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602A -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602A
KR20220111602A KR1020210015044A KR20210015044A KR20220111602A KR 20220111602 A KR20220111602 A KR 20220111602A KR 1020210015044 A KR1020210015044 A KR 1020210015044A KR 20210015044 A KR20210015044 A KR 20210015044A KR 20220111602 A KR20220111602 A KR 2022011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lassification
user
recommen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1633B1 (en
Inventor
최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리콘
Priority to KR102021001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method by which a content system classifies content and then recommends the content to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ent reception step of receiving content from a content DB; an element extraction step of analyzing the content and extracting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for each content; a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ased on the content element; a content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 user input reception step of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step of identif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classifying a content type of the content.

Description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분류 기준을 설정한 후 이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n classifying conten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recommending user-customized content to a user will be.

미디어 매체와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학습용 정보도 미디어 매체를 통해 습득하고 있으며, 미디어 매체를 통한 학습은 어린 아이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ot only general information but also learning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media media, and learning through media media has a great influence on young children.

따라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 요즘 아이들은 태어나자 마자 통신 기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Therefore, these days, children are learning through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communication devices as soon as they are born to the extent that the term digital native exists.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플랫폼(contents platform)은 단순히 다양한 컨텐츠들을 많이 모아 놓고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과 각 회원의 선호도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추천 방식으로 동작되고 있다.A contents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is operated in a method of simply collecting a lot of various contents and providing them to members, and a recommendation method in which contents suitable for each member's preference are selected and provided.

따라서, 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교육용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첫 번 번째 방식의 경우에는 너무 많은 컨텐츠의 양으로 인해 교육 대상자에게 적합한 컨텐츠의 선택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며, 판단력이 부족한 아이에게 무작위적으로 노출되는 컨텐츠로 인한 불안감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educational content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case of the first method, many difficulties arise in selecting suitable content for the subject of education due to the amount of too much content, and it is randomly exposed to children who lack judgment. Anxiety arises due to the content being used.

또한, 선호도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천받는 경우, 교육 대상자인 아이들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의 추천이 이루어지므로 교육적이지 않은 내용의 컨텐츠가 추천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when content is recommended using preference, etc., content that is not educational is often recommended because content suitable for the taste of children who are education subjects is recommen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0110호(공고일자: 2019년 12월 20일, 발명의 명칭: 컨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를 분류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60110 (Announcement Date: December 20, 2019, Title of Inven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lassifying Objects Included in Conten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content so that a user can provide desired conten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주요 학습자인 어린 아이들에게 교육적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to young children, who are main learner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 시스템이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은, 컨텐츠 DB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단계;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각각의 컨텐츠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하는 요소 추출 단계; 상기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분류 기준 선정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 단계; 상기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기준 선정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method for a cont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lassify content and then recommend it to a user includes: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content from a content DB; an element extraction step of analyzing the content and extracting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for each content; a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ased on the content element; a content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a user input receiving step of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identify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elect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further include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소 추출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포함된 요소 중 시각적 요소 및 언어적 요소의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element comprises the steps of dividing the content into at least one section; and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visual element and the linguistic element among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비중에 따라 상기 구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w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구분된 컨텐츠 유형과 상기 컨텐츠 요소를 종합하여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include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y synthesizing the divided content type and the content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 선정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 컨텐츠 유형과 상기 컨텐츠 요소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ecting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selected by comparing a preset reference content type with the content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단계는,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별로 컨텐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그룹 중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creating a content group for each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including the content 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 groups, wherein any one of the content may be included in a plurality of groups among the content grou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상기 컨텐츠 요소 및 상기 컨텐츠 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of the user input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the content element, and the content type. it could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는, 상기 제공된 컨텐츠 분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of the user input may include further receiving the user's feedback on the provid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단계는, 상기 피드백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may further include reclassifying at least one of the classified content using the feedback.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시스템은, 컨텐츠 DB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하는 요소 추출부; 상기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부; 상기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유형 구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ystem for provid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to a user after classify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conten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DB; an element extraction unit that analyzes the content and extracts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a content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 user input receiving unit that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yp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컨텐츠만이 제공되어, 학습자가 부적합한 컨텐츠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content that meets the user's needs is provided, thereby preventing learners from being indiscriminately exposed to inappropriate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가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ntent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he user's education using the cont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DB의 연결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system that provides a method for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providing it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tent system,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network is not limit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may not be connected by the same network method. The network may include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a satellite network, etc.) but als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For example, the network may include all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which an object and an object can network, and is not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3G, 4G, 5G, or other methods. For example, a wired and/or network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GSM), an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luetooth, Zigbee, Wi-Fi, Voice over VoIP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sonic communication can ref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b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recommending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은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recommending it to a user.

본 발명의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은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recommending it to a user is performed by a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컨텐츠는 음악,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일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를 동영상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music, video,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content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server.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is a moving pictu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20 and expl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system that provides a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providing it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시스템(이하, 시스템(100))은 컨텐츠 수신부(110), 요소 추출부(120),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130), 컨텐츠 분류부(140), 사용자 입력 수신부(150) 및 컨텐츠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ntent system (hereinafter, system 100) includes a content receiving unit 110, an element extracting unit 120,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ng unit 130, a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40, and a user input receiving unit ( 150 )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160 .

이하, 시스템(100)에 포함된 각 부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part included in the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시스템(100)에 포함된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DB와 연결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10)는 통신부를 통해 컨텐츠 DB로부터 복수개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요소 추출부(120)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130)는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할 수 있다. 컨텐츠 분류부(140)는 컨텐츠를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50)는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d in the system 100 may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or a content DB through a network. The content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plurality of contents from the contents DB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element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by analyzing the content.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or 130 may select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ased on the content element. The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40 may classify content according to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50 may provide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 the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각 부의 더욱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More specific functions of each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hile explaining a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content and providing it to a us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nd a slate PC. ,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may be included. .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DB의 연결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tent system, a user terminal, and a content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220) 및 컨텐츠 DB(200)는 네트워크(210)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ystem 100 , the user terminal 220 , and the content DB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210 .

사용자 단말(220)은 상술한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210)와 연결되며, 시스템(100) 및 컨텐츠 DB(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로 연결된 디바이스 수나 서버 등의 수가 도 2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2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ystem 100 and the content DB 200 . FIG. 2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e number of connected devices or servers is not limited as in FIG. 2 .

각 서버는 사용자 단말(220) 또는 시스템(100)과 네트워크(2)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21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220) 또는 시스템(100)에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220) 또는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컨텐츠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단말(220) 또는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단말(220) 또는 시스템(100)으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Each serve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20 or the system 100 through the network 2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server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each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220 or the system 100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210 .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erver provides a service (eg, content information provision, etc.) targeted by the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220 or through an application a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driven in the user terminal 220 or the system 100 . It can be provided by the system 100 .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may distribute the file for installing and driv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220 or the system 100 , and receive user input information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 수신 단계(S310), 컨텐츠 요소 추출 단계(S320), 분류 기준 선정 단계(S330), 컨텐츠 분류 단계(S340), 분류 기준 제공 단계(S350),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S360), 컨텐츠 식별 단계(S370) 및 컨텐츠 제공 단계(S3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is a content receiving step (S310), a content element extraction step (S320), a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S330), a content classification step (S340), a classification standard providing step (S350), a user input receiving step (S360), content identification step (S370), and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step (S380).

상술한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각 단계들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may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listed order, except for a case where they must be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due to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is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컨텐츠 수신 단계(S310)는 시스템이(100) 컨텐츠 DB(200)에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DB는 자체적으로 구축된 DB일 수 있고, 유투브 등 상용 DB일 수도 있다. 시스템(100)은 접근가능한 모든 DB에서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해 여러 개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DB(200)는 시스템(100)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receiving step S310 is a step in which the system 100 receives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DB 200 . The content DB may be a self-built DB or a commercial DB such as YouTube. The system 100 may receive multiple contents to classify contents from all accessible DBs. Alternatively, the content DB 200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100 .

컨텐츠 요소 추출 단계(S320)는 시스템(100)이 컨텐츠를 분석하여 각각의 컨텐츠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시스템(100)이 컨텐츠를 분석한다는 것은, 컨텐츠에 포함된 것을 식별한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자막, 소리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등장하는 캐릭터, 사람, 사물 등을 식별할 수 있고, 또는 컨텐츠의 영상이 실제 화면인지 컴퓨터 등을 통해 제작된 애니메이션인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 요소는 상술한 과정에서 식별되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자막, 소리 등이 컨텐츠의 요소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에 등장하는 캐릭터, 사람, 사물 등이 컨텐츠의 요소일 수 있다.The content element extraction step S320 is a step in which the system 100 analyzes the content and extracts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for each content. Here, when the system 100 analyzes the content, it may mean identifying what is included in the content. Specifically, when the content is a moving picture, the image, subtitle, and sound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identifi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characters, people, objects, etc. appearing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or whether the image of the content is an actual screen or an animation produced through a computer, etc. can be identified. The content element may mean anything identifi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s an embodiment, an image, subtitle, sound, etc.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elements of the content, and furthermore, characters, people, things, etc. appearing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elements of the content.

분류 기준 선정 단계(S330)는 시스템(100)이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텐츠 분류 기준은 복수개의 컨텐츠를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는 모든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분류 기준은 컨텐츠의 주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00)은 컨텐츠 주제를 판단하여 음악 주제 컨텐츠, 교육 주제 컨텐츠, 건강 주제 컨텐츠 등으로 분류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시스템(100)은 컨텐츠 난이도에 따라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이도를 상, 중, 하로 나누어 컨텐츠 분류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분류 기준 선정 단계(S330)는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컨텐츠 유형에 따라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복이 필요한 영상, 시리즈 시청이 필요한 영상, 순서에 따라 시청이 필요한 영상 등 유형으로 컨텐츠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유형은 그 자체가 하나의 컨텐츠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은 컨텐츠 유형과 컨텐츠 요소를 종합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컨텐츠 유형 중 하나의 실시예인 시리즈 시청이 필요한 영상과 컨텐츠 요소 중 하나인 특정 캐릭터를 종합하면, 특정 캐릭터가 계속 나오는 시리즈 시청이 필요한 영상이라는 컨텐츠 분류 기준이 선정될 수 있다. 컨텐츠 분류 기준은 상술한 단계와 같이 시스템(100)이 컨텐츠 요소, 컨텐츠 유형 등에 의해서 생성하고 선정할 수 있으나, 기설정된 기준 컨텐츠 유형과 컨텐츠 요소 등을 비교하여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00)은 컨텐츠 DB(200) 등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컨텐츠 유형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요소 등을 비교함으로써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 S330 ) is a step in which the system 100 selects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ased on the content element. Here,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any criterion that can be defined by di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For example,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the subject of the content. Specifically, the system 100 may determine a content subject to determine a classification criterion into music subject content, education subject content, health subject content, and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may classify images according to content difficulty. Specifically,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determined by dividing the difficulty level into high, medium, and low. In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select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 S330 )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The system 100 may classif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Specifically, the content may be classified into types such as an image requiring repetition, an image requiring series viewing, and an image requiring viewing according to an order. Such a content type may itself be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In this case,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y synthesizing the content type and content element. Specifically,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an image requiring series view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one of the content types, and a specific character, one of the content elements, are synthesized,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of an image requiring series viewing in which a specific character continues to appear will be selected. can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may be generated and selected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content element and content type as in the above-described step, but may be selected by comparing the preset reference content type with the content element. Specifically, the system 100 may select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y receiving reference content type information preset in the content DB 200 and the like and comparing content elements and the like.

상술한 예시들은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 방법에 일 예시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컨텐츠 분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an example of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method, and content classifica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컨텐츠 분류 단계(S340)는 시스템(100)이 컨텐츠를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이다. 컨텐츠 분류 단계(S340)는 컨텐츠 분류 기준 별로 컨텐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는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컨텐츠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컨텐츠가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S340 is a step in which the system 100 classifi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 S340 )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ntent group for each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including the content 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 group. Specifically, the content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content group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content may be included in a plurality of content groups.

분류 기준 제공 단계(S350) 및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S360)는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시스템(100)은 컨텐츠 분류 기준, 컨텐츠 요소 및 컨텐츠 유형 등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컨텐츠 분류 기준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원하는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요소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컨텐츠 요소 중 하나인 특정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컨텐츠 분류 기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criteria providing step ( S350 ) and the user input receiving step ( S360 ) are steps of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the user terminal. The system 100 may provid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content elements and content types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may perform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Specifically, a plurality of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y touching the display. Alternatively, if the content element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content element. Specifically,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character that is one of the content elements, or may select any one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컨텐츠 식별 단계(S370) 및 컨텐츠 제공 단계(S380)는 시스템(100)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분류 기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시스템(100)은 선택된 컨텐츠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identification step S370 and the content providing step S380 are steps in which the system 100 identifies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and provides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ystem 100 may identif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aft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방법은 컨텐츠를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S410)하고, 구간에 포함된 요소 및 비중을 산출(S420)하고 컨텐츠 유형을 구분(S430)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method may divide content into one section ( S410 ), calculate elements and weights included in the section ( S420 ), and classify content types ( S430 ).

구체적으로, 요소 추출 단계(S320)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복수개의 컨텐츠 중 컨텐츠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는 다시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00)은 구간에 포함된 요소를 분석하여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 과정은 시스템(100)에 포함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는 시스템 관리자가 수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컨텐츠 분류 기준이 교육 주제 컨텐츠인 경우, 교육 주제 컨텐츠는 교육 내용을 설명하는 구간과 교육 내용을 확인하는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사람이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설명하는 구간을 컨텐츠의 제1 구간으로, 이후 퀴즈 등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을 확인하는 구간을 제2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구간 이후 다시 사람이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설명하는 구간을 컨텐츠의 제3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에 주체에 따라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에 사람이 등장하는 구간과 컨텐츠에 동물이 등장하는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은 컨텐츠 구분 방법에 일 예시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컨텐츠 분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ment extraction step ( S320 ) may include dividing the content into at least one section. Any one of the cont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section again. Specifically, the system 100 may divide the content into at least one section by analyzing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section. The classification process may be automatically classified by a program included in the system 100 or may be manually classified by a system administrator. As an embodiment, the section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 In a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is education subject content, the education subject content may be divided into a section for explaining the education content and a section for confirming the education content. For example, the system 100 may determine a section in which a person explains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learner as the first section of the content, and a section in which the learner checks the educational content, such as a quiz, as the second section. In addition, after the second section, a section in which the person explains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learner may be determined as the third section of the content.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may be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subjects. Specifically, it may be divided into a section in which a person appears in the content and a section in which an animal appears in the content.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examples of a content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content classifica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시스템(100)은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구분된 컨텐츠의 구간에 포함된 요소 중 시각적 요소 및 언어적 요소의 비중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산출한 비중에 따라 구간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스템(100)이 사람이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설명하는 구간을 컨텐츠의 제1 구간으로 결정한 경우, 제1 구간에 포함된 요소를 분석하여 시각적 요소 및 언어적 요소의 비중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간에 포함된 설명 내용이 대부분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 시각적 요소보다 언어적 요소의 비중이 높을 수 있다. 이 때, 시스템(100)은 제1 구간의 컨텐츠 유형을 언어적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구간에 포함된 설명 내용이 대부분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우 언어적 요소보다 언어적 요소의 비중이 높을 수 있다. 이 때, 시스템(100)은 제1 구간의 컨텐츠 유형을 시각적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시스템(100)이 구분하는 컨텐츠 구간의 유형은 시각적 유형, 언어적 유형 외에도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visual element and the linguistic element among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section of the content divid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lso, the system 100 may determine the type of sec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weight. In one embodiment, when the system 100 determines the section in which the person explains the educational content to the learner as the first section of the content, it analyzes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and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visual element and the linguistic element can do. Specifically, when most of the description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consists of text, the weight of the linguistic element may be higher than the visual element. In this case, the system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type of the first section as the linguistic type. Conversely, when most of the descriptions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consist of images, the proportion of the linguistic element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linguistic element. In this case, the system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type of the first section as a visual type. The type of content section classified by the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100 may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in addition to a visual type and a linguistic typ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ommending them to the user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컨텐츠 시스템
110: 컨텐츠 수신부
120: 요소 추출부
130: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
140: 컨텐츠 분류부
150: 사용자 입력 수신부
160: 컨텐츠 제공부
100: content system
110: content receiving unit
120: element extraction unit
130: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selection unit
140: content classification unit
150: user input receiving unit
160: content providing unit

Claims (10)

컨텐츠 시스템이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DB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단계;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각각의 컨텐츠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하는 요소 추출 단계;
상기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분류 기준 선정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 단계;
상기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 기준 선정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In a method for a content system to classify content and then recommend it to a user,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content from the content DB;
an element extraction step of analyzing the content and extracting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for each content;
a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ased on the content element;
a content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a user input receiving step of providing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Includ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select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추출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포함된 요소 중 시각적 요소 및 언어적 요소의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ment extraction step is
dividing the content into at least one s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visual element and the linguistic element among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section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비중에 따라 상기 구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은,
상기 구분된 컨텐츠 유형과 상기 컨텐츠 요소를 종합하여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is,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by synthesizing the divided content types and the content elements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 선정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 컨텐츠 유형과 상기 컨텐츠 요소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lect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Selecting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by comparing the content element with a preset reference content type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단계는,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별로 컨텐츠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그룹 중 복수개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is
generating a content group for each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cluding the content in at least one of the content group,
Any one of the contents may be included in a plurality of groups among the contents groups.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상기 컨텐츠 요소 및 상기 컨텐츠 유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user input,
Receiving a user inpu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the content element, and the content type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는,
상기 제공된 컨텐츠 분류 기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을 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input receiving step is,
Comprising the step of further receiving the user's feedback on the provid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류 단계는,
상기 피드백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재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is
Reclassifying at least any one of the classified content by using the feedback
A method of categorizing content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컨텐츠를 분류 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시스템은,
컨텐츠 DB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요소를 추출하는 요소 추출부;
상기 컨텐츠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 분류 기준을 선정하는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컨텐츠 분류부;
상기 선정된 컨텐츠 분류 기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분류 기준 선정부는,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을 구분하는 유형 구분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시스템.
A content system that provides a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 and then recommending it to a user,
a conten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ntent from the content DB;
an element extraction unit that analyzes the content and extracts at least one content element;
a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a content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a user input receiving unit that provides the selected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classification criterion sel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type divider for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of the content
content system.
KR1020210015044A 2021-02-02 2021-02-02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102661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44A KR102661633B1 (en) 2021-02-02 2021-02-02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44A KR102661633B1 (en) 2021-02-02 2021-02-02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02A true KR20220111602A (en) 2022-08-09
KR102661633B1 KR102661633B1 (en) 2024-04-29

Family

ID=8284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044A KR102661633B1 (en) 2021-02-02 2021-02-02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38B1 (en) * 2023-04-07 2024-01-29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148A (en) * 2005-07-26 2008-04-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eature extra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130047480A (en)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earch pattern of user
KR20160043601A (en) * 2014-10-13 2016-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ing digital content
KR102060110B1 (en) 2017-09-07 2019-12-27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lassifying object in contents
KR20200049193A (en)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148A (en) * 2005-07-26 2008-04-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eature extra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130047480A (en) * 2011-10-31 2013-05-08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earch pattern of user
KR20160043601A (en) * 2014-10-13 2016-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ing digital content
KR102060110B1 (en) 2017-09-07 2019-12-27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lassifying object in contents
KR20200049193A (en)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38B1 (en) * 2023-04-07 2024-01-29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33B1 (en)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17996A (en) Intelligent campus course information recommendation and sharing system
EP2896162B1 (en)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US201703007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mmarizing multimedia content
CN111698144A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group cre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WO2018150243A1 (en) Image recognition with filtering of image classification output distribution
US20190325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ype of text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7194753A (en) Effectively enhancing images with related content
JP2015513723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icroblog topics
CN111191141B (en) Tex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23946B1 (en) Online pictorial lecture using sharing image
AU2017231733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ed learning centers
KR20220111602A (e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US20140280729A1 (en) System & method for transmission & display on network nodes
US20180011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of a table of content by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KR102036294B1 (en) System for providing simultaneous interpretation
KR20210065629A (en) Chatbot integration agent platform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WO20160705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eaching resource
US20120004900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language types of push-based services, client, and server thereof
US118471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s with lifestyle preferences
Yoon The migrant lives of the digital generation
CN111885139B (en) Content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server
KR102461829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and system for the same
CN111598746A (en) Teaching interaction control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10588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KR102346484B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national foreign language class matching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