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880A -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880A
KR20220112880A KR1020210015871A KR20210015871A KR20220112880A KR 20220112880 A KR20220112880 A KR 20220112880A KR 1020210015871 A KR1020210015871 A KR 1020210015871A KR 20210015871 A KR20210015871 A KR 20210015871A KR 20220112880 A KR20220112880 A KR 2022011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olloid
mask pack
base layer
styr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532B1 (ko
Inventor
이권선
최부기
김경학
이경진
백승준
임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riority to KR102021001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5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61K8/0287Matrix particles the particulate containing a solid-in-solid disp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신축에도 우수한 피부밀착성을 갖도록 베이스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이 코팅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 hydrocolloid 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신축에도 우수한 피부밀착성을 갖도록 베이스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이 코팅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화장품 분야에서 보습, 노폐물 제거, 미백 등 피부 건강을 위하여 지지체 시트에 액체 또는 겔(gel) 성분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시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얼굴에 장시간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제품을 가리킨다.
최근 다양한 유형의 화장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마스크팩은 간편한 사용성과 1회 사용으로도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찾고 있는 제품 이다.
마스크팩은 얼굴에 붙이고 떼어내 버리면 되는 편리함으로 인해 소비자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의 개발과 소비가 활발하다.
마스크팩은 통상적으로 제형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합성 섬유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에 에센스를 첨가한 제품이다. 두 번째는 천연 검류를 활용한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 제품이다. 세 번째는 코코넛 등의 과일수에 미생물을 발효하여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인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제품이다.
이 중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매체로 하는 3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전체 중량의 약 20%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고 있어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등의 장점이 있어 피부 미용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팩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팩의 보습, 영양공급 및 각질제거 효과를 향상시킨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306호(2016. 02. 19.)에는 젤라틴 하이드로겔 층 위에 알긴산 또는 알긴산 염 수용액을 도포하고, 2가 또는 3가 양이온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처리하여 이중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5834호(2017. 01. 13.)에는 2-하이드록실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및 아크릴산나트륨(sodium acrylate) 단량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소투과도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카라기난 및 검류에 물과 다가알코올을 첨가 후 60 ~ 85 ℃로 가열 교반하여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겔 형태를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겔 형태로 제조되어, 신축성과 탄성이 떨어져 사용하는데 불편하며, 함량을 늘리면 탄력성이 증가하지만 제조시 점도가 높아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얼굴 등과 같이 굴곡진 부위에 밀착성이 떨어지고, 얼굴에 부착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이 점차 증발되어 마르게 되므로 마스크팩이 얼굴에서 떨어져서 피부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신축성과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안정하게 부착될 수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로 구성되되,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및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부직포 원단이며,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메트릭스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SI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는 젤라틴, 콜라겐, 펙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실크 피브로인, 잔탄검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해 가교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에스테르계 Oil(ester oil), 글리세린(glycerine) 파라핀(Paraffin), 산화프로필렌(Propylene oxide)-산화에틸렌(Ethylene oxide)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중 어느 하나인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은 콜라겐, 비타민,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아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은, 베이스층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을 혼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을 60 ~ 120 ℃로 가열한 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베이스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을 냉각 및 건조하여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팩 시트를 마스크 형태로 재단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피부에 부착한 후, 다수 회의 신축을 반복하더라도 찢어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특히 피부의 굴곡진 부위에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여 사용자가 마스크팩을 얼굴에 덮은 상태에서도 이동하거나 활동이 가능하고, 마스크팩의 인장강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팩이 잘 찢어지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여 에센스에 함유된 영양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하이드로겔과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품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하이드로겔과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품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매로 하는 겔(gel)을 가리키고,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가 분산된 소수성 탄성 중합체(hydrophobic elastomer)를 가리킨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은 수용성 모노머(water-soluble monomer)를 중합하여 수용성 고분자(water-soluble polymer)를 중합한 후, 이후에 가교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성 고분자를 가교시켜 3차원의 망상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hydrogel)은 수용성 고분자가 물리적(수소결합, 반데르발스 힘, 소수성 상호작용, 혹은 고분자의 결정) 혹은 화학적(공유결합)인 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구조로서, 수상환경에서 용해되지 않고 상당한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을 가리킨다.
반면에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hydrophobic elastomer)에 친수성 입자(hydrophillic particles)가 분산된 페이스트(paste)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하이드로콜로이드는 겔(gel)의 특성과 고무와 같은 신축성과 점착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3차원의 망상구조로 형성되어 겔(gel)과 같은 형상을 갖고, 탄성 및 신축성이 부족하여 작은 외력에도 절단되는 특성을 갖는다. 반면에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친수성 입자와, 피부의 점착력을 주면서 탄성력을 지니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어 피부점착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20)과,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로 구성되되,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Hydrophobic Elastomer Matrix, 이하 HEM); 및 상기 HEM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HydroColloidal Particles, 이하 HCP)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정 두께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코팅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소비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얼굴 또는 특정 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기능성 물질이 피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20)은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부직포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20)이 부직포 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평량은 7.0 내지 70.0 g/㎡ 이고, 100 ~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량 및 두께 미만이면 찢기거나 주름이 생기기 쉽고, 인장 강도가 약해 지지체 역할을 하기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에 밀착시 무게감이 높고 밀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층(20)을 구성하는 부직포 원단은 상기와 같은 평량 및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20)을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은 폴리우레탄과 계면활성제 및 용매 등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제조한 후, 이형 필름의 표면에 코팅하고 응고, 수세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필름은 15 ~ 5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이때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이하 SI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이하 SB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IS 또는 SBS에서 스티렌의 함량은 10 내지 25 중량%의 범위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140,000인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소수성 탄성 중합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경우에 소재 자체에 신축성과 회복율이 우수하여 굴곡진 얼굴 표면에 피부 밀착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에 분산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는 친수성 고분자가 물리적 결합 예를 들어,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힘, 혹은 소수성 상호작용, 또는 화학적 결합 예를 들어, 공유 결합에 의해 3차원의 가교를 형성하고 있는 망상 구조를 갖는 입자로서 높은 함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들을 구성하는 친수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젤라틴, 콜라겐, 펙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실크 피브로인, 잔탄검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해 가교된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의 점성을 줄이고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가소제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에스테르계 오일(ester oil), 글리세린(glycerine) 파라핀(Paraffin), 산화프로필렌(Propylene oxide)-산화에틸렌(Ethylene oxide)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가소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미량의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피부에 적용시 수분함유,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로서, 액상과 고상의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성분의 예로는 콜라겐, 비타민,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섬유 단백질이고, 비타민은 항산화 작용 및 세포의 증식과 분화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피부미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나이아신 아마이드는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뿐만 아니라 지성 트러블피부의 개선 및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콜라겐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 등을 갖고, 히알루론산은 피부에서 습도를 유지하고 탄력을 유지하며,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효능을 갖는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장벽의 구성 성분으로 피부장벽을 탄탄하게 해주고,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천연 보호 장벽 성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마스크팩의 사용시 피부조직의 안정화, 피부
신진대사 촉진, 보습, 색소변화 및 피부노화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10 ~ 40 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 5 ~ 10 중량%와, 가소제 40 ~ 80 중량% 및 기능성 물질 0.2 ~ 1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상기와 같은 조성비를 갖는 경우에 제조되는 마스크팩의 탄성과 신축성이 가장 우수하고, 이에 따라 파단신도가 300 % 이상이고, 점착력이 0.1 kgf 이상이며, 100 % 모듈러스가 0.2 MPa 이하인 마스크팩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공급롤(30)에 권취된 베이스층(20)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코팅롤(40)을 통해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균일하게 도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베이스층(20)에 도포한 후 경화 시키고, 재단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50)를 제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60 내지 120 ℃에서 용융되어 액체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액화한 후 가소제 또는 기능성 성분 등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용융되어 액상의 상태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상기 베이스층(20)에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의 코팅은 롤코팅, 바코팅, 필름 코터(Film coater) 코팅, 캐스팅 등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코팅할 때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코팅롤(40) 사이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공급되도록 한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코팅하는 작업은 약 60 ~ 120 ℃의 고온 환경에서 수행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상기 베이스층(2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도포된 후에는 상온으로 냉각시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이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팩 시트(50)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50㎛ 내지 250㎛의 두께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층(20)에 도포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시 하이드로콜로이드층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포된 하이들콜로이드 조성물(10)에 경화된 후에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50)가 제조 완료된다. 상기 마스크팩 시트(50)를 재단하여 도 2의 (a)와 같은 얼굴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마스크팩의 제조가 가능하고, 도 2의 (b)와 같이 분리된 형태의 마스크팩의 제조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의 (c)와 같은 눈밑주름 등과 같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타입의 미용팩 형태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은 먼저, 제 1 단계로서, 베이스층(20)을 구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층(20)은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부직포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은 15 ~ 5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 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평량은 7.0 내지 70 g/㎡ 이고, 100 ~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계를 거친 후에는 제 2 단계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10 ~ 40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 5 ~ 10 중량%와, 가소제 40 ~ 80 중량% 및 기능성 물질 0.2 ~ 1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60 ~ 120 ℃로 가열한 후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3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30)에 권취된 베이스층(20)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코팅롤(40)을 통해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균일하게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포가 완료된 후에는 도포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냉각 및 건조하여 마스크팩 시트(50)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에서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50)는 마스크팩 형태로 재단하는 제 5 단계를 거쳐, 도 4의 (a) 및 (b)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갖도록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베이스층(20)의 일면에 100 ㎛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때 상기 베이스층(20)은 폴리우레탄 필름과 부직포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 20 ㎛이고, 부직포 원단의 평량은 40 g/m2이고, 두께는 340 ㎛이다. 이후에 경화과정을 거쳐 실시예 1 ~ 5와 같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2]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갖도록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베이스층(20)의 일면에 100 ㎛ 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부직포 원단은 실시예 1 ~ 5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후에 건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1 ~ 2와 같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2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시험편의 물성 즉, 점착력과, 파단신도 및 100% 모듈러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착력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의 점착력은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마스크 팩을 너비 15 ± 0.5 ㎜, 길이 50 ㎜로 절단한 시료를 2개 한쌍으로 준비한 후 두 시료의 끝 15mm 길이를 엇갈리게 교차 시킨 후 (2,040 ± 45) g의 고무롤러로 압착 시켜 점착 시킨다. 이후에 만능 시험기에 미점착 된 시료의 양 끝을 고정한 후 크로스헤드스피드를 5 ± 0.5 ㎜/초로 당겨 하중을 측정한다. 두 시료의 점착면이 완전히 떨어졌을 때의 하중을 점착력으로 평가하였다.
2) 파단신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팩을 300 ㎜/min의 인장속도로 신장하면서 파단이 일어날 때까지 늘어난 길이(%)를 파단신도로 측정하였다.
3) 100% 모듈러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팩을 신장율 100% 일때의 하중을 시험편의 원단면적으로 나누어 100% 모듈러스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점착력(kgf) 파단신도(%) 100% 모듈러스(MPa)
실시예 1 0.15 387 0.17
실시예 2 0.12 412 0.14
실시예 3 0.19 368 0.16
실시예 4 0.23 354 0.12
실시예 5 0.14 407 0.19
비교예 1 0.02 287 0.54
비교예 2 0.03 274 0.49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5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시 파단신도가 모두 300 % 이상의 측정값을 갖고, 또한 100% 모듈러스가 0.2 MPa 이하의 측정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의 점착력은 모두 0.10 kgf 이상의 측정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10 ~ 40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 5 ~ 10 중량%와, 가소제 40 ~ 80 중량% 및 기능성 물질 0.2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비교예 1 즉, SIS 70 중량%와 콜라겐 10 중량%와 글리세린 10중량% 및 세라마이드 10중량%로 구성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로 제조된 마스크팩과, 비교예 2 즉, SBS 60 중량%과 젤라틴 5중량%와 PO-EO 공중합체 25중량% 및 콜라겐 10중량% 구성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경우에는 점착력이 0.10 kgf 아하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파단신도가 300 % 이하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0% 모듈러스의 경우에도 0.2 MPa 이상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파단신도가 300 % 이상이고, 100% 모듈러스가 0.2 MPa 이하이며, 특히 점착력이 0.10 kgf 이상으로서, 베이스층(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신축을 반복하여도 상기 베이스층(20)과 분리되지 않는 우수한 밀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다수 회의 신축을 반복하더라도 찢어지거나 베이스층(20)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은 신체의 굴곡진 어느 부위에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 후에도 활동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
20 : 베이스층
40 : 공급롤
50 : 마스크팩 시트

Claims (8)

  1. 베이스층(20);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로 구성되되,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및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20)은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부직포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탄성 중합체 메트릭스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삼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SI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입자는 젤라틴, 콜라겐, 펙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실크 피브로인, 잔탄검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해 가교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에스테르계 Oil(ester oil), 글리세린(glycerine), 파라핀(Paraffin), 산화프로필렌(Propylene oxide)-산화에틸렌(Ethylene oxide)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은 콜라겐, 비타민,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8. 베이스층(20)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혼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60 ~ 120 ℃로 가열한 후 상기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베이스층(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된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10)을 냉각 및 건조하여 마스크팩 시트(50)를 제조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마스크팩 시트(50)를 마스크팩 형태로 재단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콜로아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210015871A 2021-02-04 2021-02-04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57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71A KR102572532B1 (ko) 2021-02-04 2021-02-04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71A KR102572532B1 (ko) 2021-02-04 2021-02-04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80A true KR20220112880A (ko) 2022-08-12
KR102572532B1 KR102572532B1 (ko) 2023-08-31

Family

ID=8280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871A KR102572532B1 (ko) 2021-02-04 2021-02-04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5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371A (ko) * 2017-12-21 2019-07-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 패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371A (ko) * 2017-12-21 2019-07-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532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331B2 (en) Composition for cushions, wounds dressings and other skin-contacting products
RU2276998C2 (ru) Гидрогелевые композиции
KR0147306B1 (ko) 접착제 매트릭스내에 분산된 겔의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7105B1 (ko)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US9242021B2 (en) Adhesive composition
KR101651709B1 (ko) 수용성 감압 접착제
JP2002522563A (ja) 生体接着剤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む創傷包帯
KR20180058641A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0542875B1 (ko)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화겔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US5985299A (en) Pore cleaning product
KR102572532B1 (ko) 하이드로콜로이드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JP5688578B2 (ja) 粘着性ゲル
KR102272285B1 (ko) 수용성 부직포를 기초로 한 피부 부착용 박막 패치
US5722942A (en) Wound covering materials
KR20230151237A (ko) 하이드로 콜로이드 조성물과 하이드로 겔 조성물이 복합화된 기능성 패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패치
US20020051796A1 (en) Solution of a polymer of the polyacrylic and/or polyvinylic type associated with a filler and a keratolytic agent, and a cosmetic device for cleaning and care of the skin
Liu pH-Indicating Colorimetric Hydrogel for Wound Dressing and Medical Grade Silicone Adhesive for Skin Electronics: Towards Multifunctional Bionic Skin Patch
JP2017176203A (ja) 医療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創傷被覆材
JP4336080B2 (ja) 生体用粘着シート
AU2012202197B2 (en) Adhesive composition
JPH11158033A (ja) シワ伸ばし接着シート
JPH06319792A (ja) 外用貼付材および貼付製剤
JP2021011434A (ja) 多用途膜状体
CN115087469A (zh) 局部止血材料的制造方法以及局部止血材料
JPH09234219A (ja) 吸水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