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945A -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945A
KR20220108945A KR1020210012047A KR20210012047A KR20220108945A KR 20220108945 A KR20220108945 A KR 20220108945A KR 1020210012047 A KR1020210012047 A KR 1020210012047A KR 20210012047 A KR20210012047 A KR 20210012047A KR 20220108945 A KR20220108945 A KR 2022010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il
top soil
ratio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352B1 (ko
Inventor
김이열
김덕영
이덕균
Original Assignee
김이열
김덕영
이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열, 김덕영, 이덕균 filed Critical 김이열
Priority to KR102021001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3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토는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NURSERY BED SOIL FOR PLANTING YOUNG TREE SEEDL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농경지 경작, 임야 조성, 또는 조경 등에 있어 식재료나 수목 생장 촉진의 기반이 되는 토양의 보습, 영양, 활성 등의 기질 특성이나 지력을 강화하면서도 어린 수목의 묘목 생장에 특히 효과적인 인공용토인 상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나무, 과수, 조경수 등 식목시 어린 나무 묘목의 초기 생육을 보장하고 묘목의 생존율을 높이는 상토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 중에서 특히 상토(nursery bed soil)는 배지, 배양토, 인공용토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씨앗의 발아를 위하여 논이나 밭에 식물이 옮겨심기 전까지 사용하는 모판흙 등의 물질을 일컫는데, 용토라고도 한다.
즉, 식물재배에 이로운 근권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인공용토로서 묘목을 키우는 배지이면서 또한 식물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해주는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넓은 범위에서는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비료에 속하는 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림청 등에서 수행하는 조림지원 사업이나 산림복구 사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예정지는 그 지표면이 황폐하고 유기물(나무, 나뭇가지, 나뭇잎 등 부산물)이 거의 없으며 오랜 기간 동안 나무가 존재하지 않아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불량하고 부족하며, 토양입단이 거의 없고 토양 보수력이 매우 부족하여 쉽게 메마르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산림복구 또는 조림지원 예정지에서 어린 나무 묘목을 심고 조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식목하는 경우는 보통 구덩이를 파고, 물을 주고 묘목이나 나무를 심고 흙을 덮는 것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각종 토양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식목하는 것이어서 식목된 나무의 생존율이 매우 낮아져 종국적으로 복구사업이 실패로 끝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산림복구 또는 조림지원 사업에서 식목용토 또는 조림용토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나무의 생존율이 높도록 개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용토의 원료로서 주로 수피와 톱밥을 사용하고 퇴비만을 즉흥적으로 이용하는 수준이어서 나무의 수령별, 토양의 성분별로 체계적으로 연구개발된 인공용토의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상토 공장이나 축분퇴비 공장에서 상토 또는 인공용토를 제조 및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척박한 토양에서 어린 묘목의 생존 존치에 이르기까지 특화되어 생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상토 또는 인공용토를 개량해나가고 있지 못하다.
다만 최근들어 원예용 또는 식목용 인공용토는 일반적인 산과 들의 토양에서는 물론 척박한 야산이나 산간지, 모재토양(석비례)에서도 식수용 어린 묘목이 잘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오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비료 공정규격설정 및 지정 고시에 따르면 보통비료 및 부산물 비료 원료 중 보통비료의 사용가능한 원료로서 상토1호 및 상토2호의 원료 종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각각에 대한 밀도 기준, 함유할 수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 pH, EC, 암모니아태질소 등 그 밖의 규격과 상토의 공정분석법과 품질검사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상토의 원료로서 중요한 3대 원예용 상토 원료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등인데 이들 재료들은 모두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가격 불안 등의 문제와 수급의 불균형과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상시 대두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상토 원료의 국산화가 인공용토의 제조원가와 임목인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 원예 식목 업계와 관련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풀어나가야 할 숙원 과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또한 상토의 각 배합물질의 원료마다 묘목 생존 및 육성과 토양 품질에 기능하는 역할이 상이하여 배합비와 함유량에 따라 묘목 생장과 토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원료의 특성에 따라 묘목 생장과 토질 개량에 최적화된 상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척박한 토양 또는 환경 조건 하에서도 식목용 또는 조림용 어린 묘목의 생존율을 높이고 나무의 성장과 육성에 영향을 미치며 토양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상토를 개발하고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묘목의 생장과 토양 개량에 효과적인 상토를 개발함에 있어 그 원료단가를 낮추기 위해 상토 원료를 국산화할 수 있도록 대체성 있는 원료를 개발하여 인공용토의 생산성을 높이고 나아가 임목인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는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토의 상기 복합비료는 가축분 또는 계분의 발효퇴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토는 0.01 내지 0.1중량%의 습윤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토의 임산부산물 용토는 상기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임산부산물 용토의 수피와 톱밥의 중량비는 7: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상기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1~2개월간 발효하여 수분 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토의 제조방법은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상기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여 1~2개월간 상온에서 발효시켜 임산부산물 용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의 수분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토 조성물의 수분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상토는 0.01 내지 0.1중량%의 습윤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상토를 이용한 식목방법, 특히 어린 나무 묘목심는 방법은 묘목을 심기 위한 구덩이의 바닥의 최하면에 상토를 추가하고 물을 뿌리는 단계, 및 상기 상토가 묘목의 뿌리 사이에 접촉하는 면적이 많도록 뿌리를 털어 상기 묘목을 심고 흙을 덮고 다진 후 물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상토는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상기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여 1~2개월간 상온에서 발효시킨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목방법에서 상기 상토는 묘목 1주 당 200 내지 1000ml 또는 200 내지 1000g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목의 대상나무가 소나무 묘목일 경우 상기 상토는 소나무 묘목 1주 당 500ml 또는 500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목의 대상나무가 낙엽송인 경우 상기 상토는 낙엽송 묘목 1주 당 300 내지 500ml 또는 300 내지 500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양분이 적거나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식목사업과 조림사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어린 나무 묘목의 초기 생장과 중장기적인 생존 및 육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영양성분이 우수한 상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산화로 대체가능한 원료와 그 배합비가 개선된 상토와, 현 비료공장이나 축분퇴비 공장을 활용하여서도 추가적으로 제조가 용이한 상토 제조방법을 제공합으로써, 묘목 성장과 토질 개량이 우수한 상토를 경제적인 생산단가로 공급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임목인들의 생산성과 소득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상토를 활용하여 식목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는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0.01 내지 0.1중량%의 습윤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7:3의 비율이 적절하다.
상기 상토의 구성성분과 배합비는 상토의 생산단가를 증가시키는 해외 수입산 원료인 코코피트, 펄라이트 등을 포함하지 않거나 피트모스나 질석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크게 줄임으로써 개발상토의 경제적 단가비용을 크게 절감시킨다.
특히 화훼용 상토의 기본이 되는 인공용토로서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를 개발하여 기본원료로 고정하고 다양한 토양과 식목대상 나무의 특성에 따라 상토 원료를 혼합하여 확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도록 개발하였다.
임산부산물 용토는 특히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그렇게 배합된 임산부산물용토의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할 수 있다.
요소비료는 식물의 필수적인 영양성분인 질소로 변환되는 비료인데 식목이나 조림시 나무에 과도하게 투입할 경우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배합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수피와 톱밥으로 구성된 임산 부산물의 조성물에서 각 재료들의 탄질율(C(탄소)/N(질소)을 분석하고 그 비율을 조정하여 30 내지 40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일례로 상기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로 배합된 임산 부산물 조성물의 탄소가 44.9%, 질소 0.45%가 들어 있다면 그 탄질율(C/N)은 99.7%이 된다. 따라서 임산 부산물 조성물이 용토로서 잘 발효되고 부숙되기 위해서는 질소의 비율을 더 높임으로 탄질율을 30 내지 40이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간략한 수식으로 표현한다면 40(탄질율)=C(44.9)/N(0.45+X)가 된다. 이 수식에서 X값은 대략0.67이 되는데 이것은 상기 임산 부산물 조성물에 질소를 0.67%를 더 넣어야 발효 및 부숙이 효율적으로 잘 이루어진다는 의미가 된다. 이를 위하여 요소비료를 0.67중량%로 더 추가할 수 있다.
상토의 기본이 되는 주원료로서 임산 부산물 용토를 제조하고 난 후 임산 부산물 용토를 30 내지 40중량%로 한 후, 강모래 또는 질석찌꺼기/질석가루를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한다.
여기서 복합비료는 가축분 또는 계분의 발효퇴비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왕겨퇴비, 볏짚발효퇴비, 청초퇴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토의 용도에 따라 상기 성분물질의 배합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훼관엽식물용 상토의 경우 상기 임산 부산물 용토 3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찌꺼기/질석가루 40중량%, 피트모스 10중량%, 질석 15중량%, 및 복합비료 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수용토, 조경용 상토, 화훼 재배용 상토로서 다양한 식목 대상나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임산 부산물 용토(퇴비) 30중량% 정도를 기본재료로 설정하면서 상기 강모래 또는 질석찌꺼기/질석가루, 피트모스, 질석, 및 복합비료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토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토의 원료들 중 피트모스는 필수적인 원료이긴 하지만, 해외에서 수입하는 고비용 원가의 물질이고 흙에서의 수분 보유력을 높이는 기능이 있으나 pH가 3.5~4.5정도로 낮아서 토양의 산성도를 낮추고 재배 중 지나친 과습도 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식목사업이나 조림사업에 사용할 어린 나무 묘목용도로서 피트모스는 10중량% 이상으로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는 습윤제를 0.01 내지 0.1중량%로 추가할 수 있는데, 습윤제는 지나치게 토양이 건조하고 메마른 불모지에서 식목할 경우 상토의 빠른 건조와 지나친 수분 보유력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다만 습윤제의 포함 및 배합비는 토양의 성분, 성질, 영양상태와 날씨, 계절 등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후 묘목 식수 전에 기본적인 상토 배합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사용하여 상토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먼저 임산 부산물 용토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임산 부산물 용토의 성분물질을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S1)인데,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는 것이다.
다음의 과정으로 임산 부산물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고 1~2개월간 속성으로 발효하여 수분 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한다(S2).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산 부산물 용토의 수분함량이 17중량%가 되도록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정도의 수분함량에서 가벼운 흙이 특성이 유지되어 어린 나무 묘목의 잔뿌리에 부드럽고 분산되어 골고루 영양분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2 과정에서 생산된 임산 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를 기본으로,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상토 조성물을 제조한다(S3).
마지막으로 배합된 상토 조성물 역시 수분 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상토를 제조한다(S4).
이러한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상토를 사용하여 어린 나무 묘목을 식목하는 예시는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식목 방법과 마찬가지로 어린 묘목을 심기 위해서 땅 표면으로부터 적당한 반경과 깊이로 구덩이를 판다. 어린 묘목의 수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개발지, 혹은 식목사업이나 조림사업 예정지의 기획에 따라 소나무, 낙엽송, 아카시아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식목 방법은 구덩이를 파고, 나무 묘목을 넣은 후 흙을 덮고 물을 주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나무의 성장을 위해 영양제나 비료 또는 토양 개량제를 추가하는 경우는 흙의 표면 위에 비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충분히 물을 주는 과정을 부가할 뿐이다.
그러나 토양의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생존율이 높지 않은 어린 나무의 묘목을 심을 때는 나무의 이유식과 같이 영양성분이 포함된 본 발명의 상토를 어린 나무의 뿌리 부분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덩이 바닥 최하부면에 부가하여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 나무 묘목을 심기 위한 구덩이를 파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10)를 적절한 용량으로 추가한 후 필요에 따라서 물을 뿌려둘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에 추가된 상토가 묘목의 뿌리 사이사이에 접촉하는 면적이 많도록 상기 상토 위에 어린 나무의 뿌리를 털고 잔뿌리가 잘 펼쳐지도록 배치한 후 나머지 흙(20)을 덮고 다진다. 그런 다음 물을 충분히 뿌리는 것으로 식목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상토는 묘목 1주 당 200 내지 1000ml 또는 200 내지 1000g으로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식목의 대상나무가 소나무 묘목일 경우 상기 상토는 소나무 묘목 1주 당 500ml 또는 500g을 사용하고, 식목의 대상나무가 낙엽송인 경우 상기 상토는 낙엽송 묘목 1주 당 300 내지 500ml 또는 300 내지 500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토를 사용하여 어린 나무를 식목할 경우 일반적인 식목 방법이나 기존의 상토를 사용하거나 특정 비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어린 나무의 생존율과 성장율이 효과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하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그러한 효과를 입증하였다.
1. 식목장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처인성로 933, 완장리 일대
2. 식목일자 : 2019.9.17
3. 식목나무 : 2년생 소나무 및 낙엽송
4. 재식거리 : 1m x 1m, 8주 반복
5. 개량상토 배합성분비 :
임산부산물 용토(수분 17%) 40중량%, 강모래 및 질석찌꺼기 25중량%, 피트모스 20중량%, 질석 10중량%, 비분(복합비료) 5중량%
6. 처리내용 :
① 무처리 - 구덩이를 파고 나무를 심고 물을 주는 과정, 퇴비나 상토 없음
② 피트모스 300ml/주 - 나무 1주 당 유럽산 피트모스만 300ml 추가
③ 개량상토 200ml/주 - 요소비료 처리한 본 발명에 따른 개량상토 나무 1주 당 200ml 추가
④ 개량상토 300ml/주 - 요소비료 처리한 본 발명에 따른 개량상토 나무 1주 당 300ml 추가
⑤ 개량상토 500ml/주 - 요소비료 처리한 본 발명에 따른 개량상토 나무 1주 당 500ml 추가
⑥ 시중 원예용 상토 300ml/주 - 나무 1주 당 국내산 A사의 판매용 상토만 300ml 추가
7. 평가기준 : 식목 후 일수별 수고(나무의 높이 측정, cm), 원가절감 및 토양 수분 측정
8. 평가결과 : 표 1에 개시함
수종 소나무 낙엽송 기타 평가
조사일수 D+15 D+154 D+120 D+15 D+154 D+210 D+210
33.2 31.6 36.2 40.4 43.0 44.5 토양 변화 없음
27.9 32.5 38.8 41.9 43.5 46.7 원가 증대, 과습 증대
33.5 36.0 37.0 46.7 43.5 46.8 원가 절감, 과습 없음
32.1 38.5 43.0 46.6 45.5 47.2 원가 절감, 과습 없음
33.9 43.0 46.3 45.8 48.5 49.5 원가 절감, 과습 없음
27.2 46.3 34.7 43.8 47.7 47.0 원가 증대, 과습 보통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개량 상토를 사용하여 어린 나무 묘목을 식목하고 난 후 210일이 지난 후의 나무 높이를 잰 결과가 다른 기타 처리군인 무처리, 피트모스 처리, 시중 상토 제품 처리군에 비해 우수한 생존 유지 및 성장 효과를 보였다.
즉, 개량 상토를 다른 기타 처리군에 비해 적은 양을 부가한 3번 결과를 제외하고 동일한 양을 부가한 4번 결과와 500ml로 처리한 5번 결과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낙엽송보다 소나무 묘목에서 전반적으로 상토의 부가 효과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났으며, 식목 후 210일의 수고에서 식목 후 15일 경과한 후의 수고를 제외한 성장 높이가 5번 상토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즉, 피트모스 처리구인 2번은 소나무에서 10.9cm, 낙엽송에서 4.8cm로 성장한 반면, 시중 상토 처리구인 6번은 소나무에서 7.5cm, 낙엽송에서3.2cm로 성장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상토 처리구인 4번은 소나무에서 10.9cm, 낙엽송에서 0.6cm로 성장하였으며 5번은 소나무에서 12.4cm, 낙엽송에서 3.7cm로 성장하였다.
한편, 실험 결과에 따르면 피트모스 2번 처리구에서도 비교적 성장율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겠으나, 원가 비용이 높아지고 토양의 지나친 과습 현상이 시간이 갈수록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어린 나무 묘목용으로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토양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보유한 본 발명의 개량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큰 효과의 차이가 있어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무 1주 당 500ml의 개량 상토를 부가한 5번 처리구의 묘목 성장율이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 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토 20 : 흙

Claims (10)

  1.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비료는 가축분 또는 계분의 발효퇴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토는 0.01 내지 0.1중량%의 습윤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상기 수피와 톱밥이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임산부산물 용토는 상기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1~2개월간 발효하여 수분 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6.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상기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여 1~2개월간 상온에서 발효시켜 임산부산물 용토를 제조하는 단계,상기 임산부산물 용토의 수분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상기 건조된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상토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상토 조성물의 수분함량이 15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토의 제조방법.
  7. 제7항에 있어서,상기 상토는 0.01 내지 0.1중량%의 습윤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의 제조방법.
  8. 묘목을 심기 위한 구덩이의 바닥의 최하면에 상토를 추가하고 물을 뿌리는 단계, 및 상기 상토가 묘목의 뿌리 사이에 접촉하는 면적이 많도록 뿌리를 털어 상기 묘목을 심고 흙을 덮고 다진 후 물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목 방법에 있어서,상기 상토는 수피와 톱밥을 중량비 7:3 내지 8:2로 배합하고, 상기 배합된 조성물의 탄질율(C/N율)이 30 내지 40이 되도록 요소비료를 추가하여 1~2개월간 상온에서 발효시킨 임산부산물 용토 30 내지 40중량%, 강모래 또는 질석가루 25 내지 40중량%, 피트모스 10 내지 20중량%, 질석 10 내지 15중량%, 및 복합비료 5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상토를 묘목 1주 당 200 내지 1000ml 또는 200 내지 1000g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상토는 소나무 묘목 1주 당 500ml 또는 500g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상토는 낙엽송 묘목 1주 당 300 내지 500ml 또는 300 내지 500g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목 방법.
KR1020210012047A 2021-01-28 2021-01-28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47A KR102509352B1 (ko) 2021-01-28 2021-01-28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047A KR102509352B1 (ko) 2021-01-28 2021-01-28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45A true KR20220108945A (ko) 2022-08-04
KR102509352B1 KR102509352B1 (ko) 2023-03-14

Family

ID=8283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047A KR102509352B1 (ko) 2021-01-28 2021-01-28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6339A (zh) * 2022-08-31 2022-12-2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退桉还耕贫瘠地高效改种甘蔗的技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16A (ko) * 2000-06-29 2002-01-09 차동천 녹화용 인공토양조성물
JP2003339226A (ja) * 2002-05-28 2003-12-02 Kuraray Co Ltd 育苗用培土
KR20150001286A (ko) * 2013-06-27 2015-01-06 유상록 폐자재를 이용한 배양토의 제조방법
KR102173970B1 (ko) * 2020-07-01 2020-11-04 윤정미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16A (ko) * 2000-06-29 2002-01-09 차동천 녹화용 인공토양조성물
JP2003339226A (ja) * 2002-05-28 2003-12-02 Kuraray Co Ltd 育苗用培土
KR20150001286A (ko) * 2013-06-27 2015-01-06 유상록 폐자재를 이용한 배양토의 제조방법
KR102173970B1 (ko) * 2020-07-01 2020-11-04 윤정미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6339A (zh) * 2022-08-31 2022-12-2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退桉还耕贫瘠地高效改种甘蔗的技术
CN115486339B (zh) * 2022-08-31 2024-03-29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退桉还耕贫瘠地高效改种甘蔗的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352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145B1 (ko) 붓순나무 묘목 재배방법
Böhme et al. Sheep wool as fertiliser for vegetables and flowers in organic farming
CN108739253B (zh) 缓释型富硒园艺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42814A (zh) 一种低成本的番茄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87711B1 (ko) 블루베리 재배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352B1 (ko) 어린 나무 묘목심기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588223A (zh) 一种改善土壤酸性的南瓜种植方法
KR101789174B1 (ko)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CN107810820A (zh) 一种茉莉花的种植方法
CN106631615A (zh) 一种栽培柴油树的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13475290A (zh) 一种高效生态种植方法
CN106305244A (zh) 一种有机水稻离地育秧方法
CN111492933A (zh) 一种白玉兰育苗配生土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63300A (zh) 一种用于大棚粘玉米育苗的营养土及其应用
Alam et al. Effects of Indigenous Microorganism and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Formulation on Growth, Physiology, Nutrient Uptake and Rice Yield. Retrieved from ttps
CN104671965A (zh) 一种用于大棚甜瓜育苗的营养土及其应用
JP3452891B2 (ja) 水稲育苗用培地とその製造方法
Sanghamitra et al. Standardization of different potting media on physiological growth, yield and vase life of Dendrobium orchid cv. Sonia 17 under shade net conditions in high altitude tribal zone of Andhra Pradesh
Al-Ghawas et al. Influence of fertigation frequency on the yield of some vegetables cultivated in sand culture
Muttulani et al. Propagation and productivity evaluation of Anthurium (Anthurium andraeanum) using organic fertilizers in tropical conditions
CN114271172A (zh) 一种番茄复合基质配方
CN104663299A (zh) 一种用于大棚西红柿育苗的营养土及其应用
Sanafrian et al. Effect of cotton gin waste based growing media on growth and flowering of zinnia (Zinnia elegans)
Sharma et al. Response of irrigation scheduling and nitrogen levels on growth and yield contributing parameter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under mid hills of Himachal Pradesh
CN104671966A (zh) 一种用于大棚洋菇娘育苗的营养土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