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639A -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639A
KR20220112639A KR1020210016414A KR20210016414A KR20220112639A KR 20220112639 A KR20220112639 A KR 20220112639A KR 1020210016414 A KR1020210016414 A KR 1020210016414A KR 20210016414 A KR20210016414 A KR 20210016414A KR 20220112639 A KR20220112639 A KR 2022011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buffer pad
coupling part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김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일 filed Critical 김형일
Priority to KR102021001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639A/ko
Publication of KR2022011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부착된 보호대를 이용하여 실내장식이나 교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패드에는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되, 끼움부는 완충패드 전체에 걸쳐 복수의 끼움부가 배열되도록 형성하며, 끼움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게 블럭유닛을 구비하여 복수의 끼움부 중 일부의 끼움부에 블럭유닛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무늬나 도안을 구현하거나, 블럭유닛의 조립에 의하여 완구 또는 교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벽면에 안전 보호대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그 안전보호대를 장식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개선하고, 블럭 조립에 의하여 교구나 완구 등 다양한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Shock absorbers mounted on the wall}
본 발명은 어린이 시설이나 요양시설 등의 벽면에 완충기능을 부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부착된 보호대를 이용하여 실내장식이나 교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집이나 키즈카페 등 유아나 어린이가 생활하고 활동하는 장소에는 유아나 어린이가 넘어지거나 부딪칠 경우 충격을 완화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벽면에 안전 보호대가 설치된다.
안전 보호대는 벽면이나 모서리 등에 쿠션을 부착하여 놀이나 운동 중 벽면이나 모서리에 부딪힐 경우에 쿠션의 완충력에 의하여 충돌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안전 보호대는 어린이집이나 키즈카페 뿐 아니라, 노인 요양보호시설이나 스포츠센터, 문화센터 및 일반 가정에서도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는 안전 보호대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4743호(2005.05.11.)에서 벽면 부착용 완충패널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평판체의 표면에 다수의 완충부를 돌출 구성하고, 완충부의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완충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 보호대는 성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완충기능을 충분히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공된 공간의 크기 완충부의 살두께 등이 매우 정밀하게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 재질 또한 실리콘 등의 재질로 압축 성형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벽면 전체에 안전 보호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설치면적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완충을 위한 완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별다른 디자인을 가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미관을 해치게 될 우려가 크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0576651호(2006.04.27.)에서는 시멘트 벽면에 다중쿠션층을 형성하여 완충기능을 부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6-0139724호(2016.12.07.)에서는 이형지층, 점착테이프층, 은박필름단열층, 쿠션층 등의 다층 구조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돌출벽지의 기술이 개시되었으며, 공개특허 제10-2017-0035282호(2017.03.30.)에서는 세로홈이 형성된 완충패드를 구비하고, 그 완충패드에 방수시트를 덧대어 완충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안전 보호대는 제작비가 지나치게 비싸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벽면에 시공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반드시 전문 설치기사들이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완충을 위한 보호대 가공이 현장에서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설계에 따라 선제작된 부자재를 운반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데, 현장 상황에 맞추어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기사들인 경우에도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안전 보호대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반복적인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획일적이며, 이러한 획일적인 디자인을 탈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색상만으로는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과 요양시설과 같이 공공 시설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면의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벽면 전체에 안전 보호대를 시공하는 경우 오히려 답답한 느낌이 가중되고, 벽면 자체를 활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에 안전 보호대를 시공함에도 불구하고 벽면에 무늬나 문구, 도안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쉽게 표현이 가능한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안전 보호대가 시공된 벽면 자체에 연계하여 블럭 조립을 통한 놀이수단이나 교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현장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장식이나 놀이수단, 교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로 설치가 가능하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패드에는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되, 끼움부는 완충패드 전체에 걸쳐 복수의 끼움부가 배열되도록 형성하며, 끼움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게 블럭유닛을 구비하여 복수의 끼움부 중 일부의 끼움부에 블럭유닛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무늬나 도안을 구현하거나, 블럭유닛의 조립에 의하여 완구 또는 교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블럭유닛은 장식효과와 함께 완충패드에 조립된 상태에서 완충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제작하고, 블럭유닛은 완충패드의 끼움부에 삽입하되, 끼움부의 내입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에 조립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장식블럭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장식블럭은 수결합부로만 형성된 수블럭, 내입된 형상의 암결합부로만 형성된 암블럭,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모두 형성된 암수블럭, 특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구 또는 장식효과를 구현하는 보조블럭을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블럭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에 의하면, 안전 보호대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모듈화된 완충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외관이 삭막한 벽체를 아름답께 장식하여 인테리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블럭유닛을 활용하여 문구나 모양, 로고 형상 등을 벽체에 표현하여 광고,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식된 문구나 모양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계절이나 시기에 따라 장식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형상의 블럭유닛을 활용하여 캐릭터나 구조물, 도형, 문자 등을 조립하는 등 어린이 블럭완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블럭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오히려 완충력이 더 향상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양한 블럭유닛을 활용하여 선반을 만들거나 의자를 만들거나 미끄럼블럭을 장착하여 핀볼놀이를 하는 등 어린이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유아나 어린이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보재, 또는 도형이나 문자 등을 표현함으로써 교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집이나 가정에서는 물론, 재활이 필요한 요양시설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그 활용도 또한 무궁무진하다.
또한, 완충패드 자체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공명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블럭유닛이 조립되면 공명음 흡수효과가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가정이나 시설 등에서 차음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보호대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패드에 블럭유닛이 조립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완충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 보호대의 벽면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 보호대를 교구로 활용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럭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블럭유닛을 활용한 블럭 조립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럭유닛을 활용한 안전 보호대의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완충패드의 끼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완충패드의 제조공정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스크랩을 활용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완충패드에 골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골을 활용한 재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블럭유닛의 수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블럭유닛의 탄성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보호대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는 안전 보호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는 벽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100)와, 그 완충패드(100)에 조립되는 블럭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완충패드(100)가 사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벽면의 기본적인 벽면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조립되는 블럭유닛(200)을 탄성소재로 제작하여 벽면의 완충기능을 더 부가하거나, 교구 또는 놀이시설물의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완충패드(100)에는 탄성소재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판상구조상에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의 끼움부(120)가 마련되어 블럭유닛(200)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끼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관통하게 구멍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이 막힌 형태의 내입된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120)는 완충패드(100)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끼움부(120)가 배열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개의 끼움부(120)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블럭유닛(200)을 끼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끼움부(120)에 조립되는 블럭유닛(200)의 외경이 끼움부(12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패드(100)와 블럭유닛(200) 강제 끼움 방식으로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럭유닛(200)은 돌출된 형상의 수결합부(202) 또는 내입되거나 관통된 형상의 암결합부(204) 또는 수결합부(202)와 암결합부(204)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블럭유닛(200)이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100)에 형성된 끼움부(120)와 블럭유닛(200)에 형성된 암결합부(204)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블럭유닛(200)의 수결합부(202)를 통한 연결 조립이 가능하며 복수의 끼움부 중 일부에 블럭유닛(20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무늬나 도안을 구현하거나, 블럭유닛(200)의 조립에 의하여 교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끼움부(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게 블럭유닛(200)의 암결합부(204)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끼움부(120) 중 일부에 암수 구조로 블럭유닛(20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패드(100)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에서 완충패드(100)에 블럭유닛(200)을 끼워서 다양한 무늬나 도안을 구현하거나, 도 5와 같이 블럭유닛(200)을 이용한 완구, 교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유닛(200)은 장식효과와 함께 완충패드(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완충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완충패드(100)와 블럭유닛(200)을 모두 탄성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벽면의 완충패드(100)에 블럭유닛(200)이 끼워진 상태에서도 오히려 완충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블럭유닛(200)이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럭(220)에 장식블럭(240)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식블럭을 타격하거나 누르면 연결블럭(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식블럭(240)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텐션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물이나 캐릭터를 블럭 조립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도 할 수 있다.
이때, 블럭유닛(200)의 텐션 작동범위는 블럭유닛(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수록 텐션 작동범위가 더욱 커지게 된다.
한편, 블럭유닛(200)은 완충패드(100)의 끼움부(120)에 삽입되되, 끼움부(120)의 내입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는 연결블럭(220)과, 상기 연결블럭(220)에 조립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장식블럭(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220)은 일측 선단부가 벽면의 완충패드(100)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장식블럭(24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블럭(240)은 여러 개의 장식블럭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블럭유닛(200)의 실시 양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모두 수결합부로만 형성된 수블럭(200a), 내입된 형상의 암결합부로만 형성된 암블럭(200b),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모두 형성된 암수블럭(200c), 특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구 또는 장식효과를 구현하는 보조블럭(200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블럭(200a)은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고, 수블럭의 외경에는 수블럭(200a)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암블럭(200b)은 육면체나 원기둥 등의 입체형상에 내입된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식블럭(240)으로 주로 사용되며, 각각의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암수블럭(200c)은 육면체나 원기둥 등의 입체형상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수결합부(202)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면에는 암결합부(204)가 형성되는 블럭유닛으로써, 상기 수블럭(200a)과 암수블럭(200c)은 완충패드(100)에 결합되는 연결블럭(220)은 물론, 장식블럭(240)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결합부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결합부(202)의 선단에 굴곡면을 형성하거나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결합부가 완충패드(100)의 끼움부(120)에 삽입되거나 또는 블럭유닛(200)의 암결합부에 삽입될 때 초기진입을 안내하고 정위치 삽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수결합부(202)를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하면 압축 발포 소재를 사용하여 블럭유닛(200)을 제작하더라도 완충패드(100)와 블럭유닛(200) 간 조립 또는 블럭유닛(200)과 블럭유닛(200)을 서로 연결할 때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면서 더욱 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보조블럭(200d)은 특수한 모양이나 특수한 기능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안전 보호대를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블럭(200a), 암블럭(200b), 암수블럭(200c), 보조블럭(200d)을 활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특정한 형상의 모양을 만드는 등 놀이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용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블럭(200d)을 미끄럼틀이나 선반 등 특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면 안전 보호대의 사용목적, 즉 교구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완구로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끄럼틀 형상으로 보조블럭(200d)을 제작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럭(220)에 미끄럼틀 형상의 보조블럭(200d)을 올려두고 장식블럭(240)으로 활용하면 구슬을 올려서 떨어지는 핀볼 형태의 놀이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럭유닛(200)은 색상을 다양화하여 블럭유닛을 활용하여 문구나 모양, 로고 형상 등을 장식하는 경우에 장식효과를 더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럭유닛(200)을 활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색상을 교육하거나, 색배열을 하는 등 교구로도 더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완충패드(100)의 크기는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사이즈로 규격화하여 여러 개의 완충패드(100)를 연설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 면적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패드(100)는 뒷면에 설치요소(140)를 부가하여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치요소(140)는 완충패드(100)가 EVA(Ethylene Vinyl Acetate)등의 경량의 발포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양면접착시트만을 덧대어 부착하여 완충패드(100)를 벽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면접착시트를 완충패드(100)의 뒷면에 접착하는 경우 이형지를 일체로 부착하여 완충패드(100)를 시공할 때 이형지만을 제거한 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완충패드(100)를 연설하기 위하여 규격화하여 절단 공급하는 경우 완충패드(100)의 테두리에는 암,수 연결부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더욱 긴밀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수 연결부가 연결되는 구조는 예를 들어 완충패드가 사각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측변과 좌측변에는 전면부가 돌출된 연장살을 형성하고, 하측변과 우측변에는 후면부가 돌출된 연장살을 형성함으로써 완충패드(100)를 연결 설치할 때 서로 맞닿는 변의 연장살을 포개어 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연결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00)는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물로 제작됨으로써 설치현장의 사이즈에 맞도록 사용자가 직접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패드(100)의 복수의 끼움부(120)가 형성된 사이에는 내입되게 골(160)을 형성하면 골(16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완충패드(100)가 규격화되어 있더라도 시공현장의 벽면 크기에 맞도록 재단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완충패드(100)에 형성되는 골(160)은 수직,수평방향으로 크로스되게 격자형으로 반복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완충패드(100)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때 절단 안내선으로 활용하여 쉽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골(160)에 의하여 완충패드(100)가 전,후 방향으로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므로 완충패드(100)를 설치할 때 벽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벽면에 굴곡진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완충패드(100)가 유연성 있게 굴곡곡면에 밀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완충패드(100)에 형성되는 끼움부(120)는 그 직경을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고 등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디자인으로 일관성과 통일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개의 완충패드(100)를 연설하는 경우에도 그 끼움부(120)의 배열 상태가 균일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100)에 형성되는 끼움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0에 도시된 서로 다른 형상의 끼움부(120)가 반복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120)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블럭(220)을 끼움부(1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유동을 최소화하여 더욱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다공성의 홀이나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방음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끼움부(120)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그 재질이 발포 소재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그 중공된 부분에서 공명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공명음을 흡수하여 소음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어린지집과 같은 시설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완충패드(100)에 특히 블럭유닛(200)을 연결하여 다양한 모양을 구현하면 각각의 블럭유닛(200)들 간에 공명음을 흡수하면서 방음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은 완충패드의 제조공정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EVA 발포성형된 EVA 원판을 테두리를 절단하여 후가공을 함으로써 정사이즈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완충패드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는 환 형상의 스크랩인 테두리부재(180)가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테두리부재(180)를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완충패드(100)에 부가하여 또 다른 안전 보호대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액자와 같은 인테리어 장식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완충패드(100)와 블럭유닛(200)은 EVA원판을 톰슨기로 재단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완충패드(100)의 끼움부(120) 또는 블럭유닛(200)의 암결합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또 다른 블럭유닛으로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원료낭비가 없이 스크랩을 최소화하고, 원판 전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00: 완충패드
120: 끼움부
140: 설치요소
160: 골
180: 테두리부재
200: 블럭유닛 202: 수결합부 204: 암결합부
200a: 수블럭 200b: 암블럭 200c: 암수블럭 200d: 보조블럭
220: 연결블럭
240: 장식블럭

Claims (7)

  1. 벽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100)와, 그 완충패드(100)에 조립되어 교구로 활용할 수 있는 블럭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10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벽면 완충기능 수행하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되,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의 끼움부(120)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블럭유닛(200)은 돌출된 형상의 수결합부(202) 또는 내입되거나 관통된 형상의 암결합부(204) 또는 수결합부(202)와 암결합부(204)가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블럭유닛(200)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패드(100)에 형성된 끼움부(120)와 블럭유닛(200)에 형성된 암결합부(204)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블럭유닛(200)의 수결합부(202)를 통한 연결 조립이 가능하며 복수의 끼움부 중 일부에 블럭유닛(200)을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무늬나 도안을 구현하거나, 블럭유닛(200)의 조립에 의하여 교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유닛(200)은 장식효과와 함께 완충패드(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완충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유닛(200)은 완충패드(100)의 끼움부(120)에 삽입되되, 끼움부(120)의 내입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되는 연결블럭(220);
    상기 연결블럭(220)에 조립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장식블럭(2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220)은 일측 선단부가 벽면의 완충패드(100)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선단은 장식블럭(24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블럭(240)은 수결합부로만 형성된 수블럭(200a), 내입된 형상의 암결합부로만 형성된 암블럭(200b),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모두 형성된 암수블럭(200c), 특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구 또는 장식효과를 구현하는 보조블럭(200d)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220)은 완충패드(100)의 끼움부(120) 또는 블럭유닛(200)의 암결합부(204)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유연하게 삽탈되도록 원형 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완충패드(100)와 블럭유닛(200)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경량의 발포 소재로 이루어지고,
    완충패드(100)의 뒷면에는 양면 접착시트로 이루어지는 설치요소(140)가 부착되어 접착 방식으로 벽면 설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100)에는 복수의 끼움부(120)가 형성된 사이에 절단선을 안내하고 굴곡곡면에 유연성 있게 밀착되도록 골(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KR1020210016414A 2021-02-04 2021-02-04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KR2022011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14A KR20220112639A (ko) 2021-02-04 2021-02-04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14A KR20220112639A (ko) 2021-02-04 2021-02-04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639A true KR20220112639A (ko) 2022-08-11

Family

ID=8280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414A KR20220112639A (ko) 2021-02-04 2021-02-04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6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9945S1 (en) One-piece cushion with base and nozzles
US6132821A (en) Sculpted wall adornment
USD544926S1 (en) Indoor playhouse for children
KR100487818B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20220112639A (ko)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KR102255112B1 (ko)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USD617473S1 (en) Laminate panel with translucent wood design
USD559997S1 (en) Indoor room
KR200420763Y1 (ko) 조립식 건축용 패널
KR20220112641A (ko)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구현하는 블럭 조립체
CN204456765U (zh) 一种环保隔音复合地板
KR200313284Y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JP6928338B2 (ja) 柔軟性に優れた装飾材
USD514677S1 (en) Wall-mounted flame simulating assembly
JP2004195876A (ja) レリーフ部を備えた軟質エラストマー製タイル
KR20080107695A (ko) 기능성 내, 외장재
KR100829520B1 (ko) 장식재, 이를 포함하는 장식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231812Y1 (ko) 쿠션용 바닥재
CN212116666U (zh) 一种可自由组装的吸音材质猫爬架
CN202347793U (zh) 软体马赛克装饰板
CN209941940U (zh) 一种超微孔声学吸音板
AU7793601A (en) Transformable toy figure having alternative sounds
CN201216317Y (zh) 绿色环保柜
JP3934592B2 (ja) 階段の踏板
JP2020138545A (ja) ガラス窓装飾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