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529A -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 Google Patents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529A
KR20220108529A KR1020210011631A KR20210011631A KR20220108529A KR 20220108529 A KR20220108529 A KR 20220108529A KR 1020210011631 A KR1020210011631 A KR 1020210011631A KR 20210011631 A KR20210011631 A KR 20210011631A KR 20220108529 A KR20220108529 A KR 20220108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plate
cutlery
stand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958B1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21001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9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100)에 거치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공(120)에 회동판(140)이 장착되되, 상기 회동판(140) 일면에 수저 받침대(16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140)을 뒤집어 가며 상기 수저 받침대(160)를 상기 상판(100) 위로 드러나게 하거나 또는 숨겨지게 함으로써 수저 받침대(16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Table}
본 발명은 식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식탁에 관한 것이다.
식탁에서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식기가 사용된다. 수저나 포크와 같은 것인데, 이러한 식기는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음식물을 집거나 식탁에 올려두는 행동을 반복하며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음식이 묻어 있는 식기를 식탁 위에 올려두게 되면 식탁이나 식기가 오염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수저 받침대와 같이 식기를 식탁에서 띄워 받칠 수 있는 별도의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저 받침대는 식탁과는 별도로 준비되는 것이어서 별도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 식탁 위에 두어야 하는 것임에 따라 음식을 섭취할 때마다 꺼내서 식탁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한쪽으로 치워야 하는 등 사용에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분실의 우려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60001668호(2006.01.17)
본 발명은 수저 받침대를 식탁에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하되, 필요할 때만 수저 받침대를 노출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식탁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저 받침대가 형성된 회동판을 식탁 상판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수저 받침대가 필요할 때만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켜 수저 받침대가 식탁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식탁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저 받침대가 필요한 상황에서 수저 받침대를 식탁 상판으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수저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탁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의 작동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4는 본 본발명에 의한 수저 받침대가 회동판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수저 받침대를 식탁에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하되, 필요할 때만 수저 받침대를 노출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식탁을 제공하고자, 상판에 거치공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공에 회동판이 장착되되, 상기 회동판 일면에 수저 받침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을 뒤집어 가며 상기 수저 받침대를 상기 상판 위로 드러나게 하거나 또는 숨겨지게 함으로써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식탁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탁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의 작동을 보여주는 발췌도, 도 4는 본 본발명에 의한 수저 받침대가 회동판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탁은 상판(100)에 회동판(140)이 형성되는바, 회동판(140)에는 수저 받침대(160)가 형성된다.
상판(100)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식탁에 채택되는 것과 다름없는 것으로, 목재,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판(100)에 적어도 하나의 거치공(120)이 형성된다. 거치공(120)은 사각형상, 원형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0)에 형성되는 거치공(120)은 상판(100)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가 필요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4인용 식탁의 경우 4개의 거치공이 형성되는 방식이다.
회동판(140)은 거치공(12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일면에는 수저 받침대(160)가 형성되는데, 수저 받침대(160)는 회동판(1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140) 일면에 'ㄷ'자 형상을 이루어 입구가 형성된 레일틀(170)이 형성되고, 수저 받침대(160) 양측으로는 레일돌기(162)가 형성되어 레일돌기(162)를 레일틀(170)에 끼우거나 빼냄으로써 수저 받침대(160)를 회동판(140)에 착탈식으로 설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구성 외에도 나사로 고정하거나 자석 또는 테이프로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저 받침대를 회동판(140)에 고정할 수 있다.
회동판(140)은 거치공(120)에 장착된다. 거치공(120)에 얹혀지거나 끼워질 수 있고,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된다. 뒤집으면서 수저 받침대(160)를 상판(100) 위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뒤집어 수저 받침대(160)가 노출되지 않게 숨길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수저 받침대(160)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수저 받침대(160)를 상판(100) 위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회동판(140)은 거치공(120)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회동판(140) 양쪽 끝단이 거치공(120) 양쪽 벽면에 축으로 고정됨으로써 달성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회동판(140)을 거치공(120)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회동판(140)을 원할 때마다 뒤집어서 수저 받침대(160)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회동판(140)이 거치공(120)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구조에서 회동판(140)은 거치틀(142)에 설치된 상태로 거치공(1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회동판(1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틀(142)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회동판(140)이 축으로 설치되어 회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회동판(140)이 설치된 거치틀(142)이 상판(100)에 형성된 거치공(120)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회동판(140)을 미리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두고 거치틀(142)을 거치공(120)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 회동판(140)을 상판(1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회동판(140)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구성에서 회동판(140)의 회동을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스톱퍼(180)가 그것인바, 회동판(140)을 회동시켜 상판(100)과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스톱퍼(180)로 회동판(140)을 고정하여 회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톱퍼(180)는 회동판(140)이 거치공(120)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 거치공(120) 가장자리서 상판(100)에 형성될 수 있고, 회동판(140)이 거치틀(142)에 설치된 상태에서 거치공(120)에 장착되는 경우 거치틀(142)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톱퍼(180)는 회동판(140)의 회동을 단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예로 몸체에서 핀이 출몰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핀이 버튼에 의해 출몰되는 것이 채택될 수 있는바, 상기 버튼을 눌러 상기 핀을 돌출시키면 상기 핀이 회동판(140) 측면에 박힘으로써 회동판(140)이 회동되지 않게 되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식탁은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회동판(140)을 뒤집어 수저 받침대(16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저 받침대(160)가 필요할 경우 회동판(140)을 뒤집어 수저 받침대(160)가 상판(100) 위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저 받침대(160)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수저 받침대(160)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수저 받침대(160)를 별도로 준비하여 보관하거나 꺼내는 불편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상판, 120 : 거치공,
140 : 회동판, 142 : 거치틀,
160 : 수저 받침대, 162 : 레일돌기,
170 : 레일틀, 180 : 스톱퍼.

Claims (4)

  1. 상판(100)에 거치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공(120)에 회동판(140)이 장착되되,
    상기 회동판(140) 일면에 수저 받침대(16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140)을 뒤집어 가며 상기 수저 받침대(160)를 상기 상판(100) 위로 드러나게 하거나 또는 숨겨지게 함으로써 수저 받침대(16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0)은 거치틀(142) 내부에 축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치틀(142)이 상기 거치공(12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동판(140)이 상판(100)에서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틀(142)에는 스톱퍼(180)가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180)로 상기 회동판(140)을 회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0) 일면에는 'ㄷ'자 형상을 이루어 입구가 형성된 레일틀(170)이 형성되고, 상기 수저 받침대(160) 양측으로는 레일돌기(162)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돌기(162)를 상기 레일틀(170)에 끼우거나 빼냄으로써 상기 수저 받침대(160)를 상기 회동판(140)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KR1020210011631A 2021-01-27 2021-01-27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KR10250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31A KR102509958B1 (ko) 2021-01-27 2021-01-27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31A KR102509958B1 (ko) 2021-01-27 2021-01-27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29A true KR20220108529A (ko) 2022-08-03
KR102509958B1 KR102509958B1 (ko) 2023-03-15

Family

ID=8284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31A KR102509958B1 (ko) 2021-01-27 2021-01-27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88B1 (ko) * 2006-08-07 2008-09-08 임두만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US20140261552A1 (en) * 2013-03-15 2014-09-18 Stephen Robert Ellebracht Dishwasher-Dining table Having Rotatable Tabletop
KR101560177B1 (ko) * 2015-09-11 2015-10-14 주식회사 인플러스 식기세척이 가능한 식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88B1 (ko) * 2006-08-07 2008-09-08 임두만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US20140261552A1 (en) * 2013-03-15 2014-09-18 Stephen Robert Ellebracht Dishwasher-Dining table Having Rotatable Tabletop
KR101560177B1 (ko) * 2015-09-11 2015-10-14 주식회사 인플러스 식기세척이 가능한 식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958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784A (en) Kitchen caddy with cutting board
US20060237379A1 (en) Adjustable dish rack
KR20220108529A (ko) 수저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탁
US20120273440A1 (en) Lid holder device
JPH08275858A (ja) 台所用具を兼ねる装飾盤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CN204146735U (zh) 一种陈列卷烟的凹槽圆盘形样品架
JP5041280B2 (ja)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具
US20180064290A1 (en) Cutting board assembly
JP3160837U (ja) 卓上三面鏡
JP2020074969A (ja) 食品用手動ミル
CN217696340U (zh) 一种瓶子支架
FR2575932A1 (fr) Jouet a dessiner magnetique
JPH0228777Y2 (ko)
FR2838317A1 (fr) Plateau repas avec prehension d'une seule main pour manger debout
CN210449256U (zh) 一种组合式多功能实验桌
USD629631S1 (en) Floral design apparatus
KR200393824Y1 (ko) 식품용기 거치대
KR200489814Y1 (ko) 흡착식 시계용 거치대
US20160015171A1 (en) Detachable utility holder for table umbrella
KR200216457Y1 (ko) 테이블 탈부착식 자석수저받침
KR200216458Y1 (ko) 테이블 탈부착식 큐방수저받침
JP3017882U (ja) 角パイプに対する回転テーブルの取付構造および同構造を備えた収納棚
JP2006280667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用架設板
JPS6034178Y2 (ja) 流し台の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