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430A - 휴대용 식기류 가방 - Google Patents

휴대용 식기류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430A
KR20220111430A KR1020210014665A KR20210014665A KR20220111430A KR 20220111430 A KR20220111430 A KR 20220111430A KR 1020210014665 A KR1020210014665 A KR 1020210014665A KR 20210014665 A KR20210014665 A KR 20210014665A KR 20220111430 A KR20220111430 A KR 2022011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lipper
basket
handle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성
오의정
정재영
강관우
송지나
구영숙
윤지한
강동호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430A/ko
Publication of KR2022011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식기류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야외에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식기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식기류 가방 {Portable dinnerware bag}
본 발명은 휴대용 식기류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야외에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휴대하기 편리하고, 식기류를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는 음식을 먹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나 이를 돕는 도구를 말한다. 대표적인 식기의 종류는 젓가락, 날붙이, 접시, 사발 및 찻잔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기류라고 함은, 식탁에 음식을 서방하는 데 필요한 식기 세트를 지칭하며, 주로 금 또는 은테두리를 두른 접시들은 이음새 없이 한 피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최근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여행 및 캠핑 용품에 대한 소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취사를 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고, 접시나 사발과 같은 종류는 종래에 코펠과 같은 제품이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식기류는 일회용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회용품은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일회용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 취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식기류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을 제안한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2517호에는 “주방용 식기 보관함” 에 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2517호 (2014. 05. 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야외에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식기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 식기류를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야외에서 도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나무, 플라스틱, 실리콘 및 스테인리스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류는, 음식을 자를 수 있는 칼, 상기 음식을 집거나 잡을 수 있는 집개,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는 뒤집개, 손질된 상기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구니 및 상기 음식을 조리하는 시간에 맞추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뒤집개는,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판,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 손잡이, 상기 뒤집개판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를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뒤집개 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음식의 용도에 따라 상기 뒤집개판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머는, 정해 놓은 시각에 맞추어 소리 및 진동이 울리는 타이머 본체, 상기 타이머 본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흡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착 장치로 인하여 상기 타이머 본체를 원하는 장소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구니는, 상기 바구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 센서 및 상기 바구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의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식기류 가방은 야외에서 취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식기류를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커버는 도마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뒤집개는 뒤집개판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음식을 뒤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머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구니는 음식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되어, 내부에 보관된 식기류가 나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된 전체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뒤집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뒤집개판 각도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바구니 높이조절부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타이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되어, 내부에 보관된 식기류가 나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상부커버가 슬라이딩 된 전체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뒤집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뒤집개판 각도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바구니 높이조절부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의 타이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식기류 가방(1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커버(200)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먼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중공형의 사각통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은 개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전체적으로 각진‘U’ 자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식기류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식기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커버(200)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야외에서 도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나무, 플라스틱, 실리콘 및 스테인리스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진 부분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전체적으로 ‘ㅁ’ 자와 같은 모양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도마로 사용될 있고,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식기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300)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중공형의 파이프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U’ 자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300)의 상부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00)의 하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파지할 때, 안정적인 그립감과 미끄럼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300)는 나무, PU (Polyurethane) 및 고무와 같은 연질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다양한 모양과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용 식기류 가방(10)은 상기 본체부(100)에 상기 식기류를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류는 음식을 자를 수 있는 칼(400), 상기 음식을 집거나 잡을 수 있는 집개(500),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는 뒤집개(600), 손질된 상기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구니(700) 및 상기 음식을 조리하는 시간에 맞추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800)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칼(400)은 상기 음식을 베고, 썰고, 깍는데 쓰이는 도구이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400)은 음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칼(400)은 일반적인 음식을 자를 수 있는 식칼, 생선을 손질하거나 자를 수 있는 피시 나이프(Fish Knife), 빵을 자를 때 사용하는 브레드 나이프(Bread Knife), 과일을 자르거나 껍질을 벗길 때 사용하는 프루츠 나이프(Fruit Knife) 및 패링 나이프(Paring Knife)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개(500)는 상기 음식을 집거나 잡는 도구로 구성되며, 복수 개의 지지대가 마련되고, 지지대가 탄성력이 있는 힌지부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집개(500)는 상기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집개(500)는 지지대의 중심부에 힌지부가 구비될 수 있어,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뒤집개(600)는 프라이팬 등에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는 구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뒤집개(600)는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판(610),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 손잡이(620), 상기 뒤집개판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를 연결하는 지지대(630)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뒤집개판(6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장치(640)를 포함한다.
상기 뒤집개판(610)은 스테인리스, 나무 및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뒤집개판(6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식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기 뒤집개판(610)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는 일자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굴곡진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는 안정적인 그립감과 미끄럼 방지할 수 있도록 나무, PU (Polyurethane) 및 고무와 같은 연질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630)는 상기 뒤집개판(610)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를 연결하는 구성이며, 스테인리스 및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630)는 복수 개의 단계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630)는 상기 뒤집개판(610)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 중에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장치(640)는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뒤집개판(6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 장치(640)는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641)가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홈(64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레버(641)홈은 상기 뒤집개 손잡이(6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ㄷ’ 자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641)는 상기 레버홈(642)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레버(641)는 상기 뒤집개(600)의 내부에 마련된 와이어(도면 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뒤집개판(610) 및 상기 레버(641)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레버(64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상기 뒤집개판(61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641)의 위치가 상기 레버홈(642)의 하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뒤집개판(610)의 각도의 변화가 없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641)가 상기 레버홈(642)의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뒤집개판(610)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구니(700)는 손질된 상기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구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구니(700)는 상기 바구니(7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 센서(710) 및 상기 바구니(7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7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측정 센서(710)는 상기 바구니(7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구니(700)에 수용된 상기 음식의 전체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 무게측정 센서(710)는 측정된 무게를 상기 상부커버(200)의 일측에 마련된 모니터(도면 미도시)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 센서(710)는 영점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게측정 센서(710)는 상기 바구니(700)의 내부로 상기 음식을 수용하기 전에 상기 무게측정 센서(710)의 영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여 측정되는 상기 음식 무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720)는 상기 바구니(700)는 하부에 마련되며, 주름관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720)는 상기 바구니(700)의 하부에서 펼쳐지거나 줄어드는 방식으로 상기 바구니(7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구니(7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00)는 상기 음식을 조리하는 시간에 맞추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머(800)는 정해 놓은 시각에 맞추어 소리 및 진동이 울리는 타이머 본체(810), 상기 타이머 본체(8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820) 및 상기 거치대(820)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흡착 장치(83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 본체(810)는 사용자의 의해 설정된 시각에 맞추어 소리 및 진동이 울릴 수 있으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811) 및 상기 모니터 본체(810)에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버튼(812)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820)는 상기 타이머 본체(8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착 장치(830)는 상기 거치대(820)의 후면부에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착 장치(830)는 상기 타이머 본체(810)를 원하는 장소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휴대용 식기류 가방
100 : 본체부
200 : 상부커버
300 : 손잡이
400 : 칼
500 : 집개
600 : 뒤집개
610 : 뒤집개판
620 : 뒤집개 손잡이
630 : 지지대
640 : 각도조절 장치
641 : 레버
642 : 레버홈
700 : 바구니
710 : 무게측정 센서
720 : 높이조절부
800 : 타이머
810 : 타이머 본체
811 : 모니터
812 : 버튼
820 : 거치대
830 : 공기흡착 장치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 식기류를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야외에서 도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나무, 플라스틱, 실리콘 및 스테인리스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류는,
    음식을 자를 수 있는 칼;
    상기 음식을 집거나 잡을 수 있는 집개;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는 뒤집개;
    손질된 상기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바구니; 및
    상기 음식을 조리하는 시간에 맞추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뒤집개는,
    상기 음식을 뒤집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판;
    사용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뒤집개 손잡이;
    상기 뒤집개판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를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뒤집개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뒤집개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음식의 용도에 따라 상기 뒤집개판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정해 놓은 시각에 맞추어 소리 및 진동이 울리는 타이머 본체;
    상기 타이머 본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흡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착 장치로 인하여 상기 타이머 본체를 원하는 장소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는,
    상기 바구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 센서; 및
    상기 바구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의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식기류 가방.
KR1020210014665A 2021-02-02 2021-02-02 휴대용 식기류 가방 KR20220111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65A KR20220111430A (ko) 2021-02-02 2021-02-02 휴대용 식기류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65A KR20220111430A (ko) 2021-02-02 2021-02-02 휴대용 식기류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30A true KR20220111430A (ko) 2022-08-09

Family

ID=8284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65A KR20220111430A (ko) 2021-02-02 2021-02-02 휴대용 식기류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4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17B1 (ko) 2013-03-19 2014-06-03 이혜숙 주방용 식기 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17B1 (ko) 2013-03-19 2014-06-03 이혜숙 주방용 식기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331A (en) Combination hors d'oeurves, drink and utensil holder
US5662240A (en) Disposable plate with flexible handles
US8967558B2 (en) Device for inserting a food stuff into a pliable bag
US20070062937A1 (en) Kit for assembling a one-handed support for a plate and a beverage container
US5035056A (en) Banana slicer
KR20220053026A (ko) 집게 도구
KR20220111430A (ko) 휴대용 식기류 가방
US20050023234A1 (en) Clip-on taco holder
US5326086A (en) Cutting rack
GB2225217A (en) Egg slicer
US10646061B1 (en) Retention device for low-structure food i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1330939B2 (en) Cutting board with integrated food holders
US20050000848A1 (en) Chefs' knives carrying case and working platform
KR20210021423A (ko) 젓가락
US20210213634A1 (en) Multi-purpose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of the same
KR20200030814A (ko) 도마
KR100475694B1 (ko) 취식이 용이한 일회용 용기
JP3236253U (ja) 食器具
KR20110003881A (ko) 휴대용 식사 도구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US20080134519A1 (en) Eating utensil
KR20230000683U (ko) 식기 구조
US20070256567A1 (en) Cup with added function
WO2019035018A1 (en) T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