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685A -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685A
KR20220111685A KR1020227020743A KR20227020743A KR20220111685A KR 20220111685 A KR20220111685 A KR 20220111685A KR 1020227020743 A KR1020227020743 A KR 1020227020743A KR 20227020743 A KR20227020743 A KR 20227020743A KR 20220111685 A KR20220111685 A KR 2022011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ixing
bridge
piece compon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뒤에
파스칼 뤼비옹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1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6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shaft holders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60S1/0472Arrangement of the wipers on right or left-hand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16Modular wiper assembly including other vehicle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기능 요소를 차량의 횡방향 가열 파티션(2)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 장치는 장형의 원피스 구성요소(10, 10d, 10g)로 된 고정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의 주축을 따라 배치된 3개의 고정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와이퍼(31)를 수용하는 제1 고정 브릿지(11, 11d, 11g), 워터 박스(32)를 수용하는 제2 고정 브릿지(12, 12d, 12g), 및 전기 커넥터(33)를 수용하는 측면 고정 탭(13, 13d, 13g)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브릿지는 상기 제1 고정 브릿지 및 측면 고정 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열 파티션에 대하여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141, 15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실과 차량의 전방실 사이의 분리부에 위치하는 횡방향 가열 파티션에 차량의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승객실을 형성하는 셀의 전방에 배열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장착된 횡방향 가열 파티션을 갖는 차량의 전방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에는 와이퍼, 워터박스, 전기커넥터로 구성된 기능요소를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배터리로부터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전방 유리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기 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워터 박스는 종종 단순히 물 탱크라고 불리는 물 회수 용기이다. 그것은 실질적으로 거터와 같은 길쭉한 모양을 가지며 차량 윈드쉴드 바닥에 위치한 카울 벤트 그릴 아래로 확장된다. 이 리셉터클은 빗물이나 윈드쉴드 세척수와 같은 유거수(runoff water)를 회수하고 배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더 일반적으로 차량 세척수는 덕트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워터 박스는 차량 승객실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되, 상기 리셉터클은 차량이 이동할 때 주변 공기를 회수하고 폭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으로 이어지는 채널을 통해 이를 내부로 되돌린다.
이러한 기능 요소는 전방 횡방향 가열 파티션에서 서로 다소 떨어진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일반적으로 엔진을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실과 전방실 사이에 분리 벽을 형성한다. 이 파티션은 차량의 전방 격벽의 상부를 확장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와 관련된 고정 수단 및 위치는 특히 사용 가능한 공간에 따라 차량 모델마다 다르다.
이는 각 요소 및 각 모델에 대해 많은 수의 고정 요소를 갖는 것을 수반하고, 3개의 개별 고정 요소를 제조 및 조작하고 주어진 차량에 대해 3개의 개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소모적이다. 개별 고정 요소를 제조하려면 세 가지 도구가 필요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횡방향 가열 파티션에 차량의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장치는 상기 요소의 주축을 따라 배치된 3개의 고정 요소를 갖는 장형의 원피스 요소로 된 고정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와이퍼를 수용하는 제1 고정 브릿지, 워터 박스를 수용하는 제2 고정 브릿지,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측면 고정 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릿지는 와이퍼용으로 상기 제1 고정 브릿지 및 상기 측면 고정 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원피스 요소의 가열 파티션에 대한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와이퍼,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차량의 이들 3가지 기능 요소에 대한 고정 지지체로서 하나의 구성요소를 갖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조정 수단은 원피스 구성요소의 기하학적 위치 설정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브릿지의 각각의 형상은 그 높이, 표면적 및 고정될 기능 요소의 상대적인 배열에 대한 기울기 및 설치할 차량의 전방부에 대하여 적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브릿지 및 상기 제 2 브릿지는 각각 그들이 특히 암-수형 고정 수단을 수용하는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상보적인 고정 수단을 수용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고정 탭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에 의해 정의된 평균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상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고정 탭은 전기 커넥터에 의해 지지되는 스냅-고정 러그를 수용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러그는 전기 커넥터가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인클로저에 수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파티션에 대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상기 고정 요소들 사이에 배치된 수용 오리피스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는 차량의 가열 파티션에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를 홀딩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홀딩 부분 중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브릿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홀딩 부분 중 다른 나머지는 상기 제 1 브릿지 및 측면 고정 탭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딩 부분은 상기 조정 수단을 수용하는 상기 오리피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와이퍼,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횡방향 가열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상기 워터 박스 및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전방부를 포함하는 차량이며, 차량이 좌측 핸들 차량인 경우,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가장 좌측 단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전기 커넥터용 측면 고정 탭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가장 오른쪽 끝에 위치하며, 워터 박스용 고정 브릿지는 이 두 고정 요소 사이에 위치하며, 차량이 우측 핸들 차량인 경우,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가장 우측 단부를 향하여 위치되고, 전기 커넥터용 측면 고정 탭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가장 좌측 단부에 위치되며, 워터 박스용 고정 브릿지는 이들 둘 고정 요소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는 전기 커넥터용 고정 탭이 실질적으로 가열 파티션의 중앙 레벨(횡방향)에 위치하도록 차량의 구동측에 따라 차량의 측면 중 하나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중심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에 대한 고정 브릿지는 차량의 구동측에 인접한 측에 있게 된다. 즉, 근위측은 차량이 좌핸들 차량인 경우 차량의 좌측이고, 근위측이 차량이 우측 핸들인 경우 차량의 우측이다.
좌측 핸들 또는 우측 핸들 차량이라는 용어는 스티어링 칼럼이 차량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각각 차량의 좌측 또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차량의 주어진 구동측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열 파티션을 갖는 위에서 정의된 차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횡방향 가열 파티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부에 와이퍼,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정의된 고정 장치는 상기 와이퍼, 상기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를 상기 가열 파티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표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아래에 제공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한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부를 위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워터 박스 없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방부를 위에서 본 3/4 부분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전방부에 사용되는 고정 장치의 기본 구성요소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핸들 차량의 전방부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기본 구성요소의 변형예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운전 구동부가 있는 차량의 전방부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기본 구성요소의 변형예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기준 프레임 XYZ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X는 차량의 전후방 길이 방향이고 후방을 향하고 Y는 차량의 우측을 향하는 가로 방향이며, Z는 차량 상단을 향한 수직 방향이다.
전방부 및 후방부, 하부 또는 상부의 개념은 차량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라 정의된다.
하나의 도면에서 다른 도면을 동일한 참조 기호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부를 위에서 본 부분적인 3/4 투시도이며, 상기 기능 요소는 와이퍼 장치,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이다. 차량의 전방부는 가열 파티션의 높이에서 도시하기 위하여 그 좌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시되며, 상기 벽은 차량의 승객실과 전방 엔진실을 분리한다. 도 2에서, 상기 설치된 고정 장치를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워터 박스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들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횡방향 Y로 배향되어 제공되는, 사용되는 상기 고정 장치의 기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차량의 전방부는 횡방향 가열 파티션(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 파티션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차량의 전방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능 요소는 윈드쉴드를 닦는 와이퍼(31)(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유출수를 회수 및 배수하고 승객실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횡방향 리셉터클인 워터 박스(32), 및 차량의 전기 부재의 작동, 특히 예를 들어 상기 와이퍼의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유용한 전기 커넥터(3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원피스 구성요소인 상기 기능 요소를 수용하는 고정 지지체를 형성하는 주요 구성요소(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피스 구성요소는 모양이 장형이고 가열 파티션(2) 높이에서 차량을 가로질러 주축(축 Y)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원피스 고정 지지체(10)는 상기 구성요소의 주축을 따라 배치되고 서로 다소 이격된 3개의 고정 요소(11, 12, 13)를 포함한다. 이것은 와이퍼(31)를 수용하고, 특히 하나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고 구동하는 아암(311)의 일단부를 체결함으로써 와이퍼(31)의 체결을 허용하는 제1 체결 브릿지(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릿지(11)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홀(110)은 상기 와이퍼(31)의 상기 암(311)의 단부에 위치한 체결탭에 고정되는 체결볼트(310)의 나사를 도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피스 고정 지지체(10)는 워터 박스(32)를 수용하는 제2 고정 브릿지(12)를 포함한다.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릿지는 차량의 전방부과 가열 파티션(2)의 구성에 적합한 경사각만큼 약간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제2 브릿지(12)는 그 중앙에 워터 박스(32)에 고정되는 고정 볼트(320)의 나사를 수용하는 고정 구멍(120)을 포함한다.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릿지(12)는 상기 제1 브릿지(11) 보다 낮다.
상기 원피스 고정 지지체(10)는 또한 전기 커넥터(33)를 수용하는 측면 고정 탭(13)을 포함하고, 상기 탭은 수직 상방(Z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 탭(13)은 그 중심에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장형의 형상의 고정 오리피스(1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커넥터(33)가 포함하는 인클로저의 표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 러그(330)가 스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를 수용하는 고정 요소 사이, 즉 각각 제1 고정 브릿지(11) 및 제2 고정 브릿지(12) 사이, 및 제2 고정 브릿지(12) 및 수직 측면 체결 탭(13)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로 형성된 제 1 홀딩부(14,) 및 제2 홀딩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14)는 용접(점 용접(112, 121))에 의해 상기 2개의 고정 브릿지(11, 12)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15)는 일측에서 상기 제2 브릿지(12)에 용접(스폿 용접(122))되고, 타측에서 상기 수직 측방향 고정 탭(13)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고정판(15) 및 상기 수직 측방향 고정 탭(13)은 예를 들어 접힘에 의해 단일 플레이트로 제조된다. 이들 제1 고정 플레이트(14)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5)는 실질적으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평균 평면에 의해 정의된 평균 평면에 있으며, 다시 말해서 이들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상기 브릿지(11, 12)는 이 평균 평면 위로 돌출된다. 각각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14, 15)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가열 파티션(2) 상에 상기 구성요소(10)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하학적 위치 지정 리벳(141, 151)을 수용하는 구멍(140, 150)을 포함한다.
와이퍼(31)를 수용하는 상기 제1 고정 브릿지(11)가 위치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의 단부에, (스팟 용접부(111)에 의해)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용접되는 측면 플레이트(16)가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가 가열 파티션(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측방향 부분(16)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를 더 쉽게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 장치는 고정 수단을 단일 구성 요소로 그룹화하여 차량의 3가지 기능 요소인 와이퍼, 워터 박스 및 전기 커넥터를 가열 파티션에 빠르고 경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의 스탬핑 도구와 두 개의 조립 수단을 절약할 수 있으며 질량 및 스폿 용접, 리벳, 차단 수단도 절약할 수 있다.
방금 설명한 고정 장치는 좌측 핸들 차량, 즉 차량의 좌측에 앉은 운전자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는 실질적으로 가열 파티션의 중심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즉 차량의 중앙부(횡방향으로)로부터 연장되고(Y=0), 차량의 좌측(-Y)을 향해 연장된다. 전기 커넥터(33)용 고정 요소(13)는 차량의 중앙 측에 배치되고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11)는 차량의 가장 좌측에 배치된다.
도 4 및 5는 각각 차량의 구동측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른 변형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지지 구성요소를 도시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차량의 전방부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가로 방향(Y)로 배향된 주축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10d)는 우측 핸들 차량을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10g)는 동일한 차량을 위한 것이지만 좌측 핸들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주행 거리의 좌측 핸들 차량을 위한 것이며, 이 차량의 앞 부분은 이 차량의 것과 매우 유사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도면의 참조 부호는 도 3에 사용된 참조부호에 해당하며 도 4에는 문자 'd'가, 도 5에는 문자 'g'가 붙는다. 이러한 원피스 고정 지지체(10d, 10g)는 방금 상세하게 설명된 원피스 구성요소(10)와 같이 2개의 고정 브릿지 및 측면 고정 탭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위치 결정 수단을 수용하는 부분을 갖는다. 이들 구성요소는 전술한 구성요소(10)의 그것과 유사하나, 표면적(폭, 길이), 높이 또는 경사도를 달리하여 장착되는 차량의 전방부의 배치에 적응시킬 수 있다.
도 4의 원피스 구성요소(10d)는 가장 우측 단부를 향하여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11d)를 포함하는 반면, 가장 좌측 말단에는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직 측면 고정 탭(13d)을 포함하며, 워터 박스(12d)용 고정 브릿지는 이들 2개의 구성요소(11d, 13d)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d)는 전기 커넥터용 고정 탭(13d)이 실질적으로 가열 파티션의 중앙 높이(횡방향)에 있고 와이퍼를 위한 고정 브릿지(11d)가 가장 우측에 있도록 차량의 중앙(Y=0)에서 우측(+Y)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차량이 좌측 핸들 차량인 경우(도 5), 윈드쉴드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11g)는 원피스 구성요소(10g)의 가장 좌측 단부를 향하고 있고, 전기 커넥터용 고정 탭(13g)은 가장 우측 단부에 있으며, 워터 박스용 고정 브릿지(12g)는 그 사이에 배치된 남게 된다.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g)는 차량의 중앙(Y=0)으로부터 좌측(-Y)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용 고정 탭(13g)은 실질적으로 가열 파티션의 중앙 레벨에 있도록 하고,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 11g이 가장 좌측에 있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 및 전기 커넥터용 고정 탭의 위치는 차량의 주행 측면에 따라 반대로 된다.
따라서, 주어진 차량 모델에 대해, 차량이 좌측 핸들 차량인지, 우측 핸들 차량인지에 따라 2개의 원피스 지지 구성요소를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가 가능하게 하는 위에서 지적한 이점 및 세이브한 부분에 더하여, 고정 유형의 표준화는 구동측마다 차량의 전체 범위(전체 범위에 대하여 오직 하나의 좌측 핸들 구동 파티션 및 전체 범위에 대하여 오직 하나의 우측 핸들 구동 파티션)에 공통인 가열 파티션을 가질 수 있게 된다.
2: 가열 파티션
10. 10d. 10g: 원피스 구성요소
11. 11d, 11g: 제1 고정 브릿지
12, 12d, 12g: 제2 고정 브릿지
13, 13d, 13g: 측면 고정 탭
141, 151: 조정 수단

Claims (10)

  1. 차량의 기능 요소를 차량의 횡방향 가열 파티션(2)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장형의 원피스 구성요소(10, 10d, 10g)로 된 고정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의 주축을 따라 배치된 3개의 고정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와이퍼(31)를 수용하는 제1 고정 브릿지(11, 11d, 11g), 워터 박스(32)를 수용하는 제2 고정 브릿지(12, 12d, 12g), 및 전기 커넥터(33)를 수용하는 측면 고정 탭(13, 13d, 13g)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브릿지는 상기 제1 고정 브릿지 및 측면 고정 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열 파티션에 대하여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수단(141, 1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11) 및 상기 제2 브릿지(12) 각각은 특히 수형 고정 수단(310) 및 암형 고정 수단(320)을 각각 수용하는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상보적 고정 수단을 수용하는 고정 홀(110, 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 탭(13)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에 의해 정의된 평균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 탭(13)은 전기 커넥터에 의해 지지되는 스냅-고정 러그(330)를 수용하는 오리피스(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파티션(2)에 대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141, 151)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의 상기 고정 요소(11, 12, 13) 사이에 배치된 수용 오리피스(140, 15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는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를 차량의 가열 파티션(2)에 홀딩하기 위한 홀딩 부분(14, 15)을 포함하되, 상기 홀딩 부분(14, 15) 중 하나의 홀딩 부분(14)은 상기 제1 고정 브릿지(11) 및 제2 고정 브릿지(12)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홀딩 부분(14, 15) 중 다른 홀딩 부분(15)은 상기 제2 고정 브릿지(12) 및 상기 측면 고정 탭(13)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분(14, 15)은 상기 조정 수단(141, 151)을 수용하는 오리피스(140, 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와이퍼(31), 워터박스(32) 및 전기 커넥터(3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횡방향 가열 파티션(2)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31), 워터 박스(32) 및 전기 커넥터(33)를 고정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부.
  9. 제8항에 따른 차량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이 좌측 핸들 차량인 경우,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11g)는 원피스 구성요소(10g)의 가장 좌측 단부를 향하여 위치되며, 전기 커넥터용 측면 고정 탭(13g)은 상기 원피스 구성요소(10g)의 가장 우측 단부에 위치되며, 워터 박스용 고정 브릿지(12g)는 두개의 고정 요소(11g, 13g) 사이에 배치되며, 차량이 우측 핸들 차량인 경우, 와이퍼용 고정 브릿지(11d)는 원피스 구성요소(10d)의 가장 우측 단부를 향하여 위치되며, 전기 커넥터용 측면 고정 탭(13d)은 원피스 구성요소(10d)의 가장 좌측 단부에 위치되며, 워터 박스용 고정 브릿지(12d)는 두개의 고정 요소(11d, 13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9항에 따른 차량의 범위에 있어서,
    차량의 주어진 주행측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열 파티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위.
KR1020227020743A 2019-12-19 2020-12-08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KR20220111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4836A FR3105164B1 (fr) 2019-12-19 2019-12-19 Dispositif de fixation d’éléments fonctionnels en partie avant d’un véhicule automobile
FRFR1914836 2019-12-19
PCT/EP2020/084995 WO2021122133A1 (fr) 2019-12-19 2020-12-08 Dispositif de fixation d'éléments fonctionnels en partie avant d'un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85A true KR20220111685A (ko) 2022-08-09

Family

ID=6990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743A KR20220111685A (ko) 2019-12-19 2020-12-08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77067B1 (ko)
KR (1) KR20220111685A (ko)
FR (1) FR3105164B1 (ko)
WO (1) WO20211221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1210A1 (de) * 1995-01-17 1996-07-18 Teves Gmbh Alfred Modul für ein Kraftfahrzeug
FR3056958B1 (fr) * 2016-10-05 2018-11-02 Renault S.A.S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support supportant un ensemble d'essuie-glace et une colonne de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7067B1 (fr) 2024-02-07
FR3105164B1 (fr) 2021-11-19
EP4077067A1 (fr) 2022-10-26
WO2021122133A1 (fr) 2021-06-24
FR3105164A1 (fr)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176B2 (en) Vehicle seat
EP2214225B1 (en) Electric power source device for vehicle
US8167068B2 (en) Motor vehicle front face
JP6850312B2 (ja) 車両
US743834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4292171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9676424B2 (en) Service hole cover and uni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9073509B2 (en) Steer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9446797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H01156154A (ja) 自動車用放熱器枠
JPH064429B2 (ja) 自動車,特に乗用車のコツクピツト領域のための予め組立てられた構造ユニツトおよびその構造ユニツトの取付方法
US20170267058A1 (en) Vehicle
CN113631465A (zh) 用于自主的车辆的车顶模块
US8297687B2 (en) Vehicle body for a motor vehicle
EP1024075B1 (en) Preassembled frontal assembly for vehicles
US20050067204A1 (en) Aerodynamically constructed covering part for the underside of a passenger ca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356683B2 (en) Motor vehicle front end subassembly
US5409289A (en) Cross member assembly for a vehicle frame
JP4105033B2 (ja) 高圧電装部品の車載構造
CN216833939U (zh) 车身前端结构及汽车车身
KR20220111685A (ko) 차량 전방부에 기능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US4842193A (en) Floor group for a vehicl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101177612B1 (ko) 차체
JP2019031210A (ja) エンジンルーム内のハーネス配索構造
KR100633910B1 (ko) 자동차의 밧데리 장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