압은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기록 트랜지스터 등을 통하여 표시 소자에 공급된다. 또한, 액정 표시 소자는 공통 전극, 화소 전극, 용량부,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에 끼여진 액정 재료층 및 기록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선으로부터의 영상 신호 전압은 기록 트랜지스터 등을 통하여 화소 전극에 공급된다.
상술한 각종의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고,
소스 드라이버와 제2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각 데이터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소스 드라이버는,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데이터선에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전압치를 소스 드라이버가 공급하는 전압치와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전환 시의 소스 드라이버의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본 개시에 관한 전자 기기를 단지 [본 개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에서, 화소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는 어떤 평면 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 예를 들면,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표시 소자에 이용되는 트랜지스터의 도전형은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기록 트랜지스터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등은 p채널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좋고, n채널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구동 트랜지스터가 p채널형인 경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부는 발광한다. 또한, 게이트에 충분한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부는 소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표시 장치의 사양상 가장 고휘도의 표시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백표시」라고 부르고, 사양상 가장 저휘도의 표시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흑표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소스 드라이버 등은 표시 소자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집적되어 일체가 된 구성이라도 좋고, 적절히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은 주지의 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수직 스캐너나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 등에 관해서도, 주지의 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이나 뷰파인더용의 표시 장치 등 소형화가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표시 소자와 드라이버가 같은 반도체 기판 등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는 이른바 모노크롬 표시의 구성이라도 좋고, 컬러 표시의 구성이라도 좋다. 컬러 표시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화소는 적색 발광 부화소, 녹색 발광 부화소 및 청색 발광 부화소의 3개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들 3종의 부화소에 또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부화소를 더한 1조(組)(예를 들면, 휘도 향상을 위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더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보색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더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옐로우(yellow)를 발광하는 부화소를 더한 1조,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옐로우 및 시안(cyan)을 발광하는 부화소를 더한 1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의 화소(픽셀)의 값으로서, VGA(640, 480), S-VGA(800, 600), XGA(1024, 768), APRC(1152, 900), S-XGA(1280, 1024), U-XGA(1600, 1200), HD-TV(1920, 1080), Q-XGA(2048, 1536) 외에, (1920, 1035), (720, 480), (1280, 960) 등 화상 표시용 해상도의 몇 가지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 값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직시형(直視型)이나 투사형(投射型)의 표시 장치 외에, 화상 표시 기능을 구비한 각종의 전자 기기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각종의 조건은,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성립하는 경우 외에, 실질적으로 성립하는 경우에도 채워진다. 설계상 또는 제조상 생기는 여러 가지 편차의 존재는 허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각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실제의 치수나 그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7은 표시 장치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하는데, 폭이나 높이 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이다.
표시 장치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도면에서 X방향, 즉 행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도면에서 Y방향, 즉 열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10),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DTL) 및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110)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10)에 의해 표시 영역(100)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소자(10)는,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부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는 p채널형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표시 소자(10)에 기록되는 영상 신호 전압이 낮아질수록 화상은 밝아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영상 신호 전압을 기록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는 n채널형이라고 한다.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표시 소자(10A)와 표시 소자(10B)를 구별하지 않고 단지 [표시 소자(10)]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 소자(10)를 [화소(10)]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마다 마련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는 제1 주사선(WSA) 및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는 제2 주사선(WSB) 및
제1 주사선(WSA) 및 제2 주사선(WSB)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스캐너(120)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표시 소자(10)는, 제1 주사선(WSA) 및 제2 주사선(WSB)의 어느 하나와 데이터선(DTL)에 접속된 상태에서, 행방향으로 N개, 열방향으로 M개, 합계 N×M개의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사정상, 도 1에서는, 4×3개의 표시 소자가 표시되어 있다.
제1 주사선(WSA) 및 제2 주사선(WSB)의 개수는 각각 M개이다. 제m행째(단, m=1, 2 …, M)의 표시 소자(10)는 제m번째의 제1 주사선(WSAm) 또는 제2 주사선(WSBm)에 접속되어 있고, 하나의 표시 소자행(화소행)을 구성한다. 데이터선(DTL)의 개수는 N개이다. 제n열째(단, n=1, 2 …, N)의 표시 소자(10)는 제n번째의 데이터선(DTL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사정상, 데이터선(DTLn-1, DTLn+1)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선(DTLn, DTLn+2)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선(DTL)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교대로 표시 소자(10A)와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110)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와,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DTL)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112)를 포함하고 있다. 부호 SWn는 제n번째의 데이터선(DTLn)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접속/비접속을 전환하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소스 드라이버(110)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장치로부터, 표시해야 할 화상에 응한 계조를 나타내는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이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저전압의 디지털 신호이다. 소스 드라이버(110)의 스위치(SW)는 램프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함과 함께, 디지털 신호의 값에 의거하여 산출한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주어지는 계조치에 응한 영상 신호 전압을 데이터선(DTL)에 유지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컬러 표시의 표시 장치이고, 행방향으로 나열되는 3개의 표시 소자(10)로 이루어지는 군이 하나의 컬러 화소를 구성한다. 따라서, N'=N/3으로 하면, 행방향으로 N'개, 열방향으로 M개, 합계 N'×M개의 컬러 화소가 배열된다.
수직 스캐너(120)의 주사 신호에 의해, 표시 소자(10)는 순차적으로 주사된다. 제m행, 제n열째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10)를 이하, 제(n, m)번째의 표시 소자(10)라고 부른다.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 소자(10)의 표시 타이밍은 그것들이 속하는 행 단위로 제어된다. 표시 장치(1)의 표시 프레임 레이트를 FR(회/초)로 나타내면, 표시 장치(1)를 행 단위로 선 순차 주사할 때의 1행당의 주사 기간(이른바 수평 주사 기간)은 (1/FR)×(1/M)초 미만이다.
표시 장치(1)에서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10)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상세히는,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상술한 표시 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및 그 과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이다.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9)에서, 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을 구성하는 표시 소자(10)는 전부 공통의 주사선(WS)에 접속되어 있다.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10)에 의해 표시 영역(9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로 백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부호 Hm는, 제m행의 표시 소자행에 관한 수평 주사 기간을 나타낸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수평 주사 기간(Hm)의 전반의 기간(Hm _ 1)에서, 기준 전압(Vofs)을 기록하기 위한 램프 신호를 생성하고, 수평 주사 기간(Hm)의 후반의 기간(Hm _ 2)에서, 영상 신호 전압(Vsig)을 기록하기 위한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고 하여 설명한다.
기간(Hm _ 1)의 시기(始期)로부터 소정의 기간(TP1)이 경과했을 때,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N)는 도통 상태로부터 비도통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에서,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가 도통 상태일 때의 데이터선(DTL)의 파형을 태선으로 나타냈다.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DTL1 내지 DTLN)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 한 오프셋 전압(Vofs)이 유지된다. 그 후, 기간(TP2) 동안, 주사선(WS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모든 표시 소자(10)에 오프셋 전압(Vofs)이 기록된다.
또한, 기준 전압(Vofs)을 기록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전반의 기간(Hm _ 1)이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기간(TP2) 후,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N)는 도통 상태가 된 후,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종기(終期)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DTL1 내지 DTLN)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WT))이 유지된다. 그 후, 기간(TP4A) 동안, 주사선(WS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모든 표시 소자(10)에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WT))이 기록된다.
이어서, 화면 전체에서 흑 표시를 행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에서 흑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기간(Hm _ 1)의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간(TP2) 후,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N)는 도통 상태가 된 후,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시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DTL1 내지 DTLN)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BK))이 유지된다. 그 후, 기간(TP4A) 동안, 주사선(WS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모든 표시 소자(10)에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BK))이 기록된다.
이어서, 흑 표시를 주체로 하고 일부로 백 표시를 행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흑 표시를 주체로 하고 표시 소자행의 일부만 백 표시를 행할 때의 동작례를 나타낸다. 기간(Hm _ 1)의 동작은 도 3에서 설명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간(TP2) 후, 스위치(SW1) 내지 스위치(SWN)는 도통 상태가 된 후, 스위치(SWN+2) 이외의 스위치(SW)는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시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되고, 스위치(SWN + 2)는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종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DTLn+2)을 제외하는 데이터선(DTL)에는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BK))이 유지되고, 데이터선(DTLn+2)에는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WT))이 유지된다. 그 후, 기간(TP4A) 동안, 주사선(WS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모든 표시 소자(10) 중 데이터선(DTLn+2)에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표시 소자(10)에는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BK))이 기록된다. 또한, 데이터선(DTLn+2)에 접속되는 표시 소자(10)에는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WT))이 기록된다.
도 3에서 각 데이터선(DTL)에 유지되는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WT))과, 도 5에서 데이터선(DTLn+2)에 유지되는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WT))은 표시 장치(9)가 이상적으로 동작한다면 같은 전압이 된다. 그렇지만, 도 3에서는, 기간(Hm _2)의 램프 신호의 종기 부근까지, 모든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시기 부근에서 대부분의 데이터선(DTL)은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도 5에서는, 램프 신호의 부하가 상위(相違)하는 상태로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WT))이 기록되어 있다.
도 6A는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의 차에 의해 생기는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파형도이다. 도 6B는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했을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가 가벼운 경우와 무거운 경우를 비교하면, 부하가 무거워질수록 램프 신호의 경사는 완만해진다. 따라서, 같은 타이밍에서 백 표시의 전압을 샘플링했다 하더라도, 샘플링되는 전압에는 차가 생긴다. 도 6A는 부하가 가벼운 경우에는 백 표시의 전압으로서 전압(Vsig2)이 샘플링되고, 부하가 무거운 경우에는 백 표시의 전압으로서 전압(Vsig1)이 샘플링되는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 검은 윈도우와 겹쳐지지 않는 표시 소자행은 전압(Vsig1)으로 백 표시되고, 검은 윈도우와 겹쳐지는 표시 소자행에서 백 표시를 행하는 표시 소자는 전압(Vsig2)으로 백 표시된다. 결과로서, 전압(Vsig2)으로 백 표시되는 부분은 휘도가 높아지고 크로스토크로서 시인된다는 과제가 생긴다.
이상, 참고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및 그 과제에 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서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10)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크로스토크 등을 경감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이하, 표시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은,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하고,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에, 어떤 표시 소자(10)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1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을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한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에서 백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부호 Hm는 제m행의 표시 소자행에 관한 수평 주사 기간을 나타낸다. 표시 장치(1)에서, 수평 주사 기간(Hm)은 전반의 기간(Hm -1), 중반의 기간(Hm -2) 및 후반의 기간(Hm-2)으로 구성되어 있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전반의 기간(Hm _ 1)에서, 기준 전압(Vofs)을 기록하기 위한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기간(Hm _ 1)에서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례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즉, 기간(TP2) 동안, 제1 주사선(WSAm) 및 제2 주사선(WSB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모든 표시 소자(10)에 오프셋 전압(Vofs)이 기록된다.
또한, 참고례와 마찬가지로, 기준 전압(Vofs)을 기록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전반의 기간(Hm _ 1)이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기간(TP2) 후,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도 7에서는 스위치(SWn -1, SWn +1))는 기간(TP3)의 시기에서 도통 상태가 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도 7에서는 스위치(SWn, SWn +2))는 비도통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기간(TP3)의 시기는 샘플링을 행하는데 있어서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소정의 타이밍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과 데이터선(DTL)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10A, 10B)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데이터선(DTLn-1, DTLn)의 접속 상태가 상보적으로 전환되고, 또한, 데이터선(DTLn, DTLn+1)의 접속 상태가 상보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중반의 기간(Hm _ 2)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도 7에서는 데이터선(DTLn -1, DTLn +1))에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공급된다.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1, SWn + 1)는 중반의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종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기간(TP3)의 종기). 이에 의해,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n-1, DTLn+1)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A(WT))이 유지된다.
또한, 기간(TP3)의 종기(즉 기간(TP4)의 시기)에서,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SWn + 2)는, 도통 상태가 된다.
그 후, 기간(TP4A) 동안, 제1 주사선(WSA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A(WT))이 기록된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후반의 기간(Hm _ 3)에서,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도 7에서는 데이터선(DTLn, DTLn +2))에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공급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SWn + 2)는 후반의 기간(Hm _ 3)의 램프 신호의 종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기간(TP4)의 종기). 이에 의해,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n-1, DTLn+1)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B(WT))이 유지된다.
또한, 기간(TP4)의 종기(즉 기간(TP5)의 시기)에서,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1, SWn + 1)는 도통 상태가 되고, 기간(TP5)의 종기까지 유지된다. 기간(TP5)의 종기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 후, 기간(TP5A) 동안, 제2 주사선(WSB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제2 군의 표시 소자(10)에 백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B(WT))이 기록된다.
여기서,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데이터선(DTLn-1 내지 DTLn+2)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접속 관계에 주목한다. 데이터선(DTLn-1, DTLn)의 쌍에 주목하면, 기간(TP3)과 기간(TP4) 사이는 어느 일방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어 있다. 데이터선(DTLn+1, DTLn+2)의 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동작에서는,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실질적으로 N/2개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화면 전체에서 흑 표시를 행할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에서 흑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기간(TP2) 후,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1, SWn + 1)는 기간(TP3)의 시기에서 도통 상태가 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SWn + 2)는 비도통 상태를 유지한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중반의 기간(Hm _ 2)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A)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n-1, DTLn+1)에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공급된다.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1, SWn + 1)는 중반의 기간(Hm _ 2)의 램프 신호의 시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기간(TP3)의 종기). 이에 의해,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n-1, DTLn+1)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A(BK))이 유지된다.
또한, 기간(TP3)의 종기(즉 기간(TP4)의 시기)에서,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SWn + 2)는, 도통 상태가 된다.
그 후, 기간(TP4A) 동안, 제1 주사선(WSA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제1 군의 표시 소자(10)에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A(BK))이 기록된다.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는 후반의 기간(Hm _ 3)에서,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10B)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DTLn, DTLn+2)에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공급된다.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 SWn + 2)는 후반의 기간(Hm _ 3)의 램프 신호의 시기 부근에서 비도통 상태가 된다(기간(TP4)의 종기). 이에 의해, 제2 군의 표시 소자(10B)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n, DTLn+2)에는, 램프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샘플링한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_B(BK))이 유지된다.
또한, 기간(TP4)의 종기(즉 기간(TP5)의 시기)에서, 제1 군의 표시 소자(10A)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TL)에 대응하는 스위치(SWn-1, SWn+1)는 도통 상태가 된다.
그 후, 기간(TP5A) 동안, 제2 주사선(WSBm)에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제m행에 속하는 제2 군의 표시 소자(10)에 흑 표시의 영상 신호 전압(Vsig _(BK))이 기록된다.
여기서,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데이터선(DTLn-1 내지 DTLn+2)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접속 관계에 주목한다. 데이터선(DTLn-1, DTLn)의 쌍에 주목하면, 기간(TP3)과 기간(TP4) 사이는 어느 일방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어 있다. 데이터선(DTLn+1, DTLn+2)의 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동작에서도,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실질적으로 N/2개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타이밍 차트 등은 생략하지만,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되는 화상에 관계없이,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실질적으로 N/2개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서는, 기간(TP3)의 시기 내지 기간(TP5)의 종기까지의 기간에서, 실질적으로 N/2개의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램프 신호의 부하는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를 불문하고 평균화되어 있다.
도 9A는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가 평균화된 것에 의한 파형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파형도이다. 도 9B는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했을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가 경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신호에 대한 부하가 평균화되어 있으면, 표시 화상의 종류를 불문하고, 같은 타이밍에서 백 표시의 전압을 샘플링하면 개략 같은 전압(Vsig3)이 샘플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백 표시 화면에 검은 윈도우를 표시하는 경우, 검은 윈도우와 겹쳐지지 않는 표시 소자행은 대강 전압(Vsig3)으로 백 표시되고, 검은 윈도우와 겹쳐지는 표시 소자행에서 백 표시를 행하는 표시 소자도 대강 전압(Vsig3)으로 백 표시된다. 결과로서, 검은 윈도우의 좌우에 인접하는 백 표시의 부분이 크로스토크로서 시인되는 것이 저감된다.
[제1 변형례]
제1 변형례도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A)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110A)를 구비하고 있다. 소스 드라이버(110)와 제2 소스 드라이버(110A)는 각각 각 데이터선(DTL)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소스 드라이버(110A)는,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110)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DTL)에 공급한다.
제2 소스 드라이버(110A)는, 기본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110)와 같은 구성으로서,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A)와 스위치 회로(112A)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회로(112A)를 구성하는 스위치를 부호 SWA로 나타낸다.
표시 장치(1)에서는, 기간(TP2)의 시기로부터 기간(TP5)의 종기까지 사이, 데이터선(DTLn-1, DTLn)의 접속 상태가 상보적으로 전환되고, 또한, 데이터선(DTLn, DTLn+1)의 접속 상태가 상보적으로 전환된다고 하여 설명하였다. 도 7 및 도 8의 동작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쌍이 되는 데이터선(DTL)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에 접속되기 직전, 그 데이터선(DTL)은 어떠한 전압을 유지한 상태이다.
데이터선(DTL)이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상위한 상태에서 접속되는 것은, 램프 신호 파형에 흐트러짐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변형례에서는, 데이터선(DTL)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DTL)에 공급한다.
도 11은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로 백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7과 대응하기 때문에, 상위점에 관해 설명한다. 기간(TP3) 동안, 스위치(SWAn, SWAn + 2)은 도통 상태가 된다. DTLn, DTLn +2에는, 제2 소스 드라이버(110A)의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A)로부터 전압이 공급된다.
기간(TP4)의 동작은 도 7과 마찬가지이다. 단, DTLn, DTLn +2에 관해서는,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또한, 기간(TP4B) 동안, 스위치(SWAn -1, SWAn + 1)는 도통 상태가 된다. DTLn -1, DTLn+1에는, 제2 소스 드라이버(110A)의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A)로부터 전압이 공급된다.
기간(TP5)의 동작은 도 7과 마찬가지이다. 단, DTLn -1, DTLn +1에 관해서는,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도 12는 제1 변형례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타이밍 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전체에서 흑 표시를 행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8과 대응한다. 상위점에 관해서는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기간(TP4)에서, DTLn, DTLn +2에 관해서는,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또한, 기간(TP5)에서도, DTLn -1, DTLn +1에 관해서는,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제1 변형례에서는, 데이터선(DTL)이 유지하고 있는 전압이 램프 신호 생성 회로(111)의 램프 신호의 전압과 일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전환 시에 램프 신호 파형에 흐트러짐을 발생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다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는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든 수치, 구조, 프로세스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응하여, 이들과 다른 수치, 구조, 프로세스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좋다.
[전자 기기의 설명, 기타]
이상 설명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전자 기기에 입력된 영상 신호, 또는, 전자 기기 내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표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 세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 비디오 카메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표시 장치는 봉지(封止)된 구성의 모듈 형상의 것까지도 포함한다. 한 예로서, 화소 어레이부에 투명한 글라스 등의 대향부가 첩부되어 형성된 표시 모듈이 해당한다. 또한, 표시 모듈에는, 외부로부터 화소 어레이부에의 신호 등을 입출력하기 위한 회로부나 플렉시블 프린트 서킷(FPC)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에,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의 구체례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단, 여기서 예시하는 구체례는 한 예에 지나지 않고,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례 1)
도 13은 렌즈 교환 1안 리플렉스 타입(single-lens reflex type)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도이고, 도 13A에 그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3B에 그 배면도를 도시한다. 렌즈 교환 1안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부(카메라 바디)(511)의 정면 우측에 교환식의 촬영 렌즈 유닛(교환 렌즈)(512)을 가지고, 정면 좌측에 촬영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5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부(511)의 배면 개략 중앙에는 모니터(514)가 마련되어 있다. 모니터(514)의 상부에는, 뷰파인더(접안창)(515)가 마련되어 있다. 촬영자는 뷰파인더(515)를 들여다 봄에 의해, 촬영 렌즈 유닛(512)으로부터 유도된 피사체의 광상을 시인하여 구도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렌즈 교환 1안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그 뷰파인더(515)로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예에 관한 렌즈 교환 1안 리플렉스 타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그 뷰파인더(515)로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구체례 2)
도 14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도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안경형의 표시부(611)의 양측에,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하기 위한이 귀걸이부(612)를 가지고 있다. 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그 표시부(611)로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예에 관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그 표시부(611)로서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제작된다.
(구체례 3)
도 15는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외관도이다.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11)는 본체부(712), 암(713) 및 경통(714)으로 구성된다.
본체부(712)는 암(713) 및 안경(700)과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712)의 장변 방향의 단부는 암(713)과 결합되고, 본체부(712)의 측면의 한 측은 접속 부재를 통하여 안경(700)과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712)는 직접적으로 인체의 두부에 장착되어도 좋다.
본체부(712)는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이나, 표시부를 내장한다. 암(713)은 본체부(712)와 경통(714)을 접속시키고, 경통(714)을 지탱한다. 구체적으로는, 암(713)은 본체부(712)의 단부 및 경통(714)의 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경통(714)을 고정한다. 또한, 암(713)은 본체부(712)로부터 경통(714)에 제공되는 화상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신호선을 내장한다.
경통(714)은 본체부(712)로부터 암(713)을 경유하여 제공되는 화상광을, 접안 렌즈를 통하여,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11)를 장착하는 유저의 눈을 향하여 투사한다. 이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11)에서, 본체부(712)의 표시부에, 본 개시의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A1]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표시 장치.
[A2]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A1]에 기재된 표시 장치.
[A3]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A2]에 기재된 표시 장치.
[A4]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마다 마련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1 주사선 및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2 주사선 및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스캐너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상기 [A1] 내지 [A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A5]
표시 소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상기 [A1] 내지 [A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A6]
표시 장치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고,
소스 드라이버와 제2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각 데이터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소스 드라이버는,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상기 [A1] 내지 [A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B1]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을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B2]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B1]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B3]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을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B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B4]
표시 장치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고,
소스 드라이버와 제2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각 데이터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소스 드라이버에 의해,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상기 [B4] 내지 [B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1]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C2]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C1]에 기재된 전자 기기.
[C3]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상기 [C2]에 기재된 전자 기기.
[C4]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마다 마련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1 주사선 및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2 주사선 및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스캐너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상기 [C1] 내지 [C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자 기기.
[C5]
표시 소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상기 [C1] 내지 [C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자 기기.
[C6]
표시 장치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고,
소스 드라이버와 제2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각 데이터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소스 드라이버는,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상기 [C1] 내지 [C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자 기기.
1, 1A, 9: 표시 장치
10, 10A, 10B : 표시 소자
100, 900: 표시 영역
110: 소스 드라이버
110A: 제2 소스 드라이버
111, 111A: 램프 신호 생성 회로
112, 112A: 스위치 회로
120: 수직 스캐너
WS, WSA, WSB: 주사선
DTL: 데이터선
SW, SWA: 스위치
511: 카메라 본체부
512: 촬영 렌즈 유닛
513: 그립부
514: 모니터
515: 뷰파인더
611: 안경형의 표시부
612: 귀걸이부
700: 안경
711: 시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712: 본체부
713: 암
714: 경통

Claims (8)

  1.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소자행에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표시 소자행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일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인접하는 한 쌍의 표시 소자 중 타방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마다 마련된,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1 주사선 및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 접속되는 제2 주사선 및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스캐너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소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또한, 제2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고,
    소스 드라이버와 제2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각 데이터선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소스 드라이버는,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앞서, 소스 드라이버의 램프 신호에 상당하는 신호를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 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를 생성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을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을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1 방향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2차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표시 소자,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열마다 마련된 데이터선 및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표시 소자행은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와, 제1 군과는 다른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소스 드라이버는 램프 신호 생성 회로와,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사이가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된 시점에 응한 전압을 데이터선에 유지시키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램프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해,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내에서, 적어도, 제1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와, 제2 군에 속하는 표시 소자에의 영상 신호 전압의 설정에 이용되는 램프 신호가 생성되고,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과 데이터선이 접속 상태로부터 비접속 상태로 전환될 때에, 어떤 표시 소자가 속하는 군과는 다른 군에 속하는 어떤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선과 램프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이 비접속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전환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27018253A 2019-12-17 2020-11-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220113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7292 2019-12-17
JPJP-P-2019-227292 2019-12-17
PCT/JP2020/042372 WO2021124748A1 (ja) 2019-12-17 2020-11-13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371A true KR20220113371A (ko) 2022-08-12

Family

ID=7647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253A KR20220113371A (ko) 2019-12-17 2020-11-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900887B2 (ko)
JP (1) JPWO2021124748A1 (ko)
KR (1) KR20220113371A (ko)
CN (1) CN114746930A (ko)
WO (1) WO20211247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3644A (ja) 2009-08-07 2011-03-17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9687B1 (en) 1998-12-28 2002-10-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er circuit and method for electro-optic display device
KR100585962B1 (ko) 2000-12-20 2006-06-07 일진다이아몬드 주식회사 서울지사 디지털 광밸브 어드레싱 방법 및 장치와 이것을 포함하는광밸브
US6630921B2 (en) 2001-03-20 2003-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umn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pixels in a column row matrix
JP3973471B2 (ja) * 2001-12-14 2007-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駆動型表示装置
US9370075B2 (en) * 2008-12-09 2016-06-1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fast compensation programming of pixels in a display
EP2945147B1 (en) * 2011-05-28 2018-08-01 Ignis Innovation Inc. Method for fast compensation programming of pixels in a display
US10715168B2 (en) * 2017-05-19 2020-07-1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an electronic display using a ramp DA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3644A (ja) 2009-08-07 2011-03-17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24748A1 (ko) 2021-06-24
US11900887B2 (en) 2024-02-13
US20220406262A1 (en) 2022-12-22
CN114746930A (zh) 2022-07-12
WO2021124748A1 (ja) 2021-06-24
US20240135887A1 (en)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1569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WO2016203841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1008157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749188B2 (en) Display element,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2021019375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964260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290278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US10270462B2 (en) Digital analog conversion circuit, data driver,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digital analog conversion circuit, driving method of data driver,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2018155832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KR20210083946A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20113371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N108701436B (zh) 源极驱动器、显示设备、以及电子设备
JP6923015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9643508B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10541705B2 (en) Digital/analog converter circuit, source driver,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 digital/analog converter circuit
US10199001B2 (en) Electrooptical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468312B2 (ja) 表示装置のラッチ回路、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0112676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396038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56269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electors configured to select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US20230091789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20096884A (ko) 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KR20170081051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JP2021173793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1173776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