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295A -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295A
KR20220108295A KR1020210011118A KR20210011118A KR20220108295A KR 20220108295 A KR20220108295 A KR 20220108295A KR 1020210011118 A KR1020210011118 A KR 1020210011118A KR 20210011118 A KR20210011118 A KR 20210011118A KR 20220108295 A KR20220108295 A KR 2022010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langes
corrugated pipe
pair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797B1 (ko
Inventor
임건재
Original Assignee
(주)지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니텍 filed Critical (주)지니텍
Priority to KR102021001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플랜지와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오링과,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체결된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파형관 연결 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되어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매설되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pip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전선 등의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가정 또는 건물로부터 전달하는 전선이나 통신수단인 통신케이블 등은 지하에 매설되는 바, 이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이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관체가 같이 매설된다.
종래의 관체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관체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내구성 강화를 위해 파형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관계로, 이 파형관과 파형관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수단이 필요하다.
파형관과 파형관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은, 각종 케이블이 내부에 관통되는 파형관이 지하에 매설되는 특성상, 지하에 잔류하는 지하수 등이 상기 파형관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성이 필요하다
방수를 위해, 종래에는 관 이음부에 어댑터를 끼우고, 실링 테이프를 밀착시켜 감은 후, 실링 테이프 위해 수밀 테이프를 감고, 수밀 테이프 위해 비닐 테이프를 감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처럼 종래에는 테이프를 이용한 삼중의 방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시공 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형관의 외주연이 굴곡진 형상이기 때문에 테이프를 감는 것만으로는 누수 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관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방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현장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는, 서로 마주하는 두 파형관의 연결단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와, 한 쌍의 플랜지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오링과, 복수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오링에 의해 상기 공간이 밀폐되도록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면에 오링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링홈이 형성되고, 오링홈의 내면은 오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오링은 압축되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는, 오링홈의 내면으로부터 한 쌍의 플랜지의 두께 방향으로 파인 연장홈을 더 포함하고, 연장홈은 오링의 단면 중심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은 연장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의 단면은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는, 한 쌍의 플랜지에서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에 안착되고, 복수의 체결홀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태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보강부재는 복수의 체결수단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수단은, 복수의 체결홀 및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홀은 보강부재의 외측에 치우쳐서 형성되고, 한 쌍의 플랜지 및 보강부재는 볼트의 머리 부분과 너트에 의해 함께 압입될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는 마주하는 개방단을 가진 'C'자 형태의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힌지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형관 연결 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되어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매설되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파형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오링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하나의 플랜지에만 오링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오링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오링이 개재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플랜지와 보강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보강부재가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로 분할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가 힌지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파형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오링이 개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하나의 플랜지에만 오링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의 파형관(100)을 나타낸 것으로, 파형관(100)은 지중에 전력케이블 또는 전기통신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굴곡부(101)가 연속해서 형성되고, 굴곡부(101)의 단부에 짧은 직선관 형태의 연결단부(110)가 형성되며, 연결단부(110)의 끝단에 플랜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20)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123)은 볼트(310), 너트(320)와 같은 복수의 체결수단(300)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파형관(100)은 오링홈(124)(도 3 참조)의 도시가 편의상 생략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두 파형관(100)은 연결단부(110)에서 플랜지(1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20)가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310)는 두 파형관(100)의 플랜지(1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너트(320)가 삽입된 볼트(310)에 체결되면 서로 마주하는 두 파형관(100)이 결속되어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랜지(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제1 면(121)이라 하면, 오링(200)은 한 쌍의 플랜지(120)의 제1 면(1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오링(200)은 탄성 고무 재질로 된 고무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하므로 볼트(310)와 너트(320)를 조이는 과정에서 오링(200)이 압축되고, 압축되면서 형태 변형이 일어난 오링(200)에 의해 제1 면(121) 사이의 공간이 메워질 수 있다. 즉, 오링(200)은 한 쌍의 플랜지(1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한 쌍의 플랜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면(121)에 오링(2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링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홈(124)의 내면은 오링(2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링홈(124)은 도 3과 같이 오링(200)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플랜지(1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하나의 플랜지(120)에만 형성되어 오링(200)의 좌측부만 오링홈(124)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이 오링홈(124)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시공 및 사용 시 오링(200)이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한 쌍의 오링홈(124) 사이에 오링(200)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팅 작업, 즉 두 파형관(100)의 플랜지(12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23)에 볼트(310)를 삽입한 후, 너트(320)를 볼트(310)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한 쌍의 플랜지(12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므로 오링(200)에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때, 플랜지(120)는 합성수지 재질이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지만, 오링(200)은 고무 재질이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변형이 발생한다. 고무는 포아송 비(Poisson's ratio)가 0.5이고, 외부 압력에 대해 부피가 변하지 않는 완전 비압축성 재료이다. 따라서, 고무 재질인 오링(200)은 좌우 방향으로 압축된 만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제1 면(121) 사이의 공간은 오링(200)에 의해 더욱더 확실하게 밀폐되어 방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지더라도 한 쌍의 플랜지(120)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한 쌍의 플랜지(120)는 거의 밀착되도록 좁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한 쌍의 플랜지(120) 중 하나의 플랜지(120)에 오링홈(124)이 형성되어 오링(200)의 좌측부만 오링홈(124)에 삽입된 상태일 때, 오링(200)의 우측부는 평면인 제1 면(121)에 선접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200)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때, 오링(200)의 좌측부는 오링홈(124)에 삽입되어 오링홈(124)의 내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나 오링(200)의 우측부는 오링홈(12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좌측부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많이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이 제1 면(121)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압축될 경우 제조사의 생산 오차로 인하여 면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압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100)의 연결구조는 현장시공 시 하나의 오링(200)이 사용되기 때문에 오링홈(124)의 내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오링(200)이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이 현장 시공 전에 미리 오링홈(124)에 부착될 경우 현장에서 작업자가 오링(200)을 직접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욱더 편리하게 파형관(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파형관(100) 연결을 위한 볼팅 작업 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인 오링(200)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방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는 오링홈(124)의 내면으로부터 한 쌍의 플랜지(120)의 두께 방향으로 파인 연장홈(12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홈(124a)은 오링(200)의 단면 중심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홈(124a)은 고무의 포아송 비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연장홈(124a)이 형성된 오링홈(124)의 내부에 오링(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지면, 오링(200)은 포아송 비가 0.5인 완전 비압축성 재료이기 때문에 한 쌍의 플랜지(12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압축된 만큼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며, 연장홈(124a)의 내부로도 늘어날 수 있다. 즉, 한 쌍의 플랜지(120)의 제1 면(121) 사이의 공간은 오링(200)에 의해 세로 방향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도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에서 오링(200)은 연장홈(124a)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0)를 더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걸림돌기(210)는 연장홈(124a)과 마찬가지로 오링(200)의 단면 중심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연장홈(12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은 파형관(100)을 연결하기 전에 미리 걸림돌기(210)가 연장홈(124a)에 삽입된 상태로 납품될 수 있고, 현장시공 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돌기(210)가 연장홈(124a)에 걸려 잘 빠지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파형관(100)을 연결할 때 직접 오링(200)을 장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210)의 단면은 제1 면(121)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10)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반원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10)가 연장홈(12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지면, 걸림돌기(210)의 좁은 단부가 연장홈(124a)의 내면에 맞닿아 선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200)이 연장홈(124a)의 내면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압축될 경우, 제조사의 생산 오차로 인하여 면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압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랜지(120)의 제1 면(121) 사이의 공간은 오링(200)의 걸림돌기(21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용 파형관(100)의 연결구조는 한 쌍의 플랜지(120)에서 제1 면(121)의 반대 면인 제2 면(122)에 형성된 삽입홈(125)과, 상기 삽입홈(125)에 안착되고, 복수의 체결홀(123)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홀(410)이 형성된 링 형태의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플랜지(120)의 제2 면(122)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플랜지(120)를 제외한 파형관(100)의 도시는 편의상 생략되었다.
종래에 파형관(100)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이음부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파형관(100)의 누수압 기준인 1기압의 압력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파형관(100)의 연결구조는 플랜지(120)에서의 바깥면, 즉 제1 면(121)의 반대 면인 제2 면(122)에 삽입홈(125)이 형성되고, 삽입홈(125)에 대응하는 링 형태의 보강부재(400)가 삽입홈(125)에 끼워지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금속 및 비금속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철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복수의 체결홀(123)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홀(410)이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체결수단(300)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1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수단(300)으로서 볼트(310)와 너트(320)가 구비될 경우, 볼트(310)는 복수의 체결홀(123) 및 복수의 관통홀(410)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너트(320)가 상기 볼트(310)에 삽입되어 체결됨에 따라 삽입홈(125)에 안착된 보강부재(400)가 한 쌍의 플랜지(1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플랜지(120)는 보강부재(400)에 의해 보강될 수 있고, 보강된 한 쌍의 플랜지(120)는 볼트(310)와 너트(320)의 조임에 따라 오링(200)을 보다 강하게 압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120)는 보강부재(400)에 의해 보강되어 높은 압력의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오링(200)을 압입하고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400)는 한 쌍의 플랜지(120)에 형성된 삽입홈(125)에 안착되어 복수의 체결수단(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현장시공 시 이탈하지 않고, 파형관(100)의 연결 시 한 쌍의 플랜지(120)를 보강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파형관(100)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지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400)에서 복수의 관통홀(410)은 보강부재(400)의 외측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410)이 보강부재(400)의 외측, 즉 링 형태의 보강부재(400)의 외주부쪽에 치우쳐서 위치함으로써, 볼트(310)와 너트(320)가 조여질 때 한 쌍의 플랜지(120) 및 보강부재(400)는 볼트(310)의 머리 부분과 너트(320)에 의해 함께 압입될 수 있다. 즉, 볼트(310)의 머리 부분과 너트(320)는 한 쌍의 플랜지(120)의 제2 면(122) 및 보강부재(400)의 일면에 모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310)와 너트(320)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은 한 쌍의 플랜지(120) 및 보강부재(400)로 분산될 수 있어 오링(200)의 압축을 위해 볼트(310)와 너트(320)를 강하게 조이더라도 한 쌍의 플랜지(120)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400)는 삽입홈(125)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개방단을 가진 'C'자 형태의 제1 보강부(400a)와 제2 보강부(400b)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부(400a)와 제2 보강부(400b)는 힌지부(4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보강부재(400)가 삽입홈(125)에 미리 장착된 상태가 아닐 경우, 작업자는 제1 보강부(400a) 및 제2 보강부(400b)로 분할된 보강부재(400)를 삽입홈(125)에 각각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힌지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보강부(400a,400b)가 개방되도록 회전시켜 내부에 파형관(100)의 연결단부(110)가 수용되게 하고, 제1 및 제2 보강부(400a,400b)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보강부재(400)를 다시 링 형태로 만든 후 삽입홈(125)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보강부(400a)와 제2 보강부(400b)의 서로 마주하는 일단부는 서로 대응하는 홈(430)과 돌출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강부(400a,400b)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홈(430)과 돌출부(440)는 서로 맞물리면서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430)과 돌출부(440)가 형성될 경우, 홈(430)과 돌출부(440)의 맞물림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아 보강부재(400)의 링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는 연결 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되어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매설되는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파형관의 교체 및 유지보수 시 연결 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시예,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혼용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형관 101: 굴곡부
110: 연결단부 120: 플랜지
121: 제1 면 122: 제2 면
123: 체결홀 124: 오링홈
124a: 연장홈 125: 삽입홈
200: 오링 210: 걸림돌기
300: 체결수단 310: 볼트
320: 너트 400: 보강부재
400a: 제1 보강부 400b: 제2 보강부
410: 관통홀 420: 힌지부

Claims (10)

  1. 서로 마주하는 두 파형관의 연결단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오링; 및
    상기 복수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오링에 의해 상기 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복수의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면에 상기 오링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의 내면은 상기 오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오링은 압축되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홈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플랜지의 두께 방향으로 파인 연장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홈은 상기 오링의 단면 중심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연장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한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단면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태인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서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홀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태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에 치우쳐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 및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볼트의 머리 부분과 상기 너트에 의해 함께 압입되는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마주하는 개방단을 가진 'C'자 형태의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로 분할되어 구비된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보강부는 힌지 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KR1020210011118A 2021-01-27 2021-01-27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KR10243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18A KR102439797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18A KR102439797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95A true KR20220108295A (ko) 2022-08-03
KR102439797B1 KR102439797B1 (ko) 2022-09-02

Family

ID=8284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18A KR102439797B1 (ko) 2021-01-27 2021-01-27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7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731U (ko) * 1993-11-01 1995-06-19 김덕호 케이블 보호용 보호관
KR100674497B1 (ko) * 2006-10-24 2007-01-30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KR20110000252U (ko) * 2009-07-02 2011-01-10 정문식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120020398A (ko) * 2010-08-30 2012-03-08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이음재
KR20120042424A (ko) * 2010-10-25 2012-05-03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덮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731U (ko) * 1993-11-01 1995-06-19 김덕호 케이블 보호용 보호관
KR100674497B1 (ko) * 2006-10-24 2007-01-30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KR20110000252U (ko) * 2009-07-02 2011-01-10 정문식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120020398A (ko) * 2010-08-30 2012-03-08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이음재
KR20120042424A (ko) * 2010-10-25 2012-05-03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797B1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1171058B1 (ko) 플랜지 접속형 상수도관 이음 장치
KR102439797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의 연결구조
KR101407928B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RU2050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бельного ввода
KR20030084251A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CN216121769U (zh) 一种线缆密封接头和线缆密封连接装置
CN211599920U (zh) 一种内衬管连接接头
KR101842837B1 (ko) 관 연결 소켓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2110822B1 (ko) 압륜을 이용한 링 조인트 배관 결합장치
KR20100089438A (ko) 삼중관 결합용 소켓
CN215908651U (zh) 全抱箍式管道抢修接
KR200282527Y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JP4217144B2 (ja) 突き合わせ接続用継手構造
CN216520074U (zh) 无死角连接外螺纹接头
CN220749291U (zh) 一种管道防水装置
KR200495491Y1 (ko) 필름형 누설감지센서 연결용 커넥터
CN218895116U (zh) 一种消防水带连接组件
KR102366375B1 (ko)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CN215646126U (zh) 一种密封组件、电缆连接结构及振冲桩施工设备
KR20220168123A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