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397A -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397A
KR20220111397A KR1020210014573A KR20210014573A KR20220111397A KR 20220111397 A KR20220111397 A KR 20220111397A KR 1020210014573 A KR1020210014573 A KR 1020210014573A KR 20210014573 A KR20210014573 A KR 20210014573A KR 20220111397 A KR20220111397 A KR 2022011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ge structure
cosmetics
tweezer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팩
Priority to KR102021001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397A/ko
Publication of KR2022011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림이나 필링패드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의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인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몸체의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용기부 측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2층 이상의 다단형 구조로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하고,다단형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몸체간 나사산 체결방식 또는 끼움 결합방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용기부와 뚜껑부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보관중인 화장품에 대해 불필요한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인 화장품이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됨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MULTI LAYER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보관중인 화장품에 대해 불필요한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크림 등을 비롯한 각종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스메틱 제품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에 보관되는 크림이나 로션 등은 피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빠르게 복원하는 등 주로 피부 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젤 타입이나 에멀젼 타입의 크림이나 로션 등의 사용상 불편함을 개선함과 더불어 소비자가 간단하게 피부 개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화장품의 개발에 맞추어 이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 또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또한, 종래 크림이나 로션 또는 필링 패드 등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한 공간에 모두 저장하여 보관하는 방식이므로 뚜껑을 개방하여 내용물을 사용시 내용물이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 화장품 용기는 대부분이 한 종류에 해당하는 단품의 화장품 1종만을 내부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형태만을 취하고 있으므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화장품 용기가 더 필요하고 보관시 면적이 필수불가결하게 더 필요하다.
한편, 종래 색조화장품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색 또는 착용하는 옷의 디자인 및 색깔, 외출장소에 따라 그때그때마다 그에 어울리는 색깔을 선택 사용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색조화장품을 색상별로 내장하고 있는 화장품 용기를 각각 구입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단일 색상의 색조화장품이 내장된 각각의 화장품을 구입 사용할 경우, 경제적인 부담이 클 뿐더러 여행이나 외출중에는 각각의 색조화장품 모두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208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5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단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보관중인 화장품에 대해 불필요한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인 화장품이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됨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크림이나 필링패드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의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인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몸체의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용기부 측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2층 이상의 다단형 구조로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하고,다단형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몸체간 나사산 체결방식 또는 끼움 결합방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용기부와 뚜껑부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부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몸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시켜 구획된 공간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 개방형 몸체로 구비되는 용기결합캡부; 상기 용기결합캡부의 일영역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결합캡부의 상측에 위치시켜 결합 또는 상기 용기결합캡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부 개방형 몸체로서 상부 내면에 핀셋고정부를 형성시킨 뚜껑결합캡부; 상기 뚜껑결합캡부의 핀셋고정부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뚜껑결합캡부 상에 내재되는 핀셋;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결합캡부와 뚜껑결합캡부는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원터치 잠금해제부를 상호간에 대응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핀셋고정부는, 절곡 구조에 의해 핀셋 측 탄성력을 갖게 하는 탄성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탄성부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원통지지부; 상기 원통지지부에 간격 배치된 채로 원통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쌍 구조로서, 핀셋 측 탄성부와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핀셋몸체부의 외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보관중인 화장품에 대해 불필요한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인 화장품이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됨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 뚜껑부 측 핀셋 분리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샘플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100)는 크림이나 필링패드 등을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의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시 외부로 꺼내어 사용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용기부(110)와 제2 용기부(120)로 분리되는 용기부와, 상기 제2용기부(120)를 개폐하는 뚜껑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부는 크림이나 필링패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몸체로 구비된다.
상기 용기부는 제1 용기부(110)와 제2 용기부(120)로 분리되는 2층형 다단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2층 이상의 다단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용기부 측 몸체 간에는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용기부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제1 용기부(110)와 제2 용기부(120)의 몸체간 나사산 체결방식 또는 끼움 결합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제1 용기부(110)와 제2 용기부(120)의 몸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시켜 구획된 공간을 갖게 함으로써 동일 또는 다른 종류라 하더라도 다수를 구분하여 보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원통형 구조가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상기 용기부(110)(120)는 진열효과와 시각적인 디자인을 고려할 수 있고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열성 및 성형가공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수지조성물을 준비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30)는 상기 용기부의 상측, 즉 제2 용기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뚜껑부(130)는 상기 용기부, 즉 제2 용기부(120)에 나사산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부 개방형 몸체로 구비되는 용기결합캡부(131)와, 상기 용기결합캡부(131)의 일영역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33)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결합캡부(131)의 상측에 위치시켜 결합 또는 상기 용기결합캡부(13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부 개방형 몸체로서 상부 내면에 핀셋고정부(140)를 형성시킨 뚜껑결합캡부(1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뚜껑부(130)의 내측에는 필링패드 및 이들과 유사한 형태의 화장품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경우, 이를 하나씩 외부로 꺼내어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인 화장품의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핀셋(150)을 내부에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핀셋(150)은 상기 뚜껑결합캡부(122)의 핀셋고정부(130)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뚜껑결합캡부(122) 상에 내재된다.
여기에서, 상기 핀셋(150)은 절곡 구조에 의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와, 탄성부에 일체 구조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핀셋몸체부 및, 핀셋몸체부에 일체 구조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집게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결합캡부(131)에 있어서는 하부 개방형 몸체가 아닌 상하 개방 구조를 갖는 관통형 몸체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단부에 끼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대응 형성되는 마개부를 구비하여 개폐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핀셋고정부(140)는 절곡 구조에 의해 핀셋(150) 측 탄성력을 갖게 하는 탄성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탄성부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원통지지부(141)와, 상기 원통지지부(141)에 간격 배치된 채로 원통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쌍 구조로서 핀셋(150) 측 탄성부와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핀셋몸체부의 외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편(1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핀셋고정부(140)는 핀셋(150) 측 탄성부의 내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핀셋몸체부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핀셋(150) 측 안정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결합캡부(131)와 뚜껑결합캡부(132)는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원터치 잠금해제부를 상호간에 대응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130)는 진열효과와 시각적인 디자인을 고려할 수 있고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열성 및 성형가공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수지조성물을 준비하여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부(110)(120)와 뚜껑부(130)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해서, 사출 성형시 주재료의 흘러내림을 막아주면서 경화 후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보강재 5~5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섬유보강재는 1~50㎛ 크기를 갖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재료에 대해서는 재료간 계면결합력을 높이는 등 내구성 있는 양질의 화장품 용기(100)로의 제조 및 생산을 위해 하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중에서 선택된 1종과 스티렌 무수말레인(SMA)을 혼련기에 투입하여 200~250℃ 및 50~80rpm 조건에서 5~15분 동안 1차 혼련하여 1차 블렌딩수지를 준비한다.
이어서, 1차 블렌딩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를 혼련기에 투입하여 250~280℃ 및 50~80rpm 조건에서 10~20분 동안 2차 혼련하여 2차 블렌딩수지를 준비한다.
이어서, 1~50㎛ 크기를 갖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에 대해 부틸알코올 : 증류수 = 15~20 : 1~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에 함침 처리하되, 혼합액 100중량% 대비 0.2~0.5중량%로 실란을 첨가한 상태에서 30~40분을 함침시킨 후 꺼내어 85~95℃의 온도 조건에서 12~16시간 동안 건조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2차 블렌딩수지와 상기 (c)단계를 거친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혼합한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중에서 선택된 1종 :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 1~2 : 0.1~0.5 : 3~4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함으로써 재료간 반응 및 계면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통해서는 다단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보관중인 화장품에 대해 불필요한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인 화장품이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됨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제1 용기부
120: 제2 용기부 130: 뚜껑부

Claims (4)

  1. 크림이나 필링패드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의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고 필요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인 화장품을 내부에 보관하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몸체의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용기부 측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뚜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2층 이상의 다단형 구조로 형성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다단형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몸체간 나사산 체결방식 또는 끼움 결합방식으로 구성하며,
    상기 용기부와 뚜껑부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CTA),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 무수말레인(SMA)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료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몸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형성시켜 구획된 공간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용기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 개방형 몸체로 구비되는 용기결합캡부;
    상기 용기결합캡부의 일영역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回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결합캡부의 상측에 위치시켜 결합 또는 상기 용기결합캡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부 개방형 몸체로서 상부 내면에 핀셋고정부를 형성시킨 뚜껑결합캡부;
    상기 뚜껑결합캡부의 핀셋고정부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뚜껑결합캡부 상에 내재되는 핀셋; 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결합캡부와 뚜껑결합캡부는 원터치 방식에 의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원터치 잠금해제부를 상호간에 대응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고정부는,
    절곡 구조에 의해 핀셋 측 탄성력을 갖게 하는 탄성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탄성부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원통지지부;
    상기 원통지지부에 간격 배치된 채로 원통지지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쌍 구조로서, 핀셋 측 탄성부와 집게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핀셋몸체부의 외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014573A 2021-02-02 2021-02-02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111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73A KR20220111397A (ko) 2021-02-02 2021-02-02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73A KR20220111397A (ko) 2021-02-02 2021-02-02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97A true KR20220111397A (ko) 2022-08-09

Family

ID=8284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73A KR20220111397A (ko) 2021-02-02 2021-02-02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3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20Y1 (ko) 2010-09-09 2012-09-13 애경산업(주) 다단 적층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222087B1 (ko) 2011-11-30 2013-01-1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다단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20Y1 (ko) 2010-09-09 2012-09-13 애경산업(주) 다단 적층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222087B1 (ko) 2011-11-30 2013-01-1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다단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972B1 (ko)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JP6332775B2 (ja)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US20180125198A1 (en) Dual jar cosmetic container
US20060186019A1 (en) Compact device
US20110188920A1 (en) Clear Cosmetic Tip with Opaque Core
BRPI0518445A2 (pt) fechamento com uma ou mais tampas
KR20220111397A (ko) 다단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US7654272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t least two products, in particular two makeup products
CN103347791A (zh) 液体用容器
WO2008056877A1 (en) Compact case
EP1234522A2 (en) Rouge compact
US7913866B2 (en) Cream pot
US20050133512A1 (en) Packing box for laboratory articles
US20080296246A1 (en) Bottle with peripheral chamber
KR101849549B1 (ko)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2385642B1 (ko) 화장품 용기
US20070158298A1 (en) Lid for Containers
TWI834526B (zh) 容器門板及具有該容器門板之基板容器
JP5469557B2 (ja) 合成樹脂製多重容器とこの製造方法
KR20170023265A (ko) 열과 자외선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콤팩트 용기
CN215958712U (zh) 一种化妆瓶
KR200338769Y1 (ko) 45°모따기된 리브를 갖는 경첩에 의해 연결된 화장품 용기
JP2020037292A (ja) 車両用モジュール
KR102665440B1 (ko) 화장품 토출용기의 이중벽 디자인 캡
IT201800004058A1 (it) Contenitore per cosmeti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