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618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618A
KR20220108618A KR1020210011813A KR20210011813A KR20220108618A KR 20220108618 A KR20220108618 A KR 20220108618A KR 1020210011813 A KR1020210011813 A KR 1020210011813A KR 20210011813 A KR20210011813 A KR 20210011813A KR 20220108618 A KR20220108618 A KR 2022010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eeding
user
virtual
d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0500B1 (en
Inventor
이홍구
한성구
박신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00B1/en
Priority to PCT/KR2021/018447 priority patent/WO2022124755A1/en
Publication of KR2022010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8Details of the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7Data transfer via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94Unusual game types, e.g. virtual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by using a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pig breeding content by using a user terminal, includes: a content management unit transmitting content data for the driving of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a content driving unit receiving user control input linked with virtual duck breeding applied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data, and transmitting breeding action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input, to the user terminal; and a data analysis unit generating breeding action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control in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moting the vitalization of relevant industries by link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with offline farms.

Description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본원은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최근 들어, 신체적 건강에 대한 1차원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 마음과 정신의 치유 등을 추구하는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동물교감치유는 동물과의 정서적 유대를 통해 심리적 안정, 즐거움, 스트레스 감소 등의 심리 및 정서적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동물교감치유는 심리 및 정서적 치유 효과뿐만 아니라, 관찰력, 어휘구사능력, 기억력, 생명존중의식 향상 등의 인지적 효과와 이타심, 사회성, 공동체 생활 적응, 김장 완화, 고독감 해소 등의 사회적 효과까지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cently, interest in healing programs that pursue not only one-dimensional interest in physical health but also life satisfaction and healing of mind and spirit, etc.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animal sympathetic healing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because it can obta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ing effects such as psychological stability, pleasure, and stress reduction through emotional bonding with animals. It is known to provide cognitive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 vocabulary, memory, and respect for life, as well as social effects such as altruism, sociality, adaptation to community life, alleviating kimchi, and relieving loneliness.

이와 관련하여, 농장을 통한 축산체험 프로그램은 단순 1회성 관광이 아니라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는 체험이며,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수입축산물의 개방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 일자리 창출 및 축산물 소비위축 등 현 축산업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어 축산제품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견학하고 즉석에서 맛보는 등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In this regard, the livestock experience program through the farm is not a one-time tour, but an experience that can awaken the preciousness of nature and life. It was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ivestock industry, such as shrinkage, and it is done in a way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observing the process of making livestock products and tasting them on the spot.

그러나, 이러한 축산체험 프로그램은 농장의 위치적 특성, 방문객을 위한 위생, 안전 등에서 개선 사항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축산체험과 관련된 콘텐츠를 실제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사육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this livestock experience program still has improvements i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arm, hygiene and safety for visito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provide content related to livestock experience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connection with a breeding process performed in an actual farm.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4547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24547.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축산업 연계 자원을 활용한 가상 콘텐츠 기반의 활동 참여와 교감을 통해 참여자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 mobile game that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social, cognitive, and physical health of the participants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based on virtual content using resources linked to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 콘텐츠의 참여를 통해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도 자연스럽게 오리 사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문 축산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고도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rough participation in virtual content, users feel interest while naturally acquiring the knowledge required for breeding ducks. aims to provid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구동부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ransmits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a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manipulation input related to virtual duck breeding ap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data, and breeding action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may include a content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nd a data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manipulation input.

또한,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상기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반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Also,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may be reflected i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may generate prediction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on the actual duck, and generate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predicted data.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로 전송하는 오프라인 중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information on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o a real duck corresponding to an object to be virtually bred throug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t may include an offline relay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farm terminal that controls the breeding environment of the.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the prediction data does not meet a preset tolerance level, the data analyzer may generate feedback data for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hat allows the prediction data to satisfy the tolerance level.

또한, 상기 오프라인 중계부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상기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offline relay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farm terminal when the prediction data satisfies the allowable level.

또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user's learning level and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reward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wa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duck breeding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an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ransmitting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data Receiving a user manipulation input related to virtual duck breeding ap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prediction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a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on real ducks and generating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predic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농축산업 연계 자원을 활용한 가상 콘텐츠 기반의 활동 참여와 교감을 통해 참여자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virtual duck breeding using a mobile game that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social, cognitive and physical health of participants through participation and sympathy based on virtual content using resources linked to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may be provid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상 콘텐츠의 참여를 통해 사용자가 흥미를 느끼면서도 자연스럽게 오리 사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문 축산산업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고도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dvanced educational content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in the professional livestock industry that allows users to naturally acquire the knowledge required for breeding ducks while feeling interest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irtual content. hav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상의 오리 사육 콘텐츠와 오프라인 축산농가, 실제 관련제품 등을 연계함으로써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related industries by link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s, offline livestock farms, actual related products, and the like.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가 제공되는 메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user information input interface required to determine details of content data.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terface through whic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s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n interface in which feedback data for a user manipulation input is provided.
5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n interface in which rew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hievement is provided.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은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100)(이하, '서버(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er 100') ),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farm terminal 300 may be included.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rver 100 ,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farm terminal 3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20 . The network 20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20 include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term LTE (LTE) network.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a wifi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200) 및 농장 단말(3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farm terminal 300 are, for example, a smart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and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It may be any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erminal.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서버(10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200 has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nstalled, and receives content data for driving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100 to output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t may mean a device.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콘텐츠 데이터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 대상체(1)의 상태, 가상 계절, 가상 기후, 가상 질병 유행 상태, 가상 사육 관리 도구, 대상체(1)의 주변 배경, 가상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내 가상 요소들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ent data includes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for the object 1 , the state of the object 1 , the virtual season, the virtual climate, the virtual disease epidemic state, and the virtual breeding management tool. , data on virtual elements in various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s, such as the surrounding background of the object 1, virtual time, and the lik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농장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arm terminal 30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breeding environment of real duck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bred o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can mean

달리 말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결정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이고, 농장 단말(300)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필요에 따라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에 적용하고,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에 대한 실제 정보를 서버(100)로 제공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실제 농장(2)의 환경,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와 연계된 상황, 상태 등이 반영되도록 마련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other words,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owned by a user participating i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input associated wit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determines breeding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t is a device that outputs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reflecting the behavior result data, and the farm terminal 300 applies a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breeding environment of real ducks as necessary, and actual information on the breeding environment of real ducks. It may be a device provided to provid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the server 100 to reflect the environment of the real farm 2 and the situation, status, etc. associated with the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breeding object 1 . .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가 사육되는 농장(2)에 마련된 센서(21) 및 촬영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21)는 농장(2)의 사육 환경에 대한 센싱 정보(예를 들면, 농장(2)의 온도, 습도, 농장(2) 내의 소정의 영역에서의 진동, 음향, 압력 등의 각종 정보) 및 농장(2) 내에서 사육되는 실제 오리의 생체 신호에 대한 센싱 정보(예를 들면, 대상체(1)에 대응되는 실제 오리의 심박, 위치, 움직임, 체온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includes a sensor 21 and a photographing device provided in a farm 2 in which real ducks corresponding to an object 1 virtually raised o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re raised. (22) may be included. Illustratively, the sensor 21 may include sensing information for the breeding environment of the farm 2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sound, pressure, etc. 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farm 2 ). at least one of sens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heartbeat, location, movement, body temperature, etc. of the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on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real duck raised in the farm 2) It may be provided to obtain.

또한, 촬영 장치(22)는 농장(2) 내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를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촬영 장치(22)에 의해 획득되는 농장(2) 또는 실제 오리에 대한 영상은 농장 단말(300) 또는 촬영 장치(22)로부터 서버(100)로 전달되어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 반영되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lso, the photographing device 22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farm 2 to photograph an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 In this regard, the image of the farm 2 or the real duck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22 is transmitted from the farm terminal 300 or the photographing device 22 to the server 100 and reflected o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may be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도 2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user information input interface required to determine details of content data.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n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learning level of a user participating i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a purpose of content participation.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to the server 100 .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학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은 단순 체험 목적,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사용자가 단순 체험 목적의 콘텐츠 참여 목적과 대비하여 고도화된 참여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learning level may include the us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may be divided into a simple experience purpose, an expert training (education) participation purpos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regard,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matches the professional training (education) participation purpose, the user has an advanced participation purpose compared to the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for simple experience purpose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연령, 학력 등), 사용자의 참여 목적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막대(바) 형상의 오브젝트를 이동(드래그)하여 범위 구간 내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시키는 입력 등)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 콘텐츠 참여 목적 등과 관련한 복수의 선택 항목의 리스트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학습 수준과 연계된 사용자 정보, 콘텐츠 참여 목적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질의, 리커트(Likert) 척도 등의 설문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user information (age, academic background, etc.) associated with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a user who selects the user's participation purpos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may be to receive an input (for example, an input that moves (drags) the bar (bar)-shaped object shown in FIG. 2 to position it 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range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a list of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related to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learning level,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etc., or identify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s learning level,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etc. User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level of the user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the purpose of content participation in a way that provides questionnaire information such as a question and Likert scale and receives user input corresponding thereto can receiv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축산 관련 상식 또는 오리 관련 상식을 포함하는 학습 수준 파악을 위한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축산 관련 상식 또는 오리 관련 상식에 대한 퀴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퀴즈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화 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as a response to a query for understanding a learning level including common sense related to livestock or common sense related to duck to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quiz on common sense related to livestock or common sense related to ducks through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response of the quiz, and may transmit it to the server 100 by converting it into data.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하나로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us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level as any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을 동시에 고려하여 사육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를 사용자에 대하여 도출된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가상의 사육 콘텐츠 상에서 대상체(1)가 성장하는 속도를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breed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objects 1 that can be bred through virtual breed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derived for the user.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growth rate of the object 1 on the virtual breed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학습 수준이 높게 평가(예를 들면, 고급 수준으로 평가)될수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사육/조작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가 많아지도록 콘텐츠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대상체(1)가 성장하는데 소요되는 미리 설정된 성장 주기 등)마다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질의 정보를 재차 제공하고, 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평가된 사용자의 변동된 학습 수준을 반영하여 평가 이후 시점에 가상의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조작/사육할 수 있는 대상체(1)의 수가 증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content is determined so that the number of objects 1 that the user can breed/manipulate on breeding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increases as the user's learning level is highly evaluated (eg, evaluated as an advanced level). it may be In this regard, the server 100 re-provides the query information in order to re-evaluate the user's learning level every predetermined period (eg, a preset growth period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object 1 ), and the query information The number of objects 1 that the user can manipulate/bred on the virtual breeding content at a time point after the evaluation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or decrease by reflecting the changed learning level of the user newly evaluated based on the .

또한,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고도화될수록(달리 말해, 전문가 육성(교육) 참여 목적에 부합할수록)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1)의 성장 속도가 대상체(1)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환경의 실제 동물의 성장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 목적 등 고도화된 참여 목적에 부합하지 않을수록 가상의 사육 콘텐츠를 통해 사육되는 대상체(1)의 성장 속도가 대상체(1)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환경의 실제 동물의 성장 속도 대비 짧은 속도로 성장하도록 하는 속도로 결정(달리 말해, 대상체(1)의 성장 주기가 짧아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Also, illustratively, as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goal is advanced (in other words, the more it meets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education) participation), the growth rate of the object 1 bred through the virtual breeding content corresponds to the object 1 The growth rate of the object 1 bred through virtual breeding content is determined at a rate similar to the growth rate of the actual animal in the offline environment, and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does not meet the advanced participation purpose such as a simple experience purpose. may be determined to grow at a rate that is shorter than the growth rate of the actual animal in the offline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in other words, the growth cycle of the object 1 is determined to be shortened).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가상의 사육 콘텐츠의 콘텐츠 내용을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disclosed herein may determine in detail the content of the virtual breeding content in which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의 세부적인 사항(설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설정)에 따른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erver 100 determines details (settings) of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provided to a corresponding use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s content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atters (settings) to the user terminal 200 . ) can be transmitted.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서버(10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입력의 유형,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의 성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리워드의 유형,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예측 데이터에 대한 허용 수준, 예측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피드백 데이터의 내용(수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의 농장 단말(300)로의 전송 여부 등을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in more detail, the server 100 provides a user with a type of user manipulation input that the user can select o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he achievement of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 farm terminal 300 of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reward that can be provided, an acceptable level for prediction data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the content (level) of feedback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data, and a breeding behavior correspon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 can be variously determin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농장(2)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의 날씨(기후)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기상 서버 등)로부터 지역 정보에 따른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update the content data based on actual season and clim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gion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server 100 is the farm 2 or the actual season according to the local information from a separate external server (weather server, etc.) that provides local weather (clim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obtaining climate information.

또한, 서버(10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콘텐츠 데이터는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와 연동된 가상 환경 정보를 포함하도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가상 환경 정보를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반영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data updated by the server 100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00 to the user terminal 200 to include the virtual environment information linked with the actual season and climate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reflect the received virtu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output it.

도 3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가 제공되는 메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interface through whic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s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을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from the server 100 and drive the application. Also,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input for breeding virtual ducks through an interface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서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를 가상 환경의 배경 영역(3) 내에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경 영역(3)은 촬영 장치(22) 또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서버(100)로 제공된 농장(2)을 촬영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구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촬영 장치(22) 또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수신산 농장(2)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1)가 배경 영역(3) 내에 배치되는 공간의 면적, 위치, 배경 영역(3)에 대상체(1)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다른 가상의 오리에 대한 정보, 배경 영역(3)에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 배경 영역(3)에 배치되는 소정의 오브젝트(먹이통, 급수통 등)의 배치 정보 등을 실제 농장(2)과 대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may output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by disposing the object 1 virtually bred in the background area 3 of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is reg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ackground area 3 is generated ( may be built). For exampl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area of a space in which the object 1 is disposed in the background area 3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farm 2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22 or the farm terminal 300, Location, information about other virtual ducks placed to interact with the object 1 in the background area 3, the direction in which sunlight enters the background area 3, and a predetermined object (feeder) placed in the background area 3 , water supply tank, etc.)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actual farm (2).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정보 및 농장 별로 사육되는 실제 오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농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농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농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농장에서 사육되는 실제 오리에 대응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 가능한 대상체(1)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may provide a plurality of farm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and information on actual ducks raised for each farm. ca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farm from among a plurality of farm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real duck raised in the selected farm,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hrough virtual duck breeding object (1) )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복수의 농장 단말(300)로부터 농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농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농장 단말(300)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농장 단말(300)의 위치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 위치할 경우, 서버(100)는 해당 농장 단말(300)과 연계된 농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1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Also, the server 100 may obtain farm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farm terminals 300 . The server 100 may compa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location of the farm terminal 3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farm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location of the farm terminal 300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server 100 may transmit farm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arm terminal 300 to the user terminal 200 . have.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농장의 이름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농장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농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농장에서 사육되는 실제 오리에 대응하는 가상의 대상체(1)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어느 하나의 농장 이름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택 받은 농장의 농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오리의 목록을 오리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200)은 농장의 위치, 농장의 주소, 농장의 이력, 농장의 평수, 농장 운영자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농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received farm name list.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farm from among a plurality of farm information.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list of virtual objects 1 corresponding to real ducks raised on a farm selected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selection of any one farm name.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farm information of the selected farm.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list of ducks raised in a corresponding farm as an image of duck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various farm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farm, the address of the farm, the history of the farm, the average number of the farm, and information on the farm operator.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가된 대상체(1)의 목록 중 사용자가 가상으로 사육하려는 대상체(1)를 선택하는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상에서 출력되는 대상체(1)의 특성(예를 들면, 연령, 외형, 질병, 성별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특성을 반영하여 대상체(1)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output an object ( 1) characteristics (eg, age, appearance, disease, gender, etc.) may be determined, and the object 1 may be implemented by reflecting the determined characteristics.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지역 주위에서 실제로 사육할 수 있는 오리에 대응하는 대상체(1)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1)를 사육하고, 가상의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결과를 농장(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오리를 키우는 듯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고, 자신이 사육한 오리의 사육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00 may recommend the object 1 corresponding to the duck that can be actually bred around the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The user breeds the object 1 and may check the results of breeding real duck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object 1 through the farm 2 .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reality as if raising a real duck, and can obt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checking the results of breeding the ducks they have raised.

또한, 이와 관련하여,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대상체(1)의 특성에 따라 후술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분석 알고리즘의 내용, 피드백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허용 수준, 피드백 데이터의 내용 등이 선택된 실제 오리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reg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1 selected based on the object selection input, the content of the analysis algorithm for outputting prediction data on the effect of a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actual duck, feedback An acceptable level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data, content of feedback data, etc.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actual duck.

예시적으로, 대상체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대상체(1)가 매우 연령이 어린 오리인 경우, 서버(100)는 대상체(1)의 연령을 고려하여 전술한 분석 알고리즘, 허용 수준, 피드백 데이터 등이 연령이 어린 오리를 타겟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object 1 determined based on the object selection input is a very young duck,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above-described analysis algorithm, tolerance level, feedback data, etc.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f the object 1 . You may decide to target ducks that are younger in ag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메인 인터페이스 등) 상에 대상체(1)와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수단(도 3의 B)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수단은 버튼, 아이콘 등의 형태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실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선택된 경우, 농장 단말(300) 또는 촬영 장치(22)로부터 획득한 농장(2)의 실제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is an input means (FIG. 3) provided to output an image of a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on an interface (main interface, etc.) for outputt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B) may be provided. For example, such an input means may be shaped in the form of a button, an icon, or the like. In this regard, when the input means for outputting the actual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is selected, the server 100 uses the real image of the farm 2 obtained from the farm terminal 300 or the photographing device 22 to the user. It may b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200 .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메인 인터페이스 등) 상에 사용자의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참여에 따른 리워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입력 수단(도 3의 C)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수단은 버튼, 아이콘 등의 형태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리워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 is an input means ( 3C) may be provided. For example, such an input means may be shaped in the form of a button, an icon, or the like. An interface for outputting such rewar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서버(1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provide content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200 .

도 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 입력은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user manipulation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utrition-related element, a behavior-related element, an environment-related element, and a reproduction-related element.

예시적으로 영양 관련 요소는 대상체(1)에게 제공되는 먹이(사료)의 유형, 사료가 특정 성분을 포함 또는 미포함하는지 여부, 사료의 성분 배합, 사료의 투입 시간, 사료의 투입 주기, 사료의 투입량 등에 대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nutrition-related factors include the type of feed (feed) provided to the subject 1, whether the feed includes or does not contain a specific component, the composition of the feed, the input time of the feed, the input cycle of the feed, and the amount of feed It may include operation information for, and the like.

또한, 예시적으로 행동 관련 요소는 대상체(1)와 연계된 산란, 수면, 백신 접종, 서열화 행동, 짝짓기, 물 주변(물 웅덩이, 호수 등)에 모이는 행동, 주변의 식물, 수중 생물(어류 등)을 잡아먹는 행동, 새끼오리가 어미/사람을 따르는 행동, 섭식 행동, 음수 행동, 체온조절 행동, 호신행동, 단장행동, 구조(보호) 행동, 취소행동(알을 품는 행동), 이상행동(특정 행동 반복 등), 식란행동, 히스테리, 다음증(물을 많이 마시는 현상) 등과 관련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xemplary behavior-related elements include spawning, sleeping, vaccination, sequencing behavior, mating, gathering around water (puddles, lakes, etc.) associated with the subject 1, surrounding plants, aquatic organisms (fish, etc.) ( It may include manipulation information related to specific behavior repetition, etc.), fertility behavior, hysteria, polydipsia (the phenomenon of drinking a lot of water), and the like.

또한, 예시적으로 번식 관련 요소는 대상체(1)와 연계된 번식(성행동 및 산란행동 등) 등과 관련한 조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breeding-related element may include manipulation information related to breeding (eg, sexual behavior and spawn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object 1 .

또한, 예시적으로 환경 관련 요소는 대상체(1) 또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주변 환경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조작 정보, 오리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화(청소) 행위, 방역 수행, 천적(개, 고양이, 족제비 등)의 위협에 대한 대응, 소음, 악취, 밀사, 분진, 바닥오염, 미생물 오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xemplary environment-related elements includ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1 or surrounding environment-related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of the space in which the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is located, in the space in which the duck is located. It may include cleaning (cleaning) actions, performing quarantine, responding to threats from natural enemies (dogs, cats, weasels, etc.), noise, odor, emissary, dust, floor contamination, and microbial contamin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등의 구체적인 세부 항목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하여 수집(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설계(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에 해당하는 등 사용자 정보가 보다 고도화된 수준의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부합하는 경우,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항목의 수가 많아지도록 설정되고, 반대로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에 해당하는 등 사용자 정보가 비교적 가벼운 수준의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부합하는 경우, 영양 관련 요소, 행동 관련 요소, 환경 관련 요소, 번식 관련 요소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항목의 수가 적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 detailed items such as nutrition-related elements, behavior-related elements, environment-related elements, and breeding-related element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re collected (received)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200 . ) may be designed (set) based on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if user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more advanced level of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such as when the user's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content correspond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nutrition-related factors, behavior-related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breeding-related factors If the number of item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is set to increase, and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relatively light level of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such as the purpose of content participation corresponds to a simple experience, nutrition-related factors, behavior-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related factors It may be set so that the number of item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elements and the breeding-related elements is reduced.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콘텐츠 참여 목적, 학습 수준 등)를 평가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행동 관련 요소의 세부 항목으로서 번식, 접종 등과 같은 보다 복잡도가 높은 선택 사항은 배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server 100 evaluates the user information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learning level, etc.)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quantify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mplementation level, and quantify If the implemented implementation leve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it may operate to exclude more complex options such as breeding and inoculation as detailed items of behavior-related ele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대하여 적용될 경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되는 영향을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알고리즘을 보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generate prediction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a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on an actual duck. Illustratively, when a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is applied to an actual duck, the server 100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that provides as an output an effect predicted by conside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 of analysis algorithms.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가 보유한 예측 데이터 생성을 위한 분석 알고리즘은 농장(2)의 환경 정보, 실제 계절 및 기후 정보,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 및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기초하여 실제 오리의 심리 상태(스트레스 수준, 천적 유무, 주인의 돌봄 유무 등에 따른 심리 상태, 새끼오리의 어미오리 유무에 따른 불안, 천적에 대한 불안과 어미의 보호 행동, 서열/환경/경쟁 스트레스, 취소성, 단장, 호신, 보호 등), 건강 상태(특정 질병의 발병 확률, 먹이의 질과 양에 따른 체중 증감, 털의 윤기/색상 변화, 오리알의 크기와 먹이의 관계, 활동성, 생산성, 채식성, 분뇨상태, 생리상태(맥박 열 등) 등), 영양 상태(오염된 물(호수, 웅덩이 등)에 따른 건강 변화, 독초 또는 독충 섭취에 따른 건강 변화, 털 건강, 깃털상태(환우), 생산성(증체, 산란율, 난질 등), 활동성, 분뇨상태 등)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nalysis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prediction data possessed by the server 100 is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farm 2, the actual season and climate informati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and the user manipulation input. Based on the breeding behavior, the actual duck's psychological state (stress level, the presence of natural enemies, the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owner's care, etc., the anxiety of duckling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ther duck, anxiety about the natural enemy and the protective behavior of the mother, rank/environment/ Competitive stress, reversibility, grooming, self-defense, protection, etc.), health status (probability of certain diseases, weight gain or loss according to quality and quantity of food, change in hair gloss/color, relationship between duck egg size and food, activity, Productivity, vegetarianism, manure status, physiological status (pulse fever, etc.), nutritional status (health changes due to polluted water (lakes, pools, etc.) patient), productivity (growth, egg-laying rate, egg quality, etc.), activity, excreta state, etc.)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preset allowable range is satisfied.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 모델을 통해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 농장(2)의 환경 정보,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입력하면 해당 사육 행위에 대한 영향을 출력(도출)하는 분석 알고리즘을 구축할 수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uck,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farm 2, and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are input through various AI-based learning algorithm models that have been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the breed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build an analysis algorithm that outputs (derives) the influence on the behavior.

또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generat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ted prediction data.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generated prediction data does not meet the preset tolerance level, the server 100 may generate feedback data for a user manipulation input that allows the prediction data to satisfy the preset tolerance level.

도 4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n interface in which feedback data for a user manipulation input is provided.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대상체(1)에 먹이를 공급하도록 하는 조작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조작 입력이 인가된 경우, 서버(100)가 해당 시점의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에 따르면 해당 조작 정보를 실제 오리에 대하여 적용할 경우 먹이가 허용 수준을 벗어나도록 과도하게 자주 공급되어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내용을 반영한 피드백 데이터(5)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a user manipulation input including manipulation information for supplying food to the subject 1 is applied,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 at the time.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pplied to an actual duck, if it is judged that the predicted data does not meet the allowable level because the food is supplied excessively and frequently out of the allowable level, the feedback data 5 reflec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output can do.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조작 입력이 인가된 후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팝업, 대화창 등의 형태로 피드백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나,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표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feedback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after being applied on the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in a form that the user can recogniz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feedback data in the form of a pop-up, a chat window, etc., but may have various display forms tha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여기서,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는 농장 단말(300)을 통해 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100)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평가(예측)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Here, the actual duck stat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diction data satisfies the allowable leve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farm terminal 300 . In this regard, the server 100 not only performs evaluation (prediction) of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input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ctual duck, but also updates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can

여기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반응으로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의 변경 사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 조작 입력이 대상체(1)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 농장(2)의 상황과 연관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may mean a change i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s a response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In this regar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 disclosed herein provides not only the effect of the user manipulation input appli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n the object 1 , but also the state of an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farm 2 may be comprehensively reflected to provid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또한, 서버(10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농장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enerated prediction data meets a preset allowable level, the server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farm terminal 300 . Here, the farm terminal 300 receives information on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from the server 100 and controls the breeding environment of real duck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to be bred virtually throug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t may be a terminal that does

예를 들어, 농장 단말(300)은 환경 관련 요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농장(2)에 구비된 환경 요소를 가변하는 환경 제어 모듈(미도시)을 조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사용자 조작 입력이 농장(2)의 온도를 올리도록 하는 내용인 경우, 농장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 또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난방 제어 모듈(미도시)이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rm terminal 300 may operate an environment control module (not shown) that varies the environmental element provided in the farm 2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related element.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s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arm 2 , the farm terminal 300 receives the user manipulation input from the server 100 or information on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By receiving 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control module (not shown) to be driven.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실제 농장(2)에 항상 반영할 경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도록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하여 실제 오프라인 농장 환경에 반영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농장(2)에서 오리의 사육 환경을 본원에서의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제어하는 경험(체험)을 제공하면서도 농장(2)에서 실제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오리가 올바르게 사육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regard, if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s always reflected in the actual farm 2, a situation that may rather adversely affect the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may occur, so the content disclosed herein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the providing system 1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reeding behavior to the farm terminal 300 only when the prediction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on the actual duck satisfies the preset allowable level. ) to provide an experience (experience) in which the user controls the breeding environment of ducks on the real farm 2 throug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here by sending them to the actual offline farm environment while actually breeding them on the farm 2 It is possible to properly breed a duck corresponding to the target object 1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콘텐츠 참여 목적, 학습 수준 등)를 평가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구현 수준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구현 수준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를 실제 농장(2)에 반영하는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 사용자가 단순 체험 목적의 콘텐츠 참여 목적으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참여할 경우에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농장 단말(300)로 미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evaluates the user information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learning level, etc.)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o quantify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implementation level, If the implementation level is less than the preset threshold,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actual farm 2 may be selectively deactivated. For example, when a child user participates in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content for simple experience purposes, the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arm terminal 300 .

도 5는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른 리워드 정보가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n interface in which rewar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hievement is provided.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생성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rver 100 may provide rewa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generated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산출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의 상태 또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연산된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라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오프라인 산출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object 1 that is virtually bred throug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or the actu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ser'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uck. Also, the server 100 may generate rewar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offline products associated wit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user achievement.

여기서, 오프라인 산출물은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오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제품(예를 들면, 오리알 등), 오리의 사육 정보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서적, 강의 수강권, 농장 체험권, 축산 관련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ff-line product is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5 , a product obtainable through a duck (eg, duck egg, etc.), a book that can be used to obtain duck breeding information, a lecture ticket, a farm experience ticket, It may include livestock-related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rograms.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성취도에 따라 제공(지급)되는 리워드 정보의 유형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 콘텐츠 참여 목적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사용자의 연령이 유아, 아동 등이고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단순 체험 목적에 부합하는 경우 제공되는 리워드는 아동 사용자를 타겟하여 오리 관련 동화 서적, 오리 관련 완구 등으로 결정되는 반면, 사용자가 축산업계 종사자 또는 축산 관련 종사를 희망하는 학습자에 해당하거나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목적이 전문가 육성에 부합하는 경우 제공되는 리워드는 관련 자격증 획득을 위한 학습 도서, 전문강의 수강권 등으로 결정되는 등의 사용자의 수준, 연령 등에 따른 맞춤형의 리워드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is regard, the type of reward information provided (paid) to the user according to achievem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learning level,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etc. . More specifically, if the user's age is infant, child, etc., and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meets the simple experience purpose, the reward provided is determined by targeting a child user, such as a duck-related fairy tale book, a duck-related toy, etc. If the user is a worker in the livestock industry or a learner who wants to engage in livestock related activities, or if the user's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is to mee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ward provided is a user who is determined by learning books for acquiring related qualifications, special lecture tickets, etc. Rewards customized according to the level, age,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워드 정보의 유형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 건강 상태 관련 응답, 질병 이력 등의 건상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평가 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리워드 정보의 유형(예를 들면, 오프라인 산출물의 제품 유형 등)을 결정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ype of rewar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For example, the server 100 receives a health state such as a user's bio-signal, a health state-related response, and a disease history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derives evalu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s health state, Based on this, a type of reward information (eg, a product type of an offline product, etc.) may be determined.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콘텐츠 관리부(110), 콘텐츠 구동부(120), 데이터 분석부(130), 오프라인 중계부(140) 및 리워드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rver 100 may include a content management unit 110 , a content driving unit 120 , a data analysis unit 130 , an offline relay unit 140 , and a reward providing unit 150 .

콘텐츠 관리부(110)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110 may transmit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콘텐츠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110 receives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user's learning level and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transmits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can provide

콘텐츠 구동부(120)는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ntent driver 120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 user manipulation input associated wit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pproved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content data.

또한, 콘텐츠 구동부(120)는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driver 120 may transmit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

또한, 콘텐츠 구동부(120)는 수신한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driver 120 may update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f the actu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

데이터 분석부(130)는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unit 130 may generat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manipulation input.

또한, 데이터 분석부(13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예측 데이터가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the generated prediction data does not meet a preset tolerance level, the data analyzer 130 may generate feedback data for a user manipulation input that allows the prediction data to satisfy the tolerance level.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offline relay unit 140 transmits information on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farm terminal 300 that controls the breeding environment of real duck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to be virtually bred throug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can

또한,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생성된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농장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중계부(140)는 농장 단말(300)로부터 대상체(1)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lso, when the generated prediction data meets a preset allowable level, the offline relay unit 14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farm terminal 300 . Also, the offline relay unit 140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al duck corresponding to the object 1 from the farm terminal 300 .

리워드 제공부(150)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워드 제공부(150)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의 상태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성취도에 따라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와 연계된 오프라인 산출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ward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rewa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Specifically, the reward providing unit 150 calculates the user'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irtual duck breeding object throug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based on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and is linked wit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chieve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war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ffline product.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7에 도시된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the mobile game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서버(100)는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11 , the server 100 may transmit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200 .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위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input for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hat is approved through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content data.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generate predictive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a breeding action on the actual duck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manipulation input.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서버(100)는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S14, the server 100 may generat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prediction data.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서버(100)는 생성된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in step S15 ,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5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carry out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gam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
110: 콘텐츠 관리부
120: 콘텐츠 구동부
130: 데이터 분석부
140: 오프라인 중계부
150: 리워드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농장 단말
21: 센서
22: 촬영 장치
20: 네트워크
10: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110: content management unit
120: content driving unit
130: data analysis unit
140: offline relay
150: reward provider
200: user terminal
300: farm terminal
21: sensor
22: shooting device
20: network

Claims (8)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장치로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구동부;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As a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a mobile game,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data, a user manipulation input related to virtual duck breeding ap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breeding action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 content driving unit that transmits to and
a data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manipulation input;
A content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는,
상기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에 반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되,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is,
Doedoe reflected in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and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data analysis uni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generating predictive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on the actual duck, and generating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predicted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통해 가상으로 사육되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실제 오리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농장 단말로 전송하는 오프라인 중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 offline relay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o a farm terminal that controls a breeding environment of a real duck corresponding to an object to be raised virtually through the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Which will further includ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수준을 미충족하면,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analysis unit,
When the prediction data does not meet a preset tolerance level,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s to generate feedback data for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hat causes the prediction data to satisfy the tolerance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중계부는,
상기 예측 데이터가 상기 허용 수준을 충족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상기 사육 행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농장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ffline relay unit,
When the prediction data meets the allowable level,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ree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to the farm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 및 콘텐츠 참여 목적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management unit,
Receives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a user's learning level and content participation purpose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리워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eward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wa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duck breeding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Which will further includ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가상 오리 사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가된 가상 오리 사육과 연계된 사용자 조작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른 사육 행위가 실제 오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육 행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a mobile game,
transmitting content data for driving an application inclu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manipulation input associated with breeding virtual ducks ap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tent data;
generating predictive data related to an effect of a breeding action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on an actual duck; and
generating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predic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breeding behavior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comprising:
KR1020210011813A 2020-12-07 2021-01-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KR102540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13A KR102540500B1 (en) 2021-01-27 2021-01-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PCT/KR2021/018447 WO2022124755A1 (en) 2020-12-07 2021-12-07 Virtual crop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13A KR102540500B1 (en) 2021-01-27 2021-01-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18A true KR20220108618A (en) 2022-08-03
KR102540500B1 KR102540500B1 (en) 2023-06-05

Family

ID=8284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13A KR102540500B1 (en) 2020-12-07 2021-01-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5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18A (en) * 2001-06-30 2001-09-03 남일호 Cyber farm system in capable of growing crops or domestic animals through th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at
KR20190128511A (en) * 2018-05-08 2019-11-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virtual pots in mobile games
KR20200112342A (en)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업데이터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remote farm based on digital tw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18A (en) * 2001-06-30 2001-09-03 남일호 Cyber farm system in capable of growing crops or domestic animals through th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at
KR20190128511A (en) * 2018-05-08 2019-11-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virtual pots in mobile games
KR20200112342A (en)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업데이터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remote farm based on digital tw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500B1 (en)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wning The natural behavior debate: Two conceptions of animal welfare
Hosey Hediger revisited: how do zoo animals see us?
Buller Individuation, the mass and farm animals
Green et al. Extending ideas about animal welfare assessment to include ‘quality of life’and related concepts
Armstrong Oma Between trust and domination: social contracts between humans and animals
Webber et al. Welfare through competence: A framework for animal-centric technology design
North et al. Frameworks for ACI: animals as stakeholders in the design process
KR1025331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horse breeding content using user terminal
KR1025405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duck breeding content using mobile game
KR102540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ultry experience using mobile game
KR1025404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pig breeding content using user terminal
KR1025331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attle breeding content using user terminal
KR1025264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lactobacillus production content using mobile game
Cooke Exploring types of programs: dog rescue, rehabilitation and training
Mc Loughlin Care and its discontents: Commodification, coercive cooperation, and resistance in Copenhagen Zoo
Pemberton et al. The invention of the basset hound: breed, blood and the late Victorian dog fancy, 1865–1900
US10521523B2 (en) Computer simulation of animal training scenarios and environments
KR202201086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ompanion animal rearing content using user terminal
Campbell et al. Intervention mapping to develop a print resource for dog-walking promotion in Canada
Gilbert Interspecies relations in equestrian sport
Halprin et al. Happy animals at small scales: farmers’ portrayal of local food systems in New Jersey as an organic answer for farm animal welfare ethical concerns
Farmer-Dougan et al. Disequilibrium as an alternative to internal states and affordance
Robinson Animal-Computer Interaction: Designing Specialised Technology with Canine Workers
Lie Emotional Contagion and Mimicry of Behavior between Horses and their Handlers
Davie et al. Self-Rehabilitation of a Captive American Crow at Binghamton Zo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