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747A -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747A
KR20220109747A KR1020210013138A KR20210013138A KR20220109747A KR 20220109747 A KR20220109747 A KR 20220109747A KR 1020210013138 A KR1020210013138 A KR 1020210013138A KR 20210013138 A KR20210013138 A KR 20210013138A KR 20220109747 A KR20220109747 A KR 20220109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resent
string
environmental pollution
wild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524B1 (ko
Inventor
김병준
김가현
박준희
박한솔
반경민
Original Assignee
김병준
김가현
박준희
박한솔
반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준, 김가현, 박준희, 박한솔, 반경민 filed Critical 김병준
Priority to KR102021001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10)가 생분해성 재질인 수용성의 비오셀 리오셀 섬유(VEOCEL Lyocell fibers)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마스크 끈(120)은 실리콘으로 제조되면서 양쪽 단부에 삽입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21)의 안쪽으로 삽입돌기(121)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110)에 부착 및 이탈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Mask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tect wild animals}
본 발명은 환경오염 및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재질의 마스크 본체와, 수용성 형상 유지구,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분리 가능한 마스크 끈을 형성하여 폐기시 마스크 끈을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면서 자연 상태에서 생분해됨으로써, 버려지는 마스크로 인한 환경오염과 야생동물의 위협을 해소할 수 있는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유형의 병원성 바이러스가 발현되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또는 말을 할 때 입에서 나오는 미세한 침방울이 공기를 통하여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 병원체의 감염을 유발하고 있다. 인체에 감염되는 병원성 바이러스 들은 인체의 면역력에 의해 소멸될 수 있으나, 일부의 바이러스는 치명적이며 사람간 전염이 가능한 상태로 변이되면서 인류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병원성 바이러스 들은 주로 호흡기를 통한 비말에 의해 전염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감염 방지를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마스크가 소모되고 있다.
마스크에 사용하는 재질은 대부분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석유 분해 가스에서 만든 고분자 물질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중에 가장 가볍고, 내열·내약품성이 좋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이어서 응용범위가 넓은 것이지만, 폐기시 분해되지 아니하므로 사용후 대량으로 버려지는 마스크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새로운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마스크를 안면과 코 주변에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형상 유지구는 금속재 철심의 녹방지를 위해 철심 주변을 연질 합성수지로 코팅한 것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 또한 폐기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되는 것이다.
더욱이, 근래에 발현된 새로운 유형의 병원성 바이러스인 코로나 펜데믹 이후 전세계에서 한달 동안 버려지는 마스크는 약 1,290억개로 코로나 예방을 위해 우리 일상의 필수가 된 마스크가 환경을 오염시키는 새로운 주범이 되었다.
이렇게 버려지는 마스크는 우천시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내수면은 물론이고 바다를 오염시키며 수중 생물의 생태계에도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사용 후 버려진 마스크의 끈에 야생동물이 걸리면서 동물의 발을 묶는 사례가 빈번하여 야생돌뭉ㄹ들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마스크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과 야생동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끈이 없는 마스크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5718호 ‘끈이 없는 기능성 마스크’에 개시되었다. 이 마스크는 면 부직포가 얇게 형성되고, 안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면에 코팅종이를 접착하고, 기능성 물질인 은, 자석, 숯, 게르마늄, 로즈마리 추출향을 미세한 입자로 분해하여 투입한 습포제를 구비하여 끈이 없이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끈이 없는 마스크는 안면 부착력이 미흡하여 착용 상태가 불량하게 됨으로써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미흡하고, 사용하기에 번거롭기도 한 문제점이 있다.
KR 20-0375718 Y1 (2005. 02. 01.) KR 10-1660501 B1 (2016. 09. 21.)
버려지는 마스크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이루는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버려지는 마스크의 끈으로 인한 야생동물에 대한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스크를 버릴 때 반드시 끈을 잘라서 버리게 되면 야생동물의 발에 마스크 끈이 감겨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 끈은 사람의 인력으로는 끊을 수 없고 커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만 끊을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마스크가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것이며, 마스크 끈을 반드시 절단하여 폐기할 것을 요구하는 홍보를 하는 것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며, 그로 인한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재질이 수처리나 자연 생태계에서 혐기적 또는 호기적 산화와 같이 박테리아에 의해 유기물이 무기환경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에 착안하여 생분해성 재질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폐기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마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끈을 마스크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여 폐기시 마스크 끈이 야생동물의 발에 감기거나 묶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형상 유지구를 수용성 재질로 형성하여 폐기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마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마스크 본체와, 인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마스크 끈과, 형상 유지구를 구비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생분해성 재질로서 수용성의 비오셀 리오셀 섬유(VEOCEL Lyocell fibers)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마스크 끈은 실리콘으로 제조되면서 양쪽 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안쪽으로 삽입돌기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에 부착 및 이탈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형상 유지구는 수용성 마그네슘으로 형성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가 생분해성 재질의 비오셀 리오셀 섬유로 제작되어 폐기되면 자연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으며, 또한, 삽입돌기와 삽입홈으로 마스크 본체에 고정되는 마스크 끈은 작은 힘으로도 삽입돌기가 삽입홈에서 분리될 수 있어 절단하지 않아도 본체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야생동물에 감기는 일이 없게 되어 야생동물에 대한 위협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 끈에서 삽입돌기와 삽입홈의 결합 상태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 끈에서 삽입돌기와 삽입홈의 결합 상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10)는 통상적인 마스크 본체(110)와 마스크 끈(120) 및 형상 유지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스크 본체(110)는 얼굴의 하관을 감싸주는 부분으로 물에 녹는 비오셀 리오셀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사방의 모서리 부위에는 마스크 끈(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111)이 관통되며 형성된다.
비오셀 리오셀 섬유는 자연림 및 조림에서 가져온 재생 가능한 원목을 원료로 하여 천연 자원을 보존하는 폐쇄 순환형 공정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폐기되면 생분해성을 통해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원래의 자연 소재로 순환됨으로 환경 오염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마스크 끈(120)은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면서 양쪽 단부의 원형 외주면에 표면이 납작하게 형성되는 삽입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으로 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삽입돌기(121)는 삽입홈(12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외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마스크 끈(120)의 삽입돌기(121)를 마스크 본체(110)의 고정홈(111)에 통과시킨 다음 삽입돌기(122)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마스크 본체(110)에 마스크 끈(120)이 부착된다.
이때, 삽입돌기(122)가 복수의 삽입홈(122) 중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따라 마스크 끈(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에 맞는 위치의 삽입홈(1222)을 선택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후 버릴 때, 삽입홈(122)에 삽입고정된 삽입돌기(121)를 잡아당기면 작은 힘으로도 삽입돌기(121)를 삽입홈(12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터와 같은 절단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스크 본체(110)에서 마스크 끈(120)을 분리하여 폐기시킬 수 있게 되므로 마스크 끈(120)이 야생물물의 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령, 마스크 끈(120)을 마스크 본체(110)에서 분리시키기 않고 버리더라도, 야생동물의 발에 마스크 끈(120)이 감긴 경우 야생동물의 활동 중에 자연스럽게 삽입돌기(121)가 삽입홈(122)에서 빠져나와 마스크 본체(11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 버려지는 마스크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수중에서도 잘 분해되어 하천과 해양을 오염시키기 않게 되며, 마스크 끈(120)을 마스크 본체(110)에서 분리시키기 않고 버렸을 경우, 마스크 본체(110)가 분해에 의해 자연 소멸되므로 마스크 끈(120)이 야생동물의 발에 감기더라도 풀려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자의 안면과 코 주변에 밀착시키기 위해 마스크 본체(110) 상단에 형성되는 형상 유지구(130)는 친환경 수용성 재질로 형성되어 폐기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친환경 수용성 재질은 다양한 재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수용성 마그네슘으로 제조된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자연 분해 가능한 마스크 본체(110)에 분리 가능한 마스크 끈(120)과 수용성 마그네슘으로 되는 형상 유지구(130)를 형성함으로써, 폐기시 마스크 끈(120)을 마스크 본체(11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마스크 본체(110)는 분해되어 자연 상태로 회수되므로 환경오염의 위협을 해소하며 폐기된 마스크로부터 야생동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11: 고정홈 120: 마스크 끈
121: 삽입돌기 122: 삽입홈
130: 형상 유지구

Claims (1)

  1. 마스크 본체(110)와, 인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마스크 끈(120)과 형상 유지구(130)를 구비하는 마스크(10)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생분해성 재질로서 수용성의 비오셀 리오셀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면서 사방의 모서리 부위에 마스크 끈(1200이 고정되는 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끈(120)은,
    실리콘으로 제조되면서 양쪽 단부에 삽입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21)의 안쪽으로 삽입돌기(121)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110)에 부착 및 이탈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형상 유지구(130)는,
    수용성 마그네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KR1020210013138A 2021-01-29 2021-01-29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KR10259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38A KR102593524B1 (ko) 2021-01-29 2021-01-29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38A KR102593524B1 (ko) 2021-01-29 2021-01-29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47A true KR20220109747A (ko) 2022-08-05
KR102593524B1 KR102593524B1 (ko) 2023-10-25

Family

ID=8282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138A KR102593524B1 (ko) 2021-01-29 2021-01-29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2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718Y1 (ko) 2004-11-29 2005-03-08 김종선 끈이 없는 기능성 마스크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JP2011011004A (ja) * 2009-07-06 2011-01-20 Junji Ikeda 空気清浄機構とそれを利用した装置
JP2012135598A (ja) * 2010-03-19 2012-07-19 Kuraray Kuraflex Co Ltd 機能性シートを収容可能なマスク
KR101660501B1 (ko) 2014-08-19 2016-09-29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KR20170115458A (ko) * 2016-04-07 2017-10-17 랩앤피플주식회사 생분해성 금속 임플란트
KR20180001281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마스크
US20200398011A1 (en) * 2006-07-28 2020-12-24 ResMed Pty Ltd Delivery of respiratory therap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718Y1 (ko) 2004-11-29 2005-03-08 김종선 끈이 없는 기능성 마스크
JP2009531087A (ja) * 2006-03-24 2009-09-03 邱俊亮 取り外し可能な使い捨て式マスク及びその使い捨て式マスク本体
US20200398011A1 (en) * 2006-07-28 2020-12-24 ResMed Pty Ltd Delivery of respiratory therapy
JP2011011004A (ja) * 2009-07-06 2011-01-20 Junji Ikeda 空気清浄機構とそれを利用した装置
JP2012135598A (ja) * 2010-03-19 2012-07-19 Kuraray Kuraflex Co Ltd 機能性シートを収容可能なマスク
KR101660501B1 (ko) 2014-08-19 2016-09-29 (주) 스리에스엠코리아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KR20170115458A (ko) * 2016-04-07 2017-10-17 랩앤피플주식회사 생분해성 금속 임플란트
KR20180001281U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524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sfaldet et al. Assessing face masks in the environment by means of the DPSIR framework
ATE469680T1 (de) Atemschutzgerät mit polymerer nasenklammer
IN2012DN02131A (ko)
DE602007003766D1 (de) Filterelement und seine Kombination mit einem Oxygenator
KR20220109747A (ko) 환경오염 방지 및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
JPWO2015159344A1 (ja) マスク貼付用シ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JP3232901U (ja) ウイルス抑制マスク
US20110094451A1 (en) Magnetic field generator compressed into a housing using exothermic polymer for stabilizer used for shark deterrent
JP2006255343A (ja) 防塵フード
KR102234573B1 (ko) 귀아픔을 개선한 신축공이 형성된 일체형 마스크
Siddiqui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in aquaculture
CN210809395U (zh) 护耳式口罩
CN207136308U (zh) 进排气阀与罩体一体式的可更换滤片环保口罩
JP2021179064A (ja) フェイスシー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RU200058U1 (ru) Медицинская маска
CN201879907U (zh) 耳部保护套
JP2001086910A (ja) 魚釣用錘
CN203874311U (zh) 一种防护型环保口罩
KR102529584B1 (ko) 마스크 착용 시 귀 보호용 보조구
CN202857652U (zh) 一种驱蚊手环
CN2912341Y (zh) 儿童洗发护眼罩
KR102382618B1 (ko) 플라스틱수지의 코지지대를 사용하는 마스크
Street et al. A new species of Pleistophora (Microsporida: Pleistophoridae) parasitic in the shrimp Palaemonetes pugio
TWI708551B (zh) 寵物用輔具裝置
JP2006055658A (ja) 口呼吸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