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983A - 전방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전방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983A
KR20220112983A KR1020210016580A KR20210016580A KR20220112983A KR 20220112983 A KR20220112983 A KR 20220112983A KR 1020210016580 A KR1020210016580 A KR 1020210016580A KR 20210016580 A KR20210016580 A KR 20210016580A KR 20220112983 A KR20220112983 A KR 2022011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ixing bracket
body structure
protector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동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983A/ko
Publication of KR2022011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방 차체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는, ⅰ)차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범퍼 어셈블리와, ⅱ)범퍼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차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 차체 구조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트럭의 전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를 가진 프론트 엔드 모듈(FEM)이 장착되고, 전방 충돌 시 완충 작용뿐만 아니라 주행 중 공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범퍼가 설치된다.
대형 덤프 트럭 및 험로 주행 차량(더 나아가서는 수소 전기 대형 트럭)의 경우는 범퍼의 지상 고를 높여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라디에이터의 하단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대형 트럭은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 시, 라디에이터의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전방에 범퍼를 통하여 라디에이터 언더 프로텍터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차체 전방의 프레임에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를 체결하고, 범퍼를 프레임에 체결하며, 차량 하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언더 프로텍터 판넬을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체결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차량 하부로 들어가 윗 보기로 언더 프로텍터 판넬을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근 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등 작업성이 불리하며, 대량 생산 공정에서의 맨 아워(M/H)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차체에 언더 프로텍터 판넬을 연결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 부품의 결합 강도가 취약하여 전방 충돌에 따른 충격력의 지지에 불리하며, 반복 하중 시 크랙 등의 내구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체 전방 구조물의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고, 대량 생산 공정에서의 맨 아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방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는, ⅰ)차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범퍼 어셈블리와, ⅱ)상기 범퍼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 어셈블리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와 결합되는 범퍼 인너 멤버와, 상기 범퍼 인너 멤버의 아웃터 측에 결합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는 상기 범퍼 인너 멤버와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와,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는, 샤시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마운팅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라디에이터가 장착된 전방 차체 구조로서, ⅰ)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범퍼 인너 멤버와, ⅱ)범퍼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범퍼 인너 멤버와 결합되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와, ⅲ)전방으로 개방된 체결 홀을 가지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체결 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로워에 결합된 스텝 마운팅 멤버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범퍼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판넬 고정 브라켓과,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양 단부를 통하여 차폭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는 파이프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에 차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은 차폭 방향을 따른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범퍼 고정 브라켓과 볼트 결합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는 삼각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방 측으로 돌출된 포밍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멤버의 양단 부는 상기 포밍 돌기부 사이에서 상기 포밍 돌기부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 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는 수평 볼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파이프 멤버를 지지하는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체 조립 공정에서 범퍼 어셈블리와 언더 프로텍터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 생산 및 생산 조립 맨 아워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언더 프로텍터를 차체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작업자의 근 골격계 질환이 유발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범퍼 어셈블리와 언더 프로텍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의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와 언더 프로텍터 판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의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멤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의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100)는 차체(1)의 전방에 라디에이터(3)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4)이 장착된 차량의 전방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대형 덤프 트럭과 같은 험로 주행 차량으로서 공지 기술의 연료전지 시스템과 구동 모터를 채용한 수소 전기 대형 트럭의 전방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수소 전기 대형 트럭은 차체(1)로서 차체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는 샤시 프레임(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4)은 마운팅 브라켓(7)을 통해 샤시 프레임(5)의 전방에 장착된다.
상기에서 마운팅 브라켓(7)은 샤시 프레임(5)의 전방 양측에 결합되며, 수소 전기 대형 트럭에서 캡 힌지 로워 브라켓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7)에는 프론트 엔드 모듈(4)이 장착된다.
당 업계에서는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 길이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폭 방향, 차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방 차체 구조(100)는 전방 구조물(예를 들면, 범퍼 구조물 및 언더 프로텍트 구조물)의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고, 대량 생산 공정에서의 맨 아워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방 차체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범퍼 어셈블리(10)와 언더 프로텍터(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범퍼 어셈블리(10)는 차체(1)의 샤시 프레임(5) 전방에 결합된다. 상기 범퍼 어셈블리(10)는 범퍼 인너 멤버(11)와 범퍼 커버(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범퍼 인너 멤버(11)는 스틸 소재의 멤버로서,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언더 프로텍터(20)와 결합된다. 이러한 범퍼 인너 멤버(11)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마운팅 브라켓(7)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커버(13)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범퍼 인너 멤버(11)의 아웃터 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20)는 차량의 운행 중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 시, 프론트 엔드 모듈(4)의 라디에이터(3) 하단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범퍼 어셈블리(10)와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차체(1)의 샤시 프레임(5)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언더 프로텍터(20)는 범퍼 인너 멤버(11)와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와, 그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와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범퍼 어셈블리와 언더 프로텍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을 차체(1)의 샤시 프레임(5) 전방 하측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는 범퍼 고정 브라켓(31)을 통해 범퍼 인너 멤버(11)와 결합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마운팅 브라켓(7)의 로워 측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범퍼 고정 브라켓(31)은 범퍼 인너 멤버(11)와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범퍼 고정 브라켓(31)은 범퍼 인너 멤버(11)와 결합 가능한 ㄷ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는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을 통하여 마운팅 브라켓(7)에 장착된다.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은 마운팅 브라켓(7)의 로워 측에 결합된 스텝 마운팅 멤버(35)와 체결된다. 즉,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은 스텝 마운팅 멤버(35)와 함께 마운팅 브라켓(7)에 볼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은 차체(1) 전방의 하부를 보호하는 판넬로, 그 차체(1)의 전방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은 전방으로 개방된 체결 홀(71)을 가지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체결 홀(71)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볼트로서의 체결부재(73)에 의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에 수평 방향(전후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프로텍터의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와 언더 프로텍터 판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는 판넬 고정 브라켓(37), 파이프 고정 브라켓(39), 파이프 멤버(41), 그리고 파이프 지지 브라켓(4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37)은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범퍼 고정 브라켓(31)과 결합된다.
이러한 판넬 고정 브라켓(37)은 차폭 방향을 따른 브라켓 면을 가진 제1 부분(45)과, 제1 부분(45)에서 전후 방향(예를 들면, 후방)으로 절곡된 브라켓 면을 가진 제2 부분(4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45)은 범퍼 고정 브라켓(31)과 볼트 결합되며, 제2 부분(47)은 언더 프로텍터 판넬(70)과 볼트 결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37)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플레이트(49)가 결합되는데, 그 보강 플레이트(49)는 삼각 형상을 지니며 제1 및 제2 부분(45, 47)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은 판넬 고정 브라켓(37)에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은 판넬 고정 브라켓(37)과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5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결합 플랜지(51)는 판넬 고정 브라켓(37)의 제2 부분(47)에 용접 결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전방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포밍 돌기부(53)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멤버(41)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멤버로서, 양 단부를 통하여 차폭 방향을 따라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에서 포밍 돌기부(53)들 사이에 배치되며, 그 포밍 돌기부(53)에 용접 결합된다.
이에, 상기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는 포밍 돌기부(53)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안착(지지)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서 포밍 돌기부(53)들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의 포밍 돌기부(53)들은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이나 하측 방향에서 사선 방향을 따라 파이프 멤버(41)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그 파이프 멤버(41)가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의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체결 홀(71)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볼트로서의 체결부재(73)에 의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에 수평 방향으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의 하부와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의 하부에는 체결부재(73)가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는 수평 볼팅 홀(55)들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파이프 지지 브라켓(43)은 파이프 멤버(4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 지지 브라켓(43)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에 차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그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에 볼트 결합된다.
이러한 파이프 지지 브라켓(43)에는 파이프 멤버(41)를 지지하는 지지 홈(57)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100)의 조립 과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부품 조립 공정에서 범퍼 어셈블리(10)를 조립하고, 언더 프로텍터(20)를 조립하며, 그 범퍼 어셈블리(10)와 언더 프로텍터(20)를 일체로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범퍼 어셈블리(10)의 범퍼 인너 멤버(11)와 범퍼 커버(13)를 결합하고, 언더 프로텍터(20)의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와 언더 프로텍터 판넬(7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판넬 고정 브라켓(37)을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양측에 볼트 결합하고,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을 판넬 고정 브라켓(37)에 용접 결합하며,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를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에 용접 결합하는 공정으로,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와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을 결합한 언더 프로텍터(20)를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의 포밍 돌기부(53)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서 포밍 돌기부(53)들에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멤버(41)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에 결합된 파이프 지지 브라켓(43)들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 고정 브라켓(31)을 판넬 고정 브라켓(37)에 각각 볼트 결합하고, 그 범퍼 고정 브라켓(31)을 통해 범퍼 어셈블리(10)의 범퍼 인너 멤버(11)와 언더 프로텍터(20)의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를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체로 조립된 범퍼 어셈블리(10)와 언더 프로텍터(20)의 조립체를 범퍼 장착 공정에서 차체(1)의 샤시 프레임(5) 전방에 장착한다.
이 과정에서는 범퍼 어셈블리(10)의 범퍼 인너 멤버(11)를 샤시 프레임(5) 전방의 마운팅 브라켓(7)에 볼트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재(73)를 통하여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을 마운팅 브라켓(7)에 결합된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에 체결하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30)를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7)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73)를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의 체결 홀(7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입시키고, 그 체결부재(73)를 파이프 고정 브라켓(39)과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33)의 수평 볼팅 홀(55)들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하며, 언더 프로텍터(20)를 샤시 프레임(5)의 마운팅 브라켓(7)에 결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차체 구조(100)에 의하면, 범퍼 어셈블리(10)와 언더 프로텍터(20)를 일체로 조립하고, 그 조립체를 차체 조립 공정에서 차체(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조립 공정에서 범퍼 어셈블리(10)와 언더 프로텍터(20)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 생산 및 생산 조립 맨 아워(M/H)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1)의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언더 프로텍터(70)를 차체(1)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작업자의 근 골격계 질환이 유발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70)을 보강하는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가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의 포밍 돌기부(53)들 사이에 지지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서 포밍 돌기부(53)들에 용접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이나 하측 방향에서 사선 방향을 따라 파이프 멤버(41)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스토퍼 역할을 하는 포밍 돌기부(53)들에 의하여 파이프 멤버(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반복 하중 및 전방 충돌에 따른 파이프 멤버(41)의 결합 강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파이프 멤버(41)의 양단 부와 포밍 돌기부(53)들을 수평 방향을 따라 용접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고정 브라켓(39)에 대한 파이프 멤버(41)의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차체 3: 라디에이터
4: 프론트 엔드 모듈 5: 샤시 프레임
7: 마운팅 브라켓 10: 범퍼 어셈블리
11: 범퍼 인너 멤버 13: 범퍼 커버
20: 언더 프로텍터 30: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
31: 범퍼 고정 브라켓 33: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
35: 스텝 마운팅 멤버 37: 판넬 고정 브라켓
39: 파이프 고정 브라켓 41: 파이프 멤버
43: 파이프 지지 브라켓 45: 제1 부분
47: 제2 부분 49: 보강 플레이트
51: 결합 플랜지 53: 포밍 돌기부
55: 수평 볼팅 홀 57: 지지 홈
70: 언더 프로텍터 판넬 71: 체결 홀
73: 체결부재 100: 전방 차체 구조

Claims (17)

  1. 차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범퍼 어셈블리; 및
    상기 범퍼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어셈블리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와 결합되는 범퍼 인너 멤버와,
    상기 범퍼 인너 멤버의 아웃터 측에 결합되는 범퍼 커버
    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는,
    상기 범퍼 인너 멤버와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와,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
    을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4. 샤시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마운팅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라디에이터가 장착된 전방 차체 구조로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범퍼 인너 멤버;
    범퍼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범퍼 인너 멤버와 결합되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 및
    전방으로 개방된 체결 홀을 가지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에 결합되는 언더 프로텍터 판넬;
    을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체결 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전방 차체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로워에 결합된 스텝 마운팅 멤버와 체결되는 전방 차체 구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의 차폭 방향을 따른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범퍼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판넬 고정 브라켓과,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양 단부를 통하여 차폭 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는 파이프 멤버
    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프로텍터 마운팅 앗세이는,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에 차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지지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은,
    차폭 방향을 따른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절곡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차체 구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범퍼 고정 브라켓과 볼트 결합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언더 프로텍터 판넬과 볼트 결합되는 전방 차체 구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는 삼각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전방 차체 구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판넬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방 측으로 돌출된 포밍 돌기부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멤버의 양단 부는 상기 포밍 돌기부 사이에서 상기 포밍 돌기부에 용접 결합되는 전방 차체 구조.
  15.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 홀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는 전방 차체 구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 브라켓과 상기 프로텍터 고정 브라켓에는 수평 볼팅 홀이 형성되는 전방 차체 구조.
  1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파이프 멤버를 지지하는 지지 홈이 형성되는 전방 차체 구조.
KR1020210016580A 2021-02-05 2021-02-05 전방 차체 구조 KR20220112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580A KR20220112983A (ko) 2021-02-05 2021-02-05 전방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580A KR20220112983A (ko) 2021-02-05 2021-02-05 전방 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83A true KR20220112983A (ko) 2022-08-12

Family

ID=8280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580A KR20220112983A (ko) 2021-02-05 2021-02-05 전방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9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4475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US10000239B2 (en) Automobile vehicle body structure
US8814248B2 (en) Motor vehicle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JP5176460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910000502B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EP1975000B1 (en) Getting-on/off step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US8020925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US11465684B2 (en) Front suspension apparatus
CN110550112A (zh) 一种电动汽车前流水槽总成及电动汽车
CN112776895A (zh) 车辆下部结构
US20180273097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5346275A (en) Rear end of a vehicle body
JP4069605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20220112983A (ko) 전방 차체 구조
US11780391B2 (en) Under-protector fastening structure of vehicle
JP5509265B2 (ja) 車体前部構造
JP4367190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220085231A (ko) 후방 차체 구조
CN100423978C (zh) 车身前立柱附近连接结构
US20040164591A1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of a vehicle of framed construction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20220021104A (ko) 전방 차체 구조
WO2019198751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11115821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07267135A (ja) 車体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