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342A - 음향 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음향 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342A
KR20220112342A KR1020210015667A KR20210015667A KR20220112342A KR 20220112342 A KR20220112342 A KR 20220112342A KR 1020210015667 A KR1020210015667 A KR 1020210015667A KR 20210015667 A KR20210015667 A KR 20210015667A KR 20220112342 A KR20220112342 A KR 2022011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wall
disposed
front part
wal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297B1 (ko
Inventor
이병주
이윤배
김진호
박민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팔
Priority to KR102021001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297B1/ko
Priority to PCT/KR2021/010061 priority patent/WO2022169047A1/ko
Publication of KR2022011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향이 전달되는 방향을 향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배면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향 월 디바이스{Acoustic wall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달과 사용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다양한 음향 제공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음향 제공 디바이스를 다양한 장소에 사용하고 있다.
한편, 실내 공간 인테리어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벽면 장식 등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 기타 글로벌 수준에서의 정보를 빠르게 볼 수 있고, SNS 등 타인의 생활 환경을 쉽게 볼 수 있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시각 또는 청각 등의 감각적 환경의 만족을 위한 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공간 상에 시각적 미감을 만족하면서 음향 제공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간 상에 음향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각적 미감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음향 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향이 전달되는 방향을 향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배면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 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사이에 배치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적어도 상기 배면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벽면 구조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월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는 상기 벽면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과 이웃하도록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월 디바이스 및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로서,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는 상기 벽면과 이웃하도록 형성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공간 상에 음향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각적 미감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K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8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ⅩⅩⅤ-Ⅹ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예를들면 도 1은 일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 또는 일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100)는 전면부(101), 배면부(102) 및 음향 진동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100)의 실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의 일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면부(10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의 전면부(1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1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는 실내의 천장면에 배치 또는 천장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는 바닥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전면부(101)는 음향 월 디바이스(1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1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1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101)는 실내의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구체적 일 예로서 전면부(1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1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는 실내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전면부(1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는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101)는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의 적어도 일 면,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1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은 인접한 벽면(미도시)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01)는 일 방향으로 길이(예를들면 도 1의 X축 방향) 및 폭(예를들면 도 1의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의 일 영역에 적어도 연장 영역(101ES)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 영역(101ES)에 대응된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102)는 전면부(1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102)는 전면부(1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102)와 전면부(1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1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1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와 배면부(1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1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110)은 구동 부재(111) 및 진동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1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112)은 전면부(101)를 향하고 구동 부재(111)는 배면부(102)를 향할 수 있다.
진동판(112)은 전면부(1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10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112)의 진동이 공기의 전달이 아닌 고체 상태의 전달 방법으로 전면부(10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1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진동판(112)과 접하여 직접적인 전달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101)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101)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111)는 진동판(1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판(112)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1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1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에, 예를들면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110)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101)의 연장 영역(101ES)를 향하도록 이격 공간(SA)에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진동판(112)과 구동 부재(1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110)은 음향 유닛, 예를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112)은 전면부(10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112)과 전면부(10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의 진동 시 전면부(1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1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진동 모듈(110)은 배면부(1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11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110)의 진동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110)의 진동이 배면부(10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10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음향 진동 모듈(110)과 배면부(1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1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의 일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판(112)와 전면부(101)의 사이에 접합 부재(ADS)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접합 부재(ADS)는 쿠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다양한 예로서 접합 부재(미도시)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지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ADS)는 실리콘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 부재(ADS)는 진동판(1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과 전면부(101)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감소하여 진동판(112)으로부터 전면부(101')로의 효과적 진동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112)의 진동 시 전면부(1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1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측면부(103)가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103)는 전면부(101)와 배면부(1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110)은 측면부(103)와 이격될 수 있다.
전면부(10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측면부(103)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101E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전면부(101)의 연장 영역(101ES)는 배면부(10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 영역(101ES)와 측면부(103)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101ES)는 전면부(10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101)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부(103)를 모두 지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연장 영역(101ES)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격 공간(SA)이 측면부(1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01'), 배면부(102'), 음향 진동 모듈(110') 및 진동 지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110')은 구동 부재(111') 및 진동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130')는 음향 진동 모듈(110')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 지지 부재(130')는 음향 진동 모듈(110')의 구동 부재(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진동판(112')과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진동 지지 부재(130')는 구동 부재(111')의 측면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진동 지지 부재(130')는 구동 부재(111')의 측면의 이격된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구동 부재(111')의 측면의 영역 중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영역에 진동 지지 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 지지 부재(130')의 일단은 전면부(101') 또는 배면부(10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측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면부(101"), 배면부(102"), 음향 진동 모듈(110") 및 진동 지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10")은 전면부(101")와 배면부(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110")은 구동 부재(111") 및 진동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130")는 음향 진동 모듈(110")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 지지 부재(130")는 음향 진동 모듈(110")의 구동 부재(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진동판(112")과 이격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130")는 적어도 구동 부재(111")의 측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 부재(11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진동 지지 부재(1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오픈된 절개부(CA)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CA)를 통하여 진동 지지 부재(130")의 전체적인 진동을 통한 노이즈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진동 지지 부재(130")와 음향 진동 모듈(110")의 사이에 삽입 부재(138")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8")를 통하여 진동 지지 부재(130")와 구동 부재(111")간의 이탈이나 불필요한 이격 운동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삽입 부재(138")는 구동 부재(11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 부재(138")는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부재(138")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탄성이 있는 재질 또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삽입 부재(138")는 고무 계열 재질, 실리콘 계열 재질 또는 기타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 지지 부재(130")의 일단은 전면부(101") 또는 배면부(10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측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벽면에 배치되거나 벽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음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벽면을 통한 음향 효과를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각적 쾌감을 향상하고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의 일 영역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연장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장 영역에 대응되도록 전면부와 측면부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영역 및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예를들면 벽면의 인접한 영역에 연결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인접한 면과 나란하거나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실내의 벽면 또는 실외 벽면 기타 천장이나 바닥면 등에 음향 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벽면을 통한 음향을 제공하는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전면부(201), 배면부(202) 및 음향 진동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의 실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의 일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면부(20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의 전면부(2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2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와 이웃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벽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인접한 벽면들과 마찬가지로 벽면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공간을 향하는 벽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는 실내의 공간에서 서 있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본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5는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대응되고,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으로부터 베이스면(BTS)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벽면 공간부(BS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BSA)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복수의 벽면들의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2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의 전면부(2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비교적 작은 틈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를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하도록 배치하거나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면부(201)는 음향 월 디바이스(2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2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의 전방의 표면의 형태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는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201)는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의 적어도 전방의 면의 일 영역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1)는 일 방향으로 길이(예를들면 도 5의 X축 방향) 및 폭(예를들면 도 5의 Y축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의 일 영역에 적어도 연장 영역(201ES)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 영역(201ES)에 대응된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202)는 전면부(2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202)는 전면부(2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202)와 전면부(2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2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2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와 배면부(2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2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2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은 전면부(20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210)은 전면부(2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210)은 구동 부재(211) 및 진동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212)은 전면부(20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2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212)은 전면부(201)를 향하고 구동 부재(211)는 배면부(202)를 향할 수 있다.
진동판(212)은 전면부(2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2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20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212)의 진동이 공기의 전달이 아닌 고체 상태의 전달 방법으로 전면부(20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2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진동판(212)과 접하여 직접적인 전달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201)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201)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211)는 진동판(2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판(212)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2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2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에, 예를들면 전면부(20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210)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201)의 연장 영역(201ES)를 향하도록 이격 공간(SA)에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진동판(212)과 구동 부재(2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210)은 음향 유닛, 예를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212)은 전면부(20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212)과 전면부(20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212)의 진동 시 전면부(2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2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진동 모듈(210)은 배면부(2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21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210)의 진동이 배면부(20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20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음향 진동 모듈(210)과 배면부(2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20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2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212)과 전면부(2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측면부(203)가 전면부(201)와 배면부(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203)는 전면부(201)와 배면부(2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210)은 측면부(203)와 이격될 수 있다.
전면부(20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측면부(203)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201E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전면부(201)의 연장 영역(201ES)는 배면부(20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 영역(201ES)와 측면부(203)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201ES)은 전면부(20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201)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부(203)를 모두 지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연장 영역(201ES)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격 공간(SA)이 측면부(2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2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전면부(201'), 배면부(202') 및 음향 진동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와 이웃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인접한 벽면들과 마찬가지로 벽면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대응되고,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으로부터 베이스면(BTS)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벽면 공간부(BS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BSA)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복수의 벽면들의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2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2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2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로부터 베이스면(BTS)로 진동이 전달되어 비정상적 진동 발생 또는 노이즈나 부밍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과 베이스면으로 정의되는 벽면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전면부(301), 배면부(302) 및 음향 진동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실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일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면부(30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전면부(3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3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와 이웃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벽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인접한 벽면들과 마찬가지로 벽면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공간을 향하는 벽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은 실내의 공간에서 서 있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본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8은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대응되고,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으로부터 베이스면(BTS)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벽면 공간부(BS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BSA)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복수의 벽면들의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3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전면부(3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비교적 작은 틈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300)를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하도록 배치하거나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면부(301)는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3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301)의 전방의 표면의 형태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3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301)는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301)는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301)의 적어도 전방의 면의 일 영역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301)는 일 방향으로 길이(예를들면 도 8의 X축 방향) 및 폭(예를들면 도 8의 Y축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30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측면부(303)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301E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전면부(301)의 연장 영역(301ES)는 배면부(30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 영역(301ES)와 측면부(303)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301ES)은 전면부(30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301)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부(303)를 모두 지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3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연장 영역(301ES)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격 공간(SA)이 측면부(3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301)의 연장 영역(3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영역(3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3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300)는 전면부(301)의 연장 영역(301ES)이 베이스면(BTS)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손상이나 파손의 영향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음향 월 디바이스(300)를 벽면 공간부(BSA)에서 분리한 상태를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GB)는 서로 이격되도록 양쪽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양측의 연장 영역(30ES)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폭 방향(도 11의 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의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연장 영역(301ES)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의 전면부(301)의 연장 영역(301ES)은 측면부(303)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면부(302)는 전면부(3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302)는 전면부(3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302)와 전면부(3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3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3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301)와 배면부(3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3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3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303)가 전면부(30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303)는 전면부(301)와 배면부(3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310)은 측면부(3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3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310)은 전면부(30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310)은 전면부(3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3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310)은 구동 부재(311) 및 진동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312)은 전면부(30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3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312)은 전면부(301)를 향하고 구동 부재(311)는 배면부(302)를 향할 수 있다.
진동판(312)은 전면부(3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3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30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312)의 진동이 공기의 전달이 아닌 고체 상태의 전달 방법으로 전면부(30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3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진동판(312)과 접하여 직접적인 전달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301)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301)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311)는 진동판(3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판(312)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3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3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300)에, 예를들면 전면부(30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310)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301)의 연장 영역(301ES)를 향하도록 이격 공간(SA)에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지지부(GB)와 측면부(303)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312)과 구동 부재(3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310)은 음향 유닛, 예를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312)은 전면부(30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312)과 전면부(30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312)의 진동 시 전면부(3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3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진동 모듈(310)은 배면부(3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31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310)의 진동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310)의 진동이 배면부(30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30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음향 진동 모듈(310)과 배면부(3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301)와 배면부(3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3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312)과 전면부(3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과 베이스면으로 정의되는 벽면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전면부는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 영역은 벽면 공간부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고 음향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로부터 음향 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점검 또는 관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K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전면부(401), 배면부(402) 및 음향 진동 모듈(410) 및 자성 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실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일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면부(40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전면부(4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4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와 이웃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벽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인접한 벽면들과 마찬가지로 벽면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공간을 향하는 벽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지면과 교차 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은 실내의 공간에서 서 있는 사용자의 시선에서 본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8은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대응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대응되고,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으로부터 베이스면(BTS)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벽면 공간부(BS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BSA)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복수의 벽면들의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4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전면부(4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비교적 작은 틈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400)를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하도록 배치하거나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면부(401)는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4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4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401)의 전방의 표면의 형태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4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401)는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401)는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401)의 적어도 전방의 면의 일 영역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401)는 일 방향으로 길이(예를들면 도 13의 X축 방향) 및 폭(예를들면 도 13의 Y축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40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측면부(403)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401E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전면부(401)의 연장 영역(401ES)는 배면부(40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 영역(401ES)와 측면부(403)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401ES)은 전면부(40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401)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부(403)를 모두 지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4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연장 영역(401ES)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격 공간(SA)이 측면부(4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401)의 연장 영역(4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영역(4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4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401)의 연장 영역(401ES)과 지지부(GB)는 상호 자기장, 예를들면 인력이 작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부(GB)상에는 자력부(MGV)가 형성될 수 있고, 자력부(MGV)는 자석, 구체적 예로서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MGV)에 대응되도록 연장 영역(401ES)에는 자성 부재(45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450)는 자력부(MGV)와 상호 자기장을 발생하는 다양한 재료, 예를들면 철, 탄소강, 니켈, 코발트 기타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45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부재(450) 및 이에 대응하는 자력부(MGV)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성 부재(450)는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길이 방향(도 15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폭 방향(도 15의 Y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안정적인 자성 부재(450)와 자력부(MGV)의 연결을 위하여 자성 부재(450)는 자력부(MGV)보다 넓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4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층의 형태로 연장 영역(401ES)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테이프 형태로 연장 영역(401ES)에 부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400)는 전면부(401)의 연장 영역(401ES)이 베이스면(BTS)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력부(MGV) 및 자성 부재(450)의 상호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한 연결로 음향 월 디바이스(4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벽면에 대응되도록 자력부(MGV) 및 자성 부재(450)간의 상호 자기장의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400)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을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400)의 손상이나 파손의 영향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배면부(402)는 전면부(4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402)는 전면부(4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402)와 전면부(4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4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4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401)와 배면부(4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4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4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403)가 전면부(40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403)는 전면부(401)와 배면부(4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410)은 측면부(4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4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은 전면부(40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410)은 전면부(4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4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410)은 구동 부재(411) 및 진동판(4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412)은 전면부(40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4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412)은 전면부(401)를 향하고 구동 부재(411)는 배면부(402)를 향할 수 있다.
진동판(412)은 전면부(4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4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40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412)의 진동이 공기의 전달이 아닌 고체 상태의 전달 방법으로 전면부(40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4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진동판(412)과 접하여 직접적인 전달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401)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401)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411)는 진동판(4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판(412)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4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4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400)에, 예를들면 전면부(40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410)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401)의 연장 영역(401ES)를 향하도록 이격 공간(SA)에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지지부(GB)와 측면부(403)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412)과 구동 부재(4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410)은 음향 유닛, 예를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412)은 전면부(40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412)과 전면부(40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412)의 진동 시 전면부(4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4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진동 모듈(410)은 배면부(4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41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410)의 진동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410)의 진동이 배면부(40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40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음향 진동 모듈(410)과 배면부(4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401)와 배면부(4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4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412)과 전면부(4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과 베이스면으로 정의되는 벽면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전면부는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 영역은 벽면 공간부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고 음향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로부터 음향 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점검 또는 관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지지부와 연장 영역의 사이에는 자력부 및 자성 부재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부 및 자성 부재의 상호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하여 지지부에 연장 영역이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벽면 공간부에 음향 월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벽면 공간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6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500)는 전면부(501), 배면부(502) 및 음향 진동 모듈(510) 및 연결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5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5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5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501)는 음향 월 디바이스(5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5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5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501)의 연장 영역(5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영역(5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5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501)의 연장 영역(501ES)에는 지지부(GB)와 연결되는 연결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60)는 연장 영역(501ES)로부터 지지부(GB)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560) 및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500)의 길이 방향(도 16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502)는 전면부(5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502)는 전면부(5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502)와 전면부(5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5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5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501)와 배면부(5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5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5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503)가 전면부(501)와 배면부(5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503)는 전면부(501)와 배면부(5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510)은 측면부(5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5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은 전면부(501)와 배면부(5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510)은 전면부(5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5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510)은 구동 부재(511) 및 진동판(5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512)과 전면부(5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7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600)는 전면부(601), 배면부(602) 및 음향 진동 모듈(610) 및 연결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6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6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6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601)는 음향 월 디바이스(6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6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6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601)의 연장 영역(6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영역(6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6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601)의 연장 영역(601ES)에는 지지부(GB)와 연결되는 연결부(6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60)는 연장 영역(601ES)로부터 지지부(GB)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660)과 지지부(GB)는 하나 이상의 체결 수단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부(660)는 메인 부재(661) 및 체결 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부재(661)는 연장 영역(601ES)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고, 체결 부재(662)는 메인 부재(661)에 형성된 것으로서 지지부(GB)의 그루브에 대응된 볼록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체결 부재(662)가 그루브를 갖고 지지부(GB)에 이에 대응하는 볼록 영역이 형성될수도 있다.
연결부(660) 및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600)의 길이 방향(도 17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602)는 전면부(6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602)는 전면부(6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602)와 전면부(6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6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6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601)와 배면부(6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6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6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603)가 전면부(601)와 배면부(6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603)는 전면부(601)와 배면부(6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610)은 측면부(6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6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610)은 전면부(601)와 배면부(6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610)은 전면부(6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6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610)은 구동 부재(611) 및 진동판(6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612)과 전면부(6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8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700)는 전면부(701), 배면부(702) 및 음향 진동 모듈(710) 및 연결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7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7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7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701)는 음향 월 디바이스(7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7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7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701)의 연장 영역(701ES)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7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760)는 베이스면(BTS)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760)는 연장 영역(701ES)로부터 베이스면(BTS)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7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760)가 베이스면(BTS)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전면부(7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7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700)의 길이 방향(도 18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702)는 전면부(7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702)는 전면부(7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702)와 전면부(7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7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7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701)와 배면부(7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7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7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703)가 전면부(701)와 배면부(7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703)는 전면부(701)와 배면부(7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710)은 측면부(7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7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710)은 전면부(701)와 배면부(7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710)은 전면부(7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7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710)은 구동 부재(711) 및 진동판(7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712)과 전면부(7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9는 도 18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700')는 전면부(701'), 배면부(702') 및 음향 진동 모듈(710') 및 연결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도 18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7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7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7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701')의 연장 영역(701ES)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7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760')는 베이스면(BTS)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760')는 연장 영역(701ES')로부터 베이스면(BTS)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7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760')가 베이스면(BTS)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전면부(7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7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700')의 길이 방향(도 19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710')은 전면부(701')와 베이스면(BTS)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710')은 구동 부재(711') 및 진동판(7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712')과 전면부(7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음향 진동 모듈(710')은 연결부(760')를 대향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면(BTS)를 대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측면부 및 배면부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800)는 전면부(801), 배면부(802) 및 음향 진동 모듈(810) 및 연결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8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8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8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801)는 음향 월 디바이스(8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8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8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801)의 연장 영역(801ES)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8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860)는 베이스면(BTS)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860)는 연장 영역(801ES)로부터 베이스면(BTS)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8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860)가 베이스면(BTS)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전면부(8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8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800)의 길이 방향(도 18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부(EST)를 통하여 연결부(860)가 베이스면(BTS)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면(BTS)에 복수의 고정부(EST)가 연결부(8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860)의 적어도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고정부(EST)가 형성될 수 있고, 양측의 고정부(EST)는 각각 연결부(860)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EST)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EST)를 통하여 연결부(860)가 베이스면(BTS)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EST)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음향 월 디바이스(800)을 벽면 공간부(BSA)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배면부(802)는 전면부(8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802)는 전면부(8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802)와 전면부(8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8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8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801)와 배면부(8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8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8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803)가 전면부(801)와 배면부(8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803)는 전면부(801)와 배면부(8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810)은 측면부(8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8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810)은 전면부(801)와 배면부(8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810)은 전면부(8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8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810)은 구동 부재(811) 및 진동판(8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812)과 전면부(8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과 베이스면으로 정의되는 벽면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전면부는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 영역에 벽면 공간부의 베이스면을 향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가 벽면 공간부의 베이스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고 음향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통하여 힘을 가하는 가압 방식으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로부터 체결을 분리할 수 있는 외력을 가하여 벽면 공간부로부터 음향 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점검 또는 관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2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900)는 전면부(901), 배면부(902) 및 음향 진동 모듈(910) 및 측면부(90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9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9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9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901)는 음향 월 디바이스(9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9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9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9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는 측면부(903)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910)은 측면부(903)와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측면부(903)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9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향 월 디바이스(900)의 길이 방향(도 22의 X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 방향(도 22의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양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902)는 전면부(9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902)는 측면부(903)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902)는 전면부(9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902)와 전면부(9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9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배면부(902)가 베이스면(BTS)에 의하여 지지되고, 배면부(902)는 측면부(903)를 통하여 전면부(901)와 연결되어 전면부(901)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를 감소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910)은 전면부(901)와 배면부(9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910)은 전면부(9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9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910)은 구동 부재(911) 및 진동판(9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912)과 전면부(9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의 ⅩⅩⅢ-Ⅹ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1000)는 전면부(1001), 배면부(1002) 및 음향 진동 모듈(1010) 및 연결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월 디바이스(10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10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1001)는 음향 월 디바이스(10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1000)가 실내에 배치될 경우 전면부(1001)는 실내의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1001)의 연장 영역(10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1001)의 연장 영역(10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10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1001)의 연장 영역(1001ES)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106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60)는 연장 영역(1001ES)로부터 베이스면(BTS)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10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060)는 프레임부(F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FB)는 베이스면(BTS)상에 배치된 것으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1000)의 배치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면(BTS)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연결부(1060)는 프레임부(F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전면부(10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06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부(EST)를 통하여 연결부(1060)가 프레임부(F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레임부(FB)에 복수의 고정부(EST)가 연결부(10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1060)의 적어도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고정부(EST)가 형성될 수 있고, 양측의 고정부(EST)는 각각 연결부(1060)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EST)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EST)를 통하여 연결부(1060)가 프레임부(FB)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EST)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1000)을 벽면 공간부(BSA)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배면부(1002)는 전면부(10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1002)는 전면부(10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1002)와 전면부(10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10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10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1001)와 배면부(10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10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10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1002)는 프레임부(FB)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1003)가 전면부(1001)와 배면부(10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1003)는 전면부(1001)와 배면부(10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1010)은 측면부(1003)와 이격될 수 있다.
측면부(1003)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003)은 연결부(106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010)은 전면부(1001)와 배면부(10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1010)은 전면부(10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10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1010)은 구동 부재(1011) 및 진동판(10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1012)과 전면부(10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전면부와 배면부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음향 진동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진동 모듈에서 발생한 진동은 전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의 전면부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과 베이스면으로 정의되는 벽면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공간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전면부는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 영역에 벽면 공간부의 베이스면을 향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가 벽면 공간부의 베이스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고 음향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통하여 힘을 가하는 가압 방식으로 음향 월 디바이스를 벽면 공간부에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로부터 체결을 분리할 수 있는 외력을 가하여 벽면 공간부로부터 음향 월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점검 또는 관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향 월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의 ⅩⅩⅤ-Ⅹ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음향 월 디바이스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전면부(2001), 배면부(2002) 및 음향 진동 모듈(2010)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HMP)가 서서 전방을 향하는 실내의 벽면 구조(WAT)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일면이 벽면 구조(WAT)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면부(200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이 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전면부(2001)의 면 중 음향 진동 모듈(20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이 벽면의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과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와 이웃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인접한 복수의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들과 함께 벽면 구조(WAT)에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과 베이스면(B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의 사이에 대응되고,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으로부터 베이스면(BTS)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벽면 공간부(BS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공간부(BSA)는 제1 측 벽면(NS1) 및 제2 측 벽면(NS2)이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이격된 복수의 벽면들(NS4, NS5, NS6, NS7)의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벽면 공간부(BSA)는 복수의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들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되어 전면부(20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들면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과 거의 나란한 상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전면부(2001)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비교적 작은 틈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0)를 벽면 공간부(BSA)에 수용하도록 배치하거나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면부(2001)는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전방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01)의 전방의 표면의 형태는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과 동일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0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01)는 금속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면부(2001)는 나무 계열 재질, 세라믹 계열 재질 또는 종이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01)의 적어도 전방의 면의 일 영역은 이웃한 벽면들(NS1, NS2)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0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측면부(2003)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2001E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전면부(2001)의 연장 영역(2001ES)는 배면부(2002)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 영역(2001ES)와 측면부(2003)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영역(2001ES)은 전면부(200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2001)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부(2003)를 모두 지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0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연장 영역(2001ES)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격 공간(SA)이 측면부(20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2001)의 연장 영역(2001ES)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GB)는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되고 베이스면(BTS)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GB)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영역(2001ES)이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면부(2001)의 상면이 이웃한 벽면들(NS1, NS2, NS4, NS5, NS6, NS7)과의 단차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전면부(2001)의 연장 영역(2001ES)과 지지부(GB)는 상호 자기장, 예를들면 인력이 작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부(GB)상에는 자력부(MGV)가 형성될 수 있고, 자력부(MGV)는 자석, 구체적 예로서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부(MGV)에 대응되도록 연장 영역(2001ES)에는 자성 부재(205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2050)는 자력부(MGV)와 상호 자기장을 발생하는 다양한 재료, 예를들면 철, 탄소강, 니켈, 코발트 기타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205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부재(2050) 및 이에 대응하는 자력부(MGV)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성 부재(2050)는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복수 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안정적인 자성 부재(2050)와 자력부(MGV)의 연결을 위하여 자성 부재(2050)는 자력부(MGV)보다 넓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20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층의 형태로 연장 영역(2001ES)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테이프 형태로 연장 영역(2001ES)에 부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2000)는 전면부(2001)의 연장 영역(2001ES)이 베이스면(BTS)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지지부(G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력부(MGV) 및 자성 부재(2050)의 상호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한 연결로 음향 월 디바이스(2000)가 벽면 공간부(BSA)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벽면에 대응되도록 자력부(MGV) 및 자성 부재(2050)간의 상호 자기장의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0)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을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손상이나 파손의 영향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벽면 공간부(BS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또는 압착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2000)의 적어도 일 영역, 구체적 예로서 상단부로부터 벽면 공간부(BSA)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벽면 공간부(BSA)로부터 음향 월 디바이스(2000)를 분리하여 이동하여 수리 또는 기타 관리를 진행할수도 있다.
배면부(2002)는 전면부(20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2002)는 전면부(2001)와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배면부(2002)와 전면부(200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2002)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전면부(2001)를 형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2002)는 베이스면(BT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면부(2002)는 베이스면(BT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접할 수 있다.
측면부(2003)가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측면부(2003)는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2010)은 측면부(2003)와 이격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010)은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음향 진동 모듈(2010)은 전면부(20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진동 모듈(2010)은 음향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2010)은 구동 부재(2011) 및 진동판(20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판(2012)은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20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2012)은 전면부(2001)를 향하고 구동 부재(2011)는 배면부(2002)를 향할 수 있다.
진동판(2012)은 전면부(200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진동판(2012)을 통한 진동 발생 시 이러한 진동이 전면부(200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판(2012)의 진동이 공기의 전달이 아닌 고체 상태의 전달 방법으로 전면부(200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20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진동판(2012)과 접하여 직접적인 전달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격된 채 중간에 중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하여 다양한 음향이 발생되고, 예를들면 전면부(2001)에 전달된 진동을 통하여 음향 발생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면부(2001)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 부재(2011)는 진동판(2012)이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판(2012)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2011)는 엑추에이터 또는 기타 다양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부재(2011)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음향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월 디바이스(2000)에, 예를들면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2010)와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격 공간(SA)에 제어부(CPC)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CPC)는 지지부(GB)와 측면부(2003)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CPC)는 인접한 지지부(GB)의 일 영역, 예를들면 관통부(GBH)를 통하여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음향 진동 모듈(2010)의 동작의 제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선(WR)이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측면부(2030)의 통로 영역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어부(CPC)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진동판(2012)과 구동 부재(2011)를 포함하는 음향 진동 모듈(2010)은 음향 유닛, 예를들면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 모듈일 수 있고, 예를들면 패시브 타입 또는 액티브 타입의 스피커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판(2012)은 전면부(200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동판(2012)과 전면부(200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진동판(2012)의 진동 시 전면부(2001)에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어 전면부(2001)가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진동 모듈(2010)은 배면부(20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부재(201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음향 진동 모듈(2010)의 진동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진동 모듈(2010)의 진동이 배면부(200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전면부(2001)의 방향으로 음향의 발생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음향 진동 모듈(2010)과 배면부(20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진동 저감 부재 또는 흡음 부재는 전면부(2001)와 배면부(2002)의 사이에 음향 진동 모듈(2010)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진동판(2012)과 전면부(2001)의 사이에 접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또는 도 4는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는 인접한 벽면들의 측면에 또는 이러한 벽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벽면들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구조에 포함될 수 있다. 소정의 공간을 향하고 있는 벽면 구조에 본 실시예의 음향 월 디바이스가 포함되어 벽면을 통한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면부를 통하여 음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벽면을 통한 음향 발생 효과를 구현하여 공간상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시각적 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월 디바이스는 벽면 공간부에서의 진동을 통하여 음향 품질의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연스러운 저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음향 월 디바이스를 분리하고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관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음향 월 디바이스
101, 201, 301, 401, 501, 601, 701, 801, 901, 1001, 2001: 전면부
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2, 902, 1002, 2002: 배면부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1010, 2010: 음향 진동 모듈
NS1, NS2: 인접 벽면들

Claims (6)

  1. 음향이 전달되는 방향을 향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사이에 상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를 이용하여 음향을 위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배면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진동 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사이에 배치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적어도 상기 배면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형성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측면부를 지나치도록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음향 월 디바이스.
  5. 벽면 구조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향 월 디바이스로서,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는 상기 벽면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과 이웃하도록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배면부 및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
  6. 음향 월 디바이스 및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면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로서,
    상기 음향 월 디바이스는 상기 벽면과 이웃하도록 형성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음향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벽면 구조.
KR1020210015667A 2021-02-03 2021-02-03 음향 월 디바이스 KR10257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67A KR102573297B1 (ko) 2021-02-03 2021-02-03 음향 월 디바이스
PCT/KR2021/010061 WO2022169047A1 (ko) 2021-02-03 2021-08-02 음향 액자 디바이스 및 음향 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67A KR102573297B1 (ko) 2021-02-03 2021-02-03 음향 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342A true KR20220112342A (ko) 2022-08-11
KR102573297B1 KR102573297B1 (ko) 2023-09-01

Family

ID=8280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67A KR102573297B1 (ko) 2021-02-03 2021-02-03 음향 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2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5029A1 (en) * 2003-04-29 2008-04-10 Hagman Paul N In-wal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10199818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Corp 平板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5029A1 (en) * 2003-04-29 2008-04-10 Hagman Paul N In-wal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10199818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Corp 平板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297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017B1 (ko) 표시장치
JP4771475B2 (ja) 骨伝導スピーカ
EP1542499A3 (en) Acoustic vibration generating element
ATE179043T1 (de) Lautsprecher mit paneelförmigen schallausstrahlenden elementen
JP7373602B2 (ja) 音響発生器及び音響装置
CN100377620C (zh) 扬声器系统
US20230007374A1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12342A (ko) 음향 월 디바이스
US20110123037A1 (en) Sound masking system and method using vibration exciter
ATE406071T1 (de) Lautsprecher mit akustischer membrane
US11245988B2 (en) Mobile terminal
JP5888294B2 (ja) 圧電スピーカーの製造方法
JP2001359188A (ja) 駆動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パネルスピーカ
US9485593B2 (en) Acoustic device
KR102439741B1 (ko) 분산 모드 스피커용 강화 액추에이터
US11407007B2 (en) Mini subwoofer double drive low-frequency vibrator
KR20160012838A (ko) 박막 스피커
KR102526176B1 (ko) 음향 액자 디바이스
KR20220165878A (ko) 음향 액자 디바이스
KR102530089B1 (ko) 음향 액자 디바이스
JP2008113195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22117388A (ja) 電子機器
JP2019013110A (ja) 振動モータ
CN205017569U (zh) 一种新型扬声器
CN117135523A (zh) 一种骨传导耳机、发声装置、通信系统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