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682A -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682A
KR20220111682A KR1020227017780A KR20227017780A KR20220111682A KR 20220111682 A KR20220111682 A KR 20220111682A KR 1020227017780 A KR1020227017780 A KR 1020227017780A KR 20227017780 A KR20227017780 A KR 20227017780A KR 20220111682 A KR20220111682 A KR 2022011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phase change
component
change compone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 라이트
데이비드 더피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22011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5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26B21/4056Sensors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2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8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면도기 구성요소(1)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냉각 요소(2)를 포함하며, 면도기 구성요소(1)는 냉각 요소(2)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본 출원은 2019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19217659호로부터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유럽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다음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양태들은 면도기 구성요소, 면도기 헤드, 면도기, 및 면도기로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안전 면도기로도 알려짐)는 면도기 핸들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면도기 헤드를 갖고, 이 핸들은 사용 시 면도 방향으로 배향된다. 면도기 헤드는 일반적으로 면도 방향에 수직으로 장착된, 각각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 부재를 포함한다. 면도기 헤드에는 또한, 일반적으로 가드(면도 방향으로 면도기 헤드의 리딩(leading) 종방향 측부)와 캡(면도 방향으로 면도기 헤드의 트레일링(trailing) 종방향 측부)이 제공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면도기 핸들을 면도 방향으로 잡고, 면도기 헤드를 면도 평면을 정의하는 피부의 일 부분과 접촉시킨다.
전형적으로, 면도 평면은 예를 들어, 면도기 헤드의 절단 날의 제1 및 제2 피부 접촉점을 교차하는 접선으로서 정의된다. 좀 더 간단히, 면도 평면은 면도기 헤드의 피부 접촉 표면에서 가장 높은 지점들 사이의 선으로서, 예를 들어, 가드의 상부와 면도 헤드의 캡의 상부 사이의 평평한 평면으로서 근사화될 수 있다. 면도 동작 동안, 면도기 핸들의 움직임은 면도기 헤드의 블레이드가 면도 방향으로 면도 평면을 가로질러 이동되게 하여, 원하지 않는 모발을 블레이드가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면도 동작에서 그리고 피부에 대한 블레이드의 직접 접촉 때문에, 불편함이 존재하고, 피부 자극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자극은, 예를 들어, 면도 동작 후 발적(redness), 작열감 및 따끔거림일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가 피부와 접촉되는 것 및 외측 피부층의 대응되는 마모의 결과일 수 있다. 면도 동작 동안 피부 자극 및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최신 기술에서 추구되었다. 한편, 윤활 스트립을 사용하여 면도 동작 동안 피부 위에서 활주 특성을 개선하는 일부 면도기가 최신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면도 동작 동안 피부에 도포되어, 뇌로 보내지는 전기화학적 신호로 인해 청량감을 유발하는 냉각제(예: 멘톨 액체)를 포함하는 면도기가 공지되어 있다. 반면에, 면도로 인한 피부 자극의 전형적인 징후인, 면도 동작 동안 그리고 이후에 혈류 증가를 제한하고 작열감 및 증가된 온기를 피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전기 면도기 중 일부는 면도 동작 동안 피부를 능동적으로 식히도록 설계된 통합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합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이러한 전기 면도기는, 구성요소의 증가된 수 및 더욱 복잡한 설계 때문에, 증가된 비용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면도기의 면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면도기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피부 자극 및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면도기 구성요소, 청구항 제7항에 따른 면도기 헤드,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면도기,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면도기로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 구성요소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냉각 요소를 포함한다. 면도기 구성요소는 냉각 요소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면도기 헤드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면도기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 면도기 헤드 및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면도기에 면도기 헤드 및 면도기 헤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 및 냉각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면도기에 압력을 가하고/가하거나 해제하는 단계, 여기서 냉각 요소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 표면(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함.
면도 동작 동안 피부를 능동적으로 냉각함으로써 면도로 인한 피부 자극 및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혈류의 증가뿐만 아니라 작열감 및 증가된 온기가 제한된다. 위에서 논의된 양태의 효과는, 면도 동작 동안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면도기 구성요소가 피부 표면(또는 피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감소된 피부 자극으로 이어질 수 있고, 면도 동작 동안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양태의 다른 효과는,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면도기 구성요소가 비용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면도기 구성요소가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면도기 구성요소는 배터리, 배선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는 이어서, 구성요소의 감소된 수 및 더 간단한 구성으로 이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사항이 면도기 헤드 및 면도기에 적용된다.
다음 설명에서, 용어 "절단 부재"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튀어나온 모발을 절단하는 면도기 헤드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절단 부재는 별도의 절곡된 지지 부재에 접착되거나 레이저 용접된 절단날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기 블레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절곡된 지지 부재는, 면도기 헤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의 돌출부와 같은 2개의 대향하는 절단 부재 가이드들 사이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 안으로 끼워진다. 블레이드는 사용 중에 면도기 헤드의 사용자를 향하는 절곡된 지지 부재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레이드는 사용 중에 면도기 헤드의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절곡된 지지 부재의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 각각의 절단 부재는 사용자의 피부와 2개의 접촉 지점(블레이드 날 및 절곡된 지지 부재의 원위 단부)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피부 상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절단 부재는 "절곡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것은, 반경이 있는 절곡부와 반경이 있는 절곡부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절삭날을 포함하는 일체로 형성된 절단 부재이다.
"절단 부재의 그룹"은 동일한 유형의 절단 부재로 구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절곡된 블레이드, 또는 다른 유형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리딩"이라는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의 피부 일 부분에 제일 먼저 접촉되는 면도기 헤드의 측부를 의미한다.
다음 설명에서, "트레일링"이라는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의 피부 일 부분에 제일 나중에 접촉되는 면도기 헤드의 측부를 의미한다.
다음 설명에서, "압력 반응성 상변화"라는 용어는 물체에 가해진 압력의 결과로 상태를 변화시키는 물체의 능력을 설명한다. 특히 "상변화"는 반드시 물체가 집합 상태(state of aggregation)를 변경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변화"는 거시적 규모와 미시적 규모 모두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물체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재료의 결정상은 가해진 압력에 응답하여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결정상으로부터 제2의 상이한 결정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상변화"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분자 구조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은 재료를 구성하는 요소(예를 들어, 분자)의 배향, 재료의 질서도 또는 재료의 단거리 또는 장거리 배위(coordination)를 나타낼 수 있다. "상변화"는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예: 환경으로 에너지 방출 또는 환경으로부터 에너지 흡수).
추가적인 세부 사항 및 특징부는 다음과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반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특징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본 개시내용을 추가로 설명하도록, 그리고 당 업계에서 숙련된 자가 이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도면은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의도된다. 상이한 도면들 상의 공통 참조 번호는 같거나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 1은 면도기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면도기 헤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축선 P-Q를 따라 도 2의 실시형태로부터 취해진 면도기 헤드의 개략적인 절단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면도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면도기 헤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면도기 헤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면도기 핸들, 면도기 핸들 및 면도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면도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면도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면도기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상변화 구성요소는 면도기 핸들에 배열된다.
면도기 구성요소의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양태에 따른 면도기 구성요소(1)의 개략도이다. 면도기 구성요소(1)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냉각 요소(2)를 포함한다. 면도기 구성요소(1)는 냉각 요소(2)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포함한다. 면도 동작 동안, 냉각 요소(2)는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감소된 피부 자극으로 이어질 수 있고, 면도 동작 동안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면도기 구성요소(1)는 비용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면도기 구성요소(1)가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면도기 구성요소(1)는 배터리, 배선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는 이어서, 구성요소(1)의 감소된 수 및 면도기 구성요소(1)의 더 간단한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면도기 구성요소(1)가 복수의 냉각 요소(2)에 결합된 복수의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면도기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 및 적어도 하나의 상변화 구성요소(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상변화 구성요소(3)에 결합된다. 또한, 하나의 냉각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상변화 구성요소(3)에 결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는 하나의 상변화 구성요소에 결합된다는 것이 착상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요소(2)의 수는 상변화 구성요소(3)의 수와 일치될 필요가 없다.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이 가해지고/지거나 해제되는 경우,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에서 상변화가 시작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음압이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진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기계열량(mechanocaloric) 재료, 특히 압력열량(barocaloric) 재료를 포함한다.
기계열량 효과는, 외부 기계적 장을 받을 때 고체의 가역적 열 반응을 가리키고, 탄성열량 효과와 압력열량 효과를 모두 포함한다. 열량 효과(caloric effect)는, 고체에서 자유도의 무질서가 질서-무질서 전이(상변화) 주변의 외부 장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발생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등온 엔트로피 변화 및 단열 온도 변화가 검출되며, 이는 열량 효과 재료에 대한 가장 중요한 평가이다.
탄성열량 재료는 잠열이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동안 응력 유발 가역 상변화가 가능한 고체이다. 탄성열량 효과는 응력이 가해지거나 제거될 때 발생되고, 상변화가 유도된다. 2개의 공존하는 상 사이의 엔트로피 차이의 결과로서, 재료가 가열되거나 냉각된다. 양호한 탄성열량 재료는 큰 잠열, 큰 단열 온도 변화, 양호한 열 전도성, 긴 피로 수명, 및 저비용을 나타내야 한다. 형상 기억 폴리머는 또한 탄성열량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적합한 탄성열량 재료는, 예를 들어, 합금, 세라믹, 염 및/또는 폴리머이다.
압력열량 효과는 외부 압력 변화 하에서 재료의 가열 또는 냉각을 포함한다. 에너지, 특히 열에너지는 고체의 상변화로 인해 환경과 교환된다. 압력열량 재료를 포함하는 고체 내의 분자는 저온 상전이점에서 그리고/또는 그 이하에서 무질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압력(특히, 기계적 압력)이 고체에 가해지는 경우, 분자는, 높은 온도 전이점에 도달될 때까지, 이동에 의해 규칙적인 구조로 변형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고체는 환경으로 열을 방출하고, 고체 내에서 열역학적 압력이 감소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체에 대한 압력(특히, 기계적 압력)이 해제될 때, 분자는 이동에 의해 초기 무질서한 구조로 변형된다. 따라서, 에너지가 환경으로부터 흡수되며, 냉각 효과로 귀결된다. 냉각 효과는 이전의 가열 효과를 초과한다. 이 냉각 효과는 재료의 가변 엔트로피에 기반한다. 따라서, 더 작은 가해진 압력에 의해 유도된 더 큰 엔트로피 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결정이라고 불리는 무질서한 재료의 클래스는 개선된 압력열량 효과, 특히 네오펜틸글리콜, 펜타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2-메틸-2-니트로-1-프로판올 또는 2-니트로-2-메틸-1,3-프로판디올을 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역학적으로 시스템의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차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된다. 압력이 고체에 가해지는 경우, 차수가 증가되며, 감소된 엔트로피로 귀결된다. 기계적 압력이 고체에서 해제되면(그리고/또는 음압이 가해짐), 그리고/또는 고체가 환경에 에너지를 방출하여 열역학적 압력을 감소시키면, 계(system)의 무질서가 다시 상승되고, 따라서 엔트로피가 증가된다. 이와 병행하여, 고체는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한다. 엔트로피 효과로 인해, 고체에 의해서 환경으로부터 흡수된 에너지는 고체에 의해서 환경으로 방출되는 에너지를 초과한다. 즉, 고체에 의해서 제공되는 냉각 효과는 고체에 의해서 제공되는 가열 효과를 초과한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열 전도 매체와 특히 열 전도성 접촉으로 접촉된다. 열 전도 매체는 유체(예: 기체 및/또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열 전도 매체는 양호한 열 전도성을 갖는다. 열 전도 매체가 고체 상태인 경우,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이 적합한 재료이다.
저온 전이점에서, 그리고 압력이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질 때, 열 전도 매체가 상변화 구성요소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상변화가 시작된다. 이러한 제1 상변화에서, 상변화 구성요소의 분자는 무질서한 구조로부터 규칙적인 구조로 재배열되어, 에너지, 특히 열을 환경으로 방출한다. 제1 상변화에서, 열 전도 매체는 가열될 수 있다.
저온 상전이점은 17°C 내지 29°C, 구체적으로 21°C 내지 28°C, 가장 구체적으로 25°C 내지 27°C이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저온 상전이점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유지되는 경우, 압력이 가해지는 즉시 제1 상변화가 개시되며, 이는 프로세스의 감소된 반응 시간으로 이어진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저온 상전이점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재료는, 제1 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저온 상전이점까지 예열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1 상변화를 시작하기 위한 증가된 반응 시간으로 이어진다.
고온 전이점에서, 그리고 압력이 상변화 구성요소(3)로부터 해제될 때, 열 전도 매체가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되는 제2 상변화가 시작된다. 이러한 제2 상변화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의 분자는 규칙적인 구조로부터 무질서한 구조로 재배열되며, 따라서 환경, 특히 열 전도 매체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고, 여기서 열 전도 매체는 냉각된다. 열 전도 매체에 적용된 냉각 효과는 이전의 가열 효과를 초과한다.
고온 상전이점은 32°C 내지 48°C, 구체적으로 35°C 내지 45°C, 가장 구체적으로 38°C 내지 42°C이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저온 상전이점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유지되는 경우, 압력이 해제되는 즉시 제2 상변화가 시작되며, 이는 프로세스의 감소된 반응 시간으로 이어진다. 고온 상전이점이 초과되는 경우, 그리고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변화 구성요소는, 제2 상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먼저 냉각되어야 한다. 이는 프로세스의 증가된 반응 시간으로 이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고체 상태 구조체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다공성 구조체, 특히 스펀지 구조체를 갖는다. 스펀지 구조체는 유체(예를 들어, 기체 및/또는 액체), 특히 물 및/또는 증기를 저장(carry)하도록 구성되고, 임의의 적합한 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는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나노 다공성 재료의 나노 밀폐 공간은 이례적인 물리화학적 현상을 가능하게 한다. 금속-유기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나노 다공성 재료는 기계적으로 경질이지만, 그래핀 기반 나노 다공성 재료는 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고, 게스트 분자의 힘주도(force-driven) 액체-기체 상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나노 스펀지로서 거동한다. 나노 스펀지는 힘주도 액체-기체 상전이에 적합하다. 나노스펀지의 압축 및 자유 팽창은 증발 시 냉각을 제공하고, 응축 시 가열을 제공한다. 나노 스펀지 구조는 H2O 및 알코올과 같은 녹색 냉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나노 스펀지를 사용하는 냉각 시스템은 잠재적으로 높은 성능 계수를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흡수된 액체는 제1 상변화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방출된 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되고, 제2 상변화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플라스틱 결정 구조체를 갖는다. 압력열량 효과에 관한 실험에 기반하여, 무질서한 재료의 클래스, 특히 플라스틱 결정으로, 개선된 압력열량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적합한 플라스틱 결정 재료는 네오펜틸글리콜, 펜타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2-메틸-2-니트로-1-프로판올 또는 2-니트로-2-메틸-1,3-프로판디올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냉각 요소(2)는 냉각 스트립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냉각 요소(2)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 및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밴드, 라인, 네트, 직사각형, 원통형 또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냉각 요소(2)는 고체 상태 구조체 및/또는 다공성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냉각 요소(2)는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냉각 요소(2)의 구조체는 유체(예를 들어, 기체 및/또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 및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밴드, 라인, 네트, 직사각형, 원통형 또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고체 상태 구조체 및/또는 다공성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의 구조체는 유체(예를 들어, 기체 및/또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냉각 요소(2) 내에 그리고/또는 그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냉각 요소(2) 내부에 배열되고, 상변화 구성요소(3)가 냉각 요소(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 공급 라인(4)은 제공될 필요가 없거나 상변화 구성요소(3) 및/또는 냉각 요소(2)에 일체로 제공된다.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 및 냉각 요소(2)는 상이한 층들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와 냉각 요소(2)의 복합물은, 실린더 형태, 스트립, 판, 직육면체, 구형, 직사각형을 포함하여, 임의의 모양 및 크기일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예를 들어,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냉각 요소(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 및/또는 냉각 요소 각각은 함께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냉각 요소(2)는 공급 라인(4)에 의해 상변화 구성요소(3)에 결합된다. 냉각 요소(2)는 제1 단부에서 공급 라인(4)에 연결되고, 상변화 구성요소(3)는 제2 단부에서 공급 라인(4)에 연결된다. 공급 라인(4)은 고체 구조체 및/또는 다공성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공급 라인(4)은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라인(4)은 실린더 형태, 스트립, 플레이트, 직육면체, 구, 직사각형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상 및 사이즈일 수 있다. 공급 라인(4)은 상이한 재료 및 구조체의 함께 연결된 상이한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라인(4)의 구조체는 유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라인(4)은 내부에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하는 중공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급 라인(4)은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한다. 공급 라인(4)은 열 전도 매체 상의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인가된 냉각을 냉각 요소(2)로 전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 냉각 요소(2) 및 공급 라인(4)은 각각 고체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공급 라인(4)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합에 의해 냉각 요소(2) 및 상변화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냉각 요소(2), 상변화 구성요소(3) 및 공급 라인(4)은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구조체, 특히 스펀지 또는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는 냉각 요소(2)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액체를 공급 라인(4)을 통해 상변화 구성요소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제1 상변화에서 액체에 열을 가하며, 증발로 귀결된다. 제2 상변화에서, 유체는 상변화 구성요소에 의해서 냉각된다. 공급 라인(4)은 상변화 구성요소(3)로부터 냉각 요소(2)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냉각 요소(2), 공급 라인(4) 및 상변화 구성요소(3)가 각각 다공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다공성 구조체는 유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됨), 냉각된 유체는 상변화 구성요소(3)로부터 냉각 요소(2)로 공급될 수 있다. 다공성 구조체, 예를 들어 나노 스펀지 구조체는, 이로써, 특히 모세관 작용 및/또는 증기압에 의해 유체를 냉각 요소(2)로 다시 흡수하는 심지(wick)로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면도 동안 피부(K)에 촉촉한 쿨링감을 느낀다.
도 2 및 도 3은 제2 양태에 따른 부분 분해 사시도 및 축 P-Q를 따라 도 2의 실시예로부터 취한 면도기 헤드(2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부분 분해도"는 도면의 명확성을 돕기 위해 면도기 헤드(20)의 일부 작은 구성요소가 분해도로부터 생략되었음을 의미한다.
면도기 헤드(20)는 프레임(21)을 포함한다. 프레임(21)은, 리딩 종방향 부재(24),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 및 면도기 헤드(20)의 횡방향으로 리딩 종방향 부재(24)와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 사이에 배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획정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를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면도 방향(S)은 화살표(S)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다. 사용 시, 면도기 헤드(20)는 면도 평면(SP)과 접촉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화살표(S) 방향으로 면도 평면(SP)을 가로질러 이동된다.
프레임(21)은 플라스틱,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합성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21)은 플랫폼 부재(22)를 포함한다. 가드 부재(23)는,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헤드(20)의 실질적으로 종방향 에지로서 제공된다. 사용 시, 가드 부재(23)는 절단되지 않은 모발과 접촉되는 면도기 헤드(20)의 제1 부분이고, 따라서 이것은 면도기 헤드(20)의 리딩 종방향 부재(24)에 위치된다. 면도기 헤드(20)의 리딩 종방향 부재(24)와 반대이고 면도 방향(S)과 반대인 면도기 헤드(20)의 측부는 면도기 헤드(20)의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이다. 따라서,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는 사용 시 면도 평면(SP)과 접촉되는 면도기 헤드(20)의 마지막 부분이다.
용어 "리딩 종방향 부재(24)" 및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가 면도기 헤드(20) 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특정 피처의 부재 또는 존재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 않는 것이 주의된다. 예를 들어, 가드 부재(23)는 일 실시예에서 "리딩 종방향 부재(24)"를 포함하는 측부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밍 블레이드(53)는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를 포함하는 측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면도기 헤드(20)의 이러한 측부가 이러한 피처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가드 부재(23)는 엘라스토머 부재(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층은 가드 부재(23)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고 면도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핀(fin)을 포함한다. 이러한 엘라스토머 층의 한 가지 목적은 예를 들어, 절단 전에 피부를 팽팽하게 하는 것이다.
면도기 헤드(20)는, 실시형태에서,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에 또는 이 부근에 있는 캡 부재(29)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명확성을 돕기 위해 도 2의 실시형태에서 예시되지 않는다.
면도기 헤드(20)는 프레임(21)의 절단 부재 수용 섹션(31)에 수용된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를 더 포함한다.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는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28a-d)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절단 부재(28a-d) 각각은 절단 에지(30a-d)를 갖는 블레이드(33a-d)를 포함한다.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는, 사용 중에 절단 부재(28a-d)의 블레이드(33a-d)가 면도 평면(SP)에 접촉되고, 면도기 헤드(20)가 면도 방향(S)으로 면도 평면(SP)을 가로질러 이동됨에 따라, 면도 평면(SP) 상에 존재하는 모발을 절단하도록, 면도 방향(S)에 횡방으로 그리고 종방향으로 프레임(21)에 배치된다.
면도기 헤드(20)는 4개의 절단 부재(28a-d)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헤드(20)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28)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면도기 헤드는 하나의 절단 부재, 두 개의 절단 부재, 세 개의 절단 부재, 네 개의 절단 부재, 다섯 개의 절단 부재, 여섯 개의 절단 부재, 일곱 개의 절단 부재 또는 그 이상의 절단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의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획정한다. 지지체 위에 블레이드를 갖는 종래의 면도기 헤드에서, 3개 이상의 블레이드로, 각각의 인터 블레이드 스팬은 약 1.05 mm 내지 1.5 mm의 범위에서 일정한 것으로 측정된다. 인터 블레이드 스팬의 수는 절단 부재의 수보다 하나 더 적다.
프레임(21)은 면도기 헤드(20)의 프레임(21) 내에 절단 부재(28a-d)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21)은 제1 측부 부분(16) 및 제2 측부 부분(18)을 더 포함한다. 면도기 헤드(20)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측부 부분(16, 18)은 가드 부재(23)의 종방향 단부들, 캡 부재(존재하는 경우,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를 고정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부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예시된 것과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에 포함된 절단 부재들(28a-d)은,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2개의 최전방(면도기 헤드(20)의 리딩 종방향 부재(24)에 가장 가까운) 절단 부재(28a,b)에 각각 포함된 2개의 절단 날(30a,b)이, 면도기 헤드(20)의 리딩 종방향 측부(24)에 가장 가까운, 그리고 면도기 헤드의 트레일링 종방향 측부(25)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절단 날 사이에 획정된 트레일링 인터 블레이드 스팬보다 더 큰 리딩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획정하도록 면도기 헤드(20) 내에 배치된다.
도 2의 면도기 헤드(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에 네 개의 탄성 핑거(38a, 38b, 38c, 38d)를 포함한다. 면도기 헤드(20)는 제1 리테이너(26) 아래의 네 개의 탄성 핑거(38a, 38b, 38c, 38d)와 횡방향으로 대응되게 정렬되는 제2 리테이너(27) 아래에 네 개의 탄성 핑거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여덟 개의 탄성 핑거 각각은, 면도기 헤드(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절단 부재(28a-d)가 휴지 위치에 있도록, 면도 평면(SP)의 방향으로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각각의 절단 부재(28a-d)에 대해 바이어스 힘을 가한다. 휴지 위치에서, 절단 부재(28a-d)의 블레이드(33)의 절단 날(30)은,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26) 및 제2 리테이너(27) 근처의 블레이드(33)의 각각의 측 단부에서 대응되는 정지 부분에 대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지 부분은 제1 및 제2 리테이너(26, 27)일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부재(28a-d)의 휴지 위치는 잘 정의되어, 높은 면도 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예시된 바이어싱 배열체는 많은 변형예를 갖는다. 예를 들어, 추가의 복수의 탄성 핑거가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35)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단순화된 면도기 헤드 구성(예를 들어, 저렴한 일회용 면도기용)에서, 탄성 핑거는 생략될 수 있다. 제공될 탄성 핑거(38)의 수는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절단 부재(28a-d)의 수와 관련되며, 8개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탄성 핑거(38)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 각각의 절단 부재(28a-d)는 종방향 블레이드 지지대(32)를 포함한다. 종방향 블레이드(33)는 블레이드 지지체(32) 상에 장착된다. 블레이드(28a-d)의 절단 날(30)은 면도 방향(S)으로 전방으로 배향된다. 블레이드(28a-d)의 블레이드 지지체(32)는 세장형의 절곡된 강성 재료 편(piece)이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이다.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각각의 절단 부재(28a-d)는 예를 들어, 면도기 헤드(20)의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은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를 수용하는 사이즈를 갖는 면도기 헤드(20) 내의 종방향 공간을 포함한다.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 중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28a) 내지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모든 절단 부재는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탄성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 측부는 복수의 유지 슬롯(34)을 포함한다. 횡방향 내측 측부의 각각의 유지 슬롯(34)은,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절단 부재(28a-d)가 횡방향(-x 내지 x)으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블레이드 수용 섹션(31)에 유지되도록, 일 그룹의 절단 부재(28a-d)의 절단 부재(28a)의 블레이드 지지체(32)의 일 측부의 일 단부를 수용하고 유지하게끔 구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가 있는 만큼 많은 유지 슬롯(34)이 프레임(21)의 각각의 횡방향 내측 측부에 제공된다.
절단 부재 수용 섹션(31)과 핸들 사이에(예를 들어, 핸들(2) 연결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실시예에서,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가 제공된다.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는 프레임(21)의 횡방향 내측 측부 상의 유지 슬롯(34a-d)과 정렬된 복수의 돌출부로서 제공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를 포함한다. 절단 부재 가이드(36a-d)는 평행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 프레임 부재(35)의 일 부분에 돌출부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사출 성형 돌출부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의 각각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공통 축 상에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의 각각의 절단 부재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중심 축 상에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의 공통 축 또는 중심 축(35)으로부터 떨어져 정렬된다.
종방향 피부 관리 요소(50)는 예시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 상에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체 면도기 헤드는 트리밍 블레이드 조립체(53)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예시적인 종방향 트레일링 조립체(49)가 일반성의 손실 없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절단 부재(28a-d)는 블레이드 지지체(32a-32d)를 포함하고, 이들의 블레이드(33)는 절단 부재 가이드(36a-36d) 사이에 위치된다.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헤드(20)는 블레이드 지지체(32a-32d)(및 이들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절단 부재(28a-d)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a-32d) 각각은 면도 평면(SP)(도시되지 않음)을 향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 지지체(32a-32d) 각각은 면도 평면(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즉,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지지체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서 "블레이드 지지체 아래"라는 문구는 면도기 헤드 사용 시 사용자의 면도 평면(SP)(피부)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면도기 헤드의 블레이드 지지체의 일 측부를 의미한다.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 가이드(36a-36d)는 반경 부분을 갖는 "절곡된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에서, 절단 날이 블레이드 지지체와 일체(동일한 금속 편으로 형성됨)이다(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절곡된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가이드(36a-36d)는, 예를 들어, "절곡된 블레이드"의 반경 부분을 지지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 만곡된 상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른 양태에 따른 면도기 헤드(20)의 개략도이다. 면도기 헤드(20)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냉각 요소(2)는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된다. 특히, 냉각 요소(2)는 면도기 헤드(20)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면도기 헤드(20)에는 열전도성 재료(5)가 제공되며, 냉각 요소(2)는 상기 열 전도성 재료(5)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을 전달한다. 열 전도성 재료(5)는 냉각 요소와 면도 평면(SP) 사이에 제공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면도기 헤드(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냉각 요소(2)는 면도기 헤드(20) 상에, 선택적으로 면도기 면도 평면(SP)과 접촉되게 배열된다. 특히, 냉각 요소(2)는 절단 부재(28a-d)에 인접한 리딩 및/또는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4, 25)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냉각 요소는 사용자의 피부(K)에 직접 접촉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냉각 요소(2)는 절단 부재들(28a-d) 사이에 그리고 이들에 인접하게, 선택적으로 면도기 면도 평면(SP)과 접촉되게 배열된다. 이에 의해, 인터 블레이드 스팬 및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가 절단 부재들(28a-d) 사이에 배열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가 절단 부재 가이드(36a-d)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냉각 요소(2)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헤드(20) 내에 그리고/또는 헤드 상에 배열된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리딩 및/또는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4, 25)에서 면도기 헤드(20) 내부에, 그리고/또는 리딩 및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4, 25) 사이의 면도기 헤드(20)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헤드(20) 상에, 선택적으로 면도기 면도 평면(SP)과 접촉되게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는 절단 부재(28a-d)에 인접하게 그리고/또는 절단 부재들(28a-d) 사이에서 리딩 및/또는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4, 25)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사용자의 피부(K)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냉각 요소(2) 상에 직접적으로 제공되고, 이에 의해 공급 라인(4)이 제공될 필요가 없다.
사용자의 면도 동작 동안, 면도기 헤드(20)가 사용자의 피부(K)에 접촉되면, 면도기 헤드(20) 상에서 힘이 생성된다. 면도기 헤드가 면도 평면(SP)의 피부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면도 동작 동안 그리고/또는 면도 방향(S)의 면도 스트로크로 인해, 수직력(FN) 및 마찰력(FR)이 생성되며, 이들은 함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20)에 결과적인 힘(FRes)을 형성한다. 면도 동작에 의해 생성되고 면도기 헤드(20)의 특정 영역에 가해지는 결과적인 힘(FRes)은 이에 상응되게 스케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과적인 힘(FRes)은 면도기 헤드(20)를 통해 상변화 구성요소(3)로 전달되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귀결된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면도 평면(SP)에 있는 면도기 헤드(20) 상에 배열되는 경우, 결과적인 힘(FRes)은 상변화 구성요소(3)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귀결된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냉각 요소(2) 내부 그리고/또는 냉각 요소 상에 배치되는 경우, 결과적인 힘(FRes)은 냉각 요소(2) 및/또는 면도기 헤드(20)를 통해 상변화 구성요소(3)로 전달되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귀결된다.
냉각 요소(2)가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경우(냉각 요소(2)와 상변화 요소(3) 사이에 거리가 발생), 냉각 요소(2)는 공급 라인(4)에 의해 상변화 요소(3)에 연결된다. 냉각 요소(2)가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 접촉되는 경우에, 공급 라인(4)은 제공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공급 라인(4)은 상변화 구성요소(3) 및/또는 냉각 요소(2)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6은 다른 양태에 따른 면도기(100)의 사시도이다. 면도기(100)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1), 면도기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200)을 포함한다. 면도기 핸들(200), 면도기 헤드(20) 및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면도기(100)가 면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최신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습식 면도 면도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움직임으로 인해, 특히 피부(K) 상에서 면도 방향(S)으로의 사용자에 의한 면도 스트로크로 인해 모발이 제거되는 것이 주의된다. 대안적으로, 면도기 핸들(200), 면도기 헤드(20) 및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면도기(100)는 최신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전기 작동식 면도기(또는 건식 면도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면도기(100)는 전기 모듈(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또는 진동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면도기 핸들(200)은 면도기 핸들(200)의 근위 부분(210)과 원위 부분(220) 사이에서 핸들 방향(H)으로 연장된다. 면도기 헤드(20)는 면도기 핸들(200)의 원위 부분(220)에 장착된다. 예시의 일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핸들(200)의 원위 부분(220)에 대한 면도기 헤드(20)의 장착은, 면도기 핸들(200)의 기준 프레임이 면도기 헤드(20)의 기준 프레임에 대해 변할 수 있게 하는, 커플링(230), 일 실시예에서,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를 통해서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면도기 헤드(20)의 각도가 사용 중 달라져 변화에 적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면도기 헤드(20)는 사용 중에 면도기 헤드(20)의 종축(L)을 중심으로 면도기 핸들(200)에 대해 피벗된다. 피벗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신체의 윤곽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면도기 헤드(20)의 종축(L)은 면도기 핸들(200)을 따른 면도 방향(S)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면도기 헤드(20)를 핸들(2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메커니즘의 다른 예는 국제공개 WO 2006/027018 A1호에서 논의된다. 다른 실시예는 축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피벗 축선(락킹(rocking) 축선)에 대해 피벗될 수 있는 면도기 헤드(20)이다.
실시형태에서,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230)는 생략될 수 있고(예시되지 않음), 핸들(200)은 면도기 헤드(20)의 지지체의 일체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230)는 면도기 핸들(200)로부터 소모된 면도기 헤드(20)의 신속한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해제 메커니즘(240a, 240b)을 더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핸들(200) 및 면도기 헤드(20)의 지지체는 탄성 플라스틱 스프링 부재와 같은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미도시)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헤드(20)의 프레임(21)은 일체로, 또는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230)와 같은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상호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면도기(100)의 면도기 핸들(200)에 연결 가능하다. 예시되지 않았지만,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230)는, 일 실시형태에서, 피벗 가능한 핸들(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헤드(20)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230)는,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핸들(200)의 피벗 가능한 베어링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두 개 이상의 쉘 베어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핸들(200)에는 그립 마찰을 개선하기 위해 고무 또는 고무와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 핸들 그립(250)이 제공된다.
면도기(100)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한다. 면도기 헤드(2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통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요소(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20) 내에 그리고/또는 헤드 상에 배열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상술된 바와 같은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면도기(100)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된다.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면도기 헤드(20) 내부에 그리고/또는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가 특히 면도기 헤드(20) 내부에 그리고/또는 상에 배열되는 실시형태는 위에서 설명되고, 도 4a 내지 도 4c에서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헤드(20)의 재료 구조체에 일체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면도기 헤드(20)의 구조적 재료는 상변화 구성요소(3)의 내측 코어 및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피부 접촉 재료의 외측 포위 층(또는 층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면도기 핸들(200)과 면도기(20) 사이, 특히 면도기 핸들(200)과 면도기 헤드(20) 사이의 커플링(230)에 배열된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면도기 헤드(20)는, 피벗 가능 또는 피벗 불가능 커플링(230)을 통해 면도기 핸들(2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피벗 불가능 커플링(230)을 통해 면도기 핸들(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피벗 가능한 커플링(230)을 통해 면도기 핸들(2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변화 구성요소(3)를 냉각 요소(2)에 결합하는 공급 라인(4)은 면도기(100)에 배열된다. 특히, 공급 라인(4)은 면도기 헤드(20)에 그리고/또는 면도기 핸들(200)에 그리고/또는 면도기 헤드(20)와 면도기 핸들(200) 사이에 배열된다.
도 8 및 도 9는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면도기(100)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상변화 구성요소(1)는 면도기 핸들(200)에 배열된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된다. 또한, 압력 생성 디바이스는 면도기 핸들(200)과 면도기 헤드(20)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압력을 생성하고 이 압력을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 압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면도 동작으로 인해 면도기 헤드(20)에 작용하고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결과적인 힘(FRes)에 의해서 생성된 압력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와 간접적으로 및/또는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을 포함하며, 특히 여기서 압력은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동작으로 인해 생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면도기 핸들(200)은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은 핸들 방향(H)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수직 방향으로 버튼에 힘을 가하고, 버튼은 상변화 구성요소에 압력을 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 방향(H)을 따라 초기의 결합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편향된 결합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로서 설계될 수 있다. 초기의 결합되지 않은 위치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이격될 수 있고/있거나, 상변화 구성요소에 압력을 가할 수 없다. 편향된 결합된 위치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사용자의 이동 동작으로 인해 핸들 방향(H)으로 그리고/또는 핸들 방향(H)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핸들 방향(H)을 따라 연장된 경로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가 상변화 구성요소(3)에 대해 이격되고/되거나,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할 수 없는 초기의 결합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하는 결합된 위치로 틸팅 가능한 토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사용자가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에 재설정 동작을 적용할 때(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초기의 결합되지 않은 위치로 다시 이동됨)까지,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전기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작동된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압력 증폭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압력 증폭 디바이스는 그립 유도 레버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면도기 핸들(200)을 파지하는 경우, 압력 증폭 디바이스는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한다.
실시형태에서, 압력 증폭 디바이스는 면도 동작 동안 상변화 구성요소에 압력을 가하는 쌍안정(bi-stable) 클램프로서 구성된다. 쌍안정 클램프는, 면도 작업 동안 면도기 헤드(20)에 가해지고, 면도기 헤드(20) 및/또는 면도기 핸들(200)을 통해 쌍안정 클램프에 전달되는 결과적인 힘(FRes)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면도기(100)는, 면도기(100),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를 비면도(non-shaving) 동작 동안 저온 상전이점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가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비면도 동작은 면도기(100)의 헹굼 동작 동안 및/또는 보관 시설에 면도기(100)를 보관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다. 보조 가열 디바이스는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면도기 헤드(20) 내에 그리고/또는 면도기 핸들(200)과 면도기 헤드(20) 사이에 그리고/또는 면도기(100)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보조 가열 디바이스가 면도기(100)를 둘러싸는 경우, 보조 가열 디바이스는 보관 시설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가열 디바이스는, 면도기(100)가 찬물로 헹궈지는 경우에도, 상변화 구성요소(3)가 저온 상전이점에 또는 그 부근에서 유지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계열량 효과, 특히 압력열량 효과는 상변화 구성요소(3)를 저온 상전이점에 유지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시작된다.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일 방식으로 면도기 구성에 통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예를 들어 찬물에 의한 면도기(100)의 헹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저온 상전이점(제1 상변화 온도 범위) 아래로 냉각되는 것에 수동적으로 저항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상변화에서 환경으로 방출된 에너지, 특히 열은 주변 구성요소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면도기의 헹굼 동작 동안, 이러한 주변 구성요소는 열 버퍼를 제공하여 상변화 구성요소(3)가 저온 상전이점 아래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절단 부재(28a-d)의 후방 표면에 부착, 특히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헹굼 동작에 후속하여 절단 부재(28a-d)에 열 회복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사이즈일 수 있으나, 절단 부재들(28a-d) 사이의 유체 유동 방해를 회피하도록 충분히 작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면도기(100)가 냉수로 헹구어지는 경우, 절단 부재(28a-d)는 상변화 구성요소에 대한 열 버퍼로서 기능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변화 구성요소(3)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기타 적절한 피부 접촉 재료의 층에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층은 상변화 구성요소(3)에 대한 열 버퍼 능력을 제공한다. 외층은 냉수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 효과에 효과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헹굼 동작 동안 물 흐름을 경험하는 위치에서 면도기 헤드(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상변화에서 열을 방출하는 상변화 구성요소(3)가 면도기(100)의 헹굼 설계에 포함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온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면도기로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면도기(100)에 면도기 헤드(20) 및 면도기 헤드(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200) 및 냉각 요소(2)를 제공하는 단계,
b) 면도기(100)에 압력을 가하고/가하거나 해제하는 단계, 여기서 냉각 요소(2)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함.
실시형태에서, 면도기(100), 면도기 헤드(20), 핸들(200)은 상술된 바와 같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면도기 구성요소(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법은 면도기(100)에 냉각 요소(2)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는 기계열량 재료를 포함한다. 특히, 기계열량 구성요소는 압력열량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압력열량 효과로 인한 냉각 효과를 제공한다.
압력은 상변화 구성요소(3)에 적용되고/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열 전도 매체와 접촉, 특히 열 전도성 접촉으로 있을 수 있다. 압력이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제1 상변화에서, 열 전도 매체는 상변화 구성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압력이 상변화 구성요소(3)에서 해제되는 제2 상변화에서, 열 전도 매체는 상변화 구성요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기계열량 효과,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은 압력열량 효과로 인해, 냉각 효과는 가열 효과를 초과한다. 열 전도 매체는 유체 또는 고체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상변화 구성요소(3)를 냉각 요소(2)에 결합하는 공급 라인(4)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공급 라인(4)은 냉각 효과를 냉각 요소(2)에 전달하는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한다. 상변화 구성요소(3)는 열전도 매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와 같은 다공성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열 전도 매체는 액체, 특히 물일 수 있다. 방법은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하기 전에 액체로 면도기 헤드(20)를 헹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변화 구성요소(3)는 열 전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한다. 공급 라인(4) 및 냉각 요소(2)는 또한,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와 같은 다공성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면도기(100)를 헹구는 동안, 냉각 요소(2)는 액체, 특히 물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고, 액체를 다공성 공급 라인(4)을 통해 상변화 구성요소(3)로 전달할 수 있다. 열 전도 매체, 특히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흡수된 액체는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한 제1 상변화에서 가해진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고,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한 제2 상변화에서 냉각될 수 있다. 압력열량 효과로 인해, 냉각 효과가 이전의 가열 효과를 초과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면도 동작 동안 생성되는 힘을 면도기 헤드(20)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면도기 헤드(20)는 사용자의 피부(K)에 접촉되고, 힘을 면도기 헤드(20)로부터 상변화 구성요소(3)로 전달하며, 힘은 상변화 구성요소(3) 상에 적용되는 압력을 생성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면도기 헤드(20)에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면도 동작 전에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에 가압 작용을 제공하여 압력이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Claims (53)

  1. 면도기 구성요소(1)로서,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냉각 요소(2)를 포함하되,
    상기 면도기 구성요소(1)는 상기 냉각 요소(2)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포함하는, 면도기 구성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기계열량(mechanocaloric) 재료, 특히 압력열량(barocaloric) 재료를 포함하는, 면도기 구성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고/가해지거나 해제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열 전도 매체와 접촉되는, 특히 열 전도성 접촉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온 전이점에서, 그리고 상기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질 때, 상기 열 전도 매체가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상변화가 시작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상전이점은 17°C 내지 29°C, 구체적으로 21°C 내지 28°C, 가장 구체적으로 25°C 내지 27°C인, 면도기 구성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온 전이점에서, 그리고 상기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열 전도 매체가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되는 제2 상변화가 시작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상전이점은 32°C 내지 48°C, 구체적으로 35°C 내지 45°C, 가장 구체적으로 38°C 내지 42°C인, 면도기 구성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고체 상태 구조체를 갖는, 면도기 구성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갖는, 면도기 구성요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액체, 특히 물이며, 상기 스펀지 구조체는 상기 액체를 저장(carry)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구성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상변화에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방출된 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되고, 상기 제2 상변화에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플라스틱 결정 구조체를 갖는, 면도기 구성요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가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로 만들어지는, 면도기 구성요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는 냉각 스트립(cooling strip)을 포함하는, 면도기 구성요소.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는 공급 라인(4)에 의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연결되는, 면도기 구성요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4)은 상기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구성요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4)은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상기 열 전도 매체 상에 인가된 냉각을 상기 냉각 요소(2)로 전달하는, 면도기 구성요소.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4)은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나노 스펀지 구조체는 유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구성요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스펀지 구조체는 유체를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로부터 상기 냉각 요소(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구성요소.
  21. 면도기 헤드(20)로서,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면도기 헤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헤드(20)는 프레임(21) - 상기 프레임(21)은 리딩 종방향 부재(24) 및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 및 상기 면도기 헤드(20)의 횡방향으로 상기 리딩 종방향 부재(24)와 상기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5)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면도기 면도 평면(SP)을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35)는 복수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을 획정하는 복수의 절단 부재 가이드(36a-d)를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은 종방향 절단 부재(28)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및 복수의 종방향 절단 부재(28a-d)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절단 부재(28)는 각각의 절단 부재 지지 슬롯에 배치된, 면도기 헤드.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는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되는, 면도기 헤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는 상기 면도기 면도 평면(SP)과 접촉되는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특히 상기 절단 부재(28a-d)에 인접한 상기 리딩 및/또는 트레일링 종방향 부재(24, 25)에 배열된, 면도기 헤드.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요소(2)는 상기 면도기 면도 평면(SP)과 접촉되는 상기 절단 부재들(28a-d) 사이에 상기 절단 부재(28a-d)에 인접하게 배열된, 면도기 헤드.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면도 동작 동안, 그리고 상기 면도기 헤드(20)가 사용자의 피부(K)에 접촉되면, 상기 면도기 헤드(20) 상에서 힘이 생성되는, 면도기 헤드.
  27. 면도기(100)로서,
    면도기 핸들(200); 및
    상기 면도기 핸들(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헤드(20)
    를 포함하되,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구성요소(1)를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헤드(20)는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면도기.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상기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된, 면도기.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상기 면도기 핸들(200)과 상기 면도기 헤드(20) 사이, 특히 면도기 핸들(200)과 면도기 헤드(20) 사이의 커플링(230)에 배열된, 면도기.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헤드(20)는, 피벗 가능 또는 피벗 불가능 커플링(230)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2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피벗 불가능 커플링(230)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피벗 가능한 커플링(230)을 통해 상기 면도기 핸들(200)과 일체로 형성된, 면도기.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라인(4)은 상기 면도기(100)에 배열되고, 특히 상기 공급 라인(4)은 상기 면도기 헤드(20) 및/또는 면도기 핸들(200)에, 그리고/또는 면도기 헤드(20)와 면도기 핸들(200) 사이에 배열된, 면도기.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가 상기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배열된, 면도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면도기.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압력을 생성하고 상기 압력을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하도록 구성된, 면도기.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압력은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동작으로 인해 생성되는, 면도기.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압력 증폭 디바이스, 특히 그립 유도 레버 메커니즘(grip induced lever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면도기.
  38. 제27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100)는, 상기 면도기, 특히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를 비면도(non-shaving) 동작 동안 상기 저온 상전이점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가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면도기.
  39. 제27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상기 절단 부재(28a-d)의 후방 표면에 부착, 특히 접합된, 면도기.
  40. 면도기로 피부 표면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면도기(100)에 면도기 헤드(20) 및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면도기 핸들(200) 및 냉각 요소(2)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면도기(100)에 압력을 가하고/가하거나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요소(2)는 면도 동작 동안 사용자의 피부 표면(K)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100)에 상기 냉각 요소(2)에 결합된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3)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특히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기계열량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고/가해지거나 해제되는,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5)는 열 전도 매체와 접촉, 특히 열 전도 접촉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제1 상변화에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가열되는,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서 해제되는 제2 상변화에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되는,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를 상기 냉각 요소(2)에 결합하는 공급 라인(4)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 라인(4)은 상기 냉각을 상기 냉각 요소(2)에 전달하는 상기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상기 열 전도 매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펀지 구조체, 특히 나노 스펀지 구조체를 갖는, 방법.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액체, 특히 물인, 방법.
  49.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압력을 가하기 전에, 상기 액체로 상기 면도기 헤드(20)를 헹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는 상기 열 전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인가된 열에 의해 증발되고,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의해 냉각되는, 방법.
  51. 제4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면도 동작 동안 생성되는 힘을 상기 면도기 헤드(20)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면도기 헤드(20)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K)에 접촉되고, 상기 힘을 상기 면도기 헤드(20)로부터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로 전달하며, 상기 힘은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압력을 생성하는, 방법.
  52. 제4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핸들(200) 및/또는 상기 면도기 헤드(20)에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는 상변화 구성요소(3)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면도 동작 전에, 상기 압력 생성 디바이스(260)에 가압 작용을 제공하여 압력이 상기 상변화 구성요소(3)에 가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7780A 2019-12-18 2020-12-16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KR20220111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7659.2 2019-12-18
EP19217659.2A EP3838521A1 (en) 2019-12-18 2019-12-18 Razor component including a pressure-responsive phase-change component
PCT/EP2020/086470 WO2021122780A1 (en) 2019-12-18 2020-12-16 Razor component including a pressure-responsive phase-change compon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82A true KR20220111682A (ko) 2022-08-09

Family

ID=6896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780A KR20220111682A (ko) 2019-12-18 2020-12-16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2710B2 (ko)
EP (1) EP3838521A1 (ko)
KR (1) KR20220111682A (ko)
WO (1) WO20211227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777A (en) * 1991-09-26 1995-03-07 Warner-Lambert Company Thermally enhanced shaving system
JP4943623B2 (ja) * 2000-06-21 2012-05-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相対的に位置決めされた移動可能な板状キャリアを有する除毛装置
EP1789238B1 (en) 2004-09-07 2008-03-19 BIC Violex S.A. Razor handle and shaver including such a handle
US7818883B2 (en) * 2008-07-22 2010-10-26 L.I.F.E. Support Technologies, Llc Safety razor
US9751229B2 (en) * 2013-12-20 2017-09-05 The Gillette Company Llc Heated shaving razor
EP3300863B1 (en) * 2016-09-28 2020-06-17 Braun GmbH Electric shaver
GB201617508D0 (en) 2016-10-14 2016-11-30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And Universitat Polit�Cnica De Catalunya And Universitat De Barc Use of Barocaloric materials and Barocaloric devices
WO2019001892A1 (en) * 2017-06-29 2019-01-03 Bic Violex S.A SHAVER WITH SENSORS AND METHODS OF PROVIDING INTELLIGENT POLYMER SHAVING LUBRICANT
EP3546153B1 (en) * 2018-03-27 2021-05-12 Braun GmbH Personal care device
CA3091481C (en) * 2018-03-30 2022-11-29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system including skin interconnect member
AU2019242765B2 (en) * 2018-03-30 2022-06-23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CN111801200B (zh) * 2018-03-30 2022-08-23 吉列有限责任公司 包括皮肤互连构件的剃刮剃刀系统
WO2019191157A1 (en) * 2018-03-30 2019-10-03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system including skin interconnect member
EP3705245B1 (en) * 2018-03-30 2021-12-15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handle
US11529745B2 (en) * 2018-06-08 2022-12-20 BIC Violex Single Member S.A. Smart shaving accessory
EP3597381A1 (en) * 2018-07-18 2020-01-22 BIC-Violex S.A. Shaving aid delivery systems for razors
JP7372341B2 (ja) * 2019-04-05 2023-10-31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皮膚トリートメントパーソナルケアデバイス及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2710B2 (en) 2024-01-16
EP3838521A1 (en) 2021-06-23
WO2021122780A1 (en) 2021-06-24
US20230039442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1203B (zh) 剃刀系统
US6851190B2 (en) Razor having deformable shaving aid ejection system and method of ejecting shaving aid
US20210347069A1 (en) Electric beard trimmer
US20170326743A1 (en) Heated shaving razor
EP1935588B2 (en) Razor
BR112020020134A2 (pt) Empunhadura de aparelho de barbear ou depilar com elementos móveis
US7426785B2 (en) Multi type head moving shaver
BR112020020132A2 (pt) Empunhadura de aparelho de barbear ou depilar com membros móveis
US20180207825A1 (en) Heating member for a shaving razor
JP7397023B2 (ja) 電気髭トリマー
EP2176042B1 (en) Shaving implement
GB2116470A (en) Safety razors
DE102008032150A1 (de) Elektrischer Rasierer mit integrierter Kühlung
TW200936338A (en) Razor with rearwardly secured shaving blade member
US20240139981A1 (en) Reciprocating razor having blades coupled by linkages that bend around stationary pivot points
WO2007064944A3 (en) Heated razor cartridge
US20190299459A1 (en) Shaving razor system including skin interconnect member
KR20220111682A (ko) 압력 반응성 상변화 구성요소를 포함한 면도기 구성요소
KR102093115B1 (ko) 열전소자용 유연 방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연열전소자
EP3928935B1 (en) Razor assembly
JP7049892B2 (ja) 組電池用冷却兼加熱装置
WO2023109448A1 (zh) 冷热剃须刀
US2665477A (en) Safety razor
JP4175053B2 (ja) 切断刃の構造
JP2003501191A (ja) 或るパラメータを持つ冷却装置及び脱毛装置を有する脱毛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