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56A -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056A
KR20220113056A KR1020210016770A KR20210016770A KR20220113056A KR 20220113056 A KR20220113056 A KR 20220113056A KR 1020210016770 A KR1020210016770 A KR 1020210016770A KR 20210016770 A KR20210016770 A KR 20210016770A KR 20220113056 A KR20220113056 A KR 2022011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umkuchen
mandrel
inner mold
manufacturing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5268B1 (en
Inventor
신주연
Original Assignee
신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연 filed Critical 신주연
Priority to KR102021001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68B1/en
Publication of KR2022011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4Apparatus for baking cylindrical cakes on spi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2Apparatus for slotting, slitting or perforating the surface of piece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4/00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to make Baumkuchen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hristmas tree shape and the like. The method comprises: an initial layer-forming step of attaching dough to a surface of at least one inner mold coupled to a rotatable mandrel and heating the same while rotating the mandrel; a layer-stacking step of attaching the dough to a surface of the baked dough on a surface of the inner mold and heating the same while rotating the mandrel to laminate the baked doug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mold to manufacture Baumkuchen; and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inner mold from the mandrel and separating the Baumkuchen from the inner mold.

Description

바움쿠헨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본 발명은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크리스마스 트리 형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바움쿠헨을 제조하기 위한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shape of a Christmas tree.

바움쿠헨(Baumkuchen)은 심봉에 반죽을 구워 가운데가 뚫린 케이크로서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에서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특히, 독일에서 가족 행사나 축제 때 빠지지 않은 음식 중 하나이다.Baumkuchen is a cake with a hole in the middle by baking dough on a mandrel. It started to be made in Germany, Austria, and Hungary. Especially, it is one of the staple foods for family events and festivals in Germany.

이러한 바움쿠헨은 직역하면 나무 케이크란 뜻으로 단면이 나무의 나이테와 흡사한 황금빛 고리가 겹겹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Baumkuchen literally means tree cake, and it got its name from the layered formation of golden rings that resemble tree rings in cross section.

일반적으로 바움쿠헨은 밀가루, 버터, 계란 등을 포함하는 반죽물을 심봉 표면에 점착시켜 가열하고 상기 심봉에 점착된 반죽물이 익으면 그 위에 다시 반죽물을 점착시켜 가열하여 익히는 단계를 수차례 반복하여 제조된다.In general, Baumkuchen is heated by attaching dough containing flour, butter, eggs, etc. to the surface of the mandrel, and when the dough adhered to the mandrel is cooked, the step is repeated several times by attaching the dough to the mandrel and heating it again. is manufactured by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0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움쿠헨의 제조방법이 있다.As a prior art for this, there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baumkuch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39055.

이러한 종래의 바움쿠헨의 제조방법은 밀가루, 난황, 설탕, 베이킹 파우더, 정제수 등이 포함된 30 내지 90cps의 점도의 반죽물을 환봉 형상의 지지봉 표면에 점착시키고, 상기 지지봉을 회전시키면서 반죽물의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반죽물을 지지봉의 둘레 방향으로 적층하여 다층의 레이어를 형성한다.In this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Baumkuchen, a dough having a viscosity of 30 to 90 cps containing flour, egg yolk, sugar, baking powder, purified water, etc.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a round rod-shaped support rod, and the surface of the dough is rotated while rotating the support rod. By repeating the heating step and the above steps, the dough is lamin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to form a multi-layered layer.

한편, 근래에는 기념일 또는 이벤트를 위한 다양한 형상의 케이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크리스마스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크리스마스트리 형상의 바움쿠헨이 출시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cakes of various shapes for anniversaries or events is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in order to commemorate this on Christmas, Baumkuchen in the shape of a Christmas tree as shown in FIG. 2 is releas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바움쿠헨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움쿠헨의 경우 레이어를 형성하는 횟수에 따라 직경만 달라질 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모양은 일정하다.In the case of the baumkuchen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diameter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layer is formed, but the shape is constant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이에 따라, 종래의 바움쿠헨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크리스마스트리 형상의 바움쿠헨을 제조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 원통 형상의 바움쿠헨(B)을 제조한 후, 외측의 제거부(B1)를 칼 등의 도구로 일일이 다듬어야 함에 따라 제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hristmas tree-shaped baumkuchen using a conventional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s shown in FIG. 1 , after manufacturing a hollow cylindrical baumkuchen (B), the outside removal part (B1) ),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as it has to be trimmed one by one with tools such as a knif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parts are discard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55호(공고일 2019.01.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3955 (published on January 17, 201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크리스마스트리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바움쿠헨을 제조하기 적합한 바움쿠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suitable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of various shapes including a Christmas tree shape, which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회전 가능한 심봉에 결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내측형틀의 표면에 반죽물을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이를 가열하는 초기 레이어 형성단계, 상기 내측형틀의 표면에서 구워진 반죽물의 표면에 상기 반죽물을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이를 가열하여 상기 내측형틀의 둘레 방향으로 구워진 반죽물을 적층시켜 바움쿠헨을 제조하는 레이어 적층단계 및 상기 심봉으로부터 상기 내측형틀을 분리하고 상기 내측형틀로부터 상기 바움쿠헨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itial layer forming step of adhering a dough to the surface of at least one inner mold coupled to a rotatable mandrel and heating the mandrel while rotating the mandrel; A layer lamination step of adhering the dough to the surface of the dough bak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and heating it while rotating the mandrel to laminate the baked doug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mold to produce Baumkuchen, and from the mandrel and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inner mold and separating the baumkuchen from the inner mold.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와 상기 분리단계 사이에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바움쿠헨의 외측 형상을 가공하는 외측형상 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ore preferably,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hape processing step of machining the outer shape of the Baumkuchen while rotating the mandrel between the layer stacking step and the separating ste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와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 사이에 상기 바움쿠헨을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Baumkuchen between the layer stacking step and the outer shape processing step.

또한, 상기 내측형틀은 상기 심봉과 탈착 가능하며 자전방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형틀의 외주면은 중심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역구배가 형성되지 않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mold is detachable from the mandrel and includes an anti-rotation structur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mold has a shape in which a reverse gradient is not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en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크리스마스트리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바움쿠헨을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baumkuchen in various shapes including the shape of a Christmas tre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외측 가공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형상 가공에 따라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for outer processing as well as minimize the discarded portion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processing.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종래의 바움쿠헨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크리스마스트리 형상의 바움쿠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2의 각 단계를 도시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심봉과 이에 결합된 내측형틀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움쿠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umkuchen in the shape of a Christmas tree manufactured through a conventional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2 is a flowchart of a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of FIG. 2 .
4A and 4B are respectively front views of a mandrel used in a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ner mold coupled thereto.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baumkuchen manufactur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umku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top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C to D” is u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specific contrary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that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and less than or equal to 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하기 위한 도구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ool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umkuche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도2의 각 단계를 도시한한 개념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Baumku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of FIG. 2 .

또한,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심봉과 이에 결합된 내측형틀의 정면도이다.In addition, FIGS. 4 a and b are front views of a mandrel used in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ner mold coupled thereto, respectively.

또한,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움쿠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baumkuchen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umkuc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준비단계(S100)와 초기 레이어 형성단계(S200)와 레이어 적층단계(S300)와 외측형상 가공단계(S400) 및 분리단계(S500)를 포함한다.2 and 3,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paration step (S100), an initial layer formation step (S200), a layer stacking step (S300), an outer shape processing step (S400), and a separation step (S500) ) is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비단계(S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봉(10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내측형틀(200)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paration step (S100) includes coupling at least one inner mold 200 to the mandrel 100 as shown in FIGS. 3 and 4 .

한편, 상기 준비단계(S100)는 밀가루, 난황, 설탕, 베이킹 파우더, 정제수 등이 포함된 30 내지 90cps의 점도의 반죽물(P)을 생성하고 이를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paration step (S100)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reparing the dough (P) of the viscosity of 30 to 90 cps containing flour, egg yolk, sugar, baking powder, purified water, and the like.

한편, 상기 심봉(100)은 단면이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인 환봉으로서 구동모터 등에 의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drel 100 is a round rod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including a circle, and can be rotated in any one direction by a driving motor or the like.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바움쿠헨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틀로서 내측에는 상기 심봉(10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중심부(2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2개의 경사부(2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200 is a frame for forming the inner shape of the baumkuchen to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umku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rel 100 can be inserted. The outer side includes two inclined portions 220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210 .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상기 심봉(1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자전방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200 may further include an anti-rotation structur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mandrel 100 .

일례로, 상기 내측형틀(200)은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심봉(10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심봉(100)과 함께 회전하도록 내측에 상기 심봉(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전방지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inner mold 200 is formed on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ndrel 100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mandrel 100 when the mandrel 100 rotates as shown in a of FIG. 4 .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i-rotation protrusion 240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심봉(100)은 상기 자전방지돌기(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전방지홈(110)이 형성된다.Accordingly, in the mandrel 100 , the anti-rotation groove 1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i-rotation protrusion 240 .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전방지홈(110)은 상기 내측형틀(200)이 상기 심봉(100)의 어느 일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까지 형성된다.More preferably, the anti-rotation groove 110 is formed up to one end so that the inner mold 200 is separable to either side of the mandrel 100 .

이에 따라, 상기 내측형틀(200)은 상기 심봉(100)에 결합되면 상기 심봉(100)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심봉(100)의 어느 일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inner mold 200 is coupled to the mandrel 100 ,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mandrel 100 , and may be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mandrel 100 .

또한, 상기 자전방지홈(110)과 상기 자전방지돌기(240)의 형성위치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anti-rotation groove 110 and the anti-rotation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상기 심봉(100)의 어느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형틀 고정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ormwork 200 may include an inner formwork fixing member 250 for preventing separation to either side of the mandrel 100 .

일례로, 상기 내측형틀 고정부재(250)는 상기 심봉(100)의 반경 방향으로 탈착되는 볼트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frame fixing member 250 may be a bolt detach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andrel 100 .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부(2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원호부(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200 may include an arc portion 230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210 as shown in FIG. 4B .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상기 중심부(210)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역구배가 형성되지 않는 형상은 어느 형상이라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200 may have any shape in which an inverse gradient is not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210 .

또한, 상기 내측형틀(200)은 표면에 반죽물이 고루 점착될 수 있도록 급격히 형상이 변경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mold 200 minimizes a portion whose shape is rapidly changed so that the dough can be uniformly adhered to the surface.

한편, 상기 초기 레이어 형성단계(S200)는 상기 내측형틀(200) 표면에 상기 반죽물(P)을 고루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100)을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는 단계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layer forming step (S200) is a step of evenly adhering the dough (P) to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200 and heating while rotating the mandrel (100).

이에 따라, 상기 내측형틀(200)의 표면에 점착된 상기 반죽물(P)은 구워져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바움쿠헨(B)의 내측을 형성한다.Accordingly, the dough (P)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200 is baked to form the inner side of the baumkuchen (B)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S300)는 상기 내측형틀(200)의 표면에 점착되어 구워진 반죽물 표면에 상기 반죽물(P)을 고루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100)을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는 단계이다.In addition, the layer stacking step (S300) is a step of evenly adhering the dough (P) to the surface of the dough baked by being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200) and heating while rotating the mandrel (100).

이때,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S300)의 반복횟수에 따라 바움쿠헨(B)의 외경이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baumkuchen (B)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layer stacking step (S300).

즉,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S300)를 통하여 상기 내측형틀(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측형상과 상기 내측형상에서 외측으로 오프셋된 외측형상을 갖는 바움쿠헨(B)을 제조할 수 있다. That is,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umkuchen (B) having an inn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mold 200 and an outer shape offset from the inner sh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layer stacking step (S300) ) can be prepared.

한편,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S400)는 상기 심봉(1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워진 바움쿠헨(B)의 외측에 커터(300)를 밀착시켜 상기 바움쿠헨(B)의 외측을 가공하는 단계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hape processing step (S400) is to process the outside of the baumkuchen (B) by adhering the cutter 300 to the outside of the baked baumkuchen (B) as described above while rotating the mandrel (100). is a step

이에 따라, 상기 커터(300)의 날 형상은 어느 일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lade shape of the cutter 300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sired by the manufacturer.

또한, 상기 커터(300)는 상기 중심부(21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심봉(100)의 외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날이 별도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내측형틀(200)에 의하여 하나로 구워진 바움쿠헨(B)을 상기 내측형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커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er 300 has a separately formed blade exten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21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ndrel 100 and bakes Baumkuchen (B) into one by a plurality of inner molds 200 . It can be cut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inner mold 200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종래의 바움쿠헨 제조방법과 비교하여 바움쿠헨(B)의 외측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for processing the outer shape of the baumkuchen (B)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은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S400) 시 바움쿠헨(B)이 부스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S300)와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S400) 사이에 상기 바움쿠헨(B)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ayer stacking step (S300) and the outer shape processing step (S400) in order to prevent the baumkuchen (B) from being crushed or deformed during the outer shape processing step (S400).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baumkuchen (B) may be further included in between.

한편, 상기 분리단계(S500)는 상기 심봉(100)으로부터 상기 내측형틀(200)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step (S500) includes the step of separating the inner mold 200 from the mandrel 100.

이때, 상기 내측형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S300)를 통하여 구워진 바움쿠헨(B)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mold 200 includes the Baumkuchen (B) baked through the layer stacking step (S300).

이에 따라, 상기 분리단계(S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심봉(100)으로부터 상기 내측형틀(200)을 분리한 후, 상기 내측형틀(200)로부터 상기 바움쿠헨(B)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ly, the separating step (S500)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parating the inner mold 200 from the mandrel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n separating the baumkuchen B from the inner mold 200. include

이때, 상기 바움쿠헨(B)은 각각의 내측형틀(200)의 중심부(210)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상기 내측형틀(200)과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umkuchen B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mold 200 in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210 of each inner mold 200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움쿠헨(B)은 종래의 제조방법을 제조된 바움쿠헨과 비교하여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형상 가공을 위하여 버려지는 제거부(B1)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umkuchen (B) manufactured by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arded for outer shape processing as shown in FIG. The removal part B1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움쿠헨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움쿠헨(B)은 상기 내측형틀(200)의 형상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 형상의 바움쿠헨(B)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umkuchen (B) manufactured by the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l-shaped baumkuchen (B) as shown in FIG. 5 b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mold 200 . It may have various shapes.

이때, 상기 종 형상의 바움쿠헨(B)과 같이 외측 가공이 필요 없는 경우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는 생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utside processing is not required, as in the bell-shaped Baumkuchen (B), the outside shape processing step may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B. 바움쿠헨
B1. 제거부
p. 반죽물
S100. 준비단계
S200. 초기 레이어 형성단계
S300. 레이어 적층단계
S400. 외측형상 가공단계
S500. 분리단계
100. 심봉
110. 자전방지홈
200. 내측형틀
210. 중심부
220. 경사부
230. 원호부
240. 자전방지돌기
250. 내측형틀 고정부재
300. 커터
B. Baumkuchen
B1. remover
p. dough
S100. preparation stage
S200. Initial layer formation step
S300. layer stacking step
S400. Outer shape processing step
S500. separation step
100. Mandrel
110. Anti-rotation home
200. Inner mold
210. The heart
220. Slope
230. Auxiliary Department
240. Anti-rotation projection
250. Inner frame fixing member
300. Cutter

Claims (4)

회전 가능한 심봉에 결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내측형틀의 표면에 반죽물을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이를 가열하는 초기 레이어 형성단계;
상기 내측형틀의 표면에서 구워진 반죽물의 표면에 상기 반죽물을 점착시키고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이를 가열하여 상기 내측형틀의 둘레 방향으로 구워진 반죽물을 적층시켜 바움쿠헨을 제조하는 레이어 적층단계; 및
상기 심봉으로부터 상기 내측형틀을 분리하고 상기 내측형틀로부터 상기 바움쿠헨을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바움쿠헨 제조방법.
an initial layer forming step of adhering the dough to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r more inner molds coupled to the rotatable mandrel and heating the kneaded material while rotating the mandrel;
A layer lamination step of adhering the dough to the surface of the dough bak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and heating it while rotating the mandrel to laminate the baked doug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mold to produce Baumkuchen; and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inner mold from the mandrel and separating the baumkuchen from the inner mold;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와 상기 분리단계 사이에
상기 심봉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바움쿠헨의 외측 형상을 가공하는 외측형상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움쿠헨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layer stacking step and the separating step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n outer shape processing step of machining the outer shape of the Baumkuchen while rotating the mandre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적층단계와 상기 외측형상 가공단계 사이에
상기 바움쿠헨을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움쿠헨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Between the layer lamination step and the outer shape processing step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cooling step of cooling the baumkuch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형틀은 상기 심봉과 탈착 가능하며 자전방지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형틀의 외주면은 중심부로부터 단부 측으로 향하는 방향에 역구배가 형성되지 않는 형상인 바움쿠헨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mold is detachable from the mandrel and includes an anti-rotation struct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old is a Baumkuchen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shape in which a reverse gradient is not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end side.
KR1020210016770A 2021-02-05 2021-02-05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KR1026152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70A KR102615268B1 (en) 2021-02-05 2021-02-05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70A KR102615268B1 (en) 2021-02-05 2021-02-05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56A true KR20220113056A (en) 2022-08-12
KR102615268B1 KR102615268B1 (en) 2023-12-19

Family

ID=8280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70A KR102615268B1 (en) 2021-02-05 2021-02-05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955B1 (en) 1996-03-12 1999-06-15 전주범 Ignition Method of Gas Boiler Burner
JP2010207122A (en) * 2009-03-09 2010-09-24 Masanori Shimada Small baumkuchen-baking machine for home use
JP2012165690A (en) * 2011-02-15 2012-09-06 Fuji Shokai:Kk Baumkuchen baking machine, noodle rod for use in the same, and baumkuchen baked by using the machine
KR20170113875A (en) * 2016-03-28 2017-10-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코리안파인 Baumkuchen comprising pine nu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955B1 (en) 1996-03-12 1999-06-15 전주범 Ignition Method of Gas Boiler Burner
JP2010207122A (en) * 2009-03-09 2010-09-24 Masanori Shimada Small baumkuchen-baking machine for home use
JP2012165690A (en) * 2011-02-15 2012-09-06 Fuji Shokai:Kk Baumkuchen baking machine, noodle rod for use in the same, and baumkuchen baked by using the machine
KR20170113875A (en) * 2016-03-28 2017-10-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코리안파인 Baumkuchen comprising pine nu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268B1 (en)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4357C2 (en) Waffle semi-sphere, method of its preparation and food product containing it
US20050132579A1 (en) Cookie cutter assembly
KR201300125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hollow baked product
KR2022011305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aumkuchen
AU709845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aped wafers, an intermediate product and a wafer obtained by this method, and an associated mould
US5437829A (en)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ve item
KR20220113057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umkuchen
KR10019454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mboo shoots for preparing sasae and bamboo pieces manufactured by the method
EP0277864A2 (en) Process to prepare a product based on hard-boiled eggs, and the product obtained
KR100969267B1 (en) A ceramic ware manufacture method
EP0575233B1 (en) Process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foodstuff
JP733215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fferent diameter baumkuchen
KR101346154B1 (en) A process for preparing multi-layered bread of ring type
KR101803754B1 (en) Crispy stir-fried rice manufacture equipment
KR2019008374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ud Soil Rice Jar and the Mud Soil Rice Jar
RU2003102404A (en) METHOD FOR FORMING FIGURE CHOCOLATE PRODUCTS (OPTIONS), METHOD FOR PRODUCING FORM AND FORM
ES2745725T3 (en) Production procedure of a piece of dough
CN113729187B (en) Preparation method of color sweet potato chips
JPS6121067A (en) Preparation of sandwich-shaped paste food
JP2020130128A (en) Baumkuch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60168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artellate"
JPH06292500A (en) Pie cake
JPH10202629A (en) Manufacture of covering body, flower vase, lighting utensil and covering body
JP3098403U (en) Ceramic straw ash
KR2010003427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ghnut type dried persimm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