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233A -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233A
KR20220113233A KR1020210084482A KR20210084482A KR20220113233A KR 20220113233 A KR20220113233 A KR 20220113233A KR 1020210084482 A KR1020210084482 A KR 1020210084482A KR 20210084482 A KR20210084482 A KR 20210084482A KR 20220113233 A KR20220113233 A KR 2022011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filter
cleaning
dust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코
Priority to PCT/KR2021/0081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69041A1/ko
Publication of KR2022011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물질이 부착된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여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직접 탈리시키기 위한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중공의 호퍼바디와, 호퍼바디의 내부를 흡기공간과 청정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통과하여 청정공간으로 이동될 때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필터가 포함된 집진기에서 집진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집진필터로부터 탈리시키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이고,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Description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CLEANING UNIT OF DUST COLLECTING FILTER AND DUST COLLECTOR EQUIPPED WITH THIS AND CONTROL METHOD OF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공기를 이물질이 부착된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여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직접 탈리시키기 위한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공기 중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기간 집진기를 사용하면, 부착된 분진에 의하여 필터의 필터링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집진기의 내부에서 필터의 내부로부터 필터의 외부로 외부로 고압의 공기나 세척수 등을 분사하여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탈리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30580호 (고안의 명칭 : 집진기의 필터청소용 펄스에어공급장치, 1996. 10. 2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공기를 이물질이 부착된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여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직접 탈리시키기 위한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중공의 호퍼바디와, 상기 호퍼바디의 내부를 흡기공간과 청정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청정공간으로 이동될 때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필터가 포함된 집진기에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필터로부터 탈리시키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이고,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컴프레셔; 및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플러싱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플러싱모듈은, 상기 흡기공간에서 다수 개가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링 형상으로 상기 집진필터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플러싱노즐; 및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승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은 상기 집진필터의 길이 방향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이룬다.
여기서, 링 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는,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 내장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링유로; 및 상기 링유로로부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슬릿;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링유로로부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거나 하향 경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노즐승강모듈은,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집진필터가 통과하는 필터통과부가 구비되는 승강바디; 일단부는 상기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호퍼바디에 구비된 로드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로드; 상기 승강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로드슬라이더; 및 상기 승강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가 회전되면, 상기 로드슬라이더가 상기 승강로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바디와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이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승강모듈은,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승강로드 상기 승강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흡기공간과 상기 보호공간을 구획하는 보호커버;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가이드; 및 상기 승강바디의 이동 한계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바디 또는 상기 로드슬라이더를 감지하는 한계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플러싱모듈은,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분사플러싱정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은 상기 청정공간에서 필터링이 완료된 유입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집진필터의 출구로부터 상기 집진필터에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백플러싱노즐이 구비된 백플러싱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플러싱모듈은, 상기 백플러싱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백플러싱정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중공의 호퍼바디와, 상기 호퍼바디의 내부를 흡기공간과 청정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집진호퍼; 상기 흡기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청정공간으로 이동할 때,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필터;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상기 집진필터를 거쳐 상기 청정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청정공간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팬; 및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필터로부터 탈리시키는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에 대한 집진 기능과, 상기 집진필터의 청소 기능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집진팬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집진팬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상기 집진팬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집진구동제어부; 상기 집진구동제어부의 제어 결과, 상기 집진팬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작용하는 동작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동작압력과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시하는 청소분석부; 상기 청소분석부의 감시 결과,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된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갱신하는 주기설정부; 상기 청소분석부의 감시 결과,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동작압력과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부; 상기 집진구동제어부의 제어 결과, 상기 집진팬이 정지되는 경우, 설정되어 있는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확인하거나 상기 청소분석부의 감시 결과를 확인하는 설정확인부; 및 상기 설정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소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유닛은, 상기 설정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압력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세팅하는 압력세팅부; 및 상기 설정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는 횟수를 세팅하는 승강세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제어부는, 상기 압력세팅부의 세팅값과 상기 승강세팅부의 세팅값을 바탕으로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구동제어부는, 상기 청소분석부의 감시 결과,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을 위해 상기 집진팬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청소제어부는,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완료 여부를 감시하되,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집진팬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에 포함되는 상기 컨트롤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집진기의 제어방법이고, 상기 집진팬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상기 집진팬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감시단계; 상기 구동감시단계의 제어 결과, 상기 집진팬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작용하는 동작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 상기 동작압력과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시하는 청소분석단계; 상기 청소분석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된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갱신하는 주기설정단계; 상기 청소분석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동작압력과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단계; 상기 구동감시단계의 제어 결과, 상기 집진팬이 정지되는 경우, 설정되어 있는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확인하거나 상기 청소분석단계의 감시 결과를 확인하는 설정확인단계; 및 상기 설정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소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설정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압력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세팅하는 압력세팅단계; 및 상기 설정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상기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상기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청소유닛이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는 횟수를 세팅하는 승강세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제어단계는, 상기 압력세팅단계의 세팅값과 상기 승강세팅단계의 세팅값을 바탕으로 상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이물질이 부착된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여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직접 탈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플러싱모듈을 흡기공간에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집진필터의 표면에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하고, 이물질 탈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플러싱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분사플러싱노즐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분사플러싱노즐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을 한정함에 따라 집진필터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의 낙하를 안정되게 하고, 이물질을 호퍼바디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플러싱노즐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링유로에 균일한 압력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집진필터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슬릿의 구조 한정을 통해 집진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의 낙하를 안정되게 하고, 이물질을 호퍼바디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배출슬릿의 상향 경사 구조에서는 이물질이 판 형상의 승강바디에 적층될 수 있지만, 승강바디의 낙하홀부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하여 이물질의 비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슬릿의 하향 경사 구조에서는 이물질을 호퍼바디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고, 승강바디의 하강에 따라 이물질의 비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승강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승강로드의 회전에 따라 승강바디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승강바디의 수평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며, 승강바디의 승강 이동에 따라 분사플러싱노즐이 집진필터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가 청정공간에 구비됨에 따라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와의 접촉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의 결합 관계를 통해 흡기공간에서 유입공기와 적어도 승강로드의 접촉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승강로드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가 흡기공간에 구비되는 경우, 흡기공간에서 유입공기와 승강구동부의 접촉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가이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흡기공간에서 승강바디의 승강 이동을 안전하게 가이드하고, 승강바디의 수평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계스위치의 결합 관계를 통해 승강바디의 이동 한계에 대응하여 승강바디의 이동이 호퍼바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바디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플러싱정압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부착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므로,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집질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플러싱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분사플러싱모듈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필터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플러싱모듈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집진필터를 통과하여 청정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백플러싱모듈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플러싱정압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부착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므로,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집질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입공기를 안정화시키고, 정체된 유입공기로부터 1차로 이물질의 분리를 유도하여 버퍼하우징에 침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 기능과 청소 기능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집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 상태에 따라 집진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에 따른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간편하게 설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의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집진필터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팬의 일시 정지를 제어하여 집진팬의 동작과 청소유닛의 동작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에 따라 집진팬의 동작 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집진필터의 청소 기능을 명확하게 구현하며, 집진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 집진필터에 청소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집진호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 집진필터에 배치된 분사플러싱노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 청소유닛의 분사플러싱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 컨트롤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는 집진호퍼(10)와, 집진필터(20)와, 청소유닛을 포함하고, 집진팬(30)을 더 포함하며, 컨트롤유닛(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는 버퍼하우징(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발생 측에서 발생된 유입공기가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달라인이고, 도면부호 200은 전달라인(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입공기가 집진호퍼(10)에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흡기라인이며, 도면부호 300은 집진호퍼(10)와 집진팬(30)을 연결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유입공기가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라인이고, 도면부호 400은 집진팬(3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유입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청정라인이다.
집진호퍼(10)는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고, 유입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집진호퍼(10)는 중공의 호퍼바디(11)와, 호퍼바디(11)의 내부를 흡기공간(121)과 청정공간(122)으로 구획하는 격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퍼바디(11)의 상부에는 청정공간(122)을 노출시키는 상부개구(111)가 구비되고, 상부개구(111)는 상부덮개(13)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탈착부(131)는 호퍼바디(11)의 상부에서 상부덮개(13)를 탈부착 가능하게 또는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탈착부(13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부덮개(13)를 호퍼바디(11)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또는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부덮개(13)는 상부개구(111)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퍼바디(11)의 하부에는 흡기공간(121)을 노출시키는 하부개구(112)가 구비되고, 하부개구(112)는 하부덮개(14)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탈착부(141)는 호퍼바디(11)의 하부에서 하부덮개(14)를 탈부착 가능하게 또는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부탈착부(14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하부덮개(14)를 호퍼바디(11)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또는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하부덮개(14)는 하부개구(112)를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호퍼바디(11)의 측부에는 흡기공간(121)과 연통되는 흡기구(113)가 구비되고, 흡기구(113)에는 흡기라인이 연결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유입공기가 흡기공간(121)에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한다.
호퍼바디(11)의 상부 또는 상부덮개(13)에는 청정공간(122)과 연통되는 배기구(114)가 구비되고, 배기구(114)에는 배기라인이 연결되도록 하여 청정공간(122)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거된 유입공기가 청정공간(122)에서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격벽(12)에는 집진필터(20)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결합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 이상의 필터결합홀부는 상호 이격되어 집진필터(20)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집진필터(20)는 흡기공간(121)에 구비된다. 집진필터(20)는 백필터 형태를 나타내어 필터결합홀부에 결합되고, 집진필터(20)의 내부는 청정공간(122)과 연통되고, 집진필터(20)의 표면은 흡기공간(121)에 노출되도록 한다. 집진필터(20)는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통과하여 청정공간(122)으로 이동할 때,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청소유닛은 집진필터(2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집진필터(20)로부터 탈리시킨다. 특히, 청소유닛은 흡기공간(121)에서 집진필터(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집진필터(20)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탈리시킬 수 있다.
청소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컴프레셔(50)와, 흡기공간(121)에서 집진필터(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압축공기를 집진필터(20)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플러싱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셔(5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면 충분하다.
분사플러싱모듈(70)은 분사플러싱노즐(77)과, 노즐승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플러싱노즐(77)은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분사플러싱노즐(77)은 흡기공간(121)에서 다수 개가 집진필터(20)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링 형상으로 집진필터(2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사플러싱노즐(77)은 링 형상으로 집진필터(2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분사플러싱노즐(77)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은 집진필터(20)의 길이 방향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이루어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링 형상을 나타내는 분사플러싱노즐(77)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771)와, 흡입구(771)와 연통되고 분사플러싱노즐(77)에 내장되어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링유로(772)와, 링유로(772)로부터 집진필터(20)의 표면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슬릿(773)이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흡입구(771)는 둘 이상이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링유로(772)에 압축공기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특히, 배출슬릿(773)은 링유로(772)로부터 집진필터(20)의 표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거나 하향 경사를 이루어 압축기의 분사 방향을 한정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슬릿(77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외부와 링유로(772)를 연통시키는 배출홀 형태로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링 형상을 나타내는 분사플러싱노즐(77)은 흡입구(771)가 구비되는 상부노즐부와, 상부노즐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노즐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부노즐부와 하부노즐부에는 각각 링유로(772)를 형성하기 위한 링유로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노즐부와 하부노즐부에는 각각 배출슬릿(773)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홈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함몰 형성되거나, 배출슬릿(773)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돌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노즐승강모듈은 흡기공간(121)에서 집진필터(20)를 따라 분사플러싱노즐(77)을 이동시킨다.
노즐승강모듈은 분사플러싱노즐(77)이 결합된 상태에서 흡기공간(121)에 구비되되 집진필터(20)가 통과하는 필터통과부(721)가 구비되는 승강바디(72)와, 일단부는 격벽(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흡기공간(121)에서 호퍼바디(11)에 구비된 로드지지부(7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로드(74)와, 승강바디(72)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로드(74)에 나사 결합되는 로드슬라이더(75)와, 승강로드(74)의 단부에 결합되어 승강로드(74)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승강모듈에서 승강구동부(73)의 동작에 따라 승강로드(74)가 회전되면, 로드슬라이더(75)가 승강로드(74)를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바디(72)와 분사플러싱노즐(77)이 집진필터(20)를 따라 이동하므로, 분사플러싱노즐(77)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탈리시킬 수 있다.
승강바디(72)에는 흡입구(771)와 연통되는 흡입연통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흡입커넥터를 매개로 흡입구(771)와 흡입연통홀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호퍼바디(11)에는 압축공기커넥터가 구비되고, 압축공기커넥터는 공간공기라인을 매개로 흡입커넥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승강바디(72)는 판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물질의 적층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는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분사플러싱노즐(77)이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판 형상의 승강바디(72)에는 낙하홀부가 관통 형성되어 승강바디(72)의 상부에 적층되는 이물질이 호퍼바디(11)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승강로드(74)는 둘 이상이 대칭을 이루도록 이격 배치되어 승강바디(72)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승강로드(74)에서 승강바디(72)에 결합된 부분에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승강바디(72)에서 승강로드(7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승강로드(74)와 승강바디(72)가 결합된 부분에서 흡기공간(121)의 유입공기가 청정공간(122)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드슬라이더(75)는 승강로드(74)와의 나사 결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해 승강로드(74)에서 로드슬라이더(75)의 승강 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승강구동부(73)는 청정공간(122)에 구비됨에 따라 이물질이 포함된 유입공기로부터 승강구동부(73)를 보호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73)는 승강브라켓을 매개로 호퍼바디(11) 또는 격벽(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구동부(73)는 흡기공간(1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공간(121)에는 후술하는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승강모듈은 흡기공간(121)에서 승강로드(74)와 승강구동부(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흡기공간(121)과 보호공간을 구획하는 보호커버와,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바디가이드와, 승강바디(72)의 이동 한계에 대응하여 승강바디(72) 또는 로드슬라이더(75)를 감지하는 한계스위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공간에 승강로드(74)가 배치되는 경우, 보호커버에는 승강슬라이더(76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절개부가 구비되어 승강슬라이더(76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승강커버에는 승강절개부를 폐쇄하는 역류방지커버가 구비되어 흡기공간(121)의 유입공기가 보호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바디가이드는 로드슬라이더(75)와 결합되거나 로드슬라이더(75)에서 이격되어 승강바디(72)에 구비되는 승강슬라이더(761)와, 승강슬라이더(76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레일(762)과, 승강레일(762)의 양단부를 호퍼바디(11)에 결합시키는 레일지지부(763)를 포함하므로,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슬라이더(761)는 승강레일(762)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한다.
한계스위치는 승강바디(72) 또는 로드슬라이더(75) 또는 승강슬라이더(761)를 감지하면, 승강구동부(73)는 승강로드(74)를 정지시키거나 승강로드(74)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계스위치는 흡기공간(121)의 상부에서 승강바디(72) 또는 로드슬라이더(75) 또는 승강슬라이더(761)의 상한선을 나타내는 상한스위치(78)와, 흡기공간(121)의 하부에서 승강바디(72) 또는 로드슬라이더(75) 또는 승강슬라이더(761)의 하한선을 나타내는 하한스위치(79)로 구분할 수 있다.
분사플러싱모듈(70)은 분사플러싱노즐(77)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분사플러싱정압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은 청정공간(122)에서 필터링이 완료된 유입공기가 배출되는 집진필터(20)의 출구로부터 집진필터(2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백플러싱노즐(62)이 구비된 백플러싱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플러싱노즐(62)의 일단부는 호퍼바디(11)의 상부 또는 상부덮개(13)에 구비되고, 백플러싱노즐(62)의 타단부는 집진필터(20)의 내부를 향하므로, 청정공간(122)에서 집진필터(20)에 압축공기를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백플러싱모듈(60)은 백플러싱노즐(62)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백플러싱정압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팬(30)은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집진필터(20)를 거쳐 청정공간(122)으로 이동하도록 청정공간(122)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집진팬(30)은 집진호퍼(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하우징(40)은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되는 유입공기가 집진호퍼(10)에 전달되기 전에 수용된다. 버퍼하우징(40)은 내부에 유입공기가 수용됨에 따라 유입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버퍼하우징(40)의 바닥에 적층될 수 있고, 버퍼하우징(40)의 개폐에 따라 버퍼하우징(40)의 바닥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컨트롤유닛(81)은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되는 유입공기에 대한 집진 기능과, 집진필터(20)의 청소 기능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집진팬(30)과 청소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유닛(81)은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집진팬(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집진구동제어부(81)와, 집진구동제어부(81)의 제어 결과 집진팬(30)이 동작되는 경우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작용하는 동작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82)와,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시하는 청소분석부(83)와,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된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갱신하는 주기설정부(84)와,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부(85)와, 집진구동제어부(81)의 제어 결과 집진팬(30)이 정지되는 경우 설정되어 있는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확인하거나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를 확인하는 설정확인부(86)와, 설정확인부(86)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소제어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유닛(81)에서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미만이고,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미만인 경우, 집진구동제어부(81) 또는 청소분석부(83)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유지시켜 집진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설정확인부(86)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가 아니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미만이고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미만인 경우, 집진구동제어부(81)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후속 집진 기능과 후속 청소 기능을 위해 대기한다.
컨트롤유닛(81)은 설정확인부(86)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압력설정부(85)에서 설정된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세팅하는 압력세팅부(87)와, 설정확인부(86)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하여 청소유닛이 집진필터(20)를 따라 이동하는 횟수를 세팅하는 승강세팅부(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청소제어부(89)는 압력세팅부(87)의 세팅값과 승강세팅부(88)의 세팅값을 바탕으로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집진구동제어부(81)는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을 위해 집진팬(3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집진팬(30)과 청소유닛의 동작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제어부(89)는 청소유닛의 동작 완료 여부를 감시하되 청소유닛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집진팬(3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집진필터(20)에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소유닛의 동작이 완료되면, 청소제어부(89)는 청소유닛의 동작에 대한 감시를 해제하고, 집진구동제어부(81)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집진팬(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로, 청소유닛의 동작에 따라 정체된 집진신호를 바탕으로 집진팬(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카운트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 포함되는 컨트롤유닛(81)을 이용하여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집진기의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제어방법은 구동감시단계(S1)와, 압력측정단계(S2)와, 청소분석단계(S3)와, 주기설정단계(S4)와, 압력설정단계(S5)와, 설정확인단계(S11)와, 청소단계(S14)를 포함하고, 압력세팅단계(S12)와, 승강세팅단계(S13)를 더 포함하며, 일시정지단계(S6)와, 완료감시단계(S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감시단계(S1)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집진팬(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구동감시단계(S1)는 집진구동제어부(81)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압력측정단계(S2)는 구동감시단계(S1)의 제어 결과, 집진팬(30)이 동작되는 경우,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작용하는 동작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측정단계(S2)는 압력측정부(82)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다.
청소분석단계(S3)는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시한다. 청소분석단계(S3)는 청소분석부(83)의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다.
주기설정단계(S4)는 청소분석단계(S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된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갱신한다. 주기설정단계(S4)는 주기설정부(84)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압력설정단계(S5)는 청소분석단계(S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설정한다. 압력설정단계(S5)는 압력설정부(85)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분석단계(S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미만이고,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미만인 경우, 구동감시단계(S1)로 복귀하여 집진구동제어부(81) 또는 청소분석부(83)의 제어에 따라 집진팬(30)의 동작을 유지시켜 집진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한다.
설정확인단계(S11)는 구동감시단계(S1)의 제어 결과, 집진팬(30)이 정지되는 경우, 설정되어 있는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확인하거나 청소분석단계(S3)의 감시 결과를 확인한다. 설정확인단계(S11)는 설정확인부(86)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청소단계(S14)는 설정확인단계(S11)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청소단계(S14)는 청소제어부(89)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설정확인부(86)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가 아니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미만이고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미만인 경우, 집진구동제어부(81)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후속 집진 기능과 후속 청소 기능을 위해 대기한다.
압력세팅단계(S12)는 설정확인단계(S11)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압력설정단계(S5)에서 설정된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세팅한다. 압력세팅단계(S12)는 압력세팅부(87)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승강세팅단계(S13)는 설정확인단계(S11)의 확인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에 해당되거나,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하여 청소유닛이 집진필터(20)를 따라 이동하는 횟수를 세팅한다. 승강세팅단계(S13)는 승강세팅부(88)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압력세팅단계(S12)와 승강세팅단계(S13)가 포함되는 경우, 청소제어단계는 압력세팅단계(S12)의 세팅값과 승강세팅단계(S13)의 세팅값을 바탕으로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일시정지단계(S6)는 청소분석부(83)의 감시 결과 동작압력이 기설정된 청소압력 이상인 경우와 동작압력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압력변화율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청소유닛의 동작을 위해 집진팬(3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켜, 집진팬(30)과 청소유닛의 동작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시정지단계(S6)는 집진구동제어부(81)의 동작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완료감시단계(S15)는 청소유닛의 동작 완료 여부를 감시한다. 완료감시단계(S15)의 결과, 청소유닛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집진팬(3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집진필터(20)에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소유닛의 동작이 완료되면, 청소제어부(89)는 청소유닛의 동작에 대한 감시를 해제하고, 집진구동제어부(81)는 집진팬(30)의 동작을 위한 집진신호와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감시하여 집진팬(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로, 청소유닛의 동작에 따라 정체된 집진신호를 바탕으로 집진팬(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술한 집진필터(20)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이물질이 부착된 집진필터(20)의 표면에 분사하여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직접 탈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플러싱모듈(70)을 흡기공간(121)에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하고, 이물질 탈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플러싱모듈(7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분사플러싱노즐(77)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분사플러싱노즐(77)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을 한정함에 따라 집진필터(20)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의 낙하를 안정되게 하고, 이물질을 호퍼바디(11)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분사플러싱노즐(77)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링유로(772)에 균일한 압력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집진필터(2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출슬릿(773)의 구조 한정을 통해 집진필터(2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하고, 이물질의 낙하를 안정되게 하고, 이물질을 호퍼바디(11)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배출슬릿(773)의 상향 경사 구조에서는 이물질이 판 형상의 승강바디(72)에 적층될 수 있지만, 승강바디(72)의 낙하홀부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하도록 하여 이물질의 비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슬릿(773)의 하향 경사 구조에서는 이물질을 호퍼바디(11)의 하부로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고, 승강바디(72)의 하강에 따라 이물질의 비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승강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승강로드(74)의 회전에 따라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승강바디(72)의 수평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며,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에 따라 분사플러싱노즐(77)이 집진필터(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73)가 청정공간(122)에 구비됨에 따라 흡기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와의 접촉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의 결합 관계를 통해 흡기공간(121)에서 유입공기와 적어도 승강로드(74)의 접촉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승강로드(7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73)가 흡기공간(121)에 구비되는 경우, 흡기공간(121)에서 유입공기와 승강구동부(73)의 접촉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가이드의 결합 관계를 통해 흡기공간(121)에서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을 안전하게 가이드하고, 승강바디(72)의 수평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한계스위치의 결합 관계를 통해 승강바디(72)의 이동 한계에 대응하여 승강바디(72)의 이동이 호퍼바디(1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바디(72)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사플러싱정압부(71)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부착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므로,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집질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플러싱모듈(6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분사플러싱모듈(7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필터(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플러싱모듈(7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집진필터(20)를 통과하여 청정공간(12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백플러싱모듈(6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백플러싱정압부(61)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부착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므로,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키고, 집질필터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퍼하우징(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입공기를 안정화시키고, 정체된 유입공기로부터 1차로 이물질의 분리를 유도하여 버퍼하우징(40)에 침전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유닛(81)의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 기능과 청소 기능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집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유닛(81)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집진 상태에 따라 집진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동작압력과 동작압력의 변화율에 따른 청소유닛의 동작 주기를 간편하게 설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집진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의 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집진필터(20)의 표면에서 이물질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집진팬(30)의 일시 정지를 제어하여 집진팬(30)의 동작과 청소유닛의 동작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유닛의 동작 상태에 따라 집진팬(30)의 동작 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집진필터(20)의 청소 기능을 명확하게 구현하며, 집진필터(20)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집진호퍼 11: 호퍼바디 111: 상부개구
112: 하부개구 113: 흡기구 114: 배기구
12: 격벽 121: 흡기공간 122: 청정공간
13: 상부덮개 131: 상부탈착부 14: 하부덮개
141: 하부탈착부 20: 집진필터 30: 집진팬
40: 버퍼하우징 50: 컴프레셔
60: 백플러싱모듈 61: 백플러싱정압부 62: 백플러싱노즐
70: 분사플러싱모듈 71: 분사플러싱정압부 72: 승강바디
721: 필터통과부 73: 승강구동부 74: 승강로드
741: 로드지지부 75: 로드슬라이더 761: 승강슬라이더
762: 승강레일 763: 레일지지부 77: 분사플러싱노즐
771: 흡입구 772: 링유로 773: 배출슬릿
78: 상한스위치 79: 하한스위치
80: 컨트롤유닛 81: 집진구동제어부 82: 압력측정부
83: 청소분석부 84: 주기설정부 85: 압력설정부
86: 설정확인부 87: 압력세팅부 88: 승강세팅부
89: 청소제어부 100: 전달라인 200: 흡기라인
300: 배기라인 400: 청정라인
S1: 구동감시단계 S2: 압력측정단계 S3: 청소분석단계
S4: 주기설정단계 S5: 압력설정단계 S6: 일시정지단계
S11: 설정확인단계 S12: 압력세팅단계 S13: 승강세팅단계
S14: 청소단계 S15: 완료감시단계

Claims (6)

  1. 중공의 호퍼바디와, 상기 호퍼바디의 내부를 흡기공간과 청정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청정공간으로 이동될 때 상기 흡기공간으로 유입된 유입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필터가 포함된 집진기에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필터로부터 탈리시키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이고,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컴프레셔; 및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플러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플러싱모듈은,
    상기 흡기공간에서 다수 개가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링 형상으로 상기 집진필터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에 상기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플러싱노즐; 및
    상기 흡기공간에서 상기 집진필터를 따라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은 상기 집진필터의 길이 방향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링 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는,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분사플러싱노즐에 내장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링유로; 및
    상기 링유로로부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을 향해 개구되는 배출슬릿;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슬릿은,
    상기 링유로로부터 상기 집진필터의 표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거나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필터의 청소유닛.

KR1020210084482A 2021-02-05 2021-06-29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KR20220113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8142 WO2022169041A1 (ko) 2021-02-05 2021-06-29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942 2021-02-05
KR20210016942 2021-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233A true KR20220113233A (ko) 2022-08-12

Family

ID=8280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82A KR20220113233A (ko) 2021-02-05 2021-06-29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2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580A (ko) 1995-01-24 1996-08-17 구자홍 셀루라폰의 특수기능 모드 자동 재진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580A (ko) 1995-01-24 1996-08-17 구자홍 셀루라폰의 특수기능 모드 자동 재진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470B1 (ko) 터널 공사용 분진 집진 제거 장치
KR101220434B1 (ko)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KR20080086633A (ko) 집진장치
JP2009233665A (ja) ブローパイプ付きドアを備える水平型集塵機
JP6702650B2 (ja) 繊維性フィルターシステム、及び当該繊維性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清浄する方法
KR20220113233A (ko)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KR101416563B1 (ko) 공기정화장치
JP2007130566A (ja) 集塵機用濾布の破損検知方法
KR102064137B1 (ko) 미세먼지의 양에 대응하여 용액 분사량을 조절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13384944A (zh) 一种基于磁控过滤网形变的污水过滤环保设备
KR102083354B1 (ko) 다기능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봉인식 터널 환기방법
KR101236503B1 (ko) 공기정화장치
KR100845545B1 (ko) 듀얼 흡입 시스템을 구비한 집진기
CN110778353B (zh) 一种隧道除尘设备
KR101352617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장비용 복합 집진장치
CN106390624A (zh) 一种可自动清洗的除尘机
CN208193812U (zh) 一种减少结垢的磷铵料浆过滤装置
CN109758862A (zh) 具有导流板的除尘设备
KR20120063881A (ko)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322198B1 (ko) 자동 필터 청소 기능이 구비된 소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IoT가 연동된 집진 시스템
KR101622773B1 (ko) 송풍기 흡입구의 이물질 유입방지 필터장치
KR200400253Y1 (ko) 터널 공사용 분진 집진 제거 장치
JP2002059097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200479561Y1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CN209848579U (zh) 一种园林珍稀绿化植物除尘养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