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449A - 모듈형 캣타워 - Google Patents

모듈형 캣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449A
KR20220108449A KR1020210011464A KR20210011464A KR20220108449A KR 20220108449 A KR20220108449 A KR 20220108449A KR 1020210011464 A KR1020210011464 A KR 1020210011464A KR 20210011464 A KR20210011464 A KR 20210011464A KR 20220108449 A KR20220108449 A KR 2022010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 tower
modular
tow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929B1 (ko
Inventor
장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알 그룹코리아
장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알 그룹코리아, 장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알 그룹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49A/ko
Priority to KR1020230018798A priority patent/KR2023002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듈형 캣타워를 제공한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택배배송에 적합하도록 모듈형으로 제작하고, 복수의 블록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캣타워를 설치하려는 공간에 알맞은 높이와 크기로 다양한 형상의 캣타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캣타워{Module Type Cat Tower}
본 발명은 모듈형 캣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하려는 공간에 알맞은 높이와 크기로 조립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원하는대로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듈형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로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캣타워를 찾는 사람들도 증가하였다. 캣타워는 고양이를 키우는 집에서 필수용품처럼 쓰이고 있으나, 기존의 캣타워는 높은 곳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특성을 반영하여 높이가 길고 크기가 크게 제작되지만 조립이 어려워 택배배송에 불편함이 있으며, 고양이를 키우는 집집마다 공간의 크기차이가 있어 원하는 높이와 크기의 캣타워를 찾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8591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블록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모듈형 캣타워에 있어서,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공간에 알맞은 높이와 크기로 조립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원하는대로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캣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블록에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캣타워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판형부재;가 상호 조합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 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형부재를 복수개를 상호 조립하여 형성된 정육각면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직선면, 곡선면, 볼록면, 오목면, 굴곡면 또는 요철면 중 선택된 가공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맞춤 체결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스크류캡이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상호 체결되어 이웃하는 판형부재를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전면 및/또는 후면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도록 하여, 세척과 청소,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의 하방을 폐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탈부착 가능한 스크류캡;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설정된 폭만큼 길이조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입면을 기준으로 일자(I), 기역자(ㄱ), 디귿자(ㄷ), 미음자(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재는,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부재의 가이드를 내부에 수용하여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확장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및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가 상호 조합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 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이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캣타워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블록부 사이를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블록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블록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교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부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 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량부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마찰을 제공할 수 있는 나무, 삼줄, 골판지, 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크래쳐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모듈형 캣타워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듈형 캣타워는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택배배송에 적합하며, 복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설치하려는 공간에 알맞은 높이와 크기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견고한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므로 블록을 어떠한 방식으로 쌓아도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블록을 쌓은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태 및 기역자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블록을 쌓은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의 설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부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100)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블록부(110)를 조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립이 간편하고, 기존의 비조립형 캣타워는 높은 곳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특성 상 길이가 높게 제작되어 택배배송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100)는 조립하여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택배배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복수의 블록이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100)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10)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형부재(111) 복수개를 상호 조립하여 형성된 정육각면체로, 상기 판형부재(111)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직선면, 곡선면, 볼록면, 오목면, 굴곡면 또는 요철면 중 선택된 가공면(111a)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는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113)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113)는 상기 판형부재(111)별로 형상과 모양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각기 달리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판형부재(111)는 상기 개방부(113)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113)의 하방을 폐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수납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납부(114)는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고양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간식, 사료 등을 넣어서 보관하거나 고양이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부재(111)는 전면 및/또는 후면의 설정된 위치에 세척과 청소가 용이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덮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운 날씨에는 탈착하여 사용하다가 추운 날씨에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캣타워를 구매할 때 캣타워의 재질에 대한 고민없이 고양이의 선호에 따라서 부드러운 직조 소재의 덮개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캣타워 형상 구현 시 일부 판형부재(111)에는 부드러운 직조 소재의 상기 덮개(190)를 부착하고, 일부 판형부재(111)는 원형 그대로 사용하여 고양이가 원하는 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판형부재(111)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33) 및 상기 연결부(133)와 맞춤 체결되는 스크류캡(134)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연결부(133) 및 상기 스크류캡(134)이 상기 관통된 홈(112)을 통해 상호 체결되어 이웃하는 판형부재(111)를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3)는 설정된 형태의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스크류캡(134)과, 스크류캡(134)을 일정한 방향으로 돌려서 끼우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는 설정된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몸체(131), 상기 몸체(131)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132), 상기 가이드(132)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133) 및 상기 연결부(133)와 탈부착 가능한 상기 스크류캡(134)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131) 및 상기 가이드(132) 중 적어도 하나는 설정된 폭만큼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110)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31)는 입면을 기준으로 일자(I), 기역자(ㄱ), 디귿자(ㄷ), 미음자(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110)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30)는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부(135) 및 상기 체결부(135)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다른 연결부재(130)의 가이드(132)를 내부에 수용하여 복수개의 연결부재(130)를 확장 체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암수나사를 끼우는 형태, 나사산을 가지고 일정한 방향으로 돌려서 끼우는 형태, 상기 체결부(135)의 홈에 맞춰 끼워 넣는 형태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체결된 상기 연결부재(130)를 이용하면 상기 블록부(110)를 가로, 세로 2X2 크기로 쌓을 때에도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확장 체결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마개(136)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135)를 폐쇄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 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블록을 쌓은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 형태 및 기역자 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블록을 쌓은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부(110)는 상기 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블록을 상하 혹은 좌우로 긴 형태로 연결하려면 각 블록이 맞닿은 부분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홈(112)을 일자 형태의 몸체(131)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30)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블록을 니은자('ㄴ'자) 형태로 연결하려면 기역자 형태의 몸체(131)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30)를 이용하여 3개의 블록이 맞닿은 부분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홈(112)을 연결함으로써 어떠한 형태로 블록을 쌓더라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한 다수의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형 캣타워(100)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112)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111) 및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111)를 성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112)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170)가 상호 조합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112)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111)와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111)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112)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170) 및 상기 관통된 홈(112)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 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110)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110)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캣타워 형상을 설정하고,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이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100)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캣타워(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블록부(110) 및 상기 블록부(110) 사이를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블록부(110)를 연결하거나, 상기 블록부(1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교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기둥부재(170)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을 통해 기둥부재(170)와 연결되는 방법, 설정된 크기의 구멍을 뚫어 상기 연결부재(130)를 통해 상기 블록부(110)와 연결되는 방법, 별도의 판재를 상기 블록부(110)에 부착시켜 해당 판과 상기 교량부(150)를 연결시키는 방법 등이 쓰일 수 있고, 상기 블록부(110)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112)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110)와 상기 교량부(150)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111),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111)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112)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170) 및 상기 관통된 홈(112)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 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110)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부(150)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는 마찰을 제공할 수 있는 나무, 삼줄, 골판지, 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크래쳐부(151)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모듈형 캣타워(100)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쳐부(151)는 모듈형 캣타워(100)를 사용하는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앞발톱을 긁을 수 있도록 거친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지칭한다. 이러한 스크래쳐부(151)는 고량부(150)의 설정된 전면(및/또는 후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볼트-너트 등)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양이 등 반려동물이 앞발톱을 반복적으로 긁는 스크래칭을 통해 영역 표시나 발톱 갈이, 발톱 다듬기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교량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가 아닌,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의 설정된 위치(일 예로 하단부)에 전술한 블록부(110) 등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또는 거치)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고리(미도시)를 포함하는 나무, 그물, 삼줄, 타공 등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구멍이 다수 형성된 골판,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천과 같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치부(151)는 교량부(150)와 일체 또는 일부분에 별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캣타워(1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높이로 쌓아 올릴 수 있는 기둥부재(170)를 이용하여 캣타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재(170)와 함께 상기 고량부(150)를 필요한 위치에 적절히 형성(거치)하여 좀 더 다양한 형상의 캣타워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표시되어 있는 A, B, C 부분과 같이 각각을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다양한 스크래쳐를 고양이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한 집에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키우는 경우, 각 고양이들의 기호에 맞는 스크래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70)는 상기 교량부(150) 및/또는 스크래쳐부(151)와 마찬가지로 나무, 삼줄, 골판, 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여 고양이가 발톱을 긁어 관리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용도로 사용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캣타워(100)는 다수의 블록부(110)를 견고한 연결을 돕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원하는 대로 연결하여 설치하려는 공간에 알맞은 크기와 높이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스크래쳐부(150)를 통해 고양이를 위한 별도의 스크래쳐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기둥부재(170)를 포함하여 더욱 다양한 캣타워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듈형 캣타워
110: 블록부
111: 판형부재
111a: 가공면
112: 홈
113: 개방부
114: 수납부
130: 연결부재
131: 몸체
132: 가이드
133: 연결부
134: 스크류캡
135: 체결부
136: 마개
150: 교량부
151: 스크래쳐부
170: 기둥부재
190: 덮개

Claims (12)

  1. 복수의 블록이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캣타워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판형부재;가 상호 조합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형부재를 복수개를 상호 조립하여 형성된 정육각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직선면, 곡선면, 볼록면, 오목면, 굴곡면 또는 요철면 중 선택된 가공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고양이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맞춤 체결되는 스크류캡;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스크류캡이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상호 체결되어 이웃하는 판형부재를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전면 및/또는 후면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도록 하여,
    세척과 청소, 관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의 하방을 폐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탈부착 가능한 스크류캡;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설정된 폭만큼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입면을 기준으로 일자(I), 기역자(ㄱ), 디귿자(ㄷ) 미음자(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블록부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측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부재의 가이드를 내부에 수용하여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확장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10.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및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
    가 상호 조합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 형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11.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설정된 캣타워 형상의 구현,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12. 복수의 블록이 체결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조립되는 모듈형 캣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캣타워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블록부 사이를 양단부가 각각 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블록부를 연결하거나, 상기 블록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교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부는,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관통된 홈;을 포함하고,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정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판형부재;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판형부재를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관통된 홈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체결되는 기둥부재;
    상기 관통된 홈을 통해 이웃하는 제1 판형부재 및 제2판형부재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체결을 통해, 상기 블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량부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마찰을 제공할 수 있는 나무, 삼줄, 골판지, 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크래쳐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모듈형 캣타워의 다양한 입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캣타워.

KR1020210011464A 2021-01-27 2021-01-27 모듈형 캣타워 KR10253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64A KR102537929B1 (ko) 2021-01-27 2021-01-27 모듈형 캣타워
KR1020230018798A KR20230025689A (ko) 2021-01-27 2023-02-13 모듈형 캣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64A KR102537929B1 (ko) 2021-01-27 2021-01-27 모듈형 캣타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798A Division KR20230025689A (ko) 2021-01-27 2023-02-13 모듈형 캣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49A true KR20220108449A (ko) 2022-08-03
KR102537929B1 KR102537929B1 (ko) 2023-05-31

Family

ID=828474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464A KR102537929B1 (ko) 2021-01-27 2021-01-27 모듈형 캣타워
KR1020230018798A KR20230025689A (ko) 2021-01-27 2023-02-13 모듈형 캣타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798A KR20230025689A (ko) 2021-01-27 2023-02-13 모듈형 캣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79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CN103891624A (zh) * 2014-04-24 2014-07-02 东莞市峄董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积木宠物组装箱
JP2014226103A (ja)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クヲルト 愛玩動物用遊戯具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KR101859125B1 (ko) 2016-12-08 2018-06-27 (주)몬도미오 모듈형 캣타워
KR20180108020A (ko) *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케이지티 고양이용 조립형 스크래쳐
KR20200139334A (ko) * 2019-06-04 2020-12-14 이남주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JP2014226103A (ja) *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クヲルト 愛玩動物用遊戯具
CN103891624A (zh) * 2014-04-24 2014-07-02 东莞市峄董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积木宠物组装箱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KR101859125B1 (ko) 2016-12-08 2018-06-27 (주)몬도미오 모듈형 캣타워
KR20180108020A (ko) *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케이지티 고양이용 조립형 스크래쳐
KR20200139334A (ko) * 2019-06-04 2020-12-14 이남주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689A (ko) 2023-02-22
KR102537929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3027A (en) Cat scratching post
US8141518B2 (en) Animal shelter with integrated storage and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5875735A (en) Modular animal perch attached to wall
AU2004281289B2 (en) Panel cover attachments to snap together connectors
US6886495B1 (en) Modular housing for cats
US9867364B2 (en) Top member for a terrarium and the terrarium itself
US10881200B2 (en) Integrated, modular shelving system
US20100175630A1 (en) Window Bird House
KR20220108449A (ko) 모듈형 캣타워
KR102029224B1 (ko) 반려동물용 탈착식 보조 도어
US4966097A (en) Animal containment system
US6439404B1 (en) Multipurpose support
TWM397143U (en) Wall-mounted cat house device
US10098319B1 (en) Pet activity module
KR102607549B1 (ko) 고양이 이동용 연결구조물 조립체
US20070210226A1 (en) Peg bar
KR102573740B1 (ko)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되는 스크래쳐 부재를 구비한 고양이 하우스
KR20190001087U (ko) 캣 타워
JP2013212090A (ja) ペット用サークル
US20210386034A1 (en) Cat furniture with panel elements
KR20080108694A (ko) 수상 구조물
GB2535551B (en) Spacing element for spacing a fence panel from a gravel board
JP6865960B2 (ja) 小動物用ケージ
KR200310209Y1 (ko) 수납장
KR100522555B1 (ko) 천정 코너 고정형 수납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